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6413Y1 - 리필형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리필형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413Y1
KR200496413Y1 KR2020210001089U KR20210001089U KR200496413Y1 KR 200496413 Y1 KR200496413 Y1 KR 200496413Y1 KR 2020210001089 U KR2020210001089 U KR 2020210001089U KR 20210001089 U KR20210001089 U KR 20210001089U KR 200496413 Y1 KR200496413 Y1 KR 200496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astening
outer container
refill
shou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468U (ko
Inventor
이종희
조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2020210001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41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4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413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요형(凹形)의 외용기수용공간을 갖는 외용기바디부와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태의 외용기목부를 구비한 외용기와, 요형(凹形)의 리필용기수용공간을 갖는 리필용기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리필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이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외용기수용공간에 설치된 리필용기와, 상기 리필용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용기목부에 나사결합된 외용기캡을 갖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목부는 상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버튼안착홈이 절취 형성되고, 상기 버튼안착홈의 아래쪽 영역에는 체결장공이 상기 버튼안착홈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리필용기는 관형태의 어깨체결관부와 상기 어깨체결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어깨플랜지와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될 때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어깨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체결버튼과 상기 체결버튼이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할 때 상기 체결장공에 진입하도록 상기 체결버튼의 외표면에 형성된 체결돌부를 구비한 리필용기어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체결관부의 내표면이 상기 리필용기바디부의 상단 외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기 체결버튼이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하고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체결장공에 진입하도록 상기 외용기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용기있에 대한 리필용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리필용기의 분리조작이 용이하고, 외용기의 구조가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리필형 화장품 용기{Refill-typed Cosmetic Container}
본 고안은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 중 화장품이 담긴 용기부분만 분리하여 교체하고 나머지 용기부분은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화장품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구매되어 사용되는 데, 화장품을 다 사용하고 나면 화장품을 사용한 화장품 용기는 버리고 새 화장품용기를 다시 구매하여 사용하게 된다.
화장품을 사용한 화장품 용기를 버리고 새 화장품용기를 다시 구매하는 경우 소비자의 비용이 증가하고 산업폐기물 증가에 다른 환경오염 문제 등이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품 용기 중 화장품이 담긴 용기부분만 분리하여 교체하고 나머지 용기부분은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리필형 화장품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6은 종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7은 종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종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리필형 화장품 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외용기수용공간(111a)을 갖는 외용기바디부(111)와 외용기바디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외용기목부(112)와 외용기목부(11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단턱부(113)를 구비한 외용기(110)와, 단턱부(113)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리필용기(120)와, 외용기목부(112)에 결합된 외용기캡(151)을 갖고 있다.
외용기목부(112)는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산(112a)이 형성되고, 일영역에는 목부누름홈(112d)이 절취 형성된다.
단턱부(113)는 외표면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걸림돌기(113a)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단턱부(113)에는 목부누름홈(112d)에 정렬되도록 단턱부누름홈(113b)이 절취 형성된다.
리필용기(120)는 요형(凹形)의 리필용기수용공간(121a)을 갖는 리필용기바디부(121)와, 리필용기바디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리필용기어깨부(130)를 갖고 있다.
리필용기어깨부(130)는 리필용기바디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어깨플랜지(132)와, 어깨플랜지(132)의 종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체결스커트부(136)와, 체결스커트부(136)의 내표면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돌기(137)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지지돌기(137)는 걸림돌기(113a)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리필용기(120)는 리필용기바디부(121)의 바닥면이 외용기바디부(111)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지지돌기(137)가 걸림돌기(113a)와 걸림작용을 하고, 어깨플랜지(132)가 단턱부(113)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외용기수용공간(111a)에 설치된다.
외용기캡(151)은 리필용기(120)를 둘러싸도록 외용기목부(112)에 나사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리필용기(120)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용기캡(151)은 외용기(110)에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어깨플랜지(132) 중 목부누름홈(112d)과 단턱부누름홈(113b)에 대응하는 영역을 하방향으로 누른다.
