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63Y1 - Puff with length-adjustable ribbon - Google Patents
Puff with length-adjustable ribb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863Y1 KR200491863Y1 KR2020180006083U KR20180006083U KR200491863Y1 KR 200491863 Y1 KR200491863 Y1 KR 200491863Y1 KR 2020180006083 U KR2020180006083 U KR 2020180006083U KR 20180006083 U KR20180006083 U KR 20180006083U KR 200491863 Y1 KR200491863 Y1 KR 2004918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bbon
- length
- puff
- handle
- puff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44000043261 Hevea brasil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52 natural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94 natura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1000616862 Belli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NVJTZOFSHSLTO-UHFFFAOYSA-N Fenthion Chemical compound COP(=S)(OC)OC1=CC=C(SC)C(C)=C1 PNVJTZOFSHSLT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TAZNLWOLGHBHU-UHFFFAOYSA-N butadiene-styrene rubber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 MTAZNLWOLGHB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5 nitri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9 rub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750 rub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5 styrene 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Prostheses (AREA)
Abstract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가 개시된다. 개시된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는 퍼프본체; 상기 퍼프본체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퍼프본체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용 리본;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용 리본은, 상기 퍼프본체의 일측단에 고정되고, 말단부에 폭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슬릿공이 형성된 제1리본; 및, 상기 퍼프본체의 타측단에 고정되고, 말단부가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리본과 겹쳐지는 길이가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리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손잡이용 리본은 보관상태시 퍼프본체와 밀착되도록 길이가 축소된 상태로 되고, 사용시에는 퍼프본체와의 사이에 확장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신장된 상태가 될 수 있어, 사용성이 편리해지고 보관성도 우수해질 수 있으며, 사용시, 퍼프본체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퍼프본체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퍼프본체의 도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isclosed is a puff with a tunable ribbon. The puff with the disclosed length-variable ribbon includes a puff body; Includes; by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puff body, put a finger between the puff body, and a handle ribbon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length; including, the handle ribbon, at one end of the puff body A first ribbon fixed and formed with a slit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width direction at an end portion; And a second ribbon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puff body, the distal end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hole, and movable, so that the length overlapping the first ribbon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is, the ribbon for the handle can be reduced in length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uff body in the storage state, and can be extended to form an extended space between the puff body in use, making it convenient for use and storage The property can also be excellent, and when used, the puff body is prevented from bending, so that the puff body can maintain a flat state, thereby improving the coating power of the puff body.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장품을 얼굴 등의 피부에 펴바르는 용도로 사용되는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본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보관시에는 리본이 퍼프본체에 밀착된 상태에 있고,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신장된 상태로 조작가능한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ff used for the purpose of spreading cosmetics on the skin of the face, etc., and more specifically, the length of the ribbon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so that the ribb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uff body during storage, and when used, the user It relates to a puff with a length-variable ribbon that can be operated in an extended state so that the finger of the can be inserted more easily.
일반적으로 퍼프는 분말 또는 액상으로된 파우더나 트윈 케익등의 화장품을 묻혀서 얼굴 등의 피부에 바르면서 화장하는데 사용된다. In general, puffs are used for makeup while applying cosmetics such as powder or liquid powder or twin cakes to the face and skin.
이와 같은 화장용 퍼프(Puff)에는 그 종류가 소재별 형태별로 매우 다양한데 그 재질이 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아세테이트로 되고 표면에 보풀(Pile)이 구성된 벨벳(Velvet) 형태의 퍼프와, 그 재질이 NBR(Nitrile Butadiene Rubber)라텍스 스폰지, 후로킹(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스폰지,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등으로 된 스폰지형 퍼프가 있다. These cosmetic puffs vary in type by material type, and the material is cotton, polyester, nylon, acrylic, acetate, and a velvet-type puff composed of fluff on the surface. There are sponge puffs made of NBR (Nitrile Butadiene Rubber) latex sponge, FLOCKING (Poly Urethane Flocked Foam) sponge,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NR (Natural Rubber).
