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40Y1 -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 Google Patents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240Y1 KR200491240Y1 KR2020180001271U KR20180001271U KR200491240Y1 KR 200491240 Y1 KR200491240 Y1 KR 200491240Y1 KR 2020180001271 U KR2020180001271 U KR 2020180001271U KR 20180001271 U KR20180001271 U KR 20180001271U KR 200491240 Y1 KR200491240 Y1 KR 2004912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band
- piece
- user
- decoration
- fix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10000001672 ovary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48 dysente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난집통 외주면에 보석의 빛감을 부각시키는 장식편이 결합되되 난집통 하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어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밴드가 관통됨으로써 하나의 금속밴드에 다수의 난집통(및 장식편)이 비 용접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되는 바, 이는 간편 끼움 방식으로 제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접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장식편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식편에 난집통이 끼워지면 난집통 외주면이 라운딩에 안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난집통이 장식편에서 유동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장식편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장신구의 다양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양측 단부가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장신구(체인)를 착용할 때 별도의 체결구를 필요로하지 않아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장식이 형성되어 심미감이 가미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밴드에 장식편 및 난집부가 결합된 것을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밴드에 장식편 및 난집부가 결합된 것을 자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밴드에 장식편 및 난집부가 결합된 것을 측단면에서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에 보조장식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집통 내측에 탄성가압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11 ... 라운딩 200 ... 난집통
210 ... 난집부 220 ... 연결홈
230 ... 탄성가압부 231 ... 고정판
232 ... 탄성스프링 233 ... 가압체
234 ... 만곡부 235 ... 연질부
300 ... 금속밴드 310 ... 이탈방지구
400 ... 보조장식
Claims (5)
- 중앙에 고정홀(110)이 형성되는 장식편(100)과;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지되 상측에 보석(J)이 고정되는 난집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난집부(210) 하측에는 연결홈(220)이 형성되는 난집통(200)과;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진 난집통(200)의 연결홈(220)에끼워지되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는 금속밴드(300)로; 이루어져 목걸이, 팔찌 또는 발찌에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은 외주면에 라운딩(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난집통(200)이 안착되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장식편(100)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금속밴드(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되 단부가 어긋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밴드의 개방된 단부에는 이탈방지구(310)가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금속밴드(300)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보조장식(400)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난집통(200) 내주면에는 내입되는 금속밴드(300)의 상면을 가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난집통(2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가압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가압부(230)는 난집통(200) 내주면에 고정판(2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231) 하면에 탄성스프링(232)의 상측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스프링 하측에는 가압체(233)가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가압체(233)는 연결홈(220)의 하측까지 내려와 있는 것이고, 상기 가압체(233)는 양측 하면에 만곡부(33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밴드(300)가 연결홈(220)으로 내입되어 가압체(233)를 상측으로 이송시키되 가압체의 하면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금속밴드(300)의 상면을 가압 고정하고,
상기 가압체(233) 하면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연질부(2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271U KR200491240Y1 (ko) | 2018-03-23 | 2018-03-23 |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271U KR200491240Y1 (ko) | 2018-03-23 | 2018-03-23 |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461U KR20190002461U (ko) | 2019-10-02 |
KR200491240Y1 true KR200491240Y1 (ko) | 2020-03-09 |
Family
ID=6816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271U Active KR200491240Y1 (ko) | 2018-03-23 | 2018-03-23 |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24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0354B1 (ko) * | 2020-02-18 | 2020-10-27 | 김희석 | 판재를 이용한 팔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재를 이용한 팔찌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5448Y1 (ko) * | 2000-06-02 | 2000-12-01 | 박항식 | 장식팁제 걸이 장신구 |
KR200229299Y1 (ko) * | 2001-01-09 | 2001-07-03 | 강정진 | 장신구 연결구조 |
-
2018
- 2018-03-23 KR KR2020180001271U patent/KR200491240Y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5448Y1 (ko) * | 2000-06-02 | 2000-12-01 | 박항식 | 장식팁제 걸이 장신구 |
KR200229299Y1 (ko) * | 2001-01-09 | 2001-07-03 | 강정진 | 장신구 연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461U (ko) | 2019-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87159S1 (en) | Diamond setting | |
USD584184S1 (en) | Diamond setting | |
KR200491240Y1 (ko) |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 |
KR101535640B1 (ko) |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 |
US20090038338A1 (en) | Jewelry with interhchangeable decorative components | |
KR101971178B1 (ko) | 착용 위치 변경만으로 다양한 형태로 연출 가능한 장신구 | |
KR101522907B1 (ko) |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 |
KR101604653B1 (ko) | 장신구용 결합장치 | |
KR200476048Y1 (ko) |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 |
KR20100010428U (ko) | 장신구용 유동형 보석난집 | |
KR200469408Y1 (ko) |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 |
KR20110105517A (ko) |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 |
ITVI20060248A1 (it) | Sistema per realizzare chiusure di sicurezza e collegamenti diversi, preferibilmente negli oggetti ornamentali prodotti nell'industria orafa e nella bigiotteria. | |
KR20170002629U (ko) | 조립형 목걸이 세트 | |
KR200456842Y1 (ko) | 귀걸이 | |
KR200440565Y1 (ko) |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 |
KR101924512B1 (ko) | 장신구용 연결구 | |
KR200289734Y1 (ko) | 보석 알 고정받침 판을 갖는 귀걸이 | |
KR200477134Y1 (ko) |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 |
EP1569535A2 (en) | Jewellery structure with high flexibility of use | |
KR200494237Y1 (ko) | 탄성이 있는 장신구 | |
KR200462604Y1 (ko) | 장신구 모듈 | |
KR200476010Y1 (ko) |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 |
KR101914552B1 (ko) | 장신구용 결합장치 | |
KR200438263Y1 (ko) |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32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003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30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