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5763Y1 -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63Y1
KR200495763Y1 KR2020200004950U KR20200004950U KR200495763Y1 KR 200495763 Y1 KR200495763 Y1 KR 200495763Y1 KR 2020200004950 U KR2020200004950 U KR 2020200004950U KR 20200004950 U KR20200004950 U KR 20200004950U KR 200495763 Y1 KR200495763 Y1 KR 200495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lever
mounting plate
valve
clo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726U (ko
Inventor
장혜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이유가스
장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이유가스, 장혜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이유가스
Priority to KR2020200004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6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63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템의 상단에 고정된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 상에 안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윙 플레이트; 및 마운팅 플레이트의 타 단부와 대면하는 스윙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가 마운팅 플레이트와 스윙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개폐레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Apparatus for fixing hand lever of valve}
본 고안은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밸브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 상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의 개폐레버는 작업자의 정상적인 인가시에만 개폐되어 가스, 액체 등의 다양한 유체 이송을 허락하는 관로(管路)를 개폐 및/또는 전환하게 된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밸브는 유체 유동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이나 충격, 혹은 작업자의 부주위에 의해 개폐레버를 임의로 회전시켜 오작동되는 경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요금을 체납하여 가스 사용을 금지해야 하는 경우에 밸브의 개폐레버를 잠긴 상태(혹은 폐쇄 상태)로 단속하여 가스공급을 중단시켜야 한다.
특허문헌 1은 전술된 바와 같이 밸브의 개폐레버를 단속하기 위해 제안되는데, 핸들의 상부면에 형성된 설치공에 장착하되 스프링에 의해 출몰하는 록킹핀을 내부에 구비한 이동핀의 상부에 링 형상의 레버를 구비한 핸들고정장치가 핸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핸들을 고정시키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핸들고정장치는 관로 선상에 기 설치된 종래의 밸브에 적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7349호
본 고안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로 선상에 기 설치된 밸브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개폐레버의 회전 방지를 통해 밸브를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볼을 구비한 밸브 몸체와, 밸브 몸체의 스템 가이드에 설치되어 볼과 연결되는 스템, 및 스템의 상단에 고정되는 개폐레버로 이루어지고,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 둘레를 따라 이격배치된 개방 돌기와 폐쇄 돌기 사이에 스템 가이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를 위치시켜 개폐레버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밸브에 있어서, 스템의 상단에 고정된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 상에 안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윙 플레이트; 및 마운팅 플레이트의 타 단부와 스윙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 볼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가 마운팅 플레이트와 스윙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개폐레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마운팅 플레이트는 타 단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고정공과 소정의 각도로 절곡연장된 일 단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장공을 갖춘 수평 길이부와; 수평 길이부의 중심에서 직교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확장부; 및 수평 길이부와 확장부의 교차 지점에 스템의 상단을 수용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확장부는 이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스커트를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마운팅 플레이트는 수평 길이부의 일 단부를 둔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스윙 플레이트는 일 단부 상측에서 수평배열되고, 내부 영역에 체결 볼트와 체결되는 암나사공을 배치한 걸림편과; 타 단부에 형성되어,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고리; 및 타 단부에 인접한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풋;을 포함한 수직 길이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풋은 개방 돌기 또는 폐쇄 돌기의 저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걸림편은 암나사공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수직 길이부는 이의 중심부 상측에서 수평배열된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은 결합 고리의 폭을 마운팅 플레이트의 장공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에에서, 체결 볼트는 볼트 머리와, 볼트 머리의 저면에서 길게 뻗은 볼트 몸체, 볼트 몸체의 하측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숫나사산, 및 볼트 몸체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는 결합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설명에 의하면, 본 고안은 관로 내에 유체 이송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폐상태를 강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레버의 회전 방지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개폐레버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밸브의 교체없이도 관로 상에 기 설치된 밸브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콤팩트(compact)한 구조로 설계되어 밸브의 개폐레버에 용이하게 탈·장착가능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 스윙 플레이트의 회전 자유도를 생성할 수 있게 