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552Y1 - Sink bowl assembly - Google Patents
Sink bowl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6552Y1 KR200496552Y1 KR2020210001825U KR20210001825U KR200496552Y1 KR 200496552 Y1 KR200496552 Y1 KR 200496552Y1 KR 2020210001825 U KR2020210001825 U KR 2020210001825U KR 20210001825 U KR20210001825 U KR 20210001825U KR 200496552 Y1 KR200496552 Y1 KR 2004965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space
- dish
- plate
- sink bowl
- deterg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안착시켜 물기가 자연 제거되도록 함과 아울러, 주방용품의 수납 보관성이 우수한,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과일 및 채소,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공간부의 상단으로 드레인보드 및 세제액 보관함을 안착 거치할 수 있도록 단턱이 구비되는 싱크볼과,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올려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 1, 2식기 드레인보드와,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제액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세제액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bowl assembly in which washed dishes are seated so that water is naturally removed, and kitchen utensils are excellent in storage and storage, and washed dishes can be dried and kitchen utensils can be mounted. The design is provided with a washing space to wash fruits, vegetables, tableware, etc., and a sink bowl equipped with a step so that a drain board and a detergent storage box can be seated and mounted at the top of the washing space,
first and second dish drain boards that are seated on the step of the washing space and can remove water present on the surface by raising washed dishes;
It is seated on the steps of the washing space par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etergent liquid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and storing kitchen utensils such as detergent liquid.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방의 싱크대에 설치되는 싱크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안착시켜 물기가 자연 제거되도록 함과 아울러, 주방용품의 수납 보관성이 우수한,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bowl structure installed in a kitchen sink, and more particularly, to set washed tableware so that water is naturally removed, and to dry the washed tableware with excellent storage and storage of kitchen utensils. It relates to a sink bowl assembly capable of mounting kitchen utensils.
싱크대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싱크볼이 형성되며, 이 싱크볼에서 설거지를 하고, 식기와 과일 등을 세척 한다.A sink bowl made of stainless steel is formed in the sink, and dishes are washed and dishes and fruits are washed in this sink bowl.
그리고 싱크대 주변에는 요리를 위한 요리도구, 설거리를 위한 설거지 도구와 같은 각종 주방용품이 비치된다.In addition, various kitchen utensils such as cooking utensils for cooking and utensils for washing dishes are provided around the sink.
주방은 설거지를 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가족이 함께 모여 대화를 나누는 복합공간이다.The kitchen is not only a space for washing dishes and cooking food, but also a complex space for family gathering and conversation.
그렇기 때문에 싱크대는 기능은 물론 시각적인 깔끔함 또한 중요하다.Therefore, the sink is not only functional but also visually neat.
싱크대의 싱크볼에서 설거지, 식재료 세척, 음식 조리준비 등을 하는 과정에서 싱크대 주변에 비치된 주방용품을 가져와 사용하고, 사용하던 주방용품을 주변에 놓고 다른 일을 하다 다시 가져와 사용하는 것은 번거로울 수 있고, 싱크대 주변에 비치된 주방용품과 조리준비 등의 작업 중에 싱크볼 주변에 놓인 주방용품은 미관이 좋지않고, 주변에 놓인 주방용품은 하던 작업을 방해하는 상황이 발생되기도 한다.In the process of washing dishes in the sink bowl, washing food ingredients, preparing food, etc., it can be cumbersome to bring and use kitchen utensils provided around the sink, put the kitchen utensils that have been used nearby and bring them back after doing other work, Kitchen utensils placed near the sink and kitchen utensils placed around the sink bowl during cooking preparation work do not have a good appearance, and kitchen utensils placed nearby may interfere with the work being done.
