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3665Y1 -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65Y1
KR200493665Y1 KR2020190002115U KR20190002115U KR200493665Y1 KR 200493665 Y1 KR200493665 Y1 KR 200493665Y1 KR 2020190002115 U KR2020190002115 U KR 2020190002115U KR 20190002115 U KR20190002115 U KR 20190002115U KR 200493665 Y1 KR200493665 Y1 KR 200493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insertion part
fixing
fixing member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611U (ko
Inventor
하태욱
Original Assignee
하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욱 filed Critical 하태욱
Priority to KR2020190002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6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65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매트(100)를 고정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양 끝단은 하부로 만곡진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이 뾰족한 삽입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는 고정핀;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의 일단은 넓직한 형상이고 타단은 뾰족한 역 삼각형상이며, 상기 고정핀은 삽입부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야간에 산책로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FIXED PARTS OF TRACTION MAT}
본 고안은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책로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를 상호 고정하여 매트의 어긋남으로 인해 사용자가 미끄러지거나 산책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야간에도 산책로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산책로의 심미감을 주며, 산책로의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는 새벽 또는 야간에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등산로 및 산책로를 표식하거나 눈이나 비가 올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흙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매트가 설치된다. 짚 또는 폐 고무등을 이용한 자연친화적인 매트가 사용되게 되고, 상기 매트는 등산로 또는 산책로 일부분에 깔거나 전체 통행로에 까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었다.
산책로 매트는 통행로 전체에 깔 경우 다수개의 산책로 매트 조각을 이어 만들게 되는데 산책로 매트를 지면에 고정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매트를 지지하며 발생되는 하중에 의해 매트와 매트 끼리 비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5308호(이하 "종래 기술"이라고 함)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식생매트가 설치된 매트부를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지지부를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에 형성된 각 홈에 핀 또는 밧줄로 상호 연결시켜 지지부끼리 고정하는 발명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길이가 길고 중간에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지지대를 제작하여야 하고 등산로의 정상까지 운반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종래기술의 지지대는 2개 이상의 지지대를 구비해야만 지지가 가능하며 단일로 자립하여 매트를 고정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새벽 또는 야간에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5308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산책로의 각 매트 사이를 고정부재를 통해 지면과 고정시킨 후 산책로 매트의 유동을 없애고 매트의 유동에 의해 매트 사이의 들뜸 현상이나 어긋난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매트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매트의 정렬을 도모함으로서 산책로의 미관을 더욱 수려하기 위한 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제 2목적은, 손잡이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매트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산책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손잡이 외주면에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새벽 또는 야간에 야광도료가 빛을 발광하여 산책로 전반에 걸쳐 빛을 발광하므로 산책로의 심미감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고안은, 각 매트를 고정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있어서,
각 매트를 고정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양 끝단은 하부로 만곡진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이 뾰족한 삽입부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는 고정핀;
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의 일단은 넓직한 형상이고 타단은 뾰족한 역 삼각형상이며, 상기 고정핀은 삽입부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야간에 산책로의 시인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고정핀은 삽입부 외주면을 따라 90°또는 120°간격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손잡이 상부면은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따르면, 산책로의 각 매트 사이를 고정부재를 통해 지면과 고정시킨 후 산책로 매트의 유동을 없애고 매트의 유동에 의해 매트 사이의 들뜸 현상이나 어긋난 현상으로 인해 사용자가 매트에 걸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매트의 정렬을 도모함으로서 산책로의 미관을 더욱 수려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매트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산책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손잡이 외주면에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새벽 또는 야간에 야광도료가 빛을 발광하여 산책로 전반에 걸쳐 빛을 발광하므로 산책로의 심미감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정면도(a) 및 일 실시예(b)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인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정면도(a) 및 평면도(b),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인 고정핀(a)의 또 다른 형상(b)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인 지지단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이하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나타낸 정면도(a) 및 일 실시예(b)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를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인 또 다른 일 실시예로 도시한 정면도(a) 및 평면도(b)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인 고정핀(a)의 또 다른 형상(b)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인 지지단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책로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를 상호 고정하여 매트의 어긋남으로 인해 사용자가 미끄러지거나 산책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크게 고정부재(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10)는 손잡이(11)와 삽입부(13)로 구성된다.
