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0416Y1 -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16Y1
KR200490416Y1 KR2020180005563U KR20180005563U KR200490416Y1 KR 200490416 Y1 KR200490416 Y1 KR 200490416Y1 KR 2020180005563 U KR2020180005563 U KR 2020180005563U KR 20180005563 U KR20180005563 U KR 20180005563U KR 200490416 Y1 KR200490416 Y1 KR 200490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nchor bolt
fixing bolt
sleev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익
Original Assignee
에이치비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비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비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5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16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앙카볼트는 콘크리트 바닥에 시공된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하되, 복수 개의 고정용 클립을 사용하여 복수 개의 지점에서 구멍의 내면과 밀착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볼트에 제공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Anchor Bolt Assembly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 Clips}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이나 벽체 등에 뚫린 구멍에 삽입하여 피고정물을 고정하는 앙카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고정용 클립을 사용하여 구멍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앙카 볼트(Anchor Bolt)는 콘크리트 바닥이나 벽체에 시설물이나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강체인 콘크리트처럼 자체로는 지지력을 가지지 않는 장소에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콘크리트 바닥이나 벽체에 앙카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을 먼저 뚫고 볼트와 슬리브(Sleeve)를 삽입한다. 볼트의 상단이 구멍 밖으로 노출되는데, 노출된 볼트 부분에 와샤와 너트를 채워 고정한다.
도 1은 종래의 앙카볼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앙카볼트(10)는 고정볼트(11)와, 고정볼트(11)에 끼워지는 슬리브(13)와, 구멍 밖으로 노출된 고정볼트(11)에 삽입하는 와샤(15)와 너트(17)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4516호의 제거식 세트 앙카볼트는 종래의 앙카볼트(10)를 설치하기 전에 구멍에 탄성부재(미도시)를 먼저 넣은 것으로서, 탄성부재는 앙카볼트를 제거할 때 사용한다.
슬리브(13)는 원통관 형상으로 하단부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에 고정볼트(11)와 슬리브(13)를 함께 삽입한 다음, 앙카 펀치 등으로 슬리브(13)만 타격하여 아래방향으로 삽입하면, 슬리브(13)의 절개홈 부분이 고정볼트(11)의 테이퍼부에 의해 벌어지면서 구멍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그러나 앙카볼트(10)가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금속처럼 단단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서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멍에 고정된 앙카볼트(10)가 외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앙카볼트(10)가 구멍을 넓힐 수 있다. 앙카볼트(10)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피고정물이 외력을 받게 되면, 그 외력이나 외력에 의한 진동이 그대로 앙카볼트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앙카볼트(10)가 콘크리트 구멍의 내면을 긁어 구멍과의 밀착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결국 이탈하게 된다.
[관련선행 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4516호 (제거식 세트앙카볼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고정용 클립을 사용함으로써 앙카볼트가 복수 개의 지점에서 구멍의 내면과 밀착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볼트에 제공되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앙카볼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앙카볼트 조립체는 고정볼트(210)와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을 포함하며, 바닥이나 벽체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볼트(210)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211)가 하단에 형성된다. 고정클립(230)은 원통 형상의 상부슬리브(231)와 하부슬리브(233)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볼트에 다단으로 끼워진다. 상기 하부슬리브(233)는 상기 상부슬리브(23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 하단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절개홈(233b)에 의해 생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233a)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 고정클립의 날개부(233a)가 상측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복수 개 지점에서 상기 구멍과 밀착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 고정클립 중 고정볼트에 처음 끼워지는 고정클립의 하부슬리브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테이퍼부가 끼워지지만, 나머지 고정클립의 하부슬리브에는 먼저 결합된 다른 고정클립의 상부슬리브가 끼워진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정클립(230)은, 외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마련되어, 상측에 끼워진 다른 고정클립의 날개부가 바깥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안내하는 날개안내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날개안내부(235)는 상기 상부슬리브와 하부슬리브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상부슬리브(231)에서 하부슬리브(233)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안내부(235)의 상기 하부슬리브쪽 단부의 외경은 상기 하부슬리브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상기 하부슬리브와 단차를 만듦으로써, 상기 다른 고정클립의 날개부(233a)가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슬리브(231)의 하단과 하부슬리브(233)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각(θ1)보다 더 큰 각도로 벌어지도록 안내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는 드릴 공구의 체결부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단에 마련된 생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볼트의 테이퍼부는 적어도 2개의 절삭부와 플루트(Flute)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드릴 비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볼트를 드릴공구에 직접 결합하여 상기 구멍을 직접 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앙카볼트 조립체는 상기 고정볼트에 상기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과 함께 결합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고정볼트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앙카볼트 조립체는 상기 구멍 밖으로 노출된 상기 고정볼트(210) 부분에 결합되는 와샤(251)와 너트(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앙카볼트는 복수 개의 고정용 클립을 사용하 복수 개의 지점에서 구멍의 내면에 밀착하기 때문에 고정 클립의 수만큼 밀착력도 커지고, 복수 개의 고정클립을 통해 피고정물이나 앙카볼트에 작용하는 외력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본 고안의 앙카볼트는 고정볼트가 드릴용 비트의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드릴 비트가 없더라도 직접 구멍을 뚫을 수 있다. 구멍을 뚫은 다음에도 고정볼트를 그대로 둔 채로 앙카볼트를 시공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고정볼트와 구멍 사이의 밀착력도 높아진다.
