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3884Y1 - 레일식 안전고리 - Google Patents

레일식 안전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84Y1
KR200493884Y1 KR2020190003991U KR20190003991U KR200493884Y1 KR 200493884 Y1 KR200493884 Y1 KR 200493884Y1 KR 2020190003991 U KR2020190003991 U KR 2020190003991U KR 20190003991 U KR20190003991 U KR 20190003991U KR 200493884 Y1 KR200493884 Y1 KR 200493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ll bearing
coupling frame
ring
pull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771U (ko
Inventor
배한구
Original Assignee
배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한구 filed Critical 배한구
Priority to KR2020190003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84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71U/ko
Priority to KR2020210001877U priority patent/KR202100017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84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81Equipment which can travel along the length of a lifeline, e.g. trave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및 산업의 안전 고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안전고리를 본 고안의 도르레에 걸고 전, 후, 좌, 우를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작업자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레일식 안전고리(10)에 있어서, 상기 레일식 안전고리(10)는 몸통 형상을 하고 있는 몸통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T'자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20)는 하측에 구비된 고정고리부(21)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끈 또는 와이어 등을 묶을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몸통부(20)가 외부 물질로부터 부식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보호결합틀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몸통부(20)의 양측에 구비된 우측도르래부(2)와 좌측도르래부(2a)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업하고 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보호결합틀부(110)는 파이프부(100)에 나사부(130)와 너트부(131)로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건물 외벽과 내벽에서 작업을 함에 있어 추락을 미연에 방지하며 병원이나 관공서 같은 대형 건물에서는 복도 천장에 레일을 설치하여 소방용이나 병원용 침대 및 탈출용으로도 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일식 안전고리{Rail type safety hook}
본 고안은 건축 및 산업의 안전 고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안전고리를 본 고안은 도르레에 걸고 전, 후, 좌, 우를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시바에서 이동함에 있어 기존의 안전고리는 이동시에 고리를 걸고, 풀고를 반복함에, 매우 불편하고 위험하여 사용을 기피해 왔다.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시공하고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레미콘을 타설하여 양생시켜서 콘크리트 구체를 완성하게 된다. 콘크리트 구체가 시공되면, 배관공사나 발코니의 섀시나 창호 등의 후속 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 이와 같이, 고층건물의 콘크리트 구체공사를 마친 후에는, 베란다용 개구부나 엘리베이터 피트, 계단실 등과 같이 건물에 형성되는 많은 개구부가 작업자에게 그대로 노출되므로, 섀시나 창호 또는 배관공사를 할 때, 실족으로 인한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다.
안전을 위해서 추락방지용 안전 펜스나 낙하방지망 등의 안전구조물을 설치하더라도, 이러한 안전구조물은 임시로 설치한 가설구조물인 만큼, 영속적인 구조물과 같이 필요한 위치마다 충분히 견고하게 설치 될 수 는 없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용 안전구조물만으로는 안전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1은 클린룸의 천장과 같은 고소 작업에 사용되는 안전 고리에 있어서,
몰드 프레임의 몰드 삽입홈으로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 홈들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향하여 각각 일측에 형성한 고정판과 이동판을 구비한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고정판에 대해 이동판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각각의 이동판의 외면에 장착된 누름봉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봉을 작동시키는 손잡이와 링크를 구비한 구동부; 및
상기 클램프의 고정판과 이동판의 타측에 연결된 안전 끈;들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들을 복수개 마련하여 상기 클램프들 사이를 안전 끈으로 연결하며, 상기 클램프들을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클린룸의 천장 몰드 프레임에 장착되는 특징이 있다.
다만 상기 구성을 통해 이동을 할 수 있지만 본 고안과는 다르게 좌우 운동만 가능하며 움직일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이 버틸수 잇는 무게가 한정적이며 높이 조절또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콘크리트 슬래브(1)를 시공하기 위해 수평배치되는 슬래브 거푸집(4)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래브 철근(6)을 배근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8)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봉형상의 바디(10)의 일단에는 횡방향의 관통공(12)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축방향의 나사축공(14)이 형성되며, 시공시에는 상기 관통공(12)이 슬래브 철근(6) 또는 이에 인접한 핀부재에 관통 지지되며 타단은 거푸집(4)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수직 설치되어, 슬래브 거푸집(4)을 제거하면 슬래브(1)의 저면에 나사축공(14)이 노출되도록 매입되며, 숫나사부(22)가 형성된 고리부재(20)를 상기 나사축공(14)에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이 있다.