이러한 퍼프의 배면에는 손잡이용 리본이 양측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퍼프와 손잡이용 리본 사이에 손가락을 끼워 넣어 화장품을 피부에 펴 발라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back surface of the puff, the handle ribbon is configured to be fixed at both ends, and is configured to be applied by spreading cosmetics on the skin by inserting a finger between the puff and the handle ribbon.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퍼프는 손잡이용 리본의 길이가 가변되는 형태가 아니며, 리본이 퍼프의 배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어 리본과 퍼프 사이에 손가락을 넣게 되면, 퍼프가 너무 많이 휘어져 피부에 접촉되는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화장품 도포효율이 떨어지게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puff, the length of the handle ribbon is not variable, and the ribbon is installed close to the back of the puff, so when a finger is placed between the ribbon and the puff, the puff is bent too much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It had a problem in that the application efficiency of cosmetics was reduced because it was reduced.
또한, 퍼프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손가락이 리본과 퍼프 사이에 끼워져 지속적으로 퍼프가 휘어진 상태로 응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손가락을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퍼프가 휘어진 상태로 형태변형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보관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puff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ince the fingers are sandwiched between the ribbon and the puff, stress is continuously gener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uff is bent.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torage was also reduced.
한편, 퍼프에 리본이 살짝 간격이 있도록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전체적인 퍼프의 부피가 커져서 보관할 때 리본이 구겨져 버리고 리본이 구겨진 상태가 유지되어 재 사용시 리본과 퍼프사이에 손가락을 끼워주는 것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ribbon is slightly spaced on the puff, but in this case, the volume of the overall puff is large, so the ribbon is crumpled when stored and the ribbon remains crumpl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became difficul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리본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퍼프 보관시에는 리본이 퍼프본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퍼프사용시에는 손가락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를 신장시켜 리본과 퍼프본체 사이공간이 확장되도록 할 수 있는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s configured to vary the length of the ribbon so that the ribb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uff body when storing the puff, and the finger can be inserted more easily when using the puff.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puff with a variable-length ribbon that can be extend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ribbon and the puff body is expand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는 퍼프본체; 상기 퍼프본체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퍼프본체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용 리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uff having a variable ribb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ff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ibbon for the handle configured to be used to put a finger between the puff body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uff body, the length is variable.
상기 손잡이용 리본은, 상기 퍼프본체의 일측단에 고정되고, 말단부에 폭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슬릿공이 형성된 제1리본; 및, 상기 퍼프본체의 타측단에 고정되고, 말단부가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리본과 겹쳐지는 길이가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리본;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handle ribbon is fixed to one end of the puff body, a first ribbon having a slit bal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width direction at an end portion; And, it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puff body, th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is movable, the second ribbon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overlapping the first ribb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제2리본은, 상기 퍼프본체의 타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슬릿공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는 리본본체; 상기 리본본체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슬릿공의 길이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리본과 겹쳐지는 정도가 가변되는 길이조정 리본부; 상기 길이조정 리본부의 말단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슬릿공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길이조정 리본부가 상기 슬릿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ribbon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puff body, the ribbon body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lit hole; A length-adjusting ribbon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ribbon body and configur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e length of the slit hole,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slit hole and moveable to vary the degree of overlap with the first ribb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it is formed extending to th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ribbon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lit hole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ribbon portion does not fall out of the inserted state in the slit hole.
상기 걸림편의 말단에는 상기 슬릿공에 삽입하는 조립과정에서 보다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뽀죡한 삼각형 형태의 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engaging piece, a sharp triangular tip may be formed to allow easier insertion in the assembly process of inserting into the slit hole.
상기 제1리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의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용 리본의 길이가변상태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길이유지홀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길이유지홀의 길이는 상기 걸림편의 폭보다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첨단부의 끝단 일부만이 상기 길이유지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ribbon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ends of the engaging pieces are inserted to form a plurality of length-retaining holes for fixing the variable length of the handle ribbon, and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length-retaining holes are It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gaging piece, so that only a part of the end of the tip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length-retaining hole.