어깨플랜지(132)가 눌리면 어깨플랜지(132) 중 목부누름홈(112d)과 단턱부누름홈(113b)에 대향하는 영역과 단턱부(113)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다음에 어깨플랜지(132)와 단턱부(113)사이에 형성된 갭에 손가락을 넣고 리필용기(120)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리필용기(120)에 상방향으로 힘을 가해지면 지지돌기(137)와 걸림돌기(113a) 사이의 걸림작용이 해제되어 리필용기(120)는 외용기(110)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새 리필용기(120)를 외용기(110)에 결합한다.
그런데 종래의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외용기(110)와 리필용기(120) 중 일방이 상대방에 대하여 회전할 때(외용기캡이 외용기에 나사결합될 때 외용기캡이 리필용기어깨부에 접촉되는 등의 이유로 리필용기에 회전력이 가해질 수 있음) 지지돌기(137)와 걸림돌기(113a) 사이의 걸림작용이 해제될 수 있고 외용기(110)와 리필용기(120) 중 일방이 상대방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외용기(110)에 대한 리필용기(12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외용기(110)에 대한 리필용기(120)의 결합상태가 형태적으로 걸림해제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돌기(지지돌기와 걸림돌기) 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외용기(110)에 대한 리필용기(12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돌기(137)와 걸림돌기(113a) 사이의 걸림작용을 해제할 때 지지돌기(137)가 걸림돌기(113a)를 넘어가도록 리필용기(120)를 상방향으로 가압해야 하기 때문에 리필용기(120)의 분리조작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용기목부(112)의 상단에 단턱부(113)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외용기(110)의 구조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1573호(등록일자: 2021년 01월 06일, 발명의 명칭: 푸쉬 타입 리필형 화장품 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용기에 대한 리필용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리필용기의 분리조작이 용이하고, 외용기의 구조가 간단한 리필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요형(凹形)의 외용기수용공간을 갖는 외용기바디부와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태의 외용기목부를 구비한 외용기와, 요형(凹形)의 리필용기수용공간을 갖는 리필용기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리필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이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외용기수용공간에 설치된 리필용기와, 상기 리필용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용기목부에 나사결합된 외용기캡을 갖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목부는 상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버튼안착홈이 절취 형성되고, 상기 버튼안착홈의 아래쪽 영역에는 체결장공이 상기 버튼안착홈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리필용기는 관형태의 어깨체결관부와 상기 어깨체결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어깨플랜지와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될 때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어깨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체결버튼과 상기 체결버튼이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할 때 상기 체결장공에 진입하도록 상기 체결버튼의 외표면에 형성된 체결돌부를 구비한 리필용기어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체결관부의 내표면이 상기 리필용기바디부의 상단 외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기 체결버튼이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하고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체결장공에 진입하도록 상기 외용기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외용기에 대한 리필용기의 결합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리필용기어깨부는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될 때 외표면이 상기 외용기목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어깨플랜지의 저면 중 상기 체결버튼 사이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밀착스커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버튼안착홈을 절취 형성하고, 버튼안착홈의 아래쪽 영역에 체결장공을 버튼안착홈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형성하는 한편, 어깨플랜지가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될 때 버튼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어깨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체결버튼과 체결버튼이 버튼안착홈에 진입할 때 체결장공에 진입하도록 체결버튼의 외표면에 형성된 체결돌부를 포함하도록 리필용기어깨부를 구성함으로써, 외용기에 대한 리필용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리필용기의 분리조작이 용이하고, 외용기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체결버튼을 통과하는 방향),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체결버튼을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기어깨부를 도시한 도면,
도6은 종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7은 종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8은 종래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체결버튼을 통과하는 방향)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체결버튼을 통과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용기어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외용기수용공간(11a)을 갖는 외용기바디부(11)와 외용기바디부(1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형태의 외용기목부(12)를 구비한 외용기(10)와, 외용기목부(1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리필용기(20)와, 외용기목부(12)에 결합된 외용기캡(51)을 갖고 있다.
외용기목부(12)는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산(12a)이 형성된다.
외용기목부(12)는 상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버튼안착홈(12b)이 디귿자 형태로 절취 형성된다.
그리고 외용기목부(12)는 버튼안착홈(12b)의 아래쪽 영역에는 체결장공(12c)이 버튼안착홈(12b)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리필용기(20)는 요형(凹形)의 리필용기수용공간(21a)을 갖는 리필용기바디부(21)와, 리필용기바디부(21)에 결합된 리필용기어깨부(30)와, 리필용기어깨부(30)에 결합된 리필용기마개부(22)를 갖고 있다.