본 고안의 앙카볼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볼트의 길이만 충분히 길다면, 결합하는 고정클립의 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어떠한 깊이의 구멍에도 구멍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클립을 순차적으로 결합해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며, 필요한 경우에 고정클립들 사이나 그 전후에 스페이서 등을 삽입하여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도 있고 고정클립이 구멍과 밀착하는 지점을 상호 이격시켜 콘크리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앙카볼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앙카볼트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앙카볼트를 시공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앙카볼트 조립체(또는 간단히 '앙카볼트'라 함)(200)는 콘크리트 바닥이나 벽체와 같은 지지대(E)의 구멍(H)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피고정물(T)을 지지대(E)에 고정한다. 앙카볼트 조립체(200)는 구멍(H)에 삽입되는 고정볼트(210)와, 고정볼트(210)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을 포함하며, 최종적으로 피고정물(T)을 지지대(E)에 고정하기 위한 와셔(251)와 너트(253)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3개의 고정클립(230)을 결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볼트(210)는 원통 형상이며 구멍(H)에 제일 먼저 삽입된다. 고정클립(230)에 삽입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하는 테이퍼부(211)를 제외한 고정볼트(210)의 몸체 직경은 고정클립(230)의 내경(D1 또는 D2)보다 작아야 한다. 고정볼트(210)의 외주면 일부에는 나사산(215)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볼트(210) 및 나사산(215)은 충분히 길어서 다양한 깊이의 구멍(H)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볼트(210)의 하단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Taper)(211)가 형성되어 고정클립을 수용한다. 테이퍼부(211)는 고정클립(230)의 내경(D1 또는 D2)보다 큰 직경을 가진 것이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도 2에 도시된 드릴 비트 형상뿐만 아니라, 종래의 고정볼트(11)처럼 고정볼트(210)의 하단에 경사지게 돌출된 돌기 같은 것이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해, 종래의 고정볼트(11)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고정클립(230)은 고정볼트(210)에 끼운 상태로 구멍(H) 내에 삽입되어 구멍(H)의 내면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앙카볼트(10)에서 하나의 슬리브(13)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을 고정볼트(210)에 끼워 조립한다.
각 고정클립(230)은 원통 형상의 상부슬리브(Sleeve)(231)와, 상부슬리브(231)의 외경보다 큰 내경(D2)을 가진 원통형상의 하부슬리브(233)를 포함한다. 고정클립(230)이 고정볼트(210)에 끼워져야 하므로, 상부슬리브(231)의 내경(D1)은 고정볼트(210)의 몸체 직경보다 커야 한다. 반면에 하부슬리브(233)의 내경(D2)은 상부슬리브(231)의 외경보다 크고 고정볼트(210)의 테이퍼부(211)의 외경보다 작아야 한다. 하부슬리브(233)의 하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복수 개의 절개홈(233b)이 생성됨으로써, 하부슬리브(233)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날개부(233a)를 형성된다. 하부슬리브(233)의 날개부(233a) 개수는 두 개 이상이면 충분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구멍(H)과의 밀착력을 위해 4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클립(230)은 하부슬리브(233)부터 고정볼트(210)에 끼워진다. 고정볼트(210)에 처음 끼워지는 고정클립(230)의 하부슬리브(233)는 고정볼트(210)의 테이퍼부(211)에 안착하지만, 나머지 고정클립(230)의 하부슬리브(233)에는 먼저 끼워진 고정클립(230)의 상부슬리브(231)가 삽입한다. 고정볼트(210)에 처음 끼워진 고정클립(230)의 날개부(233a)는 고정볼트(210)의 테이퍼부(211)에 의해 벌어지면서 구멍(H)의 내면에 밀착하게 되고, 나머지 고정클립(230)의 날개부(233a)는 먼저 결합된 고정클립(230)의 하부슬리브(233) 또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날개안내부(235)에 의해 벌어지면서 구멍(H)의 내면에 밀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앙카볼트 조립체(200)는 복수 개 지점에서 구멍과 밀착하게 되어 매우 강한 밀착력을 가진다.
