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1914Y1 - 조립형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형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914Y1
KR200491914Y1 KR2020190004950U KR20190004950U KR200491914Y1 KR 200491914 Y1 KR200491914 Y1 KR 200491914Y1 KR 2020190004950 U KR2020190004950 U KR 2020190004950U KR 20190004950 U KR20190004950 U KR 20190004950U KR 200491914 Y1 KR200491914 Y1 KR 2004919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anchor
blocks
connecting rod
wall block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수
Original Assignee
최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수 filed Critical 최인수
Priority to KR2020190004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9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9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914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조립형 옹벽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립형 옹벽 구조물은,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조립돌기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이 마련되어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에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연결 지지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상하연결 지지와이어가 관통 삽입 가능한 상하 연결홀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 연결홀과 좌우 연결홀이 마련된 앵커와 상하연결 지지와이어, 좌우연결 지지와이어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일체로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무너짐에 따라 그 주변에 배치된 옹벽블록들도 따라 무너져서 결국 옹벽 구조물 전체가 붕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옹벽 구조물{Assembled retaining wall structure}
본 고안은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옹벽 구조물을 구축할 때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하여 옹벽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땅을 깍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 지형이 흙의 압력 또는 흙의 유실 현상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벽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지형에 축조되어 해당 지형이 흙의 압력 또는 흙의 유실 현상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옹벽은 과거에는 소정 형태의 석재 및 시멘트를 통해 축조되었으나, 이러한 옹벽 축조 방식의 경우, 축조되는 석재들이 시멘트의 결합력을 통해서만 고정됨에 따라 시멘트를 비교적 두껍게 타설해야 했고, 이는 시멘트의 양생에 필요한 시간을 길게 하여 해당 옹벽의 공사기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현상을 초래하였다. 또한, 옹벽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지형에 흡수된 물, 수분이 적절히 배출되지 못하거나, 얼어 부피 팽창이 이루어질 경우 균열이 생기고 심한 경우 붕괴의 위험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복수의 블록을 조합하여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비탈 지형에 옹벽을 축조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적용되고 있는 옹벽은 상하 적층된 옹벽 블록간 결합력이 취약하여 예를 들면 옹벽 후방면에서 전방을 향해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에 의해 옹벽블록이 이동하거나 심하게는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 간 이탈이 발생하여 옹벽 전체가 붕괴할 수 있는 심각한 불안 요소를 갖고 있다.
부연하자면, 종래에는 옹벽 블록의 상부에 앵커를 마련하고 후방 성토지(절개지)에 또 다른 앵커를 마련하고 앵커들 사이를 와이어로 지지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만, 이러한 지지구조 또한 옹벽블록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바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이탈하는 경우 옹벽 구조물 전체가 붕괴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외력이 옹벽블록의 측방향으로 가해지는 경우 상하 적층된 옹벽블록 간 이탈 발생을 최대한 방지하여 결국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5154호(2015.08.20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옹벽 구조물을 구축할 때,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무너짐에 따라 그 주변에 배치된 옹벽블록들도 따라 무너져서 결국 옹벽 구조물 전체가 붕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조립돌기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이 마련되어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에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연결 지지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상하연결 지지와이어가 관통 삽입 가능한 상하 연결홀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를 포함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앵커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을 좌우연결 지지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좌우연결 지지와이어가 관통 삽입 가능한 좌우 연결홀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앵커는,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연결되는 앵커 연결봉; 상기 상하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 연결봉의 단부에 마련되는 상하 연결부; 상기 앵커 연결봉의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 연결봉; 및 상기 좌우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 연결봉의 단부에 마련되는 좌우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연결부는 상기 앵커 연결봉에 분리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분기 연결봉은 옹벽블록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앵커 연결봉에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 연결홀과 좌우 연결홀이 마련된 앵커와 상하연결 지지와이어, 좌우연결 지지와이어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하여 일체로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무너짐에 따라 그 주변에 배치된 옹벽블록들도 따라 무너져서 결국 옹벽 구조물 전체가 붕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연결부가 나사 결합을 통해 앵커 연결봉에 분리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고 분기 연결봉이 앵커 연결봉에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하 연결부, 좌우 연결부에 상하연결 지지와이어 및 좌우연결 지지와이어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설치하여 작업현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옹벽 구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 구조를 적용한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의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의 옹벽블록의 회전변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은 특히 상하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이 전방으로 무너짐에 따라 그 상측에 적층된 옹벽블록들도 따라 무너져서 결국 옹벽 구조물 전체가 붕괴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은 옹벽블록(100), 지지블록(110)을 포함한다.
