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1208Y1 - 접이식 종이 상자 - Google Patents

접이식 종이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08Y1
KR200491208Y1 KR2020190001091U KR20190001091U KR200491208Y1 KR 200491208 Y1 KR200491208 Y1 KR 200491208Y1 KR 2020190001091 U KR2020190001091 U KR 2020190001091U KR 20190001091 U KR20190001091 U KR 20190001091U KR 200491208 Y1 KR200491208 Y1 KR 200491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box
paper box
folded
pa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민호
Original Assignee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1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08Y1/ko
Priority to PCT/KR2020/003682 priority patent/WO202019001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종이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는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상자를 반으로 접어 박스 형태로 변형하여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품 등의 제품을 절반 이상 취식하거나 사용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어, 카스텔라 받침 상자 등으로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접이식 종이 상자{Foldable Paper Container}
본 고안은 접이식 종이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종이 상자를 반으로 접어 박스 형태로 변형하여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종이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이 상자는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종이 상자는 물품의 저장 및 보관시에는 외부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물품을 보호하고, 물품의 이동시에는 운반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종래의 포장용 종이 상자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물품이 수납되는 하부 상자와, 하부 상자를 덮는 상부 상자로 구성된 포장용 종이 상자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물품이 수납되는 상자의 일 측에 덮개가 연결되고, 덮개가 상자를 덮는 형태의 포장용 종이 상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상자를 사각 기둥 형태의 덮개부에 서랍의 형태로 밀어넣고 뺄 수 있는 구조의 종이 상자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종이 상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각 형상의 바닥면의 둘레에 벽면을 수직하게 세워 고정한다. 그러나 바닥면의 둘레에 벽면을 세우고, 세워진 벽면들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조립 절차가 요구된다. 또한, 다량의 접착제를 벽면들이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도포해야 한다. 이로 인해, 포장용 종이상자 조립에는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장의 시트를 전개도 형식으로 성형하여 일체형 조립 방식으로 제조되는 종이 상자가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전개도 형식 종이 상자는 제조 공정 단순화에 의해 단가가 저렴하고, 보관 및 이동시에는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형태 변형이나 겹침 보관이 가능하며, 사용시에 편하게 박스 형태로 만들어 쓸 수 있다.
한편, 카스텔라나 파운드 케이크, 롤케이크, 조리빵, 샌드위치 등과 같이 연약하고 부드러운 특성을 갖는 빵류는 유통과정에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외형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나 비닐봉지 등의 포장지로 포장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카스텔라의 경우 상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태로 판지를 단순하게 접어서 만든 받침 상자에 먹기 좋은 크기로 분할한 상태로 꽉 차게 담은 후 봉지로 밀봉하거나 덮개 상자로 받침 상자를 커버하는 등 이중으로 포장함으로써 제품이 상자 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서로 간의 충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종래의 카스텔라 받침 상자의 경우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451003호 및 제20-0457358호와 같이 내부의 카스텔라를 용이하게 꺼내기 위한 고안들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스텔라 받침 상자의 경우 내용물을 절반 정도 취식한 이후에는 카스텔라가 받침 상자 내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기 쉬워 카스텔라의 형태가 부서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상자를 반으로 접어 박스 형태로 변형하여 보관이 가능한 접이식 종이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부(100), 측면부(200) 및 전후면부(300)에 의하여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종이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00)가 상기 측면부(200) 상단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절취선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분리부(220);
상기 분리부(220)의 하단에서 바닥부(1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220)의 분리 후에 상자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접힘선(231a)이 형성된 접힘부(230); 및
상기 바닥부(100) 및 전후면부(300)에 인접하고, 상기 분리부(220) 및 접힘부(230)를 사이에 두고 양 쪽에 각각 위치한 측면(210)
을 포함하되,
