[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6987Y1 -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 Google Patents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987Y1
KR200496987Y1 KR2020210001502U KR20210001502U KR200496987Y1 KR 200496987 Y1 KR200496987 Y1 KR 200496987Y1 KR 2020210001502 U KR2020210001502 U KR 2020210001502U KR 20210001502 U KR20210001502 U KR 20210001502U KR 200496987 Y1 KR200496987 Y1 KR 2004969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ressing
universal joint
drive shaft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738U (ko
Inventor
조경익
신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농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농기
Priority to KR2020210001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8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8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0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one coupling part entering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and connected thereto by sliding or roll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 농기계에 축설되는 구동축에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와 구동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후방에 형성된 핀 끼움부로 끼워지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일측에 형성된 핀 누름 가압부; 상기 핀 누름 가압부에서 동일 축선 상으로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핀 끼움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이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워지며, 단부는 상기 핀 끼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분할핀이 체결되는 스프링 보스;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상기 스프링 보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보다 작은 외경에서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로 외경이 점차 확장되게 테이퍼 가공 처리된 경사면부;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부의 최소 직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전방 스톱면부; 상기 경사면부와 상기 스프링 보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동일한 외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후방 스톱면부; 및,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상기 전방 스톱면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스톱면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산 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트랙터나 경운기 등 PTO 동력으로 동작 되는 농기계에 축설되는 PTO 구동축에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와 PTO 구동축의 사이에서 분할핀에 대한 의존도가 최소화되는 구조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 등에 따른 과부하로 단부에 체결된 분할핀이 파손되더라도 PTO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분리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으며,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시 진동 없이 동력전달이 고효율로 부드럽고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lock pin for universal joint of agricultural machinery}
본 고안은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나 경운기 등 PTO 동력으로 동작 되는 농기계에 축설되는 PTO 구동축에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와 PTO 구동축의 사이에서 분할핀에 대한 의존도가 최소화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 등에 따른 과부하로 단부에 체결된 분할핀이 파손되더라도 PTO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분리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으며,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시 진동 없이 동력전달이 고효율로 부드럽고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베이터 등의 농기계는 엔진이 구비되어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트랙터의 후방에 조인트장치에 의해 장착되어 토양을 경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의 동력을 농기계로 전달하는 조인트장치는, 트랙터에 축설된 트랙터 축과 농기계에 축설된 농기계 축 사이에 연결되고, 농기계 축에 축설되는 제1 유니버셜 조인트와, 제1 유니버셜 조인트에 연결축으로 연결된 제1 플랜지와, 제1 플랜지에 볼트 및 스프링으로 체결 고정되고 타측에 제2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된 제2 플랜지와, 제2 유니버셜 조인트에 연결축으로 연결된 제3 유니버셜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 유니버셜 조인트는 트랙터 축에 축설되고, 제1,2 플랜지의 사이에는 석면과 같은 재질로 된 디스크 판이 개재되어 농기계에서 발생 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장치는 농기계의 경운 시 땅속에 돌 등에 칼날이 걸려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제1,2 플랜지 사이에 개재된 디스크 판에 마찰이 발생 됨에 따라 디스크 판에 손상이 발생 되어 트랙터의 동력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공회전이 발생 되어 경운 칼날이 저항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경운 칼날에 무리가 발생 되어 경운 칼날의 수명이 현격히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과, 안전한 운행이 되지 못하여 트랙터를 운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 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농기계용 유니버설 조인트 장치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08688호(2008년01월24일자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로터베이터가 경운 중 땅속에 돌 등에 경운 칼날이 걸려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트랙터와 로터베이터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조인트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의 