리필용기바디부(21)는 외표면에 지지환턱(21b)이 형성된다.
리필용기어깨부(30)는 관형태의 어깨체결관부(31)와, 어깨체결관부(3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어깨플랜지(32)와, 어깨플랜지(3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체결버튼(33)과, 체결버튼(33)의 외표면에 형성된 체결돌부(34)와, 어깨플랜지(3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밀착스커트부(35)를 갖고 있다.
각 체결버튼(33)은 어깨플랜지(32)가 외용기목부(12)의 상단에 지지될 때 버튼안착홈(12b)에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각 체결버튼(33)은 상부영역보다 하부영역의 두께가 얇은 형태로 형성된다.
각 체결돌부(34)는 체결버튼(33)이 버튼안착홈(12b)에 진입할 때 체결장공(12c)에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각 체결돌부(34)는 체결버튼(33)의 외표면 중 두께가 얇은 영역에 형성된다.
밀착스커트부(35)는 어깨플랜지(32)가 외용기목부(12)의 상단에 지지될 때 외표면이 외용기목부(12)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어깨플랜지(3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밀착스커트부(35)의 형성은 체결버튼(33) 사이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리필용기마개부(22)에는 손잡이(23)가 마련되어 있다.
리필용기마개부(22)는 손잡이(23)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리필용기어깨부(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리필용기어깨부(3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리필용기(20)는 리필용기바디부(21)의 바닥면이 외용기바디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고, 어깨체결관부(31)의 내표면이 리필용기바디부(21)의 상단 외표면에 접촉되고, 어깨플랜지(32)가 외용기목부(12)의 상단에 지지되고, 체결버튼(33)이 버튼안착홈(12b)에 진입하고, 체결돌부(34)가 체결장공(12c)에 진입하도록 외용기수용공간(11a)에 설치된다.
리필용기(20)는 어깨체결관부(31)의 하단이 지지환턱(21b)에 지지되고, 어깨체결관부(31)의 내표면을 통해 리필용기바디부(21)의 외표면에 언더컷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외용기캡(51)은 리필용기(20)를 둘러싸도록 외용기목부(12)에 나사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화장품 용기의 리필용기(20)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외용기캡(51)은 외용기(10)에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한 쌍의 체결버튼(33)을 접근하는 방향으로 눌러 체결돌부(34)를 체결장공(12c)에서 이탈시킨다.
다음에 리필용기(20) 전체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다음에 새 리필용기(20)를 외용기(10)에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용기목부(12)의 상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버튼안착홈(12b)을 절취 형성하고, 버튼안착홈(12b)의 아래쪽 영역에 체결장공(12c)을 버튼안착홈(12b)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형성하는 한편, 어깨플랜지(32)가 외용기목부(12)의 상단에 지지될 때 버튼안착홈(12b)에 진입하도록 어깨플랜지(32)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체결버튼(33)과 체결버튼(33)이 버튼안착홈(12b)에 진입할 때 체결장공(12c)에 진입하도록 체결버튼(33)의 외표면에 형성된 체결돌부(34)를 포함하도록 리필용기어깨부(30)를 구성함으로써, 외용기(10)에 대한 리필용기(20)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리필용기(20)의 분리조작이 용이하고, 외용기(1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그리고 어깨플랜지(32)가 외용기목부(12)의 상단에 지지될 때 외표면이 외용기목부(12)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어깨플랜지(32)의 저면 중 체결버튼(33) 사이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밀착스커트부(35)를 더 포함하도록 리필용기어깨부(30)를 구성함으로써, 외용기(10)에 대한 리필용기(20)의 결합상태를 더욱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 110: 외용기 11, 111: 외용기바디부
12, 112: 외용기목부 20, 120: 리필용기
21, 121: 리필용기바디부 22: 리필용기마개부
30, 130: 리필용기어깨부 31: 어깨부체결관부
32, 132: 어깨부플랜지 33: 체결버튼
34: 체결돌부 35: 밀착스커트부
113: 단턱부 136: 체결스커트부
137: 지지돌기

Claims (2)

  1. 요형(凹形)의 외용기수용공간을 갖는 외용기바디부와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둘레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태의 외용기목부를 구비한 외용기와, 요형(凹形)의 리필용기수용공간을 갖는 리필용기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리필용기바디부의 바닥면이 상기 외용기바디부의 바닥면에 나란하도록 상기 외용기수용공간에 설치된 리필용기와, 상기 리필용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용기목부에 나사결합된 외용기캡을 갖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목부는 상단에 180도의 위상차를 두고 한 쌍의 버튼안착홈이 절취 형성되고, 상기 버튼안착홈의 아래쪽 영역에는 체결장공이 상기 버튼안착홈의 폭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고;