상기 접힘부(230)의 접힘에 의하여, 상기 종이 상자의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덮는 형태로, 상기 두 측면(210)과 두 전후면부(300)가 각각 서로 겹쳐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종이 상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230)의 길이는 상기 측면부(20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230)의 높이가 상기 측면부(200)의 높이의 절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힘선(231a)은 역 V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00)가 두 겹의 종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부(220)를 구성하는 두 겹의 종이 중 한 겹은 상기 접힘부(230)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른 한 겹은 상기 측면부(200) 상단에서 바닥부(100)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는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상자를 반으로 접어 박스 형태로 변형하여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식품 등의 제품을 절반 이상 취식하거나 사용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제품을 안정적으로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어, 카스텔라 받침 상자 등으로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의 개방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의 분리부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의 분리부를 완전히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를 반으로 접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를 반으로 접어 박스 형태로 변형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은 본 고안의 구현예들을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또는 내부에 보관되는 식품의 취식 정도에 따라 종이 상자를 반으로 접어서 박스 형태로 변형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접이식 종이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접이식 종이 상자는 바닥부(100), 측면부(200) 및 전후면부(300)에 의하여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종이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00)가 상기 측면부(200) 상단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절취선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분리부(220);
상기 분리부(220)의 하단에서 바닥부(1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220)의 분리 후에 상자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접힘선(231a)이 형성된 접힘부(230); 및
상기 바닥부(100) 및 전후면부(300)에 인접하고, 상기 분리부(220) 및 접힘부(230)를 사이에 두고 양 쪽에 각각 위치한 측면(210)
을 포함하되,
상기 접힘부(230)의 접힘에 의하여, 상기 종이 상자의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덮는 형태로, 상기 두 측면(210)과 두 전후면부(300)가 각각 서로 겹쳐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의 전개도를 나타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박스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마분지나 골판지 등의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고안의 종이 상자는 종이 재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한 합성수지 등과 같이 종이와 동일/유사한 성질을 갖는 재질도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 박스는 한 장의 시트를 미리 설계된 형태에 따라 자르고, 전개도 상의 특정 위치에 절취선 및 접이선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조립에 의해 박스의 형태를 갖추게 될 경우, 바닥부(100), 측면부(200) 및 전후면부(300)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호 연결된 일체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내용물의 길이나 높이 등과 같은 형태적 특성에 따라 모양을 달리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구현한 바와 같이 측면부(200)가 전후면부(300)보다 더 길고, 상부가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접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200) 및 전후면부(300)는 두 겹으로 겹쳐지게 접도록 구성되어 외력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 중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접힘선의 접힘에 따라 제1 측면(211) 및 제2 측면(212)가 겹쳐져서 측면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따라, 제2 측면(212)의 바깥쪽으로 제2 바닥면(112,122)을 구성함으로써, 바닥부(100)를 제1 바닥면(111, 121)과 제2 바닥면(112, 122)이 겹쳐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전후면부(300) 역시 제1 전후면(301) 및 제2 전후면(302)의 두 겹으로 구성하여 외력에 대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면부(200)의 날개부(250) 및 가이드부(26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 한, 전개도 내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종이가 쉽게 접힐 수 있도록 미리 미싱이나 프레스 등의 처리를 한 접힘선을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절취선을 의미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 상자는 도 1의 전개도를 파선으로 표시된 접힘선에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어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도면부호 121a, 122a, 231a 및 231b로 표시되는 접힘선은 접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따로 도면부호로 명명된 접힘선들은 추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종이 상자의 사용에 따라 접힘으로써 종이 상자가 박스의 형태로 변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부(200)는 양쪽 전후면부(300) 및 바닥부(100)에 각각 인접한 한 쌍의 측면(210)과 상기 한 쌍의 측면(210) 사이에 위치한 분리부(220) 및 접힘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접힘부(230)는 상기 한 쌍의 측면(210) 사이에서 바닥부(100)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분리부(2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210) 사이에서 상기 접힘부(230)와 인접하여 위치한다. 