다만 상기 구성을 통해 고리를 통해서 사물을 옮기거나 매달아 결속할 수는 있으나 방향조절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3515호 (발명의 명칭: 클린룸용 고소작업 안전고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5571호 (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본 고안은 상부 작업 시 추락을 방지하고, 기존의 안전고리는 이동에 불편을 주는바 사용을 기피해 왔으며 이동시에 한번만 체결하면 이동하는데 불편함이 없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본 고안은 작업자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레일식 안전고리(10)에 있어서, 상기 레일 안전고리(10)는 몸통 형상을 하고 있는 몸통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T'자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20)의 하측에 구비된 고정고리부(21)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끈 또는 와이어 등을 묶을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몸통부(20)가 외부 물질로부터 부식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보호결합틀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몸통부(20)의 양측에 구비된 우측도르래부(2)와 좌측도르래부(2a)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작업하고 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보호결합틀부(110)는 파이프부(100)에 나사부(130)와 너트부(131)로 고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건물 외벽과 내벽에서 작업을 함에 있어 추락을 미연에 방지하며 병원이나 관공서 같은 대형 건물에서는 복도 천장에 레일을 설치하여 소방용이나 병원용 침대 및 탈출용으로도 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설치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부분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 조립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결합틀부와 파이프부가 결합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식 안전고리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부분 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고안은 작업자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레일식 안전고리(10)에 있어서, 상기 레일 안전고리(10)는 몸통 형상을 하고 있는 몸통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T'자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20)의 하측에 구비된 고정고리부(21)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끈 또는 와이어 등을 묶을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몸통부(20)가 외부 물질로부터 부식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보호결합틀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레일식 안전고리(10)를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일식 안전고리(10)는 건물 건설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이프(100)을 설치함에 따라 상기 레일식 안전고리(10)를 전, 후, 좌, 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일식 안전고리부(10)는 몸통부(20), 고정고리부(21), 고정막대부(22), 내측우볼베어링부(1), 내측좌볼베어링부(1a), 우측도르래부(2), 좌측도르래부(2a), 외측우볼베어링부(3), 외측좌볼베어링부(3a), 고정홈부(11), 우고정쇠부(4), 좌고정쇠부(4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몸통부(20)는 'T'자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 끝단에는 고정고리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끈 또는 와이어등을 통과시키거나 묶을 수 있어 작업자가 레일을 벗어나지 않도록 안전에 유의하였다.
상기 몸통부(20)는 'ㅡ' 형태의 고정막대부(22)가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막대부(22)는 양측 끝타단에 고정홈부(11)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 우고정쇠부(4)와 좌고정쇠부(4a)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막대부(22)는 양측 끝타단에 구비된 고정홈부(11)를 기준으로 외측우볼베어링부(3)와 외측좌볼베어링부(3a)를 구비하고 있으며 우측도르래부(2), 좌측도르래부(2a), 내측우볼베어링부(1), 내측좌볼베어링부(1a)와 결합하여 부드럽게 구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홈부(11)는 각각 우고정쇠부(4), 좌고정쇠부(4a)가 결합하여 상기 외측우볼베어링부(3)와 외측좌볼베어링부(3a), 우측도르래부(2), 좌측도르래부(2a), 내측우볼베어링부(1), 내측좌볼베어링부(1a)가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우측도르래부(2)와 좌측도르래부(2a)는 각각 외측우볼베어링부(3), 내측우볼베어링부(1), 외측우볼베어링부(3), 외측좌볼베어링부(3a)가 결합하여 회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보호결합틀부(110)는 상측보호결합틀부(111)와 하측보호결합틀부(1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 안전고리(10)는 고정막대부(22)에 구비된 우측도르래부(2)와 좌측도르래부(2a)를 통하여 전, 후, 좌, 우로 자유롭게 구동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고리부받침레일부(120)는 상기 레일 안전고리부(10)를 하측보호결합틀부(113)에 결합할 수 있으며 레일이 있기때문에 작업시 작업자의 힘을 줄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상측보호결합틀부(111)는 파이프부(100)와 결합할 수 있으며 나사부(130)와 너트부(131)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측보호결합틀부(111)는 내측면이 천공되어 있으며 'ㄴ'자 형태가 마주보는 구조로 하측중앙은 결합이동나사부(140)를 구비하여 하측보호결합틀부(113)과 결합가능하다.
상기 결합이동나사부(140)는 하측보호결합틀부(113)과 결합하여 결합이동나사부(140)가 좌, 우로 움직인다.