    상기 리필용기는 관형태의 어깨체결관부와 상기 어깨체결관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어깨플랜지와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될 때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어깨플랜지의 저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체결버튼과 상기 체결버튼이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할 때 상기 체결장공에 진입하도록 상기 체결버튼의 외표면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될 때 외표면이 상기 외용기목부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어깨플랜지의 저면 중 상기 체결버튼 사이 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밀착스커트부를 구비한 리필용기어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깨체결관부의 내표면이 상기 리필용기바디부의 상단 외표면에 접촉되고 상기 어깨플랜지가 상기 외용기목부의 상단에 지지되고 상기 체결버튼이 상기 버튼안착홈에 진입하고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체결장공에 진입하도록 상기 외용기수용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화장품 용기.
  2. 삭제
KR2020210001089U 2021-04-06 2021-04-06 리필형 화장품 용기 Active KR200496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89U KR200496413Y1 (ko) 2021-04-06 2021-04-06 리필형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89U KR200496413Y1 (ko) 2021-04-06 2021-04-06 리필형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68U KR20220002468U (ko) 2022-10-13
KR200496413Y1 true KR200496413Y1 (ko) 2023-01-27

Family

ID=8359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89U Active KR200496413Y1 (ko) 2021-04-06 2021-04-06 리필형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4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009B1 (ko) * 2022-11-18 2024-06-07 주식회사 신우 리필 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98087Y1 (ko) * 2022-12-01 2024-06-20 이종남 리필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201Y2 (ja) 1993-04-28 1999-01-06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2595495Y2 (ja) * 1993-04-28 1999-05-31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2004174199A (ja) 2002-09-30 2004-06-24 Milbon Co Ltd 内外二重容器
JP2021008277A (ja) * 2019-06-28 2021-01-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レフィル容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201Y2 (ja) 1993-04-28 1999-01-06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2595495Y2 (ja) * 1993-04-28 1999-05-31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詰め替え容器
JP2004174199A (ja) 2002-09-30 2004-06-24 Milbon Co Ltd 内外二重容器
JP2021008277A (ja) * 2019-06-28 2021-01-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レフィル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468U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6413Y1 (ko) 리필형 화장품 용기
US8430279B2 (en) Bottle accessory for application with a cap to a bottle, particularly useful for attaching a retractable spout to a bottle
JP7222831B2 (ja) レフィル容器
CA2829880A1 (fr) Device for capping a container neck
JP5746947B2 (ja) レフィール容器及び二重容器
JP6831267B2 (ja) 詰め替え容器
JP2005533724A (ja) 固定部材、および、そうした固定部材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JP7037179B2 (ja) 詰め替えセット及び容器
CN115485075B (zh) 流体产品分配器
EP3978390B1 (en) Replacement type container
JP4864668B2 (ja) 異種材組立容器
JP4328163B2 (ja) 吐出器
JP5094620B2 (ja) キャップ付容器
JP6971172B2 (ja) 注出容器
JP3330323B2 (ja) 容 器
FR3098202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dispositif de distribution
JP7610850B2 (ja) 分別廃棄可能な噴出容器、および、内容物噴出ユニット
JP4667563B2 (ja) 合成樹脂製の分別回収キャップ
JP2024105026A (ja) レフィル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詰め替え容器、化粧ケース
JP7246831B2 (ja) 注出キャップ
JP5216514B2 (ja) 蓋付き容器
KR200374679Y1 (ko) 튜브용기 뚜껑
JP3218204U (ja) 塗布容器
JP4471041B2 (ja) 放出容器用カバー体
JP2025040982A (ja) 化粧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104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072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301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