결합되어 전술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를 전개 상태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a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b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스윙 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b는 스윙 플레이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를 밸브에 장착하는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의 개폐레버 고장장치(이하 고정장치)는 관로 내로 유동하는 유체, 바람직하기로는 가스의 단속 등을 조절하는 밸브(2)의 개폐레버(24)의 조작을 제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1)는 스템(23)을 회전축으로 하는 개폐레버(24)의 회전에 의해 볼트 몸체(21)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통상의 배관용 밸브(2)에 장착되되,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 상에 안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1)와, 이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 아래를 지지하는 스윙 플레이트(12), 및 스윙 플레이트(12)와의 결속을 가능하게 돕도록 마운팅 플레이트(11)의 타측에 배치된 체결 볼트(13)를 포함한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밸브(2)는 관로 상에 연결설치되고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볼(ball,혹은 게이트)을 회전가능하게 배치한 밸브 몸체(21)와, 유로와 연통되고 밸브 몸체(21) 외부로 길이연장된 중공의 스템 가이드(22), 볼과 연결되고 스템 가이드를 가로질러 외부로 돌출되어 회전축을 이루는 스템(23;stem), 및 스템 가이드 상에서 스템을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켜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레버(24)로 구성된 볼 밸브일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은 개폐레버의 회전에 의해 유체의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임의의 밸브에도 적용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밸브(2)는 스템(23)의 상단에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를 고정 너트(25)로 고정하고, 개폐레버의 회전에 종속되어 밸브 몸체의 내부에 장착된 볼을 강제로 회전시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혹은 폐쇄하여 유체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밸브(2)가 개폐레버(24)의 회전 범위, 예컨대 90° 로 제한하기 위해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에서 돌출형성된 개방 돌기(24a)와 폐쇄 돌기(24b)를 구비하는 한편 이와 대응되게 스템 가이드(22)의 외주면에 스토퍼(22a)를 구비한다. 개폐레버(24)는 회전축, 다시 말하자면 스템(23)을 중심으로 개방 돌기(24a)와 폐쇄 돌기(24b)를 직각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한다. 스토퍼(22a)는 개방 돌기(24a)와 폐쇄 돌기(24b) 사이에 배치되어 개폐레버(24)의 회전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고안은 마운팅 플레이트(11)와 스윙 플레이트(12) 사이에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를 개재하여 개폐레버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운팅 플레이트(11)는 수평 길이부(111)와 수평 길이부(111)의 중심에서 직교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확장부(112)를 갖춰 전반적으로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평 길이부(111)는 스템(23)의 상단 또는 고정 너트(25)와 개폐레버의 자유단 사이의 폭방향, 다시 말하자면 고정 너트(25)에 인접한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뻗어 고정공(111a)과 장공(111b) 사이에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를 수평 길이부의 하부면과 면접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길이부(111)는 이의 타 단부에 체결 볼트(13)의 위치고정을 돕는 고정공(111a)을 형성하고, 이의 일 단부를 수평 길이부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연장하고 장공(111b)을 형성한다. 즉, 수평 길이부의 일 단부는 편평한 수평 길이부와 둔각의 사잇각을 갖고 밸브 몸체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다. 장공(111b)은 수평 길이부(111)의 길이방향, 즉 수평 길이부의 일 단부의 연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마운팅 플레이트(11)는 수평 길이부(111)와 확장부(112)의 교차 지점에 스템(23)의 상단, 즉 고정 너트(2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관통공(113)을 형성한다. 또한, 마운팅 플레이트(11)가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 상에 정합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확장부(11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스커트(112a,skirt)를 구비한다. 스커트(112a)는 결합 단부 선단측과 스템 가이드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레버 위에 마운팅 플레이트의 정렬을 돕는다. 다시 말하자면, 스커트(112a)는 결합 돌부의 폐쇄 돌기(24b)와 스템 가이드의 스토퍼(22a)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윙 플레이트(12)는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장공(111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부재로서,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단부에서 회전 자유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스윙 플레이트(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에 대하여 예컨대 옆으로 회전하는 요(yaw) 운동 뿐만 아니라 상하로 회전하는 피치(pitch) 운동을 통해 소정의 자유도 회전 범위를 갖는다. 이는 마운팅 플레이트와 스윙 플레이트를 전개시켜 고정장치를 밸브의 개폐레버에 접근 및/또는 이탈을 허용할 수 있고, 마운팅 플레이트 아래에 스윙 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중첩 배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윙 플레이트(12)는 수직 길이부(121)의 일 단부 상측에서 수평배열된 걸림편(121a)과, 수직 길이부(121)의 타 단부에 형성된 결합 고리(121b), 및 수직 길이부(121)의 타 단부에 인접한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풋(121c,foot)을 구비한다. 