상기 나사부(130)는 너트부(131)을 제거할 경우 상기 상측보호결합틀부(111)을 손쉽게 해체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부(100)는 건설 현장 등에서 사용됨에 따라 일정거리를 두고 교차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파이프부(100)는 교차시켜 고정은 가능하다 작업자가 이동간에 움직일 수 있는 이동제약이 발생하기 때문에 레일식 안전고리부(10)를 상기 고리부받침레일부(120)에 결합하여 전, 후, 좌, 우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일식 안전고리(10)는 크게 몸통부(20), 고정고리부(21), 고정막대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20)는 하측에 고정고리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끈 또는 와이어 등을 묶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부(21)는 작업자의 몸과 결속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 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 이외에 작업물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의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상기 레일식 안전고리(10)는 이동틀부(112)의 방향에 따라 움직일 수도 있으며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받침레일부(120)의 방향에 따라서도 움직일 수 있게 제작이 가능하다.
하지만 레일식 안전고리(10)는 이동틀부(112)를 통하여 움직이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식 안전고리(10)의 작동방법에 관련하여 도 9 내지 도 10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9 내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레일식 안전고리(10)는 보호결합틀부(11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일식 안전고리(10)는 몸통부(20), 고정고리부(21), 고정막대부(22), 내측우볼베어링부(1), 내측좌볼베어링부(1a), 우측도르래부(2), 좌측도르래부(2a), 외측우볼베어링부(3), 외측좌볼베어링부(3a), 고정홈부(11), 우고정쇠부(4), 좌고정쇠부(4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고정막대부(22)는 내측우볼베어링부(1), 내측좌볼베어링부(1a), 우측도르래부(2), 좌측도르래부(2a), 외측우볼베어링부(3), 외측좌볼베어링부(3a)를 결합하고 있다.
상기 내측우볼베링부(1)는 우측도르래부(2)가 회전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상기 우측도르래부(2)는 내측우볼베어링부(1)와 외측우볼베어링부(3)가 마주보는 구조로 합쳐져 회전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좌측도르래부(2a)도 내측좌볼베어링부(1a)와 외측좌볼베어링부(3a)가 마주보는 구조로 합쳐져 회전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레일식 안전고리(10)는 하측보호결합틀부(113)에 결합하여 고리부받침레일부(120)를 따라 움직인다.
도 1에서 도 6까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식 안전고리(10)는 하측보호결합틀부(113)에 구비된 고리부받침레일부(120)의 방향에 따라 움직이게 되며 전, 후로만 움직이거나 좌, 우로만 움직이게 제작을 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때 상기 레일식 안전고리(10)는 우측도르래부(2)와 좌측도르래부(2a)에 끈 또는 와이어 등을 걸어서 당기면 앞, 뒤로 움직일 수 있으며 몸통부(20)의 하측에 구비된 고정고리부(21)은 작업자 또는 작업물을 끈 또는 와이어등을 엮어서 사용하여 작업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한방향으로 일관되게 움직이기 때문에 작업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보호결합틀부(110)는 상측보호결합틀부(111)와 하측보호결합틀부(113)로 나뉘어 진다.
상기 하측보호결합틀부(113)는 고리부받침레일부(120)에 레일 안전고리(1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상측보호결합틀부(111)는 하측에 구비된 이동틀부(112)와 결합이동나사부(140)을 통해 좌, 우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이동나사부(140)는 좌, 우로 움직임과 동시에 일정거리를 벗어나 이동틀부(112)를 벗어나 수직으로 회전하여 다른 파이프(100)의 이동틀부(112)에 결합하여 전, 후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일을 진행 할 수 있으며 작업물을 쉽게 옮길 수 있는 효과로 인해 작업능률이 기존보다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는 기술적 특징을 가진 레일식 안전고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레일식 안전고리를 건설 또는 자제 생산, 판매, 유통 등의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고안은 건설현장 작업시 사용할 수 있는 도르래 또는 운반 도구를 생산, 제조, 판매, 유통,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1: 내측우볼베어링부
1a: 내측좌볼베어링부
2: 우측도르래부
2a: 좌측도르래부
3: 외측우볼베어링부
3a: 외측좌볼베어링부
4: 우고정쇠부
4a: 좌고정쇠부
10: 레일식 안전고리
11: 고정홈부
20: 몸통부
21: 고정고리부
22: 고정막대부
100: 파이프부
110: 보호결합틀부
111: 상측보호결합틀부
112: 이동틀부
113: 하측보호결합틀부
120: 고리부받침레일부
130: 나사부
131: 너트부
140: 결합이동나사부
200: 콘크리트벽부

Claims (3)

  1. 작업자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레일식 안전고리(10);에 있어서,
    몸통 형상을 하고 있는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의 하측에 구비된 고정고리부(21);
    상기 몸통부(20)를 외부 물질로부터 부식 또는 충격으로부터 보호 할 수 있는 보호결합틀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통부(20)는 'ㅡ' 형태의 고정막대부(22)가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막대부(22)는 양측에 외측우볼베어링부(3)와 외측좌볼베어링부(3a), 우측도르래부(2)와 좌측도르래부(2a), 내측우볼베어링부(1)와 내측좌볼베어링부(1a)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막대부(22)는 양측 끝타단에 고정홈부(11)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 우고정쇠부(4)와 좌고정쇠부(4a)가 결합되어 있어 외측우볼베어링부(3)와 외측좌볼베어링부(3a), 우측도르래부(2), 좌측도르래부(2a), 내측우볼베어링부(1), 내측좌볼베어링부(1a)가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한 우측도르래부(2) 또는 좌측도르래부(2a)에 끈 또는 와이어를 걸어서 당기면 앞, 뒤로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보호결합틀부(110)는 상측보호결합틀부(111)와 하측보호결합틀부(113)로 구성되어 있고,
