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1087Y1 -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87Y1
KR200491087Y1 KR2020180002043U KR20180002043U KR200491087Y1 KR 200491087 Y1 KR200491087 Y1 KR 200491087Y1 KR 2020180002043 U KR2020180002043 U KR 2020180002043U KR 20180002043 U KR20180002043 U KR 20180002043U KR 200491087 Y1 KR200491087 Y1 KR 200491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cosmetic container
sub
plate member
decorative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869U (ko
Inventor
최용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80002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8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8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8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는 화장품용기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일단에 형성되는 장식본체를 구비하는 메인장식부, 및 상기 삽입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장식본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장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에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서브장식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막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Decorative cover for cosmetic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품 용기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식 또는 습식 파우더나 압축파우더 또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파우더 형태의 각종 화장품은 화장품 용기, 일명 콤팩트라고 불리우는 용기에 담아 사용한다.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담아 보호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설계 및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소비자들은 다양한 기호에 맞춰 보다 특색있는 화장품 용기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능성 외에 외관이나 내관에 대한 심미성을 향상시켜 폭넓은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7699호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장품의 용도를 알릴 수 있고, 화장품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는 화장품용기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일단에 형성되는 장식본체를 구비하는 메인장식부; 및 상기 삽입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장식본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장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외주에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서브장식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막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부재는, 중앙부 소정 부분이 관통되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막대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부보다 하부가 큰 직경을 가져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부의 단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부의 단턱에 걸리도록, 중앙부가 하부와 상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하부의 외경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내부가 빈 중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중앙부와 하부가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하는 절삭부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고,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장식부는,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링부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위치하도록 돌기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장식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장식부는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삽입부를 상기 평판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장식부와 상기 서브장식부는, 꽃잎장식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에 의하면, 간단한 체결 구조를 통해 조립이 용이하고 회전이 방지되며, 화장품 상부에 꽃잎 장식을 구현함으로써 화장품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조립 해제가 간편하므로, 메인장식부와 서브장식부를 새로운 형태로 대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꽃잎장식을 구현하기가 쉽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의 메인장식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a)는 메인장식부의 측면을 보여주고, 도 4의(b)는 메인장식부의 배면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5의(a)는 제1 서브장식부의 상면을 보여주고, 도 5의(b)는 제1 서브장식부의 배면을 보여주고, 도 5의(c)는 제2 서브장식부의 상면을 보여주고, 도 5의(d)는 제2 서브장식부의 배면을 보여주며, 도 5의(e)는 상판부재의 상면을 보여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100)는 화장품용기(200)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판부재(110), 메인장식부(120), 및 서브장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재(110)는, 화장품용기(200)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화장품용기(200)에 결합된다. 메인장식부(120)는, 상판부재(110)에 결합되는 삽입부(121)와, 삽입부(121) 일단에 형성되는 장식본체(123)를 구비한다. 서브장식부(130)는 삽입부(121)에 의해 관통되며, 상판부재(110)와 장식본체(123)의 사이에 구비된다. 메인장식부(120)와 서브장식부(130)는 삽입부(121)의 회전방지구조에 의해 공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삽입부(121)의 회전방지구조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100)는, 상판부재(110)를 통해 화장품용기(200)의 상면을 구성하고, 메인장식부(120)와 서브장식부(130)를 통해 꽃잎장식을 구현함으로써 화장품용기(200)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용기(200)는 내측에 화장품이 보관되는 화장품 보관 케이스(210)와, 화장품 보관 케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뚜껑(220)은, 상판부재(110)와의 결합을 위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의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부재(110)는 케이스뚜껑(220)의 테두리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판부재(11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판부재(110)는 케이스뚜껑(220)의 테두리에 맞닿도록 적절한 직경을 가진다. 상판부재(110)는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뚜껑(220)의 형상에 맞춰 삼각, 사각, 및 다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판부재(110)는 케이스뚜껑(220)에 결합되어 명판으로 이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판부재(110)는, 외주에 홈이 형성되고, 케이스뚜껑(22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돌기가 홈이 끼워짐으로써, 케이스뚜껑(22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판부재(110)는, 외주에 돌기가 형성되고, 케이스뚜껑(22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홈에 외주의 돌기가 끼워짐으로써, 케이스뚜껑(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판부재(110)는,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해 케이스뚜껑(2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판부재(110)는 중앙부에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수용부(111)는 소정 직경을 가지는 구멍이며, 상판부재(110)의 상면과 하면이 관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는 메인장식부(120)의 삽입부(121)를 수용 가능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장식부(120)는 화장품용기의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꽃잎을 표현하도록 형성된다. 메인장식부(120)는 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메인장식부(12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PTE: Thermal 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라스틱대비 고무의 연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메인장식부(120)는 상판부재(110)에 결합되는 삽입부(121)와, 삽입부(121) 일단에 형성되는 장식본체(123)를 구비한다.
