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0612Y1 - 시트지 부착용 헤라 - Google Patents

시트지 부착용 헤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612Y1
KR200490612Y1 KR2020170005819U KR20170005819U KR200490612Y1 KR 200490612 Y1 KR200490612 Y1 KR 200490612Y1 KR 2020170005819 U KR2020170005819 U KR 2020170005819U KR 20170005819 U KR20170005819 U KR 20170005819U KR 200490612 Y1 KR200490612 Y1 KR 200490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a
body portion
pressing
convex
crim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09U (ko
Inventor
채우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원
Priority to KR2020170005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61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612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7/00Paperhanging
    • B44C7/02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 B44C7/08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finishing operation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지 부착 시공 시 마감용으로 사용되는 헤라에 관한 것으로서,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줄어들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1 압착부와,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줄어들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2 압착부를 포함하는 헤라에 있어서, 제2 압착부는 전단 및 후단에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전단에 제2 압착부의 제2 볼록부와 연결되며 소정 경사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곡면부를 포함하여, 손가락 끝이 몸체부의 곡면부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압착부는 몸체부 및 제2 압착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전단에 소정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여, 단부에 뾰족하게 첨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지 부착용 헤라{Hera for sticking sheet}
본 고안은 시트지 부착 시공 시 마감용으로 사용되는 헤라에 관한 것이다.
시트지, 예컨대 인테리어 필름이나 벽지 등을 벽면에 부착하는 시공을 하는 경우, 소정 면적으로 절단된 시트지를 위치에 맞게 가부착을 한 후, 내부에 들뜨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손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바깥쪽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부착을 마무리한다. 이 경우의 도구로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 헤라(hera)이며, 헤라를 이용하면 평면 압착뿐만 아니라 모서리 부분을 압착 마무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시트지 중, 특히 인테리어 필름은, 풀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배지와는 달리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로 제조되며, 이형지를 벗겨내어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벽면 등에 부착을 하는데, 통상 인테리어 필름은 상당한 복원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평면 압착에 비해 벽면의 모서리, 굴곡이 많은 벽면, 또는 벽면의 단턱 부분이나 벽면의 꺾임이 발생되는 표면을 압착하는 작업이 어렵고, 부착 후 인테리어 필름이 들뜨는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도 1a 내지 도 2에는 종래 사용되는 헤라가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 헤라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한다. 우선, 도 1a와 같이 종래 헤라는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으로 상단을 파지하는 것이 힘들고, 오랜 시간 힘을 주어 사용하면 손에 적지 않은 무리가 오게 된다. 또한, 도 1b와 같이 헤라의 중앙부분을 손가락으로 잡는 경우도 있는데 그립감이 상당히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헤라는 전단과 후단이 각각 직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분 중 특히 오목코너 부분에는 헤라의 선단 부분이 닿기 어려워 제대로 압착을 할 수 없고, 그에 따라 마감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10-1702758(2017.02.03. 공고)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지가 용이한 헤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면의 모서리 등에서도 시트지에 압착을 제대로 가할 수 있는 헤라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줄어들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1 압착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줄어들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2 압착부를 포함하는 헤라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착부는 전단 및 후단에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전단에 상기 제2 압착부의 제2 볼록부와 연결되며 소정 경사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단 곡면부를 포함하여, 손가락 끝이 상기 몸체부의 전단 곡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압착부는 상기 몸체부 및 제2 압착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전단에 소정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여, 단부에 뾰족하게 첨단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압착부는 후단에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볼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후단에 상기 제2 압착부의 제2 볼록부와 연결되며 소정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단 곡면부를 포함하여, 손가락 끝이 상기 몸체부의 후단 곡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단부 및/또는 제2 압착부의 상단부는 테프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 성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헤라에 의하면, 파지가 용이하여 압착 작업 시 힘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 시에도 손에 무리가 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헤라에 의하면, 벽면의 모서리나 폭이 좁고 깊은 부분에도 압착력을 제공할 수 있어 견고한 부착이 가능하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헤라를 보인 도.
도 2는 종래 헤라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라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라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라의 측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라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특정 용도, 예컨대 인테리어 필름의 부착작업을 예시로 들어 본 고안을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나 소재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시트지의 부착에 사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라(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외에 금속,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헤라(100)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몸체부(200)와, 몸체부(200)의 하측과 상측에 각각 형성되며 압착력을 쉽게 가할 수 있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줄어드는 테이퍼진 형상의 제1 압착부(500)와 제2 압착부(600)를 포함한다.