    고리부받침레일부(120)가 구비되어 레일식 안전고리(10)가 고리부받침레일부(120)에 안착되어 움직이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상측보호결합틀부(111)는 파이프부(100)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측보호결합틀부(111)는 내측면이 천공되어 있으며 'ㄴ'자 형태로 마주보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하측 중앙은 결합이동나사부(140)를 구비하여 하측보호결합틀부(113)와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식 안전고리(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는 'T'자 형태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식 안전고리(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결합틀부(110)는 파이프부(100)에 나사부(130)와 너트부(131)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식 안전고리(10).
KR2020190003991U 2019-09-30 2019-09-30 레일식 안전고리 Active KR200493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91U KR200493884Y1 (ko) 2019-09-30 2019-09-30 레일식 안전고리
KR2020210001877U KR20210001746U (ko) 2019-09-30 2021-06-16 레일식 안전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991U KR200493884Y1 (ko) 2019-09-30 2019-09-30 레일식 안전고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77U Division KR20210001746U (ko) 2019-09-30 2021-06-16 레일식 안전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71U KR20210000771U (ko) 2021-04-07
KR200493884Y1 true KR200493884Y1 (ko) 2021-06-21

Family

ID=754642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991U Active KR200493884Y1 (ko) 2019-09-30 2019-09-30 레일식 안전고리
KR2020210001877U Withdrawn KR20210001746U (ko) 2019-09-30 2021-06-16 레일식 안전고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77U Withdrawn KR20210001746U (ko) 2019-09-30 2021-06-16 레일식 안전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388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100A (ja) * 2000-04-17 2001-10-23 Osuka Engineering:Kk 高所作業用安全装置
JP2010209589A (ja) * 2009-03-10 2010-09-24 Nakai Kogyo Kk 吊りレール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571B1 (ko) 2005-04-02 2007-01-29 주식회사 세미코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21634B1 (ko) 2012-01-13 2013-10-23 주식회사 원플러스 클린룸용 고소작업 안전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100A (ja) * 2000-04-17 2001-10-23 Osuka Engineering:Kk 高所作業用安全装置
JP2010209589A (ja) * 2009-03-10 2010-09-24 Nakai Kogyo Kk 吊りレール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46U (ko) 2021-07-28
KR20210000771U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49301A1 (en) Architectual climbing system with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EP2122068B1 (en) An improved fall safety barrier
KR100777937B1 (ko) 외벽마감공사용 가이드 브라켓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WO2009044405A2 (en) Anchor plate for use with fall protection and maintenance equipment.
KR101317938B1 (ko)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용 조립식 난간
KR200493884Y1 (ko) 레일식 안전고리
EP1524386A1 (en) A scaffold clamp for supporting a barrier post
KR20140040580A (ko) 건설용 안전벨트 걸이구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20080045595A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KR102319977B1 (ko) 고층 엘리베이터 승강로 분절 구조물
KR10067557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91342Y1 (ko) 건축용 갱폼의 가이드레일 고정장치
KR20090051796A (ko) 거리조절 낙하물 방지망 시스템
KR100945240B1 (ko) 갱폼의 작업자 추락 방지 도어
KR200418151Y1 (ko) 계단 틈새에 설치되는 클램핑 안전구
KR100539829B1 (ko) 형강을 이용한 거푸집용 갱폼 인양방법
KR20190071556A (ko) 갱폼 안전도어
NL2023549B1 (nl) Werkwijze voor het bouwen van een voor personen toegankelijk gebou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9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112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A0106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6

Patent event code: UA01011R06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6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