삽입부(1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부(121)는 수용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21)는 수용부(111)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소정 크기의 외경을 가진다. 삽입부(121)는 수용부(111)에 삽입되고 나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21)와 수용부(111)의 결합 구조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후술한다.
장식본체(123)는 삽입부(1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삽입부(121)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장식본체(123)는 꽃잎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꽃잎형상은, 장미, 동백꽃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서브장식부(130)는 삽입부(121)에 의해 관통되며, 상판부재(110)와 장식본체(123)의 사이에 구비된다. 서브장식부(130)는 메인장식부(120)의 장식본체(123)와 조화를 이뤄 하나의 꽃잎 장식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꽃은 장미, 동백꽃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서브장식부(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장식부(130)는 제1 서브장식부(131)와 제2 서브장식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장식부(130)는 제1, 제2 서브장식부(131, 133) 두 개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은 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서브장식부(131)와 제2 서브장식부(133)는,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층 구조는, 제1 서브장식부(131)가 상판부재(1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제2 서브장식부(133)가 제1 서브장식부(131)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 서브장식부(131)와 제2 서브장식부(133)는, 적층된 상태에서 메인장식부(120)의 삽입부(121)에 의해 관통되고, 삽입부(121)가 수용부(111)에 결합되면, 상판부재(110)와 장식본체(123)의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부재(140)는, 메인장식부(120)의 삽입부(121)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삽입부(121)를 수용부(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21)는 내부가 빈 중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금속 등의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삽입부(121)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삽입부(12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삽입부(121)의 내부에 삽입되면, 삽입부(121)의 내주면에 맞닿아 삽입부(121)가 오므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140)는, 삽입부(121)가 수용부(111)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장식부(120)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a)는 메인장식부(120)의 측면을 보여주고, 도 4의(b)는 메인장식부(120)의 배면을 보여준다.
도 4의(a) 및 (b)를 참고하면, 메인장식부(120)의 삽입부(121)는 중앙부(121a), 하부(121b), 및 상부(12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부(121)의 중앙부(121a)는 하부(121b)와 상부(121c)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부(121)의 중앙부(121a)와 하부(121b)는 단턱지도록 연결된다.
삽입부(121)의 하부(121b)는 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삽입부(121)가 수용부(111)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삽입부(121)의 중앙부(121a)와 하부(121b)는 절삭부(ct)에 의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여기서, 절삭부(ct)는 삽입부(121)의 외주면이 세로방향으로 절삭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절삭부(ct)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21)는 한 쌍의 절삭부(ct)에 의해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됨으로써 수용부(111)에 삽입될 때 형상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삽입부(121)는 형상 변형을 통해 수용부(1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121)의 외주에는 회전방지막대(rod)가 형성된다. 회전방지막대(rod)는 삽입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회전방지막대(rod)는 삽입부(121)의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회전방지막대(rod)는 삽입부(121)가 수용부(111)에 결합되면, 외력에 의한 삽입부(121)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방지막대(rod)는 상판부재(110)와 장식본체(123) 사이에 서브장식부(130)가 배치되면, 서브장식부(1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장식본체(123)의 하면에는 제3 돌기수용홈(Pg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기수용홈(Pg3)은 삽입부(121)와 인접한 장식본체(123) 하면의 소정 부분이 파여져 형성될 수 있다. 제3 돌기수용홈(Pg3)은 메인장식부(120)와 서브장식부(130)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제3 돌기수용홈(Pg3)에 서브장식부(130)의 체결돌기가 수용됨으로써, 메인장식부(120)와 서브장식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장식부(130)의 체결돌기는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의 부분사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a)는 제1 서브장식부(131)의 상면을 보여주고, 도 5의(b)는 제1 서브장식부(131)의 배면을 보여주고, 도 5의(c)는 제2 서브장식부(133)의 상면을 보여주고, 도 5의(d)는 제2 서브장식부(133)의 배면을 보여주며, 도 5의(e)는 상판부재(110)의 상면을 보여준다.