날개안내부
실시 예에 따라, 고정클립(230)은 외주면에 설치된 날개안내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안내부(235)는 뒤에 결합된 고정클립의 하부슬리브(233)의 날개부(233a)를 바깥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날개안내부(235)는 상단상부슬리브(231)와 하부슬리브(233)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안내부(235)는 고정클립(230)의 외주면 전체에 생성될 수도 있고, 고정클립(230)의 외주면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2의 날개안내부(235)는 고정클립(230)의 외주 전체에 걸쳐 상부슬리브(231)에서 하부슬리브(233)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마련된 테이퍼(Taper) 형상이다. 다른 방식으로, 도 5의 고정클립(500)처럼, 경사진 돌기(또는 날개)형상의 날개안내부(501)가 고정클립(23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날개안내부(235)가 날개부(233a)를 안내하는 각도(θ2), 즉 날개안내부(235)의 경사각(θ2)은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부슬리브의 하단과 하부슬리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각(θ1)보다 더 큰 각도를 가짐으로써 날개부(233a)가 더 큰 각도로 벌어지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날개안내부(235)의 하단(하부슬리브쪽 단부)의 외경은 하부슬리브(233)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하부슬리브(233)와 단차를 만들 수 있다. 이로써 날개안내부(235)의 외면 경사각(θ2)은 상부슬리브(231)의 하단과 하부슬리브(233)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각(θ1)보다 더 커진다.
고정볼트의 실시 예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고정볼트(210)는 상단에 마련되어 드릴 공구의 체결부재(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는 생크부(Shank)(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생크부(213)는 통상의 드릴 비트(Drill Bit)처럼 단면이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테이퍼부(211)는 적어도 2개의 절삭부와 플루트(Flute)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드릴 비트의 헤드(Head)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고정볼트(210)는 전체적으로 드릴 비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대(E)에 앙카 볼트(200)를 시공하기 위한 구멍(H)을 뚫을 때 드릴 비트를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본 고안의 고정볼트(210)를 드릴 공구에 결합하여 구멍(H)을 뚫은 다음, 고정볼트(210)는 구멍(H)에 그대로 두고 드릴 공구만 해체해도 된다. 이로써, 앙카볼트(200)와 지지대의 결합력은 더욱 커진다.
앙카볼트의 시공방법: 도 4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지지대(E)에 구멍(H)을 뚫기 위해, 고정볼트(210)의 생크부(213)를 드릴 공구의 체결부재에 결합한 다음, 구멍(H)을 뚫는다. 고정볼트(210)를 구멍(H)으로부터 제거하여 콘크리트 잔재를 제거한 다음 다시 고정볼트(210)를 구멍(H)에 삽입해도 되지만 고정볼트(210)를 구멍(H)에 그대로 둔 채로 드릴 공구를 제거할 수도 있다. 구멍(H)에 고정볼트(210)를 삽입한 다음, 복수 개(도 4에서는 3개) 고정클립(230)을 고정볼트(210)에 끼운다. 나중에 결합한 고정클립(230)의 하부슬리브(233)는 먼저 결합한 고정클립(230)의 상부슬리브(231)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이후에 앙카펀치 등으로 고정클립(230)을 타격하면, 복수 개 고정클립(230)의 날개부(233a)가 압력을 받아 날개안내부(235) 또는 테이퍼부(211)를 따라 벌어지면서 구멍(H)에 밀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앙카볼트(200)는 고정클립(230)의 수 만큼 복수 개 지점에서 구멍(H) 내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으로, 고정볼트(210)는 지지대(E)에 복수 개 지점에서 밀착 또는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에 알려진 앙카볼트에 비해 강력한 결합력을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피고정물(T)을 고정볼트(210)에 결합하고 스프링 와셔(251) 등을 끼우고, 너트(253)를 조인다.
