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274Y1 - Prefab Frame Stand - Google Patents
Prefab Frame Stan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4274Y1 KR200494274Y1 KR2020190003807U KR20190003807U KR200494274Y1 KR 200494274 Y1 KR200494274 Y1 KR 200494274Y1 KR 2020190003807 U KR2020190003807 U KR 2020190003807U KR 20190003807 U KR20190003807 U KR 20190003807U KR 200494274 Y1 KR200494274 Y1 KR 2004942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member
- cut
- insertion hole
- ground
- display st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로부터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면 또는 전시대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삽입홀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삽입홀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한 후, 제 2절취부재를 삽입홀에 삽입 및 걸림 시켜 베이스부재가 지면 또는 전시대에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걸림 된 제 2절취부재 및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베이스부재에 액자를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에 따라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mount the frame by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utting members from the base member as needed, and then easily assembling them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or on a display stand. A cut-ou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of the shape to constitute a first cut-out member configured to have an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when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member When a cutout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cutout member, one end is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he ground Alternatively, by configuring a second cut-out member configured to abut against the display stand, the user separates the first cut-out member from the base member, separates the second cut-out member from the base member, and inserts the second cut-out member into the insertion hole and to allow the base member to be supported while maintaining a certain inclination angle on the ground or display stand, and to seat the frame on the second cut-out member caught in the base member and the base member inclined at a constant angle to be mounted. Of course, above all, it relates to a pedestal for a prefabricated picture frame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movement and storage as the first cut-off member and the second cut-out member are included in the plate-shaped base memb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로부터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면 또는 전시대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estal for a prefabricated pictur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after the user separates the first and second cut-out members from the base member as needed, it is easily assembled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or display stand. It relates to a pedestal for a prefabricated picture frame that allows the picture frame to be easily mounted.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고,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In general, a frame may consist of a frame having a space to insert a picture or picture therein, and a heavy plat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and is usually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and is placed on a decorative cabinet or hung on a wall. Let it be decorative.
상기한 액자는 사진이나 각종 그림 등을 사진틀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배면판에 접힘 및 펼침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지지대 또는 걸고리를 구비하여 책상, 화장대 또는 전시용 가구의 전시대 위에 일정한 각도로 거치하거나 걸고리를 이용하여 벽에 걸어두는 방식으로 전시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picture frame inserts a picture or various pictures into the inside of the picture frame, and has a support or a hook configured to be folded and unfolded on the back plate, so that it is mounted at a certain angle on a desk, a dressing table, or a display table of display furniture, or the hook is mounted It is displayed by hanging it on the wall.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대 또는 걸고리가 구비되지 않은 액자를 사용자가 거치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한 바, 근래에는 상기한 액자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키며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용 받침대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separate support is required for a user to mount a picture frame that is not provided with a support or a hook as described above. are being developed a lot, and the structure is also varied and used in various ways.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First, looking at the prior art,
등록번호 제 10-1638493호(특) 플라스틱 판넬로 형성되어 있고,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절개된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아래쪽 밑면을 형성하고, 사진액자와 결합시 바닥면으로 향하여 놓여지는 저면과; 상기 몸체부의 전면을 형성하고, 사진액자와 결합시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며, 상기 저면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는 경사면과; 상기 저면에 대응되는 상면 및 상기 경사면에 대응되는 측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경사면은 사진액자와 결합시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일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부체결고리와; 사진액자와 결합시 사진액자의 결합홈의 타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걸림턱;을 더욱 포함하고 있으며, Registration No. 10-1638493 (Special) A body portion formed of a plastic panel and formed with a thickness equal to or less than the cut width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photo frame; a bottom surface that forms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s placed toward the bottom surface when combined with a photo frame; an inclined surface that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photo frame when combined with the photo frame, and is inclined at an angle by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a lower fastening ring having an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photo frame and coupled to the photo frame when combined with the photo frame; It further includes; an upper locking jaw that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photo frame when combined with the photo frame.