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12Y1 -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612Y1 KR200492612Y1 KR2020200000652U KR20200000652U KR200492612Y1 KR 200492612 Y1 KR200492612 Y1 KR 200492612Y1 KR 2020200000652 U KR2020200000652 U KR 2020200000652U KR 20200000652 U KR20200000652 U KR 20200000652U KR 200492612 Y1 KR200492612 Y1 KR 2004926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line
- vehicle
- flasher
- electrically connec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47 volu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giving flashing caution signals during drive, other than signalling change of direction, e.g. flashing the headlights or hazard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가 개시된다.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는,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와,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라인과, 와이어 라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배선 커넥터와, 와이어 라인에 분기되는 분기 라인과, 분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식 플래셔 유닛이 결합되는 플래셔 커넥터와, 일측은 플래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GND) 및 턴시그널 조작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Disclosed is a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The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includes an emergency light switch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an emergency light switch of a vehicle, a wire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light switch connector, a wiring connector connected to the wire line to supply power, and a wire A branch line branching from the line, a flash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and coupled to an electronic flasher unit, and one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sher connector and the other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GND) and turn signal operation signal wiring. Includes a connecting line to be used.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계식 접점 타입의 플래셔 유닛을 전자식 타입으로 변경 적용하는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a vehicle that changes and applies a flasher unit of a mechanical contact type to an electronic type.
일반적으로 비상등 스위치(Hazard Switch)는 운전자의 자발적인 생각 및 행동에 의하여 사고방지를 위한 방편으로 혹은 도로 상에서의 잠시 주차 등 상대방 운전자에게 위협의 의미, 방어 운전 혹은 경각심의 의미로써 자동차의 비상등을 점등/점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general, an emergency light switch (Hazard Switch) turns on the emergency light of a vehicle as a means of preventing accidents by voluntary thoughts and actions of the driver or as a means of threat to the other driver, such as a momentary parking on the road, defensive driving or warning. It plays the role of blinking.
위험한 사태, 방어 운전 혹은 경각심의 상황이 종결되었을 경우 비상등의 해제는 운전자의 자발적인 행동에 의해 비상등 스위치를 다시 한번누름으로써 점등이 소멸된다.When a dangerous situation, defensive driving or alert situation is over, the emergency light is turned off by pressing the emergency light switch again by voluntary action of the driver.
이러한 경우 운전자의 자발적인 행동으로 인한 번거러움 또한 사고에 의해 부자유스러운 운전자의 행동에 대한 부담 그리고 1차 사고로 인한 2차 사고의 발생 확대 등의 대처에 대한 기능이 오직 운전자의 자발적인 비상등 스위치 작동 여부에 집결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functions of coping with the hassle of the driver's voluntary actions, the burden of the driver's actions that are inconvenient due to the accident, and the expansion of the occurrence of secondary accidents due to the primary accident are focused on whether the driver voluntarily operates the emergency light switch Has been.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브레이크 스위치와 동시에 차량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시켜주는 장치가 연구/개발되었다.In order to prevent this, conventionally, a device that automatically turns on a vehicle emergency light with a brake switch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이러한 차량 비상등의 자동 점등 장치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속도 검출부와, 비상등 스위치와, ECU(Electric Control Unit)와, 플래셔 유닛과, 비상등으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lighting device of such a vehicle emergency light includes a brake switch, a speed detection unit, an emergency light switch, an electric control unit (ECU), a flasher unit, and an emergency light.
한편, 플래셔 유닛은, 기계식 접점의 타입으로 설치되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점의 노후로 인해 ECU의 제어에 따른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제어방법에 한계가 있어 전자식으로 교체되는 것이 요구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asher unit is installed as a type of mechanical contact, smooth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ECU does not occur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contact over tim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control method, so it is required to be replaced electronically. .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기계식 접점 타입의 플래셔 유닛을 전자식 타입으로 변경 적용하는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changing and applying a mechanical contact type flasher unit to an electronic type.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와,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라인과, 와이어 라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배선 커넥터와, 와이어 라인에 분기되는 분기 라인과, 분기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식 플래셔 유닛이 결합되는 플래셔 커넥터와, 일측은 플래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GND) 및 턴시그널 조작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light switch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an emergency light switch of a vehicle, a wire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light switch connector, and a wiring connector connected to the wire line to supply power, A branch line branching to the wire line, a flash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and coupled to an electronic flasher unit, and one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sher connector, and the other side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GND) and turn signal operation signal wiring. It includes a connecting line to be connected.
연결 라인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좌측의 라이팅 스위치의 좌우측 턴시그널 조작 제어시의 신호 배선 및 접지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a signal wiring and a ground when the left and right turn signal operation control of the lighting switch on the left of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연결 라인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좌측의 라이팅 스위치의 턴 시그널 신호 제어 배선과 연결되는 제1 ,2라인과 접지(GND)에 연결되는 제3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ines connected to the turn signal signal control wire of the lighting switch on the left side of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and a third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GND).