본 고안의 종래의 싱크볼 구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sink bow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본 고안은 세척된 식기를 간편하게 거치시켜 물기를 제거할 수 있고, 주방용품을 깔끔하게 수납 보관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주방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싱크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sink bowl assembly capable of providing a clean kitchen at all times by allowing washed tableware to be easily mounted to remove moisture and kitchen utensils to be neatly stor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과일 및 채소,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공간부의 상단으로 드레인보드 및 세제액 보관함을 안착 거치할 수 있도록 단턱이 구비되는 싱크볼과,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ashing space is provided to wash fruits, vegetables, tableware, etc., and a step is provided to seat and mount a drain board and a detergent liquid storage box at the top of the washing space. sink ball,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올려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 1, 2식기 드레인보드와,first and second dish drain boards that are seated on the step of the washing space and can remove water present on the surface by raising washed dishes;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제액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세제액 보관함으로 구비된 것에 특징이 있다.It is seated on the step of the washing spac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liquid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and storing kitchen utensils such as detergent liquid.
상기 세척공간부는, 메인 세척공간부와, 보조 세척공간부로 구비되되, 전후 폭은 동일하고 좌우폭은 서로 상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washing space part is provided as a main washing space part and an auxiliary washing space par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widths are the same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 1식기 드레인보드는, 올려진 식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타공된 본체 판과, 상기 배수공의 양단 등간격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공으로 접시 종류의 식기를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봉이 조립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first dish drain board includes a main body plate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perforated so that water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dish placed on the table can be discharged to the bottom, and fastening hol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t both ends of the drain holes, and the fitting holes are used to drain the dis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re assembled so that various kinds of tableware can be stored upright.
상기 제 2식기 드레인보드는, 올려진 식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타공된 본체 판과, 상기 본체 판의 하단으로 행주 및 수세미 등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대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second dish drain board includes a main body plate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perforated so that water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raised dishes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end, and a hanger so that dishcloths and scrubbers can be hung and stor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상기 세제액 보관함은, 측판과, 후면판, 받침판을 절곡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으로 전면판을 용착에 의해 형성하되, 상기 측판의 상단은 외측으로 더 절곡하여 싱크볼의 단턱에 걸쳐지도록 안착편을 형성하고, 받침판의 양 사이드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물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The detergent storage box is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the side plate, the back plate, and the base plate, and forming the front plate by welding, bu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is further bent outward and seated so as to span the step of the sink bowl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piece and forming an opening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서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세척된 식기를 간편하게 거치하여 식기에 묻어진 물기의 자연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주방용품(세척액, 수세미, 행주 등)의 수납 정리를 깔끔하게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의 주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naturally removing water from the dishes by simply holding the washed dishes, and it is possible to organize the storage of kitchen utensils (washing liquid, scrubbing brush, dishcloth, etc.) neatly, so that it is always clean. It is obvious that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providing a kitchen in a state of being.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A-A선 단면도.
도 4a, 4b는 싱크볼 구조중 제 1식기 드레인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5b는 싱크볼 구조중 제 2식기 드레인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는 싱크볼 구조중 세제액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구조의 사용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ink bow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ink bow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A line for explaining a sink bow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first dish drain board in a sink bowl structure;
5A and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econd dish drain board in a sink bowl struct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ergent storage box in a sink bowl struct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use state of a sink bal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roducer who produces the product, and the definitions of th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실시예)(Example)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A-A선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ink bow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ink bow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to explain the sink ball structure according to.
즉,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어셈블리(100)는, 과일 및 채소,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공간부의 상단으로 드레인보드 및 세제액 보관함을 안착 거치할 수 있도록 단턱(113)이 구비되는 싱크볼(110)과,That is, the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올려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 1, 2식기 드레인보드(120)(130)와,First and second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제액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세제액 보관함(140)로 구비된다.It is seated on the step of the washing space and is provided with a detergent
그리고 상기 세척공간부는, 메인 세척공간부(111)와, 보조 세척공간부(112)로 구비되되, 전후 폭은 동일하고 좌우폭은 서로 상이하도록 이루어진다.Further, the washing space part is provided as the main
상기 메인 세척공간부(111)의 단턱(113)은 가로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조 세척공간부(112)의 단턱(113)은 세로방향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보조 세척공간부는 필요에 따라 메인 세척공간부의 양단으로 설치할 수 있다.Further, the auxiliary washing space unit may b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washing space unit as needed.