결합장홈에 결합된 잠금이동구 일단의 끼움돌기가 결합장홈을 이탈하게 되고, 결합장홈의 깊이만큼 잠금이동구 타단의 끼움돌기가 제1,2 이동재의 누름구를 외측으로 밀리게 되어 누름구의 밀착면이 탄력적으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에 따라 과부하 발생과 관계없이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칼날에 저항을 받지 않아 칼날에 전혀 무리가 발생 되지 않고, 칼날을 보호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용하고, 안전하게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농기계용 유니버설 조인트 장치의 요크에는 PTO 구동축과의 사이에 고정핀이 가로방향으로 장착되어 PTO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동 재질로 된 봉 부재가 단순히 2단의 상이한 외경을 단차지게 갖는 핀의 형태로 형성되게 절삭가공에 의해 마련되고, 단부에는 고정핀(10)의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분할핀이 체결되도록 핀 체결공(11)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은 단순히 외주면이 봉의 형태로 매끈하게 형성되어 오직 분할핀에 의해서만 분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 등에 따른 과부하로 분할핀이 파손될 경우에는 요크에서 쉽게 분리 이탈되어 동력 연결 상태가 갑자기 중단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분할핀이 요크에서 이탈되게 되면 이는 2차, 3차 사고로 이어지게 되고, 경운 작업 등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은 단순히 외주면이 봉의 형태로 매끈하게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후 동력 전달시 PTO 구동축의 홈과 불완전하게 접촉되어 구동축이 회전될 때에 구동축의 산과 만날 때마다 덜컹거리며 흔들거리게 됨에 의해 진동이 크게 발생 되어 동력전달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분할핀이 쉽게 파손되어 고정핀(10)이 분리 이탈되거나 고정핀(10)까지도 마모 및 손상,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은 장착시 작업자가 핀 체결공(11)이 형성된 가는 봉 부분의 단부 전면을 손가락으로 눌러주어 가압해야 하기 때문에 가압 되는 면적이 매우 좁아 누를 때에 많은 통증이 수반되며 장착 작업이 까다롭고 힘들어지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08688호(2008년01월24일자 공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트랙터나 경운기 등 PTO 동력으로 동작 되는 농기계에 축설되는 PTO 구동축에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와 PTO 구동축의 사이에서 분할핀에 대한 의존도가 최소화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 등에 따른 과부하로 단부에 체결된 분할핀이 파손되더라도 PTO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분리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으며,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시 진동 없이 동력전달이 고효율로 부드럽고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을 제공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 농기계에 축설되는 구동축에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와 구동축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후방에 형성된 핀 끼움부로 끼워지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일측에 형성된 핀 누름 가압부; 상기 핀 누름 가압부에서 동일 축선 상으로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핀 끼움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이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워지며, 단부는 상기 핀 끼움부의 외부로 노출되어 분할핀이 체결되는 스프링 보스;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상기 스프링 보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보다 작은 외경에서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로 외경이 점차 확장되게 테이퍼 가공 처리된 경사면부;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상기 경사면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부의 최소 직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전방 스톱면부; 상기 경사면부와 상기 스프링 보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동일한 외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후방 스톱면부; 및, 상기 핀 누름 가압부와 상기 전방 스톱면부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스톱면부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의 산 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 스톱면부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시 과부하에 의해 밀리게 될 때에 전방으로의 이탈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거리만큼 그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스톱면부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시 과부하에 의해 밀리게 될 때에 후방으로의 이탈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최소 거리만큼 그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핀 누름 가압부의 전면에는 상기 핀 끼움부로의 가압 끼움 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주게 되는 가압면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트랙터나 경운기 등 PTO 동력으로 동작 되는 농기계에 축설되는 PTO 구동축에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와 PTO 구동축의 사이에서 분할핀에 대한 의존도가 최소화되는 구조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 등에 따른 과부하로 단부에 체결된 분할핀이 파손되더라도 PTO 구동축과 유니버설 조인트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분리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으며,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시 진동 없이 동력전달이 고효율로 부드럽고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이 장착된 농기계 동력전달 구조의 예들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이 장착된 PTO 요크와 PTO 구동축의 연결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이 PTO 요크의 핀 끼움부의 내부로 끼워져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기계에 축설되는 PTO 구동축(1)에 연결된 구동측 유니버설 조인트(2)의 PTO 요크(3)와 PTO 구동축(1)의 사이에 구비되어 PTO 구동축(1)과 구동측 유니버설 조인트(2)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핀 누름 가압부(110)와, 스프링 보스(120)와, 경사면부(130)와, 전방 스톱면부(140)와, 후방 스톱면부(150)와, 축 걸림부(160)를 포함한다.