또한, 스윙 플레이트(12)는 수직 길이부(121)의 중심부 상측에서 수평배열된 지지대(121d)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걸림편(121a)과 풋(121c) 및 지지대(121d)는 수직 길이부(121)의 상측에서 마운팅 플레이트의 수평 길이부(111) 배면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림편(121a)은 마운팅 플레이트(11)에 장착된 체결구(13)의 결속을 돕도록 이의 내부 영역에 암나사공(123)을 형성하는 한편 암나사공(123) 둘레를 따라 두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124)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고리(121b)는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일 단부를 형성된 장공(111b)에 장착되어 스윙 플레이트(12)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 단부는 수평 길이부(111)에 대해서 하향 경사지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스윙 플레이트를 수평 길이부(111)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더욱이, 결합 고리(121b)는 장공(111b)에 교차되어 결속되는데 스윙 플레이트를 요 운동 뿐만 아니라 피치 운동을 보장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결합 고리(121b)의 폭(W)은 장공(111b)의 길이(L) 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한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은 스윙 플레이트를 힌지 결합 혹은 다른 형태의 결합 수단을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체결구(13)를 수단으로 하여 스윙 플레이트(12)를 마운팅 플레이트(11)에 체결 조립하면서 풋(121c)으로 개방 돌기(24a)의 저부, 구체적으로 개방 돌기의 배면과 바닥면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기로, 풋(121c)은 개방 돌기(24a)의 저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형성된다. 이로써, 본 고안은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에 스택(stack) 상태로 배치된 마운팅 플레이트(11)와 스윙 플레이트(12)의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고정장치(1)의 신뢰할 수 있는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덧붙여서, 스윙 플레이트(12)는 스템 가이드(2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지지대(121d)를 통해 스템 가이드의 외주면 상에 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마운팅 플레이트(11)의 하부면 아래에 중첩배치될 스윙 플레이트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 볼트(13)를 마운팅 플레이트의 길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은 체결 볼트를 대신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와 스윙 플레이트를 체결 및/또는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자석, 스냅(snap)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체결 볼트(13)는 볼트 머리(131a;head)와, 이 볼트 머리의 저면에서 길게 뻗은 볼트 몸체(131b;shank), 및 볼트 몸체의 하측 외주면 둘레에 볼트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숫나사산(131c;male thread)으로 이루어진다. 체결 볼트(13)가 고정공(111a)에 삽입될 수 있게, 숫나사산의 직경은 고정공(11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한편 볼트 머리의 저면과 숫나사산 사이의 이격 거리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수평 길이부의 두께 보다 크거나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이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고정공에 체결 볼트를 삽입한 경우에 숫나사산(131c)을 수평 길이부(111)의 하부면 아래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수평 길이부의 하부면과 숫나사산 사이에 볼트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 결합링(132)을 억지끼움하여 마운팅 플레이트에서 체결 볼트(13)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를 밸브의 개폐레버에 결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밸브(2)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레버의 폐쇄 돌기(24b)를 스토퍼(22a)에 위치시켜 유로를 폐쇄한 다음에,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1)를 수단으로 하여 개폐레버(24)의 폐쇄 상태 하에서 개폐레버의 작동을 구속할 수 있다.
도 5(b)는 볼팅 체결 전에 밸브(2)의 개폐레버(24)의 회전축 상에 고정장치(1)의 마운팅 플레이트(11)를 거치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마운팅 플레이트(11)는 관통공(113) 내에 스템의 상측 및/또는 고정 너트를 수용하는 동시에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와 스템 가이드의 외주면 둘레를 스커트(112a)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 상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안착시킬 수 있다.
스윙 플레이트(12)는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일 단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거치한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 아래로 스윙 플레이트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스윙 플레이트(12)의 암나사공(123)과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체결 볼트(13)를 위치정렬한 다음에 드라이버, 렌치 등의 공구를 통해 체결 볼트를 조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플레이트(12)를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마운팅 플레이트(11)에 체결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는 스토퍼(22a)와 폐쇄 돌기(24b)를 스커트(112)로 감쌀 수 있게 마운팅 플레이트(11)와 스윙 플레이트(12) 사이에 밸브(2)의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를 파지하여 개폐레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고안은 마운팅 플레이트와 스윙 플레이트의 체결시 스윙 플레이트(12)의 풋(121c)으로 개방 돌기의 저부를 확실하게 밀착 지지하여 고정장치와 개폐레버 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하여 밸브 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흔들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체결 볼트(13)의 위치고정을 위해 수평 길이부의 타 단부 아래에 결합배치된 결합링(132)을 체결시 수용홈(124) 내에 위치되어 마운팅 플레이트의 타 단부와 스윙 플레이트의 걸림편을 상호 대면 접촉시킬 수 있다. 이는 마운팅 플레이트의 수평 길이부와 스윙 플레이트의 수직 길이부를 통해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 상면과 하면을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는 개폐레버의 개방 돌기(24a)를 스토퍼(22a)에 위치시켜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개폐레버의 작동을 구속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개폐레버 고정장치,
11 ----- 마운팅 플레이트,
12 ----- 스윙 플레이트,
13 ----- 체결 볼트,
2 ----- 밸브,
21 ----- 밸브 몸체,
22 ----- 스템 가이드,
23 ----- 스템,
24 ----- 개폐레버.