상기 손잡이용 리본의 양측단 각각은 상기 퍼프본체의 양측단에 이중 접착부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both ends of the handle ribb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both sides of the puff body through a double adhesive portion.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용 리본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보관시에는 리본이 퍼프본체에 밀착된 상태에 있고,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손잡이용 리본의 길이가 신장되어 리본과 퍼프본체 사이에 확장된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성이 편리해지면서도 보관시 부피가 축소되어 보관성이 용이할 뿐 아니라, 사용시에 퍼프본체가 휘어지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퍼프본체가 피부에 접촉되는 면적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퍼프의 도포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handle ribbon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so that the ribb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uff body when stored, and the length of the handle ribbon can be inserted more easily when the user's finger is inserted. Since the expand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ibbon and the puff body by being stretched, the puff body can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without being bent when used, as well as ease of storage due to ease of use and reduced volume during storage. Since the body can maintain a good area in contact with the ski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plication performance of the puff.
특히, 본 고안은 제2리본의 말단부에 첨단부가 구비되어 있어, 제1리본과 제2리본의 조립시, 제2리본의 말단부를 제1리본의 슬릿공에 쉽게 통과시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어 제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 present design is equipped with a tip portion 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ribbon, and thus, when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ribbons,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ribbon can be easily assembled through the slit hole of the first ribbon, so assembling is possibl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is and facilitating manufacturing.
아울러, 본 고안은 제1리본에 소정간격으로 길이유지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제2리본의 말단에 형성된 첨단부를 복수의 길이유지홀 중 하나에 끼워, 리본의 신장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리본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length-retaining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first ribbon, so that the tip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ribbon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lurality of length-retaining holes, so that the length of the ribbon can be adjus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by easily adjusting the ribbon length according to the body condition of.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의 보관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길이가변형 리본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의 손잡이용 리본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the puff with a variable-length ribb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uff with a variable-length ribb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ength-variable ribbon in Figures 1 and 2,
4 is a view showing a ribbon for a handle of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후술되는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can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Therefore, the shape of the exemplary diagram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shap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ched area illustrated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refore,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for illustrating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desig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its complementary embodiments.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또한, 고안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In describing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explain the design more specifically and to help understanding.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design, and which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sig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haos in describing the design.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puff having a length-variable ribb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본 고안의 퍼프(1)는 퍼프본체(10)와 손잡이용 리본(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퍼프본체(10)는 원형퍼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액상 또는 분말상의 화장품을 직접 묻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시켜 토닥거리거나 두드리면서 펴 발라 도포시키거나, 얼굴에 묻혀진 화장품을 펴 발라 도포시키는 구성이다. The
퍼프본체(10)는 엔비알(NBR;NITRILE BUTADIENE RUBBBER), 에스비알( SBR;STYRENE BUTADIENE RUBBBER), 엔알(NR;NATURAL RUBBER), 루비셀(RUBYCELL;습식 URETHANL), 코트 벨로라(COTTON VELOUR), 스포턴지, 후로킹, 라텍스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퍼프본체(10)는 통상의 퍼프에 적용되는 모든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있어서도 원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오각 등 다양한 디자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본 고안의 퍼프는 손잡이용 리본(20)에 특징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손잡이용 리본(2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The puff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on the