핀 누름 가압부(11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TO 요크(3)의 후방에 형성된 핀 끼움부(4)로 끼워져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100)이 요크(3)와 구동축(1)의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 되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일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핀 누름 가압부(110)의 외경은 나머지 스프링 보스(120), 경사면부(130), 전방 스톱면부(140) 및 축 걸림부(160)들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가장 굵은 굵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핀 누름 가압부(110)의 전면에는 핀 끼움부(4)로의 가압 끼움 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주게 되는 가압면(111)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을 핀 끼움부(4)로 끼워 장착할 때에 굵기가 상대적으로 가장 굵은 핀 누름 가압부(110)의 가압면(111)을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며 가압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처럼 가장 가는 부분의 전면을 눌러 고정핀(10)을 장착할 때에 가압 면적이 매우 좁아 손가락 부분에서 많은 통증이 따르며 장착 작업이 어려워지게 됨이 없이,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게 장착 작업이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면(111)에는 장착 작업시 손가락 부분의 통증이 더욱 완화되게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의 패드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 보스(12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누름 가압부(110)에서 동일 축선 상으로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며, 핀 누름 가압부(110)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핀 끼움부(4)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5)이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워지며, 단부는 핀 끼움부(4)의 외부로 노출되어 분할핀(6)이 체결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보스(120)를 핀 끼움부(4)로 집어넣은 후 핀 누름 가압부(110)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축 걸림부(160)에 구동축(1)의 산 부분이 걸려 맞물리도록 하면서 경사면부(130)가 구동축(1)의 홈 부분에 맞닿으며 접촉되게 가압하여 장착할 때에, 스프링 보스(120)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스프링(5)에 의해 탄성적인 가압 장착이 이뤄지고 고정핀(100)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핀(100)의 장착 후에는 농기계의 경운 작업시 전달되는 진동과 하중이 완충 되어 고정핀(100)의 파손이나 손상 및 장착 상태의 훼손 등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의 장착 후 핀 끼움부(4)의 외부로 노출되는 스프링 보스(120)의 단부에는 분할핀(6)이 가로방향으로 끼워져 관통 체결되는 핀 체결공(12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보스(120)의 단부에서 핀 체결공(121)으로 체결되는 분할핀(6)과 요크(3)의 핀 끼움부(4)의 사이에는 와셔(7)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는 볼클러치조인트 어셈블리(9)에 연결된 종동측 유니버설 조인트(8)와 PTO 요크(3)를 포함하는 구동측 유니버설 조인트(2)가 연결장축으로 연결될 때에 PTO 요크(3)에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이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한 쌍의 PTO 요크(3)가 연결장축으로 연결될 때에 PTO 요크(3)에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이 장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경사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누름 가압부(110)와 스프링 보스(120)의 사이에 형성되며, 핀 누름 가압부(110)보다 작은 외경에서 핀 누름 가압부(110)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로 외경이 점차 확장되게 테이퍼 가공 처리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이 요크(3)의 핀 끼움부(4)의 내부를 통해 관통 되게 장착되면 경사면부(130)의 중심부가 요크(3) 내로 삽입된 PTO 구동축(1)의 산이 아닌 오목한 홈 부분에 직접 맞닿아 고정되게 됨으로써, 농기계의 경운 작업 중 분할핀(6)이 부러져 파손되더라도 고정핀(100)은 경사면부(130)의 형상으로 인해 핀 끼움부(4)의 내에서 핀 누름 가압부(110) 측으로 밀려나가며 분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스프링 보스(120) 방향으로는 외측으로 밀려나가며 분리 이탈되는 것이 스프링(5)에 의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정핀(10)은 단순히 외주면이 봉의 형태로 매끈하게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후 동력 전달시 PTO 구동축의 홈과 대부분 유격이 발생 되며 불완전하게 접촉되어 구동축이 회전될 때에 구동축의 산과 만날 때마다 덜컹거리며 흔들거리게 됨에 의해 진동이 크게 발생 되어 동력전달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분할핀이 쉽게 파손되어 고정핀(10)이 분리 이탈되거나 고정핀(10)까지도 마모 및 손상, 파손될 수 있었지만, 본 고안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130)의 경사진 면이 구동축(1)의 홈 부분과 점 접촉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100)이 장착되면 고정핀(100)과 구동축(1)이 경사면부(130)에서의 점 접촉으로 완전한 접촉이 이뤄지게 됨으로써, 농기계의 경운 작업을 위한 구동축(1)의 회전시 흔들거림이 거의 없이 진동이 최소화되며 동력전달의 효율이 향상되고 분할핀(6) 