도 5의(a)에서, 제2 서브장식부(133)는 중앙부에 관통홀(133a)이 형성된다. 관통홀(133a)은 삽입부(12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3a)의 상부에는, 제3 체결돌기(P3)가 관통홀(133a)을 형성하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3 체결돌기(P3)는, 삽입부(121)가 제2 서브장식부(133)의 관통홀(133a)에 끼워지고 나서 장식본체(123)의 하면이 제2 서브장식부(133)의 상면에 맞닿으면, 상기한 바 있는 제3 돌기수용홈(Pg3)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체결돌기(P3)는 메인장식부(120)와 제2 서브장식부(133)가 결합되도록 한다.
제2 서브장식부(133)는, 관통홀(133a)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제3 가이드홈(Gh3)이 형성된다. 제3 가이드홈(Gh3)은, 삽입부(121)가 제2 서브장식부(133)의 관통홀(133a)에 끼워질 때, 회전방지막대(rod)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홈(Gh3)은, 회전방지막대(rod)가 걸림으로써 삽입부(121)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5의(b)에서, 제2 서브장식부(133)의 하면에는 제2 삽입링부(In2)가 형성된다. 제2 삽입링부(In2)는 관통홀(133a)과 연통한다. 제2 삽입링부(In2)는, 제2 서브장식부(133)가 제1 서브장식부(131)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배치될 때, 제1 서브장식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삽입링부(In2)는, 제3 가이드홈(Gh3)과 동일 선상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링부(In2)는 제3 가이드홈(Gh3)과 다른 선상의 소정 부분이 절삭되어 제2 돌기수용홈(Pg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수용홈(Pg2)은 제2 서브장식부(133)와 제1 서브장식부(131)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의(c)에서, 제1 서브장식부(131)는 중앙부에 관통홀(131a)이 형성된다. 관통홀(131a)은 삽입부(121)의 외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1a)의 상부에는, 제2 체결돌기(P2)가 관통홀(131a)을 형성하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제2 체결돌기(P2)는, 제2 서브장식부(133)의 제2 삽입링부(In2)가 제1 서브장식부(131)의 관통홀(131a)에 끼워지면, 제2 돌기수용홈(Pg2)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체결돌기(P2)는 제1 서브장식부(131)와 제2 서브장식부(133)가 결합되도록 한다.
제1 서브장식부(131)는, 관통홀(131a)을 형성하는 내주면이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제2 가이드홈(Gh2)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홈(Gh2)은, 제1 서브장식부(131) 상에 제2 서브장식부(133)가 적층 배치되면, 제3 가이드홈(Gh3)과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Gh2)은, 삽입부(121)가 제1 서브장식부(131)의 관통홀(131a)에 끼워질 때, 회전방지막대(rod)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홈(Gh2)은, 회전방지막대(rod)가 걸림으로써 삽입부(121)의 회전을 방지한다.
도 5의(d)에서, 제1 서브장식부(131)의 하면에는 제1 삽입링부(In1)가 형성된다. 제1 삽입링부(In1)는 관통홀(131a)과 연통한다. 제1 삽입링부(In1)는, 제1 서브장식부(131)가 상판부재(110)의 상면에 적층되도록 배치될 때, 상판부재(11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링부(In1)는, 제2 가이드홈(Gh2)과 동일 선상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링부(In1)는 제2 가이드홈(Gh2)과 다른 선상의 소정 부분이 절삭되어 제1 돌기수용홈(Pg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수용홈(Pg1)은 제1 서브장식부(133)와 상판부재(110)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도 5의(e)에서, 상판부재(110)의 중앙부에는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수용부(111)는 상판부재(110)의 중앙부 소정 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는 내주면이 세로방향으로 파여져 제1 가이드홈(Gh1)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Gh1)은, 상판부재(110) 상에 제1 서브장식부(131)가 적층 배치되면, 제2 가이드홈(Gh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Gh1)은, 삽입부(121)가 수용부(111)에 끼워질 때, 회전방지막대(rod)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홈(Gh1)은, 회전방지막대(rod)가 걸림으로써 삽입부(121)의 회전을 방지한다.
수용부(111)는 상부보다 하부가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부(111)는 상부와 하부가 단턱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삽입부(121)는 수용부(111)의 단턱에 걸림으로써 상판부재(110)에 결합된다.