산책로 또는 등산로에 설치되어 각 매트(100) 끼리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100)는, 상부에 손잡이(11)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1)는, "ㅡ"자형의 손잡이 일수도 있고, 중앙 일측에 "∩" 형상으로 굴곡이 지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잡이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 외주면에 다수개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시켜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부재를 파지하여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도로의 차선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새벽 또는 야간에 야광도료가 빛을 발광하여 산책로 길이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므로 차선과 같이 산책로의 심미감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인성이 확보되지 않아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1) 양 끝단은 하부로 만곡진 만곡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12)가 직각으로 꺾일 경우 직각으로 꺾이는 이음부위는 용접 등의 별도의 작업을 해야함으로서 다소 약하므로 종방향의 외력과 하중에 의한 파손이 일어날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만곡지게 형성될 경우 제작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종방향의 하중을 분산시켜 만곡부(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만곡부(12) 하부 측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3)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에서 삽입부(13)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b)와 같이 삽입부(13) 끝단이 안쪽으로 모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의 끝단이 안쪽으로 모이도록 형성함으로서, 삽입부(13)가 지면에 삽입된 후 삽입부(13)의 재질인 철재의 탄성력에 의해 안쪽으로 모이도록 땅속에 안착되어 고정부재(10)가 더욱 견고히 땅속과 고정되어 각 매트(10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의 끝단은 뾰족하므로 고정부재(10)를 지면에 가압시 지면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3)의 끝단은 뾰족하거나 십자 일자 등의 드라이버 형상으로 제작되어 고정부재를 지면에 가압시 지면에 손쉽게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1)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이며, 외면에 강관도금 등의 도금하여 이루어지며, 지름은 약 φ10 ~ 15 사이이고, 길이는 약 12 ~ 18 cm 사이다. 삽입부(13)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이며, 외면에 강관도금 등의 도금하여 이루어지며, 지름은 약 φ10 ~ 15 사이이고, 길이는 약 18 ~ 22 cm 사이로 제작하되, 상기 손잡이(11) 및 삽입부(13)의 사양은 등산로 및 산책로의 지면 상태를 확인하여 지면 강도에 의한 파손이 없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13) 외주면에 고정핀(20)이 다수개 설치된다.
도 6(a)와 같이, 상기 고정핀(20)은 측면을 기준으로 일단은 뾰족하며 타단은 넓직한 역삼각 형상이고, 정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두께는 갖으며, 상기 고정핀(20)은 삽입부(13) 외주면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 방향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20)은 동일 위치에서 90 ~ 120°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삽입부(13)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90°또는 120°간격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도 6(b)와 같이, 상기 고정핀(20)은 측면을 기준으로 일단은 뾰족하며 타단은 넓직한 역삼각 형상이고, 정면을 기준으로 상부는 두껍고 하부는 뾰족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11) 상부는 각형이고, 상부면은 손잡이(11)의 길이방향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매트(100)의 상부면과 손잡이 하부면이 면 접촉되어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1)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 수단(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은 손잡이 상부면에 돌기 또는 홈(31)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매트가 비 또는 이슬, 눈 등이 내려 매트에 수분이 머물 경우 미끄럼 방지 수단(30)에 의해 사용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수단(30)은 손잡이(11) 상부에 고정되는데 용접을 하거나 미끄럼 방지 수단(30)의 하부면에 손잡이(11)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홈(미도시)을 형성시켜 미끄럼 방지 수단(30)의 홈과 손잡이(11)를 상호 끼움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할 시 별도의 결착수단이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결착수단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호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1) 상부면에 별도의 야광띠를 설치하여 야간 또는 새벽에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산책로의 시인성을 확보하여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10) 즉, 손잡이(11), 삽입부(13)의 단면은 원통형상 또는 "V"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V"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고정부재(10)의 삽입 시 땅속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손쉽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13)의 중앙 일측은 외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삽입부(13)의 중앙 일측이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서, 삽입부(13)가 지면에 삽입된 후 삽입부(13)의 재질인 철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을 지지하도록 땅속에 안착되어 고정부재(10)가 더욱 견고히 땅속과 고정되어 각 매트(10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3) 외주면의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미도시)을 형성시켜 삽입부(13)가 지면에 삽입될 시, 상기 나선형의 돌기 또는 홈이 지면에 흙을 가이드하며 지면으로 손쉽게 삽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삽입부(13)의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부(13)의 끝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삽입부(13)가 지면에 삽입된 후 삽입부(13)의 재질인 철재의 탄성력에 의해 땅속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안착되어 고정부재(10)가 더욱 견고히 땅속과 고정되어 각 매트(10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13)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되고 단면이 반원 형상인 지지단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부(21)는 지면에 삽입된 후 삽입부(13)의 재질인 철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을 지지하도록 땅속에 안착되고 지지단부(21)의 면접촉에 의해 땅속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땅속과 견고히 고정되므로서 각 매트(10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매트 10 : 고정부재