와이어 라인과 분기 라인은 와이어 커넥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wire line and the branch line may be detachably connected by a wire connector.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와 배선 커넥터와 플래셔 커넥터를 와이어 라인과 분기 라인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에 설치된 비상등 스위치와 전자식 플래셔 유닛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기계식의 플래셔 유닛을 전자식 플래셔 유닛으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소한의 배선 개조에 의해 용이하게 개조 및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light switch connector, the wiring connector, and the flasher connector are connected by wire lines and branch lines, the emergency light switch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the electronic flasher unit may be connec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vert a mechanical flasher unit installed in a vehicle into an electronic flasher unit,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retrofit and mount it with minimal wiring modification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에 비상등 스위치와 전자식 플래셔 유닛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light switch and an electronic flasher unit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easily impleme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100)는 차량에 설치된 기계식의 플래셔 유닛을 전자식 플래셔 유닛으로 개조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치된 비상등 스위치와 스티어링 칼럼 좌측의 라이팅 스위치의 턴 시그널 신호 제어 배선에 개조 없이, 또는 최소한의 개조로 본 실시예의 전자식 플래셔 유닛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vehicle flasher
즉, 플래셔 램프(턴 시그널 램프)를 점멸시키기 위한 단속전류를 전자부품을 사용하여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100)는 기존의 기계식 접점(릴레이 등) 제어방식을 최근의 전자식 제어방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That is, it refers to a device that generates an intermittent current for flashing a flasher lamp (turn signal lamp) us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vehicle flasher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에 비상등 스위치와 전자식 플래셔 유닛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an emergency light switch and an electronic flasher unit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of FIG. 1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100)는, 차량의 비상등 스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와,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라인(20)과, 와이어 라인(2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배선 커넥터(30)와, 와이어 라인(20)에 분기되는 분기 라인(40)과, 분기 라인(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식 플래셔 유닛(51)이 결합되는 플래셔 커넥터(50)와, 일측은 플래셔 커넥터(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GND) 및 턴시그널 조작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라인(6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vehicle flasher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는 차량에 설치된 비상등 스위치(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는 비상등 스위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타입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기설치된 비상등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emergency
이러한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에는 와이어 라인(20)이 연결될 수 있다.A
와이어 라인(20)은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일단은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배선 커넥터(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와이어 라인(20)은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와 배선 커넥터(30)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적어도 7개 이상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 배선 커넥터(30), 분기 라인(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와이어 라인(20)의 표면은 절연을 위해 절연재로 피복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배선 커넥터(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라인(20)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와이어 라인(20)에 전원 공급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즉, 배선 커넥터(30)는 와이어 라인(2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정의 전원 공급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바, 전자식 플래셔 유닛(51)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와이어 라인(20)에는 분기 라인(40)이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분기 라인(40)은 일단은 와이어 라인(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플래셔 커넥터(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분기 라인(40)은 와이어 라인(20)의 와이어 개수와 동일 개수로 형성되어 분기되는 것도 가능하고, 와이어 라인(20)의 개수와 상이한 개수의 와이어로 형성되어 분기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분기 라인(40)의 표면은 와이어 라인(20)의 표면에 피복된 동일 재질의 절연재로 피복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이러한 분기 라인(40)에는 플래셔 커넥터(50)가 연결될 수 있다.A
플래셔 커넥터(50)는 와이어 라인(20)에서 분기되어 연장된 분기 라인(40)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플래셔 커넥터(50)는 분기 라인(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자식 플래셔 유닛(51)에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플래셔 커넥터(50)는 전자식 플래셔 유닛(51)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기계식의 플래셔 유닛을 전자식 플래셔 유닛으로 개조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한편, 플래셔 커넥터(50)에는 연결 라인(60)이 연장된 상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연결 라인(60)은 일단은 플래셔 커넥터(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턴 시그널 신호 배선과 접지(GND)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라인(60)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좌측의(이는 차량제조사와 차종마다 다소 상이 할 수 있다.) 라이팅 스위치의 좌우측 턴 시그널 조작 제어시의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제1, 2 라인(61, 63)과, 접지(GND)에 연결되는 제3 라인(65)으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제1, 2 라인(61, 63)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좌측의 라이팅 스위치 좌우측 턴 시그널 조작 제어 배선(미도시)과 플래셔 커넥터(5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턴 시그널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nd
제3 라인(65)은 차량의 접지(GND)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100)는,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10)와 배선 커넥터(30)와 플래셔 커넥터(50)를 와이어 라인(20)과 분기 라인(40), 연결 라인(60)을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에 설치된 비상등 스위치(11)와 전자식 플래셔 유닛(51), 스티어링 컬럼 좌측의 라이팅 스위치 좌우측 턴 시그널 조작 제어 배선(미도시)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설치된 기계식 접점의 플래셔 유닛을 전자식 플래셔 유닛으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소한의 배선 개조에 의해 용이하게 개조 및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flasher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and 2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100)는, 와이어 라인(20)과 분기 라인(40)은 와이어 커넥터(11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3, the vehicle flasher
따라서, 와이어 라인(20)과 분기 라인(40)은 와이어 커넥터(110)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단선 등의 고장 조치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atural to fall within the scope of
10...비상등 스위치 커넥터 11...비상등 스위치
20...와이어 라인 30...배선 커넥터
40...분기 라인 50...플래셔 커넥터
60...연결 라인 61...제1 라인
63...제2 라인 65...제3 라인
110..와이어 커넥터10...emergency
20...