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액자를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비스듬히 받쳐주어 액자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진을 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다양한 구성요소 및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유지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치 않은 것은 물론, 액자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를 구비해야 되는데, 상기 받침대의 부피로 인해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Looking at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t is centrally described that the picture fram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picture frame can be checked through the front by supporting the picture frame at an angle on the ground or on the display stand, but it is maintained as it consists of various components and complex structures. In addition to not being easy to repair,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pedestal to install the picture frame, but due to the volume of the pedestal, efficiency in movement and storage is inevitably reduced.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 측에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 1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 2절취부재를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한 후, 제 2절취부재를 삽입홀에 삽입 및 걸림 시켜 베이스부재가 지면 또는 전시대에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 걸림 된 제 2절취부재 및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베이스부재에 액자를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됨에 따라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 cut-ou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n one side of the plate-shaped base member, and an insertion hol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when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 first cut-out member is configured to be configured so that a cut-ou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member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nd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cut-out member, one side An end is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a second cut-out member configured to abut against the ground or the display st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user separates the first cut-out member from the base member, and the second After separating the cut-out member from the base member, insert and catch the second cut-out member into the insertion hole so that the base member can be supporte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on the ground or display stand, and the second cut-out member caught in the base member And, as well as allowing the frame to be mounted on the base member inclined at a certain angle, above all, the first cut-out member and the second cut-out member are included in the plate-shaped base memb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ovement and storage. It was completed as a technical task with a focus on providing a pedestal for prefabricated picture frames that can be improved.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의 일 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제 1절취부재는 수평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절취부재는, 상기 제 1절취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부 일 측 및 타 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어, 정단면의 형상이 ‘ㅛ’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수의 조립부재로 구성되어 지지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base member composed of a plate shape, and a cutou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ase member and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the base A first cut-out member configured to have an insertion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when separated from the member, and a cut-out portion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ther side of the base member to enable separation from the base member When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by separating the first cut-out member, one end is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and placed on the ground or display stand. Doedoe composed of a second cut-out member configured to abut so that the base member forms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with the ground or display stand, the first cut-out member is horizontally long, and the second cut-out member is, the first cut-off member It is composed of a locking part configur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ocking part, and a support member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locking part, respectively, and the shape of the front section is composed of a 'ㅛ' shape, and the support The memb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sembly members capable of mutual coupling and separation to solve the problem by providing a pedestal for a prefabricated pictur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의하면, 액자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키며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액자용 받침대 조립에 사용되는 절취부가 형성된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모두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각각의 절취부를 통해 간편하게 분리하여 액자용 받침대를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절취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원가 절감 및 제조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조립 전,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edestal for prefabricated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t-out member formed with a cutout used for assembling the pedestal for picture fram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urpose of allowing the picture frame to be mounted at a certain angle and displayed on the ground or on a display stand, and Since the second cut-out member is all included in the base member,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rame through each cut-out so that the frame holder can be easily assembled and used, as well as the first cut-out member and the second cut-out member are cut off from the base member Since it can be easily configured by forming a par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ximize manufacturing efficiency. Above all, before assembly, the volume of the plate-shaped base member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ut-out members is small, so it can be moved and stored.