후술하는 접이식 종이 상자의 접는 동작을 위하여, 상기 분리부(220) 및 접힘부(230)는 측면부(200)의 정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측면부(200)의 정 가운데 또는 상단의 가운데에서의 "가운데"는 바닥부(100)와 평행한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를 의미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부(220)는 절취선(A)에 의해 절취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분리부(220)를 손으로 잡아 당기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서 상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 형태에 의하여, 측면부(200)가 두 겹의 종이로 이루어질 때, 상기 분리부(220)는 분리된 후에 한 겹의 종이로 이루어진 접힘부(230)만 잔류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부(220)를 구성하는 두 겹의 종이 중 한 겹은 상기 접힘부(230)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른 한 겹은 상기 측면부(200) 상단에서 바닥부(100)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전개도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종이 상자의 일측 측면부(200)는 제1 측면(211), 제1 분리부(221) 및 접힘면(231)으로 구성된 면과 제2 측면(212) 및 제2 분리부(222)로 구성된 면을 겹쳐 접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분리부(221) 및 제2 분리부(222) 사이에는 공간(240)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본 고안의 접이식 종이 상자를 사용 중에 분리부(22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240)은 측면(210)의 모서리 부분까지 이어지는 것이 상자를 접는 과정에서 모서리가 접히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부(200)는 제1 측면(211)과 제1 분리부(221)가 위치한 부분에 공지의 접착 재료가 코팅된 접착면(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면(B)은 제1 분리부(221)의 대부분의 면에 코팅되어 제2 분리부(222)와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힘면(231)에는 코팅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2 분리부(222)는 제1 분리부(221)과 접힘면(231)을 합한 면적으로 구성되어, 분리부(220)가 분리되었을 때 측면부(200)의 한 겹의 접힘면(231)만 잔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분리부(221) 및 제2 분리부(222)의 주변에는 절취선(A)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당김에 의해 쉽게 뜯어져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분리부(220)가 분리된 본 고안의 접이식 종이 상자를 나타낸다. 양 측면부(200)의 가운데에는 한 겹의 종이로 이루어진 접힘면(231)만이 잔류하고 있다. 상기 접힘면(231)에는 역 V 형태의 접힘선(231a) 및 접힘면의 양쪽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접힘선(231b)가 형성되어 있어, 접힘면이 수월하게 원하는 형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접힘선(231a, 231b)를 이용하여 접힘면(230)을 종이 상자의 안쪽으로 접는 상태도를 나타낸다. 역 V 형태의 접힘선(231a)이 상자의 안쪽으로 접혀 들어감에 따라, 접힘면(230)을 가운데 두고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210)의 끝단이 서로 점차적으로 만나게 되고, 접힘면(231)의 접힘선(231a, 231b)이 완전히 접힘에 따라, 두 측면(210)은 서로 완전히 겹치게 된다. 이에 따라 전후면부(300) 역시 서로 완전히 겹쳐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종이 상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박스 형태로 변형되게 된다.
상기 접힘선(231a)은 종이 상자를 반으로 접는 과정에서 접힘면(231)이 상자 내부로 함몰되듯이 들어가 연결면(120)에 밀착하여 위치하게 되도록 역 V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양 측면(210)이 완전히 겹쳐져 종이 상자가 박스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형태라면 역 V 형태뿐만 아니라 일부 변형예까지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전한 박스 형태로 접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힘부(230)의 길이를 측면부(200)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힘부(230)의 길이란 접힘부(230)가 양 측면(2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 측면(210) 사이를 이격하는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접힘부(230)의 높이는 측면부(200)의 높이의 절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부(230)의 높이가 측면부(200) 높이의 절반을 초과하는 경우 양 측면(210)이 겹쳐지는 과정에서 접힘부(230)의 양 끝단이 서로 부딪혀 측면(210)이 완전하게 겹쳐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종이 상자가 완전한 박스 형태로 접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100)는 측면(210)과 인접한 바닥면(110), 및 접힘부(230)와 인접한 연결면(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120)과 바닥면(110) 사이에는 접힘선(121a, 122a)이 형성되어 있어, 접힘부(230)를 접는 과정에서 바닥면(110)과 연결면(120) 사이를 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힘에 의해, 상기 연결면(120)은 기존의 바닥부에서 측면 벽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의 전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면부(211)는 말단부에 날개부(250) 및 가이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50)는 상자의 조립 과정에서 제1 전후면(301) 및 제2 전후면(302) 사이에 위치하여 측면부(200)가 벌어지지 않고 결속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날개부(250)는 측면부(200)의 상단의 높이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전후면부(300)에 날개부가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260)는 날개부(250)와 동일하게 제1 전후면(301) 및 제2 전후면(302) 사이에 위치하여 측면부(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겼을 때 측면부(200)가 전후면부(300)로부터 이탈하여 상자가 간편하게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60)는 바닥부(100), 측면부(200) 및 전후면부(300)가 만나는 하나의 점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제1 전후면(301) 및 제2 전후면(302) 사이에서 쉽게 이탈이 가능하되, 전후면부(300)에 인접한 말단에 돌출된 돌기부(261)를 포함함으로써 측면부(200)가 전후면부(3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고안의 일부 구현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현형태에 대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바닥부