또는 고정핀(100)의 마모 및 손상, 파손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경사면부(130)는 측면 상 대략 4 ~ 6°정도의 경사 각도로 전방 스톱면부(140)에서 후방 스톱면부(150)를 향해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면부(130)의 경사 각도가 4°미만이면 분할핀(6)의 파손시 경사면부(130)에 의한 분리 이탈 억제 효과가 너무 미미해질 수 있고, 경사면부(130)의 경사 각도가 6°를 초과하게 되면 농기계의 경운 작업을 위한 구동축(1)의 고속 회전시 구동축(1)의 홈 부분에서 경사면부(130)가 너무 쉽게 밀려나게 되어 오히려 분리 이탈이 쉽게 발생 되거나 구동축(1)과도 불완전한 접촉으로 흔들거림이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사면부(130)의 경사 각도가 최적화로 설계되어 분리 이탈 방지 기능과 진동 방지 기능 및 동력전달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전방 스톱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누름 가압부(110)와 경사면부(130)의 사이에 형성되며, 경사면부(130)의 최소 직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후방 스톱면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130)와 스프링 보스(120)의 사이에 형성되며, 핀 누름 가압부(110)와 동일한 외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전방 스톱면부(140)는 PTO 구동축(1)의 회전시 과부하에 의해 밀리게 될 때에 전방으로의 이탈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거리만큼 그 길이가 형성되고, 후방 스톱면부(150)는 PTO 구동축(1)의 회전시 과부하에 의해 밀리게 될 때에 후방으로의 이탈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최소 거리만큼 그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방 스톱면부(140)와 후방 스톱면부(150) 없이 단순히 경사면부(130)만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농기계의 경운 작업시 구동축(1)에 의한 동력전달이 구동축(1)의 고속 회전에 의해 이뤄지게 되어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이 경사면부(130)를 타고 핀 끼움부(4) 내에서 서서히 밀리며 빠져버리게 될 수 있지만, 경사면부(1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평평한 전방 스톱면부(140)와 후방 스톱면부(150)가 형성됨으로써, 농기계의 경운 작업시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100)의 밀림이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멈춰지도록 하여 고정핀(100)의 분리 이탈이 더욱 견고하고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스톱면부(140), 경사면부(130), 후방 스톱면부(150)는 각각 5~7 : 6~8 : 0.5~1.5의 비율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방 스톱면부(140)의 길이가 어느 정도 길게 확보되게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100)의 장착 후 구동축(1)의 회전시 경사면부(130)의 전방으로의 밀림에 따른 분리 이탈의 가장 큰 위험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고, 후방 스톱면부(150)의 길이가 최소한으로 확보되게 형성되어 경사면부(130)의 후방으로의 밀림이 최소한의 거리(요크의 사이즈에 따라서 상이하나 대략 1 mm 정도) 내에서 멈춰지도록 할 수 있다.
축 걸림부(16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누름 가압부(110)와 전방 스톱면부(140)의 사이에 형성되며, 전방 스톱면부(140)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가늘게 형성되어 PTO 구동축(1)의 산 부분이 걸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동축(1)과 요크(3)의 사이에서 축 걸림부(160)에 의해 고정핀(100)을 통한 동력전달이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트랙터나 경운기 등 PTO 동력으로 동작 되는 농기계에 축설되는 PTO 구동축(1)에 연결된 구동측 유니버설 조인트(2)의 요크(3)와 PTO 구동축(1)의 사이에서 분할핀(6)에 대한 의존도가 최소화되는 구조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 등에 따른 과부하로 단부에 체결된 분할핀(6)이 파손되더라도 PTO 구동축(1)과 구동측 유니버설 조인트(2)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분리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으며, 농기계의 경운 또는 기타 작업시 진동 없이 동력전달이 고효율로 부드럽고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10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110 : 핀 누름 가압부
111 : 가압면 120 : 스프링 보스
121 : 핀 체결공 130 : 경사면부
140 : 전방 스톱면부 150 : 후방 스톱면부
160 : 축 걸림부

Claims (3)

  1. 농기계에 축설되는 구동축(1)에 연결된 유니버설 조인트(2)의 요크(3)와 구동축(1)의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축(1)과 유니버설 조인트(2) 상호 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에 있어서,
    상기 요크(3)의 후방에 형성된 핀 끼움부(4)로 끼워지도록 원형 단면 형상을 갖고 일측에 형성된 핀 누름 가압부(110);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에서 동일 축선 상으로 타측 단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핀 끼움부(4)의 내측에 구비되는 스프링(5)이 외측 둘레를 따라 끼워지며, 단부는 상기 핀 끼움부(4)의 외부로 노출되어 분할핀(6)이 체결되는 스프링 보스(120);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와 상기 스프링 보스(12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보다 작은 외경에서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와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로 외경이 점차 확장되게 테이퍼 가공 처리된 경사면부(130);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와 상기 경사면부(13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부(130)의 최소 직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전방 스톱면부(140);
