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0980Y1 -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 Google Patents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80Y1
KR200490980Y1 KR2020190003183U KR20190003183U KR200490980Y1 KR 200490980 Y1 KR200490980 Y1 KR 200490980Y1 KR 2020190003183 U KR2020190003183 U KR 2020190003183U KR 20190003183 U KR20190003183 U KR 20190003183U KR 200490980 Y1 KR200490980 Y1 KR 200490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door frame
furniture
horizontal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호
Original Assignee
박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호 filed Critical 박광호
Priority to KR2020190003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80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1Edg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몸체; 상기 모서리 몸체의 일 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에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는 도어프레임과 결합되는 수평부와 수직부의 끝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과 용이하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도어프레임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Furniture door frame furniture corner fittings}
본 고안은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 도어틀을 구성하는 도어프레임과 용이하게 결합하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문짝은 나무로 이루어지거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문짝을 가구로 형성한 경우에는 가공이 편리하면서도 나무라는 특성에 의해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처리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재질의 특성상 완충력을 가지게 된다.
반면, 상기 문짝을 알루미늄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종방향 틀체와 횡방향 틀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조립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방향 틀체와 횡방향 틀체를 조립하기 위하여 종방향 틀체와 횡방향 틀체를 45°로 절단하고 이를 서로 조립하기 위하여 "ㄱ" 형상의 조립구를 사용하여 모서리 부분이 서로 마주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 또는 나사로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종방향 틀체와 횡방향 틀체를 45°로 절단하고 이를 서로 맞대고 조립할 경우 모서리 부분은 매우 날카로워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사용중에 모서리 부분에 부딪치면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91500호(모서리부에 완충구를 가지는 가구용 조립구)가 개발되었으나 조립구(20)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되는 결속돌기(21)가 일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조립구를 보관 및 이송할 때 결속돌기에 의해 많은 양을 이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또는 이동시에 결속돌기(21)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서리 부분과 틀체의 색상을 달리하거나 같게 하고자 할 경우 조립구 전체를 동일 색상으로 사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틀체와 조립구의 색상이 다를 경우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291500호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33500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과 결합되는 수평부와 수직부의 끝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과 용이하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도어프레임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와 직교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밀착 지지구를 통해 도어프레임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고안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몸체; 상기 모서리 몸체의 일 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에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몸체의 외면 모서리에는 모서리 마감부재의 장착을 위한 직각 형상의 외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몸체의 내면 모서리에는 원형 형상의 내부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과 측면 도어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의 외부 장착홈에는 외면이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서리 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과 손잡이 도어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에는 마감판 지지홈과 대응하는 부분에 마감판 지지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 도어프레임과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되는 모서리 프레임 결합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폭은 모서리 몸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면 도중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끝단에 위치한 부분에는 모서리 몸체의 폭보다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전면과 배면에는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 지지구가 더 장착되고, 상기 밀착 지지구는 수평부와 수직부에 고정되는 내면 고정부와 상기 내면 고정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곡면 형상의 밀착 지지부와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서리 몸체 및 수평부와 모서리 몸체 및 수직부는 분리형성되면서 사이에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연결구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는 모서리 몸체와 수평부 및 수직부와 고정구 또는 끼움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는 도어프레임과 결합되는 수평부와 수직부의 끝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과 용이하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도어프레임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작업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는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와 직교하는 부분에 장착되는 밀착 지지구를 통해 도어프레임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구성하는 모서리 마감부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9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구성하는 모서리 마감부재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9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고안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상·하부 도어프레임(210, 220)과 측면 도어프레임(230)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240)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부(20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상·하부 도어프레임(210, 220)과 측면 도어프레임(230)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240)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210, 220)과 측면 도어프레임(230)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240)을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상·하부 도어프레임(210, 220)과 측면 도어프레임(230)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240)와 끼움 결합 이외에도 환경 및 목적(안전)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와 도어 프레임부(200)의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이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고정될 수 있음을 밝힌다.
본원고안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모서리 몸체(300), 수평부(400), 수직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모서리 몸체(30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서리 몸체(300)는 외면 모서리에 모서리 마감부재(600)의 장착을 위한 직각 형상의 외부 장착홈(310)이 형성되고, 내면 모서리에는 원형 형상의 내부 장착홈(3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모서리 몸체(310)는 도어 프레임부(200)와 결합시 외면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외부 장착홈(310)에 모서리 마감부재(600)를 장착하여 마감하고, 내부 장착홈(320)을 통해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210, 220)과 측면 도어프레임(230)이 맞닿는 부분의 외부 장착홈(310)에는 외면이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서리 커버부재(620)가 장착된다.
즉, 상기 모서리 몸체(310)는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외부 장착홈(310)에 모서리 커버부재(620)를 장착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210, 220)과 손잡이 도어프레임(240)이 맞닿는 부분에는 마감판(P)과 대응하는 부분에 마감판 지지홈(64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 도어프레임(240)과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임 장착홈(644)이 형성되는 모서리 프레임 결합부재(640)가 장착된다.