Claims (9)

  1.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볼을 구비한 밸브 몸체(21)와, 상기 밸브 몸체(21)의 스템 가이드(22)에 설치되어 상기 볼과 연결되는 스템(23), 및 상기 스템(23)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개폐레버(24)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 둘레를 따라 이격배치된 개방 돌기(24a)와 폐쇄 돌기(24b) 사이에 상기 스템 가이드(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토퍼(22a)를 위치시켜 상기 개폐레버(24)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밸브(2)에 있어서,
    상기 스템(23)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 상에 안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11)와;
    상기 개폐레버(24)의 결합 단부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일 단부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스윙 플레이트(12); 및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의 타 단부와 대면하는 상기 스윙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상호 결합하는 체결 볼트(13);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 플레이트(12)는,
    일 단부 상측에서 수평배열되고, 내부 영역에 상기 체결 볼트(13)와 체결되는 암나사공(123)을 배치한 걸림편(121a)과;
    타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일 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고리(121b); 및
    상기 개방 돌기(24a) 또는 폐쇄 돌기(24b)의 저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타 단부에 인접한 상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풋(121c;foot);을 포함한 수직 길이부(121)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개폐레버의 결합 단부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스윙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개폐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는,
    타 단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고정공(111a)과 소정의 각도로 절곡연장된 일 단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된 장공(111b)을 갖춘 수평 길이부(111)와;
    상기 수평 길이부(111)의 중심에서 직교방향으로 길이연장된 확장부(112); 및
    상기 수평 길이부(111)와 상기 확장부(112)의 교차 지점에 상기 스템(23)의 상단을 수용하는 관통공(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112)는 상기 확장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스커트(112a;skir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길이부(111)의 일 단부를 둔각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121a)은 상기 암나사공(123)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124)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길이부(121)는 중심부 상측에서 수평배열된 지지대(121d)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리(121b)의 폭(W)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1)의 장공(111b)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볼트(13)는 볼트 머리(131a)와, 상기 볼트 머리의 저면에서 길게 뻗은 볼트 몸체(131b), 상기 볼트 몸체(131b)의 하측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숫나사산(131c), 및 볼트 몸체(131b) 외주면 둘레에 결합되는 결합링(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KR2020200004950U 2020-12-31 2020-12-31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Active KR200495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50U KR200495763Y1 (ko) 2020-12-31 2020-12-31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950U KR200495763Y1 (ko) 2020-12-31 2020-12-31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26U KR20220001726U (ko) 2022-07-08
KR200495763Y1 true KR200495763Y1 (ko) 2022-08-19

Family

ID=8239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950U Active KR200495763Y1 (ko) 2020-12-31 2020-12-31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63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349Y1 (ko) 2003-08-25 2004-01-07 주식회사 협신금속 핸들 고정장치가 장착된 볼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26U (ko)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066B1 (en) Hanger with bolt closures
US20050161624A1 (en) Actuating handle assembly
NZ245163A (en) Branch connector for fire sprinkler system.
KR200478395Y1 (ko) 스크류볼트 역회전 풀림방지용 샤클
RU2008108981A (ru) Фикс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и соединение для фиксации исполнительного механизма на клапане
US8966874B2 (en) Shackle assembly with locking pin
US6773210B2 (en) Clamp pin tool holder
US6276662B1 (en) Valve or tap with blocking device for the stopper
US5007604A (en) Side load type pipe hanger with single bolt closure
US10876554B2 (en) Hinge clamp for a bicycle frame and other structures
KR200495763Y1 (ko) 밸브의 개폐레버 고정장치
KR101772204B1 (ko) 핸들 회전이 방지되는 볼밸브
JP2014084935A (ja) 固定用ボルト
CN105626968A (zh) 具有螺钉保持器的管夹
KR100803088B1 (ko) 밸브 잠금장치
US7743838B2 (en) Sprinkler head shut off tool
JP2015028347A (ja) バルブおよびバルブ用アタッチメント
JP3805326B2 (ja) 配管用金具
US20210222792A1 (en) Butterfly valve locking mechanism and butterfly valve incorporating the same
KR200370289Y1 (ko) 밸브용 록킹장치
KR101314494B1 (ko) 밸브너트 록킹장치
JP2008137614A (ja) 電車線のドロッパ装置用クリップ
US20150020510A1 (en) Exhaust rain cap assembly with channel vane member
KR200280161Y1 (ko) 볼 밸브
JP2007056920A (ja) ボール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12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201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208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