먼저, 옹벽블록(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면(101)과 후방면(102)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103,104)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측 및 하측 배수홈(103,104)은 각각 옹벽블록(100)의 좌우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옹벽블록(100)의 일측면에는 조립돌기(105)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106)이 마련되어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옹벽블록(100)이 시공된 상태를 기준으로 절개지(미도시)나 성토지 측을 향하면 면을 후방면이라 하고 그 반대를 향하는 면을 전방면이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측 배수홈(103) 내에는 옹벽블록의 시공시 크레인 등을 이용한 리프팅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리프팅 앵커(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옹벽블록(100)의 후방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는 후방 기초부(미도시)가 시공되고 후방 기초부(미도시)에 지지 앵커(미도시)가 설치되며 리프팅 앵커(미도시)와 지지 앵커(미도시) 사이를 연결하도록 지지와이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측 배수홈(103)을 중심으로 상면의 한쪽에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측 배수홈(103)과 연통하고 타단이 외측으로 개방되는 와이어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와이어홈(미도시) 내측에 지지와이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지와이어(미도시)에 의한 지지력을 통해 옹벽블록(100)이 전방 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후방 기초부 및 다단으로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100)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기반 시공은 통상의 시공 방법 및 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블록(110)은 옹벽블록(100)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104)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103)에 각각 상하 양측이 삽입된다.
지지블록(110)은 상하 적층된 해당 옹벽블록(100) 간의 적층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하며, 구체적으로 옹벽블록(100)을 통해 축조되는 옹벽의 두께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 지지블록(110)이 상기 제1 옹벽블록, 제2 옹벽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해당 옹벽블록들이 옹벽 두께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지지블록(110)은 옹벽블록 간 적층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하는 동시에 해당 옹벽이 두께 방향의 외력에 일정 이상의 저항을 유지하도록 하여 결국 옹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리프팅 앵커, 지지 앵커, 지지와이어에 의한 옹벽 구조물의 견고한 구축구조 외에 구조물의 구축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추가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옹벽블록(100)의 후방면에는 앵커(130)가 적어도 하나 돌출되게 마련되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옹벽블록(100)이 일렬로 수직 적층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앵커(130)가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옹벽블록(100)이 서로 엇갈린 배치로 수직 적층되는 경우에는 2개의 앵커(13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자의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130)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100)을 상하연결 지지와이어(150)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하연결 지지와이어(150)가 관통 삽입 가능한 상하 연결홀(131)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앵커(130)는 옹벽블록(100)의 후방면에 연결되며 일정 이상의 길이를 갖는 앵커 연결봉(132)과 상하 연결홀(131)이 형성되며 앵커 연결봉(132)의 단부에 마련되는 상하 연결부(133)를 포함한다.