즉, 상기 모서리 몸체(310)는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외부 장착홈(310)에 모서리 프레임 결합부재(640)를 장착하여, 상기 손잡이 도어프레임(240)과 용이하게 고정하면서도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외부 장착홈(310) 및 모서리 커버부재(620)와 외부 장착홈(310)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240)은 공지된 끼움 결합구조 이외에도 접착제 또는 고정구를 통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400)는 상기 모서리 몸체(300)의 일 면에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400)의 폭(D1)은 모서리 몸체(300)의 폭(D)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400)는 양측 끝단에 경사면(410)이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4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부(400)는 양측 끝단에 경사면(410)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원활하게 끼움 결합하고, 양측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부(420)를 통해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400)는 외면 도중에 작동공간(430)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430)의 끝단에 위치한 부분에는 모서리 몸체(300)의 폭(D)보다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의 가압돌기(440)가 형성된 탄성부재(42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평부(400)는 외면에 가압돌기(440)가 형성된 탄성부재(420)를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직부(500)는 수평부(400)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몸체(300)의 일면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500)는 양측 끝단에 경사면(510)에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4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부(500)의 폭(D1)은 모서리 몸체(300)의 폭(D)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500)는 양측 끝단에 경사면(510)이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5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부(500)는 양측 끝단에 경사면(510)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원활하게 끼움 결합하고, 양측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부(520)를 통해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부(500)는 외면 도중에 작동공간(530)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530)의 끝단에 위치한 부분에는 모서리 몸체(300)의 폭(D)보다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의 가압돌기(540)가 형성된 탄성부재(520)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부(500)는 외면에 가압돌기(540)가 형성된 탄성부재(520)를 형성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도시된 도 7 내지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시된 도 7 및 8의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수평부(400)와 수직부(500)의 전면과 배면에는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의 내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 지지구(700)가 더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 지지구(700)는 수평부(400)와 수직부(500)에 고정되는 내면 고정부(710)와 상기 내면 고정부(710)의 외면에 장착되는 곡면 형상의 밀착 지지부(720)와 상기 밀착 지지구(7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730)로 형성된다.
즉,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탄성부(420, 520)과 직교하는 전면과 배면에 밀착 지지구(700)를 더 장착하여,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과 결합시 밀착 지지구(720)와 공간부(730)를 활용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9의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상기 모서리 몸체(300) 및 수평부(400)와 모서리 몸체(300) 및 수직부(400)는 분리형성되면서 사이에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820)가 형성되는 연결구(80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수평부(400)와 수직부(500)의 탄성부(420, 520) 외외에도 연결구(800)의 고정돌기(820)를 통해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과 결합력의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구(800)는 모서리 몸체(300)와 수평부(400) 및 수직부(500)와 공지된 고정구 또는 끼움 결합구조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각형 형상으로 외면 모서리에 모서리 마감부재(600)의 장착을 위한 직각 형상의 외부 장착홈(310)이 형성되고, 내면 모서리에는 원형 형상의 내부 장착홈(320)이 형성되는 모서리 몸체(300)와 상기 모서리 몸체(300)의 일 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410)이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는 탄성부(420)가 형성되는 수평부(400) 및 상기 수평부(400)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몸체(300)의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510)이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는 탄성부(520)가 형성되는 수직부(500)를 일체로 제조하여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상·하부 도어프레임(210, 220)과 측면 도어프레임(230)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240)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배치된 후 상기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에 끼움 결합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는 직각으로 배치되는 탄성부(420, 520)를 통해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과 결합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100)와 도어프레임(210, 220, 230, 240)는 결합력 향상이 요구될 경우에는 연결부분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구가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200 : 도어 프레임부 210 : 상부 도어프레임
220 : 하부 도어프레임 230 : 측면 도어프레임
240 : 손잡이 도어프레임 300 : 모서리 몸체
310 : 외부 장착홈 320 : 내부 장착홈
400 : 수평부 410 : 경사면
420 : 탄성부 430 : 작동공간
440 : 가압돌기 500 : 수직부
510 : 경사면 520 : 탄성부
530 : 작동공간 540 : 가압돌기
600 : 모서리 마감부재 620 : 모서리 커버부재
640 : 모서리 프레임 결합부재 642 : 마감판 지지홈
644 : 프레임 장착홈 700 : 밀착 지지구
710 : 내면 고정부 720 : 밀착 지지부
730 : 공간부 800 : 연결구
820 : 고정돌기

Claims (6)