110 바닥면 111 제1 바닥면
112 제2 바닥면 120 연결면
121 제1 연결면 121a 접힘선
122 제2 연결면 122a 접힘선
200 측면부
210 측면 211 제1 측면
212 제2 측면 220 분리부
221 제1 분리부 222 제2 분리부
230 접힘부 231 접힘면
231a 접힘선 231b 접힘선
240 공간 250 날개부
260 가이드부 261 돌기부
300 전후면부
301 제1 전후면 302 제2 전후면
A 절취선 B 접착면

Claims (5)

  1. 바닥부(100), 측면부(200) 및 전후면부(300)에 의하여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접이식 종이 상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00)가
    상기 측면부(200) 상단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절취선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분리부(220);
    상기 분리부(220)의 하단에서 바닥부(10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분리부(220)가 분리되면 상자 안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접힘선(231a)이 형성된 접힘부(230); 및
    상기 바닥부(100) 및 전후면부(300)에 인접하고, 상기 분리부(220) 및 접힘부(230)를 사이에 두고 양 쪽에 각각 위치한 측면(210)
    을 포함하되,
    상기 접힘부(230)의 접힘에 의하여, 상기 종이 상자의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덮는 형태로, 상기 두 측면(210)과 두 전후면부(300)가 각각 서로 겹쳐지게 되고,
    상기 측면부(200)가 두 겹의 종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부(220)를 구성하는 두 겹의 종이 중 한 겹이 상기 접힘부(230)의 상단에 위치하고, 다른 한 겹이 상기 측면부(200) 상단에서 바닥부(100)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종이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230)의 길이가 상기 측면부(200)의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접힘부(230)의 높이가 상기 측면부(200)의 높이의 절반 이하이며,
    상기 접힘선(231a)이 역 V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종이 상자.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1091U 2019-03-18 2019-03-18 접이식 종이 상자 Active KR200491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91U KR200491208Y1 (ko) 2019-03-18 2019-03-18 접이식 종이 상자
PCT/KR2020/003682 WO2020190019A1 (ko) 2019-03-18 2020-03-18 접이식 종이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091U KR200491208Y1 (ko) 2019-03-18 2019-03-18 접이식 종이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08Y1 true KR200491208Y1 (ko) 2020-03-03

Family

ID=6976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091U Active KR200491208Y1 (ko) 2019-03-18 2019-03-18 접이식 종이 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1208Y1 (ko)
WO (1) WO20201900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19A1 (ko) * 2019-03-18 2020-09-24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접이식 종이 상자
KR20230094393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페이퍼팝 종이 상자용 조립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251A (ja) * 2001-04-13 2002-10-2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トン
JP2018039529A (ja) * 2016-09-07 2018-03-15 レンゴー株式会社 組立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234A (ja) * 2003-12-01 2005-06-23 Keiyashi Hori 包装箱
JP4807236B2 (ja) * 2006-11-27 2011-11-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紙カートン
JP5326337B2 (ja) * 2008-04-23 2013-10-3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二段階再封可能なカートン
KR200491208Y1 (ko) * 2019-03-18 2020-03-03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접이식 종이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251A (ja) * 2001-04-13 2002-10-23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ートン
JP2018039529A (ja) * 2016-09-07 2018-03-15 レンゴー株式会社 組立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19A1 (ko) * 2019-03-18 2020-09-24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접이식 종이 상자
KR20230094393A (ko) 2021-12-21 2023-06-28 주식회사 페이퍼팝 종이 상자용 조립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90019A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208Y1 (ko) 접이식 종이 상자
KR102768301B1 (ko) 주요 플랩 중첩부를 갖는 상자
JP2018016324A (ja) 包装箱
EP3357835B1 (en) Box with the tissue dispenser
US20050087591A1 (en) Collapsible pizza box
JPH0880936A (ja) ワンタッチ開閉カートン
JP2011057275A (ja) 包装箱
US12312132B2 (en) Collapsible box
JP4887723B2 (ja) ランチボックス
JP3088549U (ja) 紙製のトレー状ケース
JP4999545B2 (ja) 収納ケース
CN216581517U (zh) 可折叠的盒坯及包装盒
JP3214880U (ja) 包装用箱
JP5528403B2 (ja) 包装箱
JP5601031B2 (ja) 包装用容器
JP7483584B2 (ja) シート収納容器
JP5519850B1 (ja) 箱及び箱組立て用のブランク材
WO2002038453A1 (en) Convertible carton
JP7201383B2 (ja) 周壁可変収納箱
JP2009096513A (ja) キャリーカートン
JP3023957U (ja) 紙製容器
EP3357834B1 (en) Box
JP3209339U (ja) 箱用シート
JP3200021U (ja) 緩衝機能付き包装箱
JP6887778B2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3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1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2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