손잡이용 리본(20)은 제1리본(21)과 제2리본(25)으로 구성되어, 제1리본(21)과 제2리본(25)이 일렬로 이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손잡이용 리본(20)은 천재질, 합성수지 재질의 필름재질, 인조 또는 천연가죽재질 등 다양한 연질의 리본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제1리본(21)은 소정길이와 폭을 갖는 리본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퍼프본체(1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타단부에는 폭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장공형태의 슬릿공(22)이 형성된다. The
제2리본(25)은 소정길이와 폭을 갖는 리본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퍼프본체(1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타단부는 제1리본(21)의 말단부와 겹쳐지는 형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제2리본(25)은 리본본체(26), 길이조정 리본부(27), 걸림편부(2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리본본체(26)는 제1리본(21)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일단은 퍼프본체(1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길이조정 리본부(27)는 리본본체(26)의 말단으로부터 일체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리본본체(26)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며, 슬릿공(22)의 길이보다 작거나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길이조정 리본부(27)는 슬릿공(22)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슬릿공(22)을 따라 위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걸림편부(28)는 길이조정 리본부(27)의 말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며, 슬릿공(22)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걸림편부(28)는 리본본체(26)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걸림편부(28)는 길이조정 리본부(27)가 슬릿공(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조정리본부(27)가 슬릿공(2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The
아울러, 걸림편부(28)의 말단부는 뽀죡한 삼각형 형태의 첨단부(28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첨단부(28a)는 퍼프의 제조시, 첨단부(28a)를 슬릿공(22)에 쉽게 끼워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distal end of the
즉, 제1리본(21)의 일단을 퍼프본체(10)의 일측단에 결합되고, 제2리본(25)의 일단에 퍼프본체(10)의 타측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리본(25)의 말단부(걸림편(28)을 제1리본(21)의 슬릿공(22)에 끼워 조립하는 경우, 제2리본(25)의 걸림편(28)을 아치형태가 되도록 살짝 휘어지게 하여, 걸림편(28)의 폭이 슬릿공(22)의 길이보다 작아지도록 한 후, 첨단부(28a)를 슬롯공(22)에 쉽게 끼워서 걸림편(28)을 슬롯공(22)에 통과시킴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one end of the
상기한 구성으로 된 퍼프는 도 1 및 도 3의 (a)와 같이, 보관상태에서는 길이조정리본부(27)의 후단부가 슬릿공(22)을 통과한 상태로, 손잡이용 리본(21)의 길이가 최단길이가 되어, 퍼프본체(10)에 밀착됨으로써, 전체적인 퍼프의 부피가 축소되어 퍼프 케이스 등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1 and 3 (a) of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torage state, the rear end of the length-adjusting
사용자는 도 1 및 도 3(a)과 같은 보관상태에서, 손가락을 손잡이용 리본(21)과 퍼프본체(10) 사이로 끼워서 넣게 되면, 길이조정리본부(28)가 슬릿공(22)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편(28)에 걸려 손잡이용 리본(21)이 신장된 상태가 될 수 있다. In the storage state as shown in FIGS. 1 and 3(a), the user inserts a finger between the
즉, 본 고안의 퍼프는 도 2 및 도 3의 (b)와 같이, 사용상태에서는 길이조정리본부(28)의 전단부가 슬릿공(22)을 통과한 상태가 되어, 손잡이용 리본(20)의 길이가 신장되어, 손잡이용 리본(20)이 퍼프본체(10)에 대해 아치형태로 이격되게 형태변형됨으로써, 손잡이용 리본(20)과 퍼프본체(10) 사이공간(S)이 확장된 상태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손잡이용 리본(21)과 퍼프본체(10) 사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손가락을 손쉽게 끼울 수 있으며,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퍼프본체(10)가 휘어지는 등의 형태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퍼프본체(10)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퍼프본체(10)가 피부와 접촉되는 면적이 기존에 비해 증가하게 되므로 도포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the puf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한편, 본 고안은 도 4와 같이, 제1리본(21)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길이유지홀(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복수의 길이유지홀(30) 각각은 걸림편(28)의 폭보다 작도록 구성되어, 첨단부(28a)의 끝단 일부만이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length-retaining
상기한 구성으로, 본 고안의 퍼프는 도 2 및 도 3의 (b)와 같이 손잡이용 리본(20)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첨단부(28a)를 길이유지홀(30)에 끼워줌으로써, 손가락을 퍼프본체(10)와 손잡이용 리본(20)에서 빼더라도, 손잡이용 리본(20)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uf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y extending the
아울러, 첨단부(28a)를 복수의 길이유지홀(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줌으로써, 손잡이용 리본(20)의 신장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 즉, 손가락 두께 등에 맞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selectively fitting the
본 고안에서, 손잡이용 리본(20)의 양단은 접착제, 접착테이프, 열융착,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퍼프본체(10)의 양측단에 접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도 1과 같이, 손잡이용 리본(20)의 양단 각각이 퍼프본체(10)의 양측단에 각각 소정간격 이격되게 2개씩의 접착부(21a,25a)가 형성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손잡이용 리본(20)의 보다 견고하게 퍼프본체(10)에 결합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한편, 본 고안은 손잡이용 리본(20)의 양단을 퍼프본체(10)의 양측단에 접착고정시키는 방식에 있어, 손잡이용 리본(20)의 양단과 퍼프본체(10)의 양단 사이에 핫멜트 필름을 개재시키고, 핫멜트 필름에 소정의 열을 가해 핫멜트 필름이 녹으면서 손잡이용 리본(20)의 양단과 퍼프본체(10) 양단이 접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dhesively fixing both ends of the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Therefore,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퍼프본체
20...손잡이용 리본
21...제1리본
22...슬릿공
25...제2리본
26...리본본체
27...길이조정 리본부
28...걸림편
28a...첨단부10...Puff body
20...handle ribbon
21...1st ribbon
22...Slit ball
25...second ribbon
26...ribbon body
27... length adjustment ribbon
28...