  1. 상·하부 도어프레임과 측면 도어프레임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부와,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과 측면 도어프레임 및 손잡이 도어프레임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각각 장착되는 가구 모서리 결합구 및 상기 도어 프레임부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후방에 장착되는 마감판으로 구성되는 가구 도어틀에 있어서,
    상기 가구 모서리 결합구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모서리 몸체;
    상기 모서리 몸체의 일 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와 직각으로 형성되는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양측 끝단에 경사면에 형성되며, 양측 외면에 탄성부가 형성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몸체의 외면 모서리에는 모서리 마감부재의 장착을 위한 직각 형상의 외부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 몸체의 내면 모서리에는 원형 형상의 내부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과 측면 도어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의 외부 장착홈에는 외면이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서리 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상·하부 도어프레임과 손잡이 도어프레임이 맞닿는 부분에는 마감판 과 대응하는 부분에 마감판 지지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손잡이 도어프레임과 대응하는 형상의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되는 모서리 프레임 결합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전면과 배면에는 도어프레임의 내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밀착 지지구가 장착되고,
    상기 밀착 지지구는 수평부와 수직부에 고정되는 내면 고정부와 상기 내면 고정부의 외면에 장착되는 곡면 형상의 밀착 지지부와 상기 밀착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폭은 모서리 몸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면 도중에는 작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의 끝단에 위치한 부분에는 모서리 몸체의 폭보다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의 가압돌기가 형성된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몸체 및 수평부와 모서리 몸체 및 수직부는 분리형성되면서 사이에 외면에 간격을 두고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연결구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는 모서리 몸체와 수평부 및 수직부와 고정구 또는 끼움 결합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2020190003183U 2019-07-30 2019-07-30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Active KR200490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83U KR200490980Y1 (ko) 2019-07-30 2019-07-30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83U KR200490980Y1 (ko) 2019-07-30 2019-07-30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80Y1 true KR200490980Y1 (ko) 2020-01-31

Family

ID=6922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83U Active KR200490980Y1 (ko) 2019-07-30 2019-07-30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80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500Y1 (ko) 2002-07-10 2002-10-09 주식회사 리바트 모서리부에 완충구를 가지는 가구용 조립구
KR200335005Y1 (ko) 2003-08-28 2003-12-01 (주) 알루피아 모서리 완충구조를 가지는 가구 모서리 결합구
JP2004076777A (ja) * 2002-08-12 2004-03-11 Satsuki Ninomiya 着脱自在のパイプ先端取り付け金具
KR100476568B1 (ko) * 2004-06-02 2005-03-18 (주) 알루피아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20090012672A (ko) * 2007-07-31 2009-02-04 안대연 알루미늄새시 및 모서리고정구를 이용한 문틀
KR20090053114A (ko) * 2007-11-22 2009-05-27 오상진 조립식 가구용 지주 및 그 지주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150002610U (ko) * 2013-12-26 2015-07-06 류근필 원터치로 결합 되는 프레임 연결 장치
KR101961599B1 (ko) * 2018-10-12 2019-03-22 박광호 가구 도어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500Y1 (ko) 2002-07-10 2002-10-09 주식회사 리바트 모서리부에 완충구를 가지는 가구용 조립구
JP2004076777A (ja) * 2002-08-12 2004-03-11 Satsuki Ninomiya 着脱自在のパイプ先端取り付け金具
KR200335005Y1 (ko) 2003-08-28 2003-12-01 (주) 알루피아 모서리 완충구조를 가지는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100476568B1 (ko) * 2004-06-02 2005-03-18 (주) 알루피아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20090012672A (ko) * 2007-07-31 2009-02-04 안대연 알루미늄새시 및 모서리고정구를 이용한 문틀
KR20090053114A (ko) * 2007-11-22 2009-05-27 오상진 조립식 가구용 지주 및 그 지주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20150002610U (ko) * 2013-12-26 2015-07-06 류근필 원터치로 결합 되는 프레임 연결 장치
KR101961599B1 (ko) * 2018-10-12 2019-03-22 박광호 가구 도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617Y1 (ko) 복합창 구조
US20030172613A1 (en) Frame member for electrical distribution cabinets
JPH06299763A (ja) 突合せ結合装置
KR101765875B1 (ko) 가구용 도어틀
KR200490980Y1 (ko) 가구 도어틀용 가구 모서리 결합구
KR20170135552A (ko) 도어 조립구조
JP2015059393A (ja) 枠組みパネルの補強装置
KR100476568B1 (ko) 알루미늄 도어 모서리 결합구
KR200485470Y1 (ko) 가구용 코너 마감재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JP7132181B2 (ja) 接合構造及び建具
KR19980072998A (ko) 창틀골재 연결구
KR102121125B1 (ko) 도어 틀체 결합 구조
KR20180033867A (ko)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수납장
KR101453692B1 (ko) 앵커형 가구 힌지
CN215054821U (zh) 一种转角连接件
CN205100771U (zh) 一种柜门柜条
CN215076834U (zh) 一种办公家具金属边框的固定结构
JPS636486Y2 (ko)
KR200377437Y1 (ko) 문짝용 프레임 구조체
KR100590426B1 (ko) 가구용 판재의 체결구조
CN113438851B (zh) 一种电器壳体及家用电器
JP7086776B2 (ja) 押縁用接続部材および建具
KR102519600B1 (ko) 복합창호프레임의 제비초리 맞춤
KR20180078866A (ko) 도어 프레임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7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3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9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1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