또한, 제 1식기 드레인보드(120)는 는 보조 세척공간부(112)로 안착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메인 세척공간부(111)로 이동시켜 안착 사용 가능하며, 제 2식기 드레인보드(130)는 메인 세척공간부(111)에서 사용이 가능하되, 메인 세척공간부의 좌우로 이동시켜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110) 제 1, 2식기 드레인보드(120)(130)와, 세제액 보관함(140)의 모든 구성요소는 녹 방지를 위하여 스테인레스 스틸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ll components of the
첨부 도면 도 4a, 4b, 4c는 싱크볼 구조중 제 1식기 드레인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A, 4B, and 4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rst dish drain board of the sink bowl structure.
즉, 제 1식기 드레인보드(120)는, 올려진 식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22)이 타공된 본체 판(121)과, 상기 배수공의 양단 등간격으로 체결공(123)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으로 접시 종류의 식기를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봉(112)으로 구비된다.That is, the first
이러한 제 1식기 드레인보드(120)는 스테인레스 스틸판을 레이져 장치를 통하여 전개도식의 판으로 절단하며, 타공기를 통해 배수공을 타공한 상태에서 절곡기를 통해 좌우 정배면을 절곡하여 제작이 이루어진다.The first
그리고 상기 체결공(123)은 사용에 따른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탭이 없이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허나, 필요에 따라 체결공(123)의 내주연에 탭을 형성하여 사용 가능하며, 이에 따라 지지봉(112)의 하단 끼움돌부 외주연에 탭을 내어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 1식기 드레인보드(120)는 지지봉(112)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봉을 끼워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irst
즉, 지지봉을 제거하면 평판으로 세척된 그릇, 컵을 올려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이 가능하며, 지지봉을 끼운 상태에서는 지지봉과 지지봉 사이로 접시를 꽂아 사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when the support bar is removed, it can be used to remove water by lifting dishes and cups washed with a flat plate, and in a state where the support bar is inserted, a plat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bars and used.
그리고 4b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식기 드레인보드(12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날개부(121a)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4b,
이는 단턱이 없는 기존에 설치된 싱크볼의 상단에 사용시 상기 날개부(121a)를 통해 싱크볼로 안착사용 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to improve compatibility as it can be seated and used as a sink bowl through the
첨부 도면 도 5a, 5b는 싱크볼 구조중 제 2식기 드레인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econd dish drain board of the sink bowl structure.
제 2식기 드레인보드(130)는, 올려진 식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32)이 타공된 본체 판(131)과, 상기 본체 판의 하단으로 행주 및 수세미 등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대(134)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상기 제 2 식기 드레인보드(130)는 제 1식기 드레인보드의 면적보다 큰 것으로 부피가 큰 식기 종류를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그리고 면적이 넓은 만큼 그릇 하중을 감안하여 배수공의 크기는 비교적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the area is large, it is preferable to form a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drain hole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of the bowl.
또한, 사용자 이외에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하단으로 걸이대(134)가 구비되어 세척 완료후 사용된 행주나 수세미 등을 걸어 물기가 빠지도록 하여 청결하고 깔끔한 주방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첨부 도면 도 6는 싱크볼 구조중 세제액 보관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detergent solution storage box of the sink bowl structure.