28a... tip
Claims (6)
상기 퍼프본체의 양측단을 연결하여 상기 퍼프본체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사용하며,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용 리본;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용 리본은,
상기 퍼프본체의 일측단에 고정되고, 말단부에 폭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슬릿공이 형성된 제1리본; 및,
상기 퍼프본체의 타측단에 고정되고, 말단부가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여, 상기 제1리본과 겹쳐지는 길이가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리본;을 포함하며,
상기 제2리본은,
상기 퍼프본체의 타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슬릿공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는 리본본체;
상기 리본본체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슬릿공의 길이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슬릿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리본과 겹쳐지는 정도가 가변되는 길이조정 리본부;
상기 길이조정 리본부의 말단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슬릿공의 길이보다 큰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길이조정 리본부가 상기 슬릿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편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의 말단에는 상기 슬릿공에 삽입하는 조립과정에서 보다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뽀죡한 삼각형 형태의 첨단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손잡이용 리본은, 상기 길이조정 리본부의 후단부가 상기 슬릿공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용 리본의 길이가 최단길이가 되어 상기 퍼프본체에 밀착된 보관상태가 되거나, 상기 길이조정리본부의 전단부가 상기 슬릿공을 통과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용 리본의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손잡이용 리본이 상기 퍼프본체에 대해 아치형태로 이격되게 변형된 사용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리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편의 말단이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용 리본의 길이가변상태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길이유지홀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길이유지홀의 길이는 상기 걸림편의 폭보다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첨단부의 끝단 일부만이 상기 길이유지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
Puff body;
Includes; by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puff body, put a finger between the puff body, and a handle ribbon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length.
The handle ribbon,
A first ribbon fixed to one end of the puff body and having a slit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width direction at an end portion; And,
It includes a second ribbon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puff body, th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lit hole and movable, so that the length overlapping the first ribbon is adjustable.
The second ribbon,
A ribbon bod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puff body an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lit hole;
A length-adjusting ribbon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ribbon body and configured to have a width equal to or less than the length of the slit hole,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slit hole and movable so as to vary the degree of overlap with the first ribbon;
It is formed to extend at th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ribbon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slit hole, a locking piece portion to prevent the length adjustment ribbon portion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hole;
At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piece, a sharp triangular tip is formed to allow easier insertion in the assembly process of inserting into the slit hole,
In the handle ribbon, the length of the ribbon for the handle becomes the shortest length in a state where the rea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ribbon part passes through the slit hole, and thus becomes a storage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puff body, or the front end of the length adjusting ribbon part.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ribbon for the handle is extended in a state where the addition passes through the slit ball so that the ribbon for the handle is transformed to be spaced apart in an arc shape with respect to the puff body,
The first ribbon i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ength-retaining holes are formed to fix the length-variable state of the handle ribbon by inserting the ends of the engaging pieces,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length-retaining holes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gaging piece, so that only a part of the end of the tip is inserted into the length-retain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ff with a length-variable ribbon.
상기 손잡이용 리본의 양측단 각각은 상기 퍼프본체의 양측단에 이중 접착부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가변형 리본을 구비한 퍼프.