한편, 도 3에는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였지만, 고정클립(230)들 사이에 다른 높이 조절을 위한 스페이서(Spacer) 또는 와셔 등을 체결하여 적절하게 높이 조절하거나 고정클립(230)이 구멍(H)과 밀착하는 지점을 상호 이격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앙카볼트(200)는 다양한 깊이의 구멍에 맞추어 고정클립(230)의 개수를 바꾸거나 스페이서를 추가 결합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10: 고정볼트 211: 테이퍼부
213: 생크부 215: 나사산
230: 고정클립 231: 상부슬리브
233: 하부슬리브 233a: 날개부
233b: 절개홈 235: 날개안내부
251: 와샤 253: 너트

Claims (7)

  1. 바닥이나 벽체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앙카볼트 조립체에 있어서,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부(211)가 형성된 고정볼트(210); 및
    원통 형상의 상부슬리브(231)와, 상기 상부슬리브(23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하부슬리브(233)와, 상기 상부슬리브(231)와 하부슬리브(233)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슬리브(233)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는 테이퍼 형상의 날개안내부(235)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볼트에 다단으로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슬리브(233)는 하단에 마련된 복수 개의 절개홈(233b)에 의해 생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233a)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 날개부(233a)가 상측에서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벌어지면서 복수 개 지점에서 상기 구멍과 밀착하고,
    상기 날개안내부(235)는 상기 고정클립(230)의 외주를 따라 전체 또는 일부에 마련되어 상측에 끼워진 다른 고정클립의 날개부(233)가 바깥쪽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안내하며,
    상기 날개안내부(235)의 최대 외경은 상기 하부슬리브(233)의 외경보다 크게 하여 상기 하부슬리브와 단차를 만듦으로써, 상기 다른 고정클립의 날개부가 중심축(c)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슬리브(231)의 하단과 하부슬리브(233)의 상단을 연결하는 경사각(θ1)보다 더 큰 각도로 벌어지도록 안내하며,
    상기 고정볼트(210)는 드릴 공구의 체결부재에 결합할 수 있도록 상단에 마련된 생크부(2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볼트의 테이퍼부(211)는 적어도 2개의 절삭부와 플루트(Flute)가 교번적으로 형성된 드릴 비트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볼트(210)는 상기 드릴공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멍을 직접 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210)에 상기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과 함께 결합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볼트(210)에 결합되는 상기 복수 개의 고정클립(23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밖으로 노출된 상기 고정볼트(210) 부분에 결합되어 피고정물을 고정하는 와샤(251)와 너트(2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KR2020180005563U 2018-12-03 2018-12-03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Active KR200490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63U KR200490416Y1 (ko) 2018-12-03 2018-12-03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63U KR200490416Y1 (ko) 2018-12-03 2018-12-03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416Y1 true KR200490416Y1 (ko) 2019-12-02

Family

ID=6883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63U Active KR200490416Y1 (ko) 2018-12-03 2018-12-03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773A (ko) 2020-04-07 2021-10-15 이재업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411A (ko) * 2004-12-07 2006-02-17 (주)대동석재공업 다중 앵커 볼트 세트
KR20170118374A (ko) * 2016-04-15 2017-10-25 한만진 셀프태핑 나사
KR20180084379A (ko) *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연석래피드 앵커 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411A (ko) * 2004-12-07 2006-02-17 (주)대동석재공업 다중 앵커 볼트 세트
KR20170118374A (ko) * 2016-04-15 2017-10-25 한만진 셀프태핑 나사
KR20180084379A (ko) *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연석래피드 앵커 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773A (ko) 2020-04-07 2021-10-15 이재업 건축용 세트 앵커형 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5378B2 (en) Flush mount screw anchor
US9296050B2 (en) Self-undercut expansion anchor insertion system
KR200490416Y1 (ko) 복수 개의 고정용 클럽을 포함하는 앙카볼트 조립체
KR101057434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1149519B1 (ko) 개량형 지반보강봉 선단 확개형 조립체
KR102393584B1 (ko) 보강지지대가 구비된 외벽 고정용 앵커
US20120145459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KR20170125476A (ko) 앵커 볼트의 걸림홈 형성 장치
US20210087932A1 (en) Self-undercut expansion anchor system with improved cutters
KR100871684B1 (ko) 원터치형 스트롱 앙카
NO342057B1 (no) En boltfesteanordning
US20110038678A1 (en) Seismic tool assembly for use in anchor insertion
KR101252254B1 (ko) 앵커 볼트
KR102289510B1 (ko) 지지대 스크류 앵커
KR20170096665A (ko) 앙카볼트
KR200335784Y1 (ko) 앵커볼트
JP3228516U (ja) アンカー設置用治具
KR102380478B1 (ko) 뿌리형 지중 앙카볼트
US12227907B2 (en) Milling tool
KR101465328B1 (ko) 선단확장 세트 앵커
KR200271373Y1 (ko) 앵커볼트
KR100800456B1 (ko) 균열보수용 패스닝 볼트
KR101306773B1 (ko) 절삭 공구
JP2018112015A (ja) 棒材取付具
WO2017145283A1 (ja) 後施工アンカー、後施工アンカーの施工方法およびアンカーリ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12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628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1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11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