세제액 보관함(140)은, 측판(141)과, 후면판(142), 받침판(143)을 절곡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고, 전면으로 전면판(144)을 용착에 의해 형성된다.The detergent
그리고 측판의 상단은 외측으로 더 절곡하여 싱크볼(110)의 단턱(113)에 걸쳐지도록 안착편(141a)을 형성하고, 받침판(143)의 양 사이드는 개구부(143a)를 형성하여 물기가 상기 개구부(143a)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is further bent outward to form a
상기 받침판(143)을 물기 등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은 높고 중앙의 낮게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상 "V"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moisture from remaining on the
즉, 세제액이 담겨진 용기의 안착시 평판으로 이루어질 경우 용기의 하단면과 받침판의 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많아 지므로 물기가 좌우로 배출되지 않고 잔류하는 경우가 발생허나, "V"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접촉면적을 최소화 시켜 좌우로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detergent liquid is seated in a flat plat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the surface of the base plate increases, so water may remain without being discharged to the left and right, but it is made in a "V" shape. Drainage to the left and right can be achieved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한편, 전면으로 전면판(144)이 구비되어 보관중인 세제액 용기가 전면으로 쓰려지는 것이 방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볼 어셈블리에 의하면, 세척과 동시에 세척된 식기를 안착시켜 잔류하는 물기의 제거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세척을 위한 주방용품의 정리정돈을 깔끔하게 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하고 깨긋한 이미지를 안겨주는 주방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ink bow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move remaining water by placing the washed dishes at the same time as washing, and it is possible to neatly organize kitchen utensils for washing. It can provide a kitchen that always gives a clean and clean image.
이상으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no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 you should understand.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0: 싱크볼 어셈블리 110: 싱크볼
113: 단턱 120: 제 1식기 드레인보드
121: 본체판 122: 배수공
123: 체결공 124: 지지봉
130: 제 2식기 드레인보드 131: 본체판
132: 배수공 134: 걸이대
140: 세제액 보관함 143: 받침판100: sink ball assembly 110: sink ball
113: step 120: first dish drain board
121: body plate 122: drain hole
123: fastening hole 124: support bar
130: second dish drain board 131: main body plate
132: drain hole 134: hanger
140: detergent storage box 143: support plate
Claims (5)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올려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 1, 2식기 드레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식기 드레인보드는, 올려진 식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타공된 본체 판과, 상기 배수공의 양단 등간격으로 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으로 접시 종류의 식기를 세워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봉이 조립되고,
상기 제 2식기 드레인보드는, 올려진 식기의 표면에 존재하는 물기가 하단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타공된 본체 판과, 상기 본체 판의 하단으로 행주 및 수세미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대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공간부의 단턱으로 안착되며 세제액 및 주방용품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세제액 보관함;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액 보관함은, 측판과, 후면판, 받침판을 절곡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세제액 용기가 전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면판이 용착 형성되고, 상기 측판의 상단은 외측으로 더 절곡하여 싱크볼의 단턱에 걸쳐지도록 안착편이 형성되며, 받침판의 양 사이드는 개구부를 형성하여 물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판은 양단은 높고 중앙의 낮게 단차지게 단면상 "V"로 구성되어, 세제액이 담겨진 용기의 하단면이 받침판의 면과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된 식기의 물기 건조가 가능하며 주방용품 거치가 가능한 싱크볼 어셈블리.A sink bowl having a washing space for washing fruits, vegetables, and tableware, and having a step provided with a drain board and a detergent storage box at the top of the washing space,
It is seated on the step of the washing space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dish drain boards that can remove water on the surface by raising washed dishes,
The first dish drain board includes a main body plate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perforated so that water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dish placed on the table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end, and fastening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at both ends of the drain holes to form a dish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 large number of support rods are assembled so that all types of tableware can be stored upright,
The second dish drain board includes a main body plate having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perforated so that water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raised dishes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end, and a hanger so that dishcloths and scrubbers can be hung and stor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late. are provided,
A detergent liquid storage box seated on the step of the washing space and capable of storing detergent liquid and kitchen utensils; includes,