According to claim 1,
Each side of each side of the ribbon for the handle is a puff with a variable-length ribb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coupled through a double adhesive to both sides of the puff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6083U KR200491863Y1 (en) | 2018-12-26 | 2018-12-26 | Puff with length-adjustable ribb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6083U KR200491863Y1 (en) | 2018-12-26 | 2018-12-26 | Puff with length-adjustable ribb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1863Y1 true KR200491863Y1 (en) | 2020-06-22 |
Family
ID=7112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6083U Active KR200491863Y1 (en) | 2018-12-26 | 2018-12-26 | Puff with length-adjustable ribb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863Y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0538A (en) * | 2001-08-31 | 2003-03-11 | Tamayo Hisada | Beauty and cosmetic tool |
JP2006102339A (en) * | 2004-10-08 | 2006-04-20 | Aibeau:Kk | Strap length adjusting mechanism of goggles |
KR101232576B1 (en) | 2011-03-09 | 2013-02-13 | 최재준 | A strap attachment method of make-up puff and make-up puff using the method |
KR20160046020A (en) * | 2014-10-17 | 2016-04-28 | (주)더페이스샵 | Cosmetic Puff |
KR101748856B1 (en) | 2016-08-22 | 2017-07-03 | 주식회사 세화코스메틱 | Puff assembly |
KR101848246B1 (en) | 2016-03-02 | 2018-04-12 | 최재준 | Puff makeup is equipped with air cell |
KR101929247B1 (en) * | 2017-07-19 | 2018-12-14 | 주식회사 나스켐 | Hair band for sweat-diverting |
-
2018
- 2018-12-26 KR KR2020180006083U patent/KR200491863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0538A (en) * | 2001-08-31 | 2003-03-11 | Tamayo Hisada | Beauty and cosmetic tool |
JP2006102339A (en) * | 2004-10-08 | 2006-04-20 | Aibeau:Kk | Strap length adjusting mechanism of goggles |
KR101232576B1 (en) | 2011-03-09 | 2013-02-13 | 최재준 | A strap attachment method of make-up puff and make-up puff using the method |
KR20160046020A (en) * | 2014-10-17 | 2016-04-28 | (주)더페이스샵 | Cosmetic Puff |
KR101848246B1 (en) | 2016-03-02 | 2018-04-12 | 최재준 | Puff makeup is equipped with air cell |
KR101748856B1 (en) | 2016-08-22 | 2017-07-03 | 주식회사 세화코스메틱 | Puff assembly |
KR101929247B1 (en) * | 2017-07-19 | 2018-12-14 | 주식회사 나스켐 | Hair band for sweat-divert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13472A (en) | Finger mountable makeup applicator | |
ES2317160T3 (en) | APPLICATOR OF DESMAQUILLAJE. | |
JP5259932B2 (en) | Package and applicator tool | |
KR101672842B1 (en) | Applicator for false eyelashes | |
US3577582A (en) | Method of making an applicator for cosmetics | |
JP4964233B2 (en) | Nail orthosis for wound nails | |
US20070017544A1 (en) | Applicator and a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including such an applicator | |
US20140331429A1 (en) | Cosmetic implement with adjustable ferrule | |
KR20150036596A (en) | Cosmetic product applicator,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 |
JP6758394B2 (en) | Applicator for applying eyeliner | |
JP2007503228A5 (en) | ||
US3250282A (en) | Hair clip | |
JP4097450B2 (en) | Eyelash perm rod | |
US2415914A (en) | Hair curler | |
KR200491863Y1 (en) | Puff with length-adjustable ribbon | |
JP3252137B2 (en) | Multi-shape application tool | |
JP7487351B2 (en) | Cosmetic applicator having a cavity supported by a support arm - Patents.com | |
US2252551A (en) | Mascara applicator | |
US3170470A (en) | Hair holding device | |
US20170231367A1 (en) | Cosmetic applicator with adjacent bristles which are connected together by flat elements | |
JP6868949B2 (en) | Cosmetic application tool | |
US2428152A (en) | Finger shield | |
KR200488330Y1 (en) | Cosmetic puff | |
JP2010284515A (en) | Eyelash makeup aid | |
JP2016016186A (en) | Cosmetic applic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2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1213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3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006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61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