수직 방향으로 대략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상하 연결홀(131)을 모두 관통하도록 상하연결 지지와이어(150)가 삽입되며 상하연결 지지와이어(150)의 상단 및 하단은 별도의 지지체(170)에 고정 가능하다. 지지체(170)는 후방 기초부(미도시)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100)은 상하연결 지지와이어(150)를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 가능하며,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상하방향으로 서로 일체 연결된 구조를 통해 외력이 가해진 옹벽블록을 포함하여 옹벽 구조물 전체가 전방으로 무너지거나 붕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옹벽 구조물을 설명하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2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203,204)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측 및 하측 배수홈(203,204)은 각각 옹벽블록(200)의 좌우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옹벽블록(200)의 일측면에는 조립돌기(205)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206)이 마련되어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옹벽블록(200)이 상하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 도 6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블록(미도시)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도 1,3,4 참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204)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203)에 각각 상하 양측이 삽입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서, 앵커(230)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200)을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가 관통 삽입 가능한 좌우 연결홀(235)이 더 마련된다. 상하연결 지지와이어(250)와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는 철근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앵커(230)는 제1 실시예에서의 앵커 연결봉과 상하 연결부 외에, 앵커 연결봉(232)의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 연결봉(237)과 좌우 연결홀(235)이 형성되며 분기 연결봉(237)의 단부에 마련되는 좌우 연결부(238)를 더 포함한다.
좌우 방향으로 대략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좌우 연결홀(235)을 모두 관통하도록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가 삽입되며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의 일단 및 타단은 별도의 지지체(280)에 고정 가능하다.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200)은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를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 가능하며,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좌우방향으로 서로 일체 연결된 구조를 통해 외력이 가해진 옹벽블록을 포함하여 옹벽 구조물 전체가 전방으로 무너지거나 붕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상하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200)을 상하 연결홀(231)과 상하연결 지지와이어(250)를 통해 일체로 연결하고, 좌우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200)을 좌우 연결홀(235)과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를 통해 마찬가지로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옹벽 구조물의 모든 옹벽블록(200)을 개별적인 지지가 아닌 상하, 좌우 방향으로 모두 연결된 일체화된 지지가 가능하여 더욱 견고한 옹벽 구조물의 구축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하 연결부(233)가 앵커 연결봉(232)의 단부에 고정된 구조라면, 상하연결 지지와이어(250)는 반드시 상하 연결부(233)에만 삽입되어야 하고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는 반드시 좌우 연결부(238)에만 삽입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러나, 작업 현장에 따라서는 상하연결 지지와이어 및 좌우연결 지지와이어의 배치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구조'는 필요에 따라 와이어의 배치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바 경우에 따라서는 옹벽 구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연결부(233)는 앵커 연결봉(232)에 분리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며, 분기 연결봉(237)은 옹벽블록(200)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앵커 연결봉(232)에 경사지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하 연결부(233)는 앵커 연결봉(232)에 나사 결합 등을 통해 결합 가능하며, 분기 연결봉(237)은 예를 들어 40~60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앵커 연결봉(232)에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나사 체결 깊이를 조절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200)의 후방면에 대해 상하 연결부(233)의 배치 방향을 자유롭게 변환하여 필요에 따라 상하 연결부(233)에 상하연결 지지와이어(250) 또는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분기 연결봉(237)이 앵커 연결봉(232)에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연결부(233)에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가 연결되고 좌우 연결부(238)에 상하연결 지지와이어(250)가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상하연결 지지와이어(250)가 앵커 연결봉(232)에 간섭되어 제대로 설치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1) 상하 연결부(233)를 앵커 연결봉(232)에 나사 결합하여 상하 연결홀(231)의 배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고, 2) 분기 연결봉(237)을 앵커 연결봉(232)에 경사지게 연결함으로써 상하 연결홀(231)에 상하연결 지지와이어(250)를 삽입하고 좌우 연결홀(235)에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지지와이어들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옹벽블록 110: 지지블록