    상기 경사면부(130)와 상기 스프링 보스(12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와 동일한 외경으로 소정 길이만큼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후방 스톱면부(150); 및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와 상기 전방 스톱면부(140)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스톱면부(140)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1)의 산 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축 걸림부(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톱면부(140)는 상기 구동축(1)의 회전시 과부하에 의해 밀리게 될 때에 전방으로의 이탈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거리만큼 그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 스톱면부(150)는 상기 구동축(1)의 회전시 과부하에 의해 밀리게 될 때에 후방으로의 이탈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최소 거리만큼 그 길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 누름 가압부(110)의 전면에는 상기 핀 끼움부(4)로의 가압 끼움 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주게 되는 가압면(11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KR2020210001502U 2021-05-11 2021-05-11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Active KR2004969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02U KR200496987Y1 (ko) 2021-05-11 2021-05-11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502U KR200496987Y1 (ko) 2021-05-11 2021-05-11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38U KR20220002738U (ko) 2022-11-18
KR200496987Y1 true KR200496987Y1 (ko) 2023-06-28

Family

ID=8423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502U Active KR200496987Y1 (ko) 2021-05-11 2021-05-11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8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294B2 (ja) 1987-12-26 1997-05-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10018369A1 (en) 2000-02-24 2001-08-30 Herbert Cermak Plunging assembly for a driveshaft
US20070021223A1 (en) 2004-10-29 2007-01-25 Heiko Kossack Longitudinal plunging unit permitting axial positioning of the c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240B1 (ko) * 1996-12-30 1999-08-16 오상수 자동차 조향장치용 멀티 스텝 유니버셜조인트
KR20080008688A (ko) 2006-07-20 2008-01-24 김준환 로터베이터 조인트장치
DE102007007151B4 (de) * 2007-02-09 2009-01-02 Spicer Gelenkwellenbau Gmbh Längsverschiebeeinheit für Gelenkwell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1294B2 (ja) 1987-12-26 1997-05-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10018369A1 (en) 2000-02-24 2001-08-30 Herbert Cermak Plunging assembly for a driveshaft
US20070021223A1 (en) 2004-10-29 2007-01-25 Heiko Kossack Longitudinal plunging unit permitting axial positioning of the c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738U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0180B2 (en) Garden tool power system with automatic walking function
US5134909A (en) Power driven screwdriver
EP0365703B1 (en) Hand-held machine
JPH0783655B2 (ja) 携帯用作業機
US7867117B2 (en) In-line belt driven tille drive clutch
KR200496987Y1 (ko) 농기계 유니버설 조인트용 고정핀
JPWO2011048697A1 (ja) 振動吸収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
EP3626393B1 (en) Handheld sanding device
KR101695425B1 (ko) 농기계용 조인트장치
CN109089447A (zh) 一种稻田旋耕机的限位万向节传动轴
US6460670B2 (en) Clutch for blade engagement
US4324056A (en) Wiping device for a ditch digging machine
KR102491820B1 (ko) 유니버셜조인트
JPH0638432U (ja) 刈払機の伝動装置
KR20200075706A (ko) 쉐어 볼트의 장착 구조
JPH1137173A (ja) 双方向伝動ドッグクラッチ
JPH0348418Y2 (ko)
JP2004245272A (ja) 動力伝達装置
JP2001008523A (ja) 刈払機のメインパイプとエンジンとの連結装置
KR102600301B1 (ko) 전동식 조향장치
JP2536040Y2 (ja) 刈払機の動力伝達装置
JP4630437B2 (ja) 工具ヘッド
JP4011462B2 (ja) ロータリー耕耘装置
CN107980390A (zh) 便携式割灌机
JP2580139Y2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5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