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has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 ㅡ A')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의 구성 중 제 2절취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의 구성 중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측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view of FIG. 2 (A - A');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cut-out memb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for a prefabricated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upport memb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edestal for a prefabricated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use state diagram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to whi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베이스부재로부터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조립하여 지면 또는 전시대에 설치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를 간편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 prefabricated picture fram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mount the picture frame by separating the first cutting member and the second cutting member from the base member as needed, and then easily assembling it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supported on the ground or display stand provides a pedestal.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ferred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1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삽입홀(1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2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300)로 구성된다.Firs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Whe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베이스부재(100)는 SK지, White K지, K지, B지, KLB지, 컵지가 적용되는 상지, 중지, 하지 및 SC 마닐라지 등의 재질로 구성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또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00)는 정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사각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부 양 끝 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돌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0)는 지면 또는 전시대의 상면에 맞닿아 상기 베이스부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In addition,
먼저, 하기될 제 1절취부재(200)의 절취부(201) 및 제 2절취부재(300)의 절취부(301)는 종래의 도트 형상의 절취선으로 형성되거나 일정한 길이마다 절취되고 일부분은 연결된 구조의 절취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cut-out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절취부재(2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삽입홀(1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1, 2, and 3, the first cut-out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절취부재(200)의 상, 하 길이는 베이스부재(100)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형성되는 삽입홀(110)의 상, 하 폭이 상기 삽입홀(110)로 삽입되는 제 2절취부재(3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삽입홀(110)로 제 2절취부재(300) 및 하기될 제 2절취부재(300)의 지지부재(3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as shown in FIG. 6 ,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도 1, 2, 3,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1, 2, 3, and 7, the second cut-out
즉,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 1절취부재(200)를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하여 베이스부재(100)에 삽입홀(11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절취부재(300)를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한 후, 상기 제 2절취부재(300)의 타 측 단부를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함과 동시에 일 측 단부가 걸림 되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하부 및 제 2절취부재(300)의 타 측 단부가 지면 또는 전시대의 상면에 맞닿으며 상기 베이부재(10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에 걸림 된 제 2절취부재(300)의 일 측 단부 및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베이스부재(100)에 액자를 안착시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user separates the first cut-out
또한, 상기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100)에 제 1절취부재(200) 및 제 2절취부재(300)가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절취부재(200) 및 제 2절취부재(300)를 간편하게 분리하여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ut-off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ㅛ’자 형상, ‘ㅗ’자 형상, 달 형상, 하트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또한, 도 1,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절취부재(200)는 수평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상기 제 1절취부재(20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부(310)의 상부 일 측 및 타 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320)로 구성되어, 정단면의 형상이 ‘ㅛ’자 형상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즉, 상기 걸림부(310)는 지지부재(320)가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전면에 걸림 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부(310)의 상부 및 베이스부재(100)에 액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320)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 끝 단부가 지면 또는 전시대의 상면에 맞닿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일정한 경사각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또한, 도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수의 조립부재(320a)로 구성되어 지지부재(3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9 and 10 , the
여기서, 상기 다수의 조립부재(320a)는, 일 측 끝 단부에 끼움홈(321a)이 내삽 되어 형성되고, 타 측 끝 단부에 상기 끼움홈(321a)에 끼움 되는 끼움부(323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Here, the plurality of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조립부재(320a)를 끼움홈(321a) 및 끼움부(323a)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320)를 이루는 조립부재(320a)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이루는 경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number of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에 의하면, 액자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키며 지면 또는 전시대 등에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액자용 받침대 조립에 사용되는 절취부가 형성된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베이스부재에 모두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가 각각의 절취부를 통해 간편하게 분리하여 액자용 받침대를 손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베이스부재에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를 절취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제조원가 절감 및 제조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조립 전, 제 1절취부재 및 제 2절취부재가 포함된 판 형상의 베이스부재의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ccording to the pedestal for prefabricated pictur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t-out member formed with a cutout used for assembling the pedestal for picture frame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purpose of allowing the picture frame to be mounted at a certain angle and displayed on the ground or on a display stand, and Since the second cut-out member is all included in the base member,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rame through each cut-out so that the frame holder can be easily assembled and used, as well as the first cut-out member and the second cut-out member are cut off from the base member Since it can be easily configured by forming a par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maximize manufacturing efficiency. Above all, before assembly, the volume of the plate-shaped base member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cut-out members is small, so it can be moved and stored.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hase.