상판부재(110)의 상면에는 수용부(111)와 연통하고,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의 체결부(113)가 형성된다. 체결부(113)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돌기(P1)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체결돌기(P1)는, 제1 서브장식부(131)의 제1 삽입링부(In1)가 체결부(113)의 내측에 끼워지면, 제1 돌기수용홈(Pg1)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체결돌기(P1)는 제1 서브장식부(131)와 상판부재(11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화장품 용기
100: 장식커버
110: 상판부재
111: 수용부
Gh1: 제1 가이드홈
113: 체결부
P1: 제1 체결돌기
120: 메인장식부
121: 삽입부
Rod: 회전방지막대
Ct: 절삭부
Pg3: 제3 돌기수용홈
123: 장식본체
130: 서브장식부
131: 제1 서브장식부
131a: 관통홀
In1: 제1 삽입링부
Gh2: 제2 가이드홈
P2: 제2 체결돌기
Pg1: 제1 돌기수용홈
133: 제2 서브장식부
133a: 관통홀
In2: 제2 삽입링부
Gh3: 제3 가이드홈
P3: 제3 체결돌기
Pg2: 제2 돌기수용홈
140: 고정부재
200: 화장품 용기본체
210: 화장품 보관 케이스
220: 케이스뚜껑

Claims (13)

  1. 화장품용기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일단에 형성되는 장식본체를 구비하는 메인장식부; 및
    상기 삽입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장식본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장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주에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서브장식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막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는, 중앙부 소정 부분이 관통되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막대의 수직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부보다 하부가 큰 직경을 가져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부의 단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부의 단턱에 걸리도록, 중앙부가 하부와 상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하부의 외경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내부가 빈 중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중앙부와 하부가 적어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하는 절삭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하고, 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링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내주면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장식부는, 상기 체결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링부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돌기가 위치하도록 돌기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장식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장식부는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12. 화장품용기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화장품용기에 결합되는 상판부재;
    상기 상판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 일단에 형성되는 장식본체를 구비하는 메인장식부;
    상기 삽입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상판부재와 상기 장식본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장식부; 및
    상기 삽입부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삽입부를 상기 상판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식부와 상기 서브장식부는, 꽃잎장식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KR2020180002043U 2018-05-10 2018-05-10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Active KR200491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43U KR200491087Y1 (ko) 2018-05-10 2018-05-10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043U KR200491087Y1 (ko) 2018-05-10 2018-05-10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69U KR20190002869U (ko) 2019-11-20
KR200491087Y1 true KR200491087Y1 (ko) 2020-04-02

Family

ID=6869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043U Active KR200491087Y1 (ko) 2018-05-10 2018-05-10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83Y1 (ko) * 2022-02-08 2024-01-29 추민석 장식구가 장착되는 화장품 용기용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55Y1 (ko) * 2008-07-15 2011-04-25 이충배 화장품 용기 뚜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721B1 (ko) 2008-07-10 2011-08-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55Y1 (ko) * 2008-07-15 2011-04-25 이충배 화장품 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869U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4413S1 (en) Milk beater assembly
KR102394166B1 (ko) 탈착식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설계된 베이스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디스펜싱 장치
US6266853B1 (en) Non-rotatable enclosing buckle of fabric article
KR200489897Y1 (ko) 용기 뚜껑 및 용기
USD923813S1 (en) Combined cap and septum assembly for a vessel
US20060186019A1 (en) Compact device
USD842219S1 (en) Storage container with a securing belt for an automobile
USD848155S1 (en) Axis ring with brush
KR200491087Y1 (ko) 화장품 용기용 장식커버
US20230059626A1 (en) Cemetery Vase
USD850930S1 (en) Bottle
US20080217344A1 (en) Cream Cup
US20090025764A1 (en) Umbrella frame part
USD866863S1 (en) Callus management bar
USD981316S1 (en) Wheel lock ring assembly
US20080308559A1 (en) Plastic container elements
USD891294S1 (en) Eyelet
US20240389736A1 (en) Device for packaging a cosmetic product in the form of a stick
CN107427108A (zh) 纽扣壳和纽扣
JP2016078905A (ja) ペットボトル容器
CN107920474A (zh) 花盆底部构件及使用了该底部构件的花盆
JP2020137798A (ja) 観賞容器システム
JP2005104369A (ja) サイドバイザー取り付け用ブラケット及びそのサイドバイザー取り付け用ブラケットを用いたサイドバイザーの取り付け構造
JP2012116555A (ja) 保護部材
JP2018012535A (ja) 鏡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51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001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2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