The detergent storage box is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the side plate, the back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nd a front plate is welded to the front to prevent the detergent container from collapsing to the front, and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is further bent outward Thus, a seating piece is formed to span the step of the sink bowl,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form an opening so tha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The support plate is composed of a "V" cross section with high ends and a low central step,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detergent liquid minimizes the contact area with th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 sink bowl assembly that can be used to mount kitchen utensil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825U KR200496552Y1 (en) | 2021-06-11 | 2021-06-11 | Sink bowl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1825U KR200496552Y1 (en) | 2021-06-11 | 2021-06-11 | Sink bowl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2969U KR20220002969U (en) | 2022-12-20 |
KR200496552Y1 true KR200496552Y1 (en) | 2023-02-24 |
Family
ID=8453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1825U Active KR200496552Y1 (en) | 2021-06-11 | 2021-06-11 | Sink bowl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6552Y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1994B2 (en) * | 1997-07-30 | 2001-08-27 | 三星電子株式会社 | Driv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KR200279949Y1 (en) * | 2002-03-21 | 2002-07-02 | 재 권 전 | A fabricated drying shelf for tableware |
KR200331816Y1 (en) * | 2003-07-29 | 2003-10-30 | 주식회사 천일 | Multipurpose aids such as sinks |
KR100679647B1 (en) * | 2000-05-10 | 2007-02-07 | 주식회사에넥스 | Think |
JP3201994U (en) * | 2015-10-27 | 2016-01-14 | しげる工業株式会社 | Sink for sink and its device |
KR200493240Y1 (en) * | 2020-07-23 | 2021-02-23 | 임시주 | Expandable kitchen shipboard with use in stand or fixed way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6633Y1 (en) | 2011-03-08 | 2013-04-29 | 주식회사 천일 | Sink Ball With Sterilization Device |
KR20190002139U (en) | 2018-02-13 | 2019-08-21 | 주식회사 천일 | Sinkball with kitchen utensils storage |
-
2021
- 2021-06-11 KR KR2020210001825U patent/KR200496552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01994B2 (en) * | 1997-07-30 | 2001-08-27 | 三星電子株式会社 | Driv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KR100679647B1 (en) * | 2000-05-10 | 2007-02-07 | 주식회사에넥스 | Think |
KR200279949Y1 (en) * | 2002-03-21 | 2002-07-02 | 재 권 전 | A fabricated drying shelf for tableware |
KR200331816Y1 (en) * | 2003-07-29 | 2003-10-30 | 주식회사 천일 | Multipurpose aids such as sinks |
JP3201994U (en) * | 2015-10-27 | 2016-01-14 | しげる工業株式会社 | Sink for sink and its device |
KR200493240Y1 (en) * | 2020-07-23 | 2021-02-23 | 임시주 | Expandable kitchen shipboard with use in stand or fixed wa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2969U (en) | 2022-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69538B2 (en) | Selectively configurable household accessory holder | |
US20220202272A1 (en) | Drying appliance | |
US9516992B2 (en) | Multipurpose household appliance for complete cleaning and organizing to help improve the hygiene of baby bottles and also more distinct washable items used for babies and toddlers | |
JP2008073400A (en) | Dish washer | |
US2910207A (en) | Dish rack for domestic appliance | |
CN205322276U (en) | Basin formula is tableware basket for cleaning machine | |
KR200496552Y1 (en) | Sink bowl assembly | |
KR20110099350A (en) | How to use the dish dryer and dishwasher | |
CN208927155U (en) | Disinfection cabinet draws basket and disinfection cabinet | |
KR20180001414U (en) | A shelf hanger for multipurpose | |
KR20060100702A (en) | Dishwasher with cutlery storage structure | |
JP3501092B2 (en) | Sink sink device | |
KR20180003077U (en) | Shelf multipurpose withdraw for sink | |
CN217659717U (en) | Cleaning basket assembly and cleaning machine thereof | |
JP4012704B2 (en) | Container for storing tableware and cooking utensils | |
JP4012703B2 (en) | Dishwasher | |
KR200191070Y1 (en) | The shink-shelf of plural receipt an instrument forminy | |
KR102721540B1 (en) | Spoon Stand | |
CN218074896U (en) | Tableware inserting rack | |
CN211395856U (en) | Water tank and cleaning equipment with same | |
CN218074921U (en) | Cleaning basket assembly and cleaning machine thereof | |
CN211270611U (en) | Storage rack and cleaning machine with same | |
US12213638B2 (en) | Dish rack | |
CN210947024U (en) | Water tank and cleaning equipment | |
CN111184489B (en) | Tableware clean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61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0708 |
|
AMND | Amendment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220921 |
|
AMND | Amendment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221108 |
|
X70R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U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7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7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20831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302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3022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