몸체부(200)는 소정의 폭, 길이 및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부(200)의 표면에는 파지시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고, 미끄럼방지홈은 필요에 따라 사선이나 빗금 또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압착부(500)와 제2 압착부(600)의 표면에도 복수 개의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200)와 제1 압착부(500) 사이에는 원호 단면 형상의 하단플랜지부(300)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200)와 제2 압착부(600) 사이에도 원호 단면 형상의 상단플랜지부(400)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단플랜지부(300)와 상단플랜지부(400)는 몸체부(200)와 제1 압착부(500) 사이의 경계, 그리고 몸체부(200)와 제2 압착부(600) 사이의 경계에 형성되어 헤라(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헤라(100)를 파지한 손가락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몸체부(200)는 전단에 소정 경사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단 곡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라(100) 사용시, 손가락으로 제2 압착부(600)의 전단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 끝이 전단 곡면부(210)에 안착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걸어 헤라(100)를 편안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전단 곡면부(21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몸체부(200)의 전방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이에 따라 몸체부(200) 하단의 폭이 몸체부(200) 상단의 폭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전단 곡면부(210)는 제2 압착부(600)의 제2 볼록부(610)와 연결된다.
이 경우, 하단플랜지부(300)의 일측에는 전단 곡면부(210)와 후술하는 제1 압착부(500)의 경사면부(510)를 연결하는 연결 곡면부(310)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1 압착부(500)의 일측에는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낮게 경사지는 경사면부(510)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200)는 후단에 소정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단 곡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라(100) 사용시, 손가락으로 제2 압착부(600)의 후단을 감싸면서 파지하는 경우, 손가락 끝이 후단 곡면부(220)에 안착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걸어 헤라(100)를 편안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후단 곡면부(220)는 제2 압착부(600)의 제2 볼록부(62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 제2 압착부(600)의 제2 볼록부(620)를 압박하여 힘을 가하거나 몸체부(200)의 후단 곡면부(220)를 압박하여 힘을 가할 수 있다.
제1 압착부(500)는 몸체부(200) 및 제2 압착부(600)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압착부(500)의 일측, 예컨대 전단에 소정 경사로 경사면부(510)가 형성됨에 따라 제1 압착부(500) 하단의 폭은 상단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때 제1 압착부(500)의 전단 경사면(510)과 하단 모서리 사이에는 예컨대 20°~ 60°의 뾰족한 첨단부(520)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압착부(500)는 후단에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볼록부(5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압착부(600)로 압착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압착부(500)를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2 압착부(600)는 전단 및 후단에 폭 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610, 6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압착부(500)로 압착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압착부(600)를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1 볼록부(530)와 제2 볼록부(610, 620)는 헤라(100) 파지시 손가락으로 밀착하여 감쌀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 경우, 견고한 파지를 위하여, 제1 볼록부(530)는 제1 압착부(500)의 하단으로 갈수록 더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 볼록부(610, 620)는 제2 압착부(600)의 상단으로 갈수록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인테리어 필름 압착 작업 시, 인테리어 필름이 찢어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제1 압착부(500)의 하단에는 제1 라운드부(540)가 형성되고, 제2 압착부(600)의 상단에는 제2 라운드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테리어 필름의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이 잘 제거되고 스크래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제1 압착부(500) 하단부 및/또는 제2 압착부(600)의 상단부는 테프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합성수지 소재와 테프론 소재를 이중 사출을 통해 일체 성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라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몸체부(200)를 파지한 상태로 제1 압착부(500)를 인테리어 필름에 밀착시켜 압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를 파지한 상태로 제2 압착부(600)를 인테리어 필름에 밀착시켜 압착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1 압착부(500) 끝단의 폭이 제2 압착부(600) 끝단의 폭보다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부분의 폭이나 인테리어 필름의 재질에 맞춰 제1 압착부(500)와 제2 압착부(6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압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벽면의 오목한 코너 부분 등 구석진 부분에 인테리어 필름을 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예컨대, 집게손가락)을 제2 압착부(600) 전단의 제2 볼록부(610)를 감싸면서 몸체부(200)의 전단 곡면부(210)에 안착시켜 헤라(100)를 파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1 압착부(500)의 첨단부(520)를 이용하여 벽면의 오목코너의 깊은 곳까지 압착할 수 있으므로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라(100)를 파지하고, 제1 압착부(500) 하단의 라운드부(540)를 인테리어 필름 표면에 밀착시킨 후, 헤라(1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평면 압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헤라(100)를 파지한 손의 힘을 제1 압착부(500) 하단에 안정되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여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라(100)를 파지하고, 제1 압착부(500) 하단의 라운드부(540)를 벽면의 오목한 엣지(edge) 부분에 밀착시킨 후, 벽면의 엣지를 따라 헤라(1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엣지 부분에 대한 압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첨단부(520)를 이용하여 오목 코너의 깊은 곳까지 용이하게 압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목 엣지 부분의 작업은 강한 힘과 정확도가 필요한 작업이라서 헤라(100)의 그립이 중요한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라(100)를 도끼 형태로 파지하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오목엣지에 대한 압착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라(100)를 도끼 형태로 파지하는 경우, 집게손가락이 제1 압착부(500) 후단의 제1 볼록부(530)를 감싸면서 헤라(100)를 파지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집게손가락 끝을 몸체부(200)의 후단 곡면부(220)에 안착시켜 헤라(100)를 파지한다. 이 경우, 반지손가락의 첫 마디가 곡선 형태의 전단 곡면부(210)에 밀착되며, 새끼손가락의 첫 마디가 경사면부(510)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그립감이 상당히 우수하다. 따라서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이 헤라(100)의 양면을 견고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집게손가락으로 강하게 눌러 오목 엣지 부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편안한 파지가 가능하여 장시간 작업시에도 손에 무리가 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라(100)를 도끼 형태로 파지한 상태로, 제2 압착부(600) 하단의 제2 라운드부(630)를 인테리어 필름의 표면에 밀착시킨 후 헤라(1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평면 압착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되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여 균일한 압력으로 압착할 수 있다.
한편, 벽면 상단의 구석진 코너 부분에 대하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손가락을 전단 곡면부(210)에 밀착시킨 상태로 헤라(100)를 파지하고, 제1 압착부(500)의 첨단부(520)로 벽면 상단의 코너 부분을 반복하여 눌러서 인테리어 필름의 밀착작업을 하여 미감이 좋게 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헤라 200 : 몸체부
210 : 전단 곡면부 220 : 후단 곡면부
300 : 하단플랜지부 400 : 상단플랜지부
500 : 제1 압착부 510 : 경사면부
520 : 첨단부 600 : 제2 압착부