130: 앵커 131: 상하 연결홀
132: 앵커 연결봉 133: 상하 연결부
150: 상하연결 지지와이어 170: 지지체
235: 좌우 연결홀 237: 분기 연결봉
238: 좌우 연결부 260: 좌우연결 지지와이어
280: 지지체

Claims (5)

  1. 전방면과 후방면을 갖고 상하면에는 각각 상측 및 하측 배수홈(103,104,203,204)이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조립돌기(105,205)가 마련되고 타측면에는 조립홈(106,206)이 마련되어 상기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통해 측방향으로 인접한 서로 간에 결합 가능한 옹벽블록(100,200);
    상기 옹벽블록(100,200)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적층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제1 옹벽블록의 하측 배수홈(104,204)과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옹벽블록의 상측 배수홈(103,203)에 각각 삽입 가능한 지지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100,200)의 후방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옹벽블록을 상하연결 지지와이어(150,250)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상하연결 지지와이어가 관통 삽입 가능한 상하 연결홀(131,231)이 마련되고,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옹벽블록(200)을 좌우연결 지지와이어(260)를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하도록 상기 좌우연결 지지와이어가 관통 삽입 가능한 좌우 연결홀(235)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130,23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앵커(230)는,
    상기 옹벽블록의 후방면에 연결되는 앵커 연결봉(232);
    상기 상하 연결홀(231)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 연결봉(232)의 단부에 마련되는 상하 연결부(233);
    상기 앵커 연결봉(232)의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분기되는 분기 연결봉(237); 및
    상기 좌우 연결홀(235)이 형성되며 상기 분기 연결봉(237)의 단부에 마련되는 좌우 연결부(2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연결부(233)는 상기 앵커 연결봉(232)에 분리 가능하도록 회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연결봉(237)은 옹벽블록의 바닥면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앵커 연결봉(232)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20190004950U 2019-12-06 2019-12-06 조립형 옹벽 구조물 Active KR2004919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950U KR200491914Y1 (ko) 2019-12-06 2019-12-06 조립형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950U KR200491914Y1 (ko) 2019-12-06 2019-12-06 조립형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914Y1 true KR200491914Y1 (ko) 2020-06-30

Family

ID=7112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950U Active KR200491914Y1 (ko) 2019-12-06 2019-12-06 조립형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9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496B1 (ko) * 2021-10-27 2022-04-20 (주)코리아에스이 절토부 옹벽의 연장 패널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904A (ko) * 2003-07-18 2005-01-26 정재영 절충식 보강토 옹벽 구조
KR20090003963A (ko) * 2007-07-06 2009-01-12 정광원 내진 식생블록
KR20150095154A (ko) 2014-02-12 2015-08-20 한숙희 조립식 옹벽블록
KR20180081985A (ko) * 2017-01-09 2018-07-18 권미해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904A (ko) * 2003-07-18 2005-01-26 정재영 절충식 보강토 옹벽 구조
KR20090003963A (ko) * 2007-07-06 2009-01-12 정광원 내진 식생블록
KR20150095154A (ko) 2014-02-12 2015-08-20 한숙희 조립식 옹벽블록
KR20180081985A (ko) * 2017-01-09 2018-07-18 권미해 옹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496B1 (ko) * 2021-10-27 2022-04-20 (주)코리아에스이 절토부 옹벽의 연장 패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530B1 (ko)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US20080244995A1 (en) Wall Assembly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1807504B1 (ko) 시공이 편리한 식생용 조립식 옹벽블록
KR20170009571A (ko) 조립식 옹벽블럭 및 옹벽시공방법
KR100481160B1 (ko) 옹벽용 블록
KR200417800Y1 (ko) 토목 공사용 연결 조립체
KR20200007335A (ko) 붕괴 방지를 위한 조립식 블록구조체
KR102041892B1 (ko) 조적 안정성과 상호 결합성이 증대된 보강토 옹벽블럭 및 그 옹벽블럭의 제조방법
KR102116487B1 (ko) 옹벽
KR200495163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102072454B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20220017145A (ko) 콘크리트 옹벽
KR102100590B1 (ko)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KR102267291B1 (ko)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742658B1 (ko) 식생옹벽블록과 식생옹벽블록의 축조구조물
KR200396209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673565B1 (ko) 거치형 콘크리트 옹벽
KR200245413Y1 (ko) 보강토 옹벽설치용 조립식 블록 연결장치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200357963Y1 (ko) 옹벽 블록
KR200396208Y1 (ko)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옹벽블록
KR100626325B1 (ko) 콘크리트 블록과 이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12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23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2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6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