40...
60...connecting
63...
110..wire connector
Claims (4)
상기 비상등 스위치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7개 이상의 와이어로 구성된 와이어 라인;
상기 와이어 라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배선 커넥터;
일단이 상기 와이어 라인에 연결되는 분기 라인;
상기 분기 라인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식 플래셔 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플래셔 커넥터; 및
일측은 상기 플래셔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GND) 및 턴시그널 조작 신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라인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좌측 라이팅 스위치의 좌우 턴 시그널 조작 제어시의 신호 배선과 연결되는 제1, 2 라인; 및
접지(GND)에 연결되는 제3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라인과 상기 분기 라인은 와이어 커넥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용 플래셔 유닛 변환 커넥터.A socket-type emergency light switch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an emergency light switch of a vehicle;
A wire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mergency light switch connector and composed of at least 7 wires;
A wiring connector connected to the wire line to supply power;
A branch lin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wire line;
A flasher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nch line and to which an electronic flasher unit is detachably coupled; And
One si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sher connector, the other side is a conne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GND) and turn signal operation signal wiring; includes,
The connection line,
First and second lines connected to signal wires for controlling the left and right turn signals of the left lighting switch of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And
Including; a third line connected to the ground (GND),
The vehicle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wire line and the branch line by a wire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652U KR200492612Y1 (en) | 2020-02-25 | 2020-02-25 |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0652U KR200492612Y1 (en) | 2020-02-25 | 2020-02-25 |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612Y1 true KR200492612Y1 (en) | 2020-11-11 |
Family
ID=7319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0652U Active KR200492612Y1 (en) | 2020-02-25 | 2020-02-25 |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612Y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9649U (en) * | 1997-11-20 | 1999-06-15 | 홍종만 | Automotive wire harness |
KR200271315Y1 (en) * | 2001-10-24 | 2002-04-10 | 경신공업 주식회사 | Hazard switch for automotive |
KR20040082110A (en) | 2003-03-18 | 2004-09-24 | 세진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zard light on/off automatically of vehicle |
KR20100020752A (en) * | 2008-08-13 | 2010-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driving hazard lamps for vehicle |
WO2017222071A1 (en) * | 2016-06-24 | 2017-12-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Vehicle circuit structure |
-
2020
- 2020-02-25 KR KR2020200000652U patent/KR200492612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9649U (en) * | 1997-11-20 | 1999-06-15 | 홍종만 | Automotive wire harness |
KR200271315Y1 (en) * | 2001-10-24 | 2002-04-10 | 경신공업 주식회사 | Hazard switch for automotive |
KR20040082110A (en) | 2003-03-18 | 2004-09-24 | 세진전자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azard light on/off automatically of vehicle |
KR20100020752A (en) * | 2008-08-13 | 2010-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pparatus for driving hazard lamps for vehicle |
WO2017222071A1 (en) * | 2016-06-24 | 2017-12-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Vehicle circuit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3957B1 (en) | Stop lamp drive system | |
US20180056857A1 (en) | System to augment automotive factory lights with warning light function | |
US20080079552A1 (en) | Harness system for auxiliary vehicle lights | |
KR200492612Y1 (en) | Flasher unit conversion connector for vehicle | |
US8346431B2 (en) |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provided for the towing away of the same | |
US4105898A (en) | Multi-beam light switch | |
US6262537B1 (en) | Headlight circuit for an automobile | |
US12122287B1 (en) | Low-profile LED headlight having a strobe and headlight assembly | |
EP0199779B1 (en) | Switching device | |
KR100507091B1 (en) | Multi function switch signal communication module of intelligent harness network in vehicle | |
JP7014144B2 (en) | Power distributor | |
CN206826567U (en) | The special wire harness of electric car | |
KR100507094B1 (en) | A rear lamp control module of intelligent harness network in vehicle | |
KR200387506Y1 (en) | Hazard lamp system of automatically switching-on with backing a vehicle | |
KR200344125Y1 (en) | Outside Miller linked to the car's direction indicator | |
KR200400097Y1 (en) | U-turn signal equipment for automobile | |
WO2002022395A3 (en) | Converting trailer lights to flashing hazard lights | |
KR0133227B1 (en) | Component connection defect check circuit of vehicle | |
US20030137281A1 (en) | Light system for RC vehicles not requiring an extra battery | |
JPH0911804A (en) | Lighting equipment of automobile | |
KR200291421Y1 (en) | Apparatus for switching headlights of automobile | |
KR101498583B1 (en) | Skid steer loader brake lamp on / off the device | |
KR0120293Y1 (en) | Turn indicator | |
KR20040102781A (en) | Apparatus for backup lamp of trailer | |
JPH11151999A (en) | Multiplex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022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2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420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20080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011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110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