100 : 베이스부재
110 : 삽입홀
120 : 돌출부
200 : 제 1절취부재
201 : 절취부
300 : 제 2절취부재
301 : 절취부
310 : 걸림부
320 : 지지부재
320a : 조립부재
321a : 끼움홈 323a : 끼움부
f : 액자100: base member
110: insertion hole
120: protrusion
200: first cut-out member
201: cutout
300: second cut-out member
301: cutout
310: locking part
320: support member
320a: assembly member
321a: fitting
f : frame
Claims (4)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2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시에 베이스부재(100)의 일 측에 삽입홀(1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제 1절취부재(200)와,
상기 베이스부재(100)의 타 측에 구성되되 외주를 따라 절취부(301)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 1절취부재(20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삽입홀(110)에 삽입될 시에 일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걸림 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삽입홀(110)에 삽입되며 지면 또는 전시대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0)가 지면 또는 전시대와 일정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제 2절취부재(300)로 구성되되,
상기 제 1절취부재(200)는 수평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제 2절취부재(300)는,
상기 제 1절취부재(20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걸림부(310)와, 상기 걸림부(310)의 상부 일 측 및 타 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320)로 구성되어, 정단면의 형상이 ‘ㅛ’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20)는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수의 조립부재(320a)로 구성되어 지지부재(3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액자용 받침대.A base member 100 composed of a plate shape, and
It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base member 100 and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100 by forming a cutout 201 along the outer periphery, and when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100 , the base member A first cutting member 200 configured to have an insertion hole 110 formed on one side of the 100,
Doedoe configured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member 100, a cutout 301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to enable separation from the base member 100, and is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100 to separate the first cut When the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separately formed insertion hole 110 , one end is caught in the insertion hole 110 ,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 and is placed on the ground or on the display stand. It is configured to abut and the base member 100 is composed of a second cut-out member 300 configured to form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the ground or display stand,
The first cutting member 200 is horizontally long,
The second cutting member 300,
Consists of a holding part 310 tha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cut-off member 200, and a support member 320 that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engaging part 310, respectively. The shape of the front section is composed of a 'ㅛ' shape,
The support member 3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ssembly members (320a) capable of mutual coupling and separation, and the support member (32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refabricated frame pedest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807U KR200494274Y1 (en) | 2019-09-17 | 2019-09-17 | Prefab Frame Stan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807U KR200494274Y1 (en) | 2019-09-17 | 2019-09-17 | Prefab Frame Stan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687U KR20210000687U (en) | 2021-03-25 |
KR200494274Y1 true KR200494274Y1 (en) | 2021-09-06 |
Family
ID=7523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3807U Active KR200494274Y1 (en) | 2019-09-17 | 2019-09-17 | Prefab Frame Stan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4274Y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30191B2 (en) * | 2000-12-11 | 2010-08-25 | 有限会社アルテッセ画材研究所 | Assembled desktop easel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5877Y1 (en) * | 2016-07-21 | 2018-03-08 | 송수용 | Multi functional picture frame |
-
2019
- 2019-09-17 KR KR2020190003807U patent/KR200494274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30191B2 (en) * | 2000-12-11 | 2010-08-25 | 有限会社アルテッセ画材研究所 | Assembled desktop eas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687U (en) | 2021-03-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31364B1 (en) | Collapsing clothing display fixture | |
CN104042048B (en) | Adjustable stand and method of use | |
US11324313B2 (en) | Portable paper organizer | |
US8468956B2 (en) | Collapsible transaction table | |
AU2006203492A1 (en) | Table assembly | |
KR101338361B1 (en) | Self-assembly divided interior shelf set having varied corner member | |
KR200494274Y1 (en) | Prefab Frame Stand | |
JP2004041676A (en) | Knockdown rack | |
US6575534B2 (en) | Rod type foldable furniture | |
KR102350513B1 (en) | table with easy variable installation and keeping function | |
JP3227790U (en) | Display stand | |
KR20220103419A (en) | picture frame stand | |
WO2007008865A2 (en) | Front loading display frame | |
KR102320429B1 (en) | Reply telegram assembly bookstand | |
KR102726862B1 (en) | the picture frame supporting board in which the slope adjustment facilitates | |
JP3230075U (en) | Storage rack | |
JP5821113B1 (en) | Tissue box holder | |
KR200479001Y1 (en) | Table | |
CN213696416U (en) | Combined photo frame | |
KR101061582B1 (en) | Mirror picture frame | |
KR20110139336A (en) | Wide array of frame frames | |
JP3111203U (en) | Rack shelf support device | |
JP2002360399A (en) | Pedestal for resting panel | |
JP3106156U (en) | Floor type fall prevention vase | |
KR101338359B1 (en) | Self-assembly divided interior shelf s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91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112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1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9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