Claims (6)

  1.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줄어들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1 압착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줄어들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2 압착부를 포함하는 헤라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는 상기 몸체부 및 제2 압착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되, 전단에 소정 경사로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여, 단부에 뾰족하게 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압착부는 후단에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1 볼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압착부는 전단 및 후단에 손가락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제2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전단에 상기 제2 압착부의 제2 볼록부와 연결되며 소정 경사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단 곡면부를 포함하여, 손가락 끝이 상기 몸체부의 전단 곡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부는 후단에 상기 제2 압착부의 제2 볼록부와 연결되며 소정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단 곡면부를 포함하여, 손가락 끝이 상기 몸체부의 후단 곡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1 압착부 사이에 원호 단면 형상의 하단플랜지부가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2 압착부 사이에 원호 단면 형상의 상단플랜지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단플랜지부의 일측에는 상기 전단 곡면부와 상기 제1 압착부의 경사면부를 연결하는 연결 곡면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착부의 하단부 및/또는 제2 압착부의 상단부는 테프론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라.
KR2020170005819U 2017-11-13 2017-11-13 시트지 부착용 헤라 Active KR200490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19U KR200490612Y1 (ko) 2017-11-13 2017-11-13 시트지 부착용 헤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819U KR200490612Y1 (ko) 2017-11-13 2017-11-13 시트지 부착용 헤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09U KR20190001209U (ko) 2019-05-22
KR200490612Y1 true KR200490612Y1 (ko) 2019-12-06

Family

ID=6665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819U Active KR200490612Y1 (ko) 2017-11-13 2017-11-13 시트지 부착용 헤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882A (ko) * 2020-09-10 2022-03-17 나이프코리아 주식회사 바닥재 절단용 나이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556Y1 (ko) * 2007-06-05 2008-08-25 박상곤 시트지 밀착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12280B1 (en) * 2008-01-08 2011-09-06 Ricky Thorpe Window film applicator
KR101702758B1 (ko) 2015-06-26 2017-02-03 강성조 다용도 헤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556Y1 (ko) * 2007-06-05 2008-08-25 박상곤 시트지 밀착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882A (ko) * 2020-09-10 2022-03-17 나이프코리아 주식회사 바닥재 절단용 나이프
KR102400584B1 (ko) * 2020-09-10 2022-05-23 나이프코리아 주식회사 바닥재 절단용 나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09U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512B2 (en) Handle of tool
JP4771234B2 (ja) 挟み具
JP6244097B2 (ja) 事務用鋏
US20040163193A1 (en) Paint brush for opening a can
EP1397057A4 (en) nail scissors
JP2010264229A (ja)
CA2227918A1 (en) Ergonomic handle for terminal insertion tool
KR200490612Y1 (ko) 시트지 부착용 헤라
EP2646220B1 (en) Foil applicator for applying foil on a surface
US11839896B2 (en) Caulking finger
RU2234409C2 (ru) Ручка для инструмента
TWM615495U (zh) 多功能剪刀
US11760075B2 (en) Window tinting tool
JP2500599Y2 (ja) 室内装飾生地の張り付け用ヘラ
KR20180001130U (ko) 미장용 공구
KR200267977Y1 (ko) 손톱 다듬기
CN210576551U (zh) 一种包胶鳄鱼夹
CN210879515U (zh) 一种拔钉器
CN212601336U (zh) 细胞爬片镊子
JP3195010U (ja) へら
JP3078768U (ja) へ ら
CN211459154U (zh) 指甲刀
US20240324747A1 (en) Hair tool
KR200310994Y1 (ko) 가구용 손잡이
JP5658712B2 (ja) 柄付き摺擦具または柄付き摺擦具を用いた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11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122

AMND Amendment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90723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903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9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90723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2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1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