11 : 손잡이 12 : 만곡부
13 : 삽입부 20 : 고정핀
21 : 지지단부 30 : 미끄럼 방지 수단
31 : 돌기

Claims (3)

  1. 각 매트(100)를 고정하기 위한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부에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아치형상의 손잡이(1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1) 양 끝단은 하부로 만곡진 만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2)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끝단이 뾰족한 삽입부(13)가 형성된 고정부재(10)와;
    상기 삽입부(13)에 형성되는 고정핀(2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핀(20)의 상단부는 넓직한 형상이고 하단부는 뾰족한 역 삼각형상이며, 상기 고정핀(20)은 삽입부(13)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1)의 외주면에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야간에 산책로의 시인성을 확보하되,
    상기 고정핀(20)은 삽입부(13) 외주면을 따라 90°또는 120°간격 중 어느 하나의 각도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만곡부(12)가 직각으로 꺾일 경우 직각으로 꺾이는 이음부위는 종방향의 외력과 하중에 의한 파손이 일어날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해 종방향의 하중을 분산시켜 만곡부(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2) 하부 측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3)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1)에서 삽입부(13)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3) 끝단이 안쪽으로 모이도록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3) 끝단은 외측으로 절곡되고 단면이 반원 형상인 지지단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부(21)는 지면에 삽입된 후 삽입부(13)의 재질인 철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을 지지하도록 땅속에 안착되고 지지단부(21)의 면접촉에 의해 땅속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땅속과 견고히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2. 삭제
  3. 삭제
KR2020190002115U 2019-05-23 2019-05-23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Active KR200493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15U KR200493665Y1 (ko) 2019-05-23 2019-05-23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115U KR200493665Y1 (ko) 2019-05-23 2019-05-23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11U KR20200002611U (ko) 2020-12-02
KR200493665Y1 true KR200493665Y1 (ko) 2021-05-12

Family

ID=7378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115U Active KR200493665Y1 (ko) 2019-05-23 2019-05-23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6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14Y1 (ko) * 2004-12-24 2005-03-16 손창섭 매트 결합구
KR200444550Y1 (ko) * 2008-10-29 2009-05-19 이규동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KR101275622B1 (ko) * 2012-09-07 2013-06-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초시트 고정장치
KR101876872B1 (ko) * 2017-11-14 2018-07-11 코코산업 주식회사 밀착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야자매트 시공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656A (ko) *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웰코 생분해성 멀칭필름 고정핀 및 그 제조방법
KR101865308B1 (ko) 2016-08-24 2018-06-07 한월드건설(주) 식생패드를 구비한 복합형 산책로 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914Y1 (ko) * 2004-12-24 2005-03-16 손창섭 매트 결합구
KR200444550Y1 (ko) * 2008-10-29 2009-05-19 이규동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KR101275622B1 (ko) * 2012-09-07 2013-06-17 매크로드 주식회사 방초시트 고정장치
KR101876872B1 (ko) * 2017-11-14 2018-07-11 코코산업 주식회사 밀착성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야자매트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11U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874B2 (en) Ground stake
US5282692A (en) Assembly of articulated members for forming a surface
US6908250B2 (en) Retainer for retaining collapsed poles within another pole
CN101868160B (zh) 附着摩擦装置和用于附着摩擦装置的防滑块
CN108617363B (zh) 软地层用草坪保护垫及其施工方法
CA3001030A1 (en) Landscape and paver edging spike
AU2019100193A4 (en) A vehicle recovery device
US9611665B2 (en) Safety-line anchor
CA2958242C (en) Landscape edging stake and method
CA2846532A1 (en) Quick camp frame system
KR200493665Y1 (ko) 산책로용 매트의 고정부재
CN106486219A (zh) 用于可通电包塑金属丝的围栏柱绝缘子
US20110174951A1 (en) Hanger with an insulated hook
KR102131621B1 (ko) 전주에서 작업 시 사용되는 추락 방지 기구
US9528288B2 (en) Multiple orientation pool skimming net with three-point leveraging configurations
KR101784837B1 (ko) 데크로드
US1963939A (en) Antiskid device
EP0930404B1 (fr) Elément de liaison et de couverture de joint et main courante ou analogue comportant au moins un tel élément
KR101278256B1 (ko) 발 디딤판이 부착된 삽
US20150211196A1 (en) Pavement Marker
KR102153654B1 (ko) 체결구를 이용한 데크로드 설치구조 및 데크로드 시공방법
KR101270579B1 (ko) 교량용 조명장치
KR20100012173U (ko) 바닥 설치용 구조물
KR102600778B1 (ko) 미끄럼 방지형 보행매트
KR102741671B1 (ko) 매트용 미끄럼 방지판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5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6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5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