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90087Y1 -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87Y1
KR200490087Y1 KR2020190001349U KR20190001349U KR200490087Y1 KR 200490087 Y1 KR200490087 Y1 KR 200490087Y1 KR 2020190001349 U KR2020190001349 U KR 2020190001349U KR 20190001349 U KR20190001349 U KR 20190001349U KR 200490087 Y1 KR200490087 Y1 KR 200490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illing
sliding
lever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호
Original Assignee
최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호 filed Critical 최명호
Priority to KR202019000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87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21Ash-trays comprising self-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는, 상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부가 형성되고 충진부의 측면에는 충진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일측은 바디부에서 투입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투입부와 충진부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와 슬라이딩 레버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충진재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CIGARETTE BUTT WASTE MATERIAL REMOVING APPARATUS}
본 고안은 담배 꽁초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담배를 이용하고 있으나, 흡연이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는 것이 인지되고 있다. 이로 인해, 비흡연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무실 내 또는 공공장소에서는 금연이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흡연할 때는 실외의 공간을 이용해야 하는데, 대부분의 흡연장소 또는 흡연실에 비치된 쓰레기통 에는 다 피운 담배가 담뱃불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버려져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담배꽁초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안좋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148250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담배 꽁초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부가 형성되고 충진부의 측면에는 충진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된 바디부와, 일측은 바디부에서 투입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투입부와 충진부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와 슬라이딩 레버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충진재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는, 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투입 바디와, 투입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슬라이딩되는 도어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은 도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도어에 연결되어, 도어 레버의 일측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회전 도어를 개폐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름부는, 슬라이딩 레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충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거름 플레이트일 수 있다.
거름부는, 슬라이딩 레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충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개의 거름 돌부일 수 있다.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물품 보관 공간이 형성된 비품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쓰레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의 상부에 충진된 충진재에 포함된 담배 꽁초 등의 이물질을 걸러서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된 투입부에 자동으로 배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충진재를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항상 유지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상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부(12)가 형성되고 충진부(12)의 측면에는 충진재(11)에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는 투입부(20)가 형성된 바디부(10)와, 일측은 바디부(10)에서 투입부(20)의 측면에 연결되며 투입부(20)와 충진부(12)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바디부(10)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40)와, 가이드부(4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51)와 슬라이딩 레버(51)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충진재(11)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투입부(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53)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유닛(50)을 포함한다.
바디부(10)는 저면이 편평면이 형성되어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일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바디부(10)는 일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높이 방향으로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외표면에 라운드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의 상부에는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충진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충진부(12)는 바디부(10)의 상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바디부(10)의 상부에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되어 내부에는 흙 또는 흙과 모래가 혼합된 충진재(11)가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부(12)의 저면의 일부분은 후술하는 투입부(2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진부(12)의 저면의 일부분이 투입부(20)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50)의 작동 과정에서 충진재(11)에 혼합된 이물질을 투입부(20)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제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이물질 제거 유닛(50)을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충진재(11)는 흙 또는 모래 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담배 꽁초 등의 이물질이 안전하게 혼합되는 소정의 충진물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에는 투입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20)는 바디부(10)의 충진부(12)의 일측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충진재(11)에 혼합된 담배 꽁초 등의 소정의 이물질이 후술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50)에 의해 이동되어 투입되어 제거되는 부분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입부(20)는, 바디부(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 공간(21)이 형성되는 투입 바디(22)와, 투입 바디(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 공간(21)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 바디(22)는 바디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바디부(10)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디부(10)의 측면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투입 바디(22)의 투입 공간(21)은 회전 도어(24)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 개폐될 수 있다.
회전 도어(24)는 투입 공간(21)의 상부에서 투입 바디(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50)의 이동 과정에서 가이드부(40)를 따라 이동되는 도어 레버(31)의 이동 작동에 따라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도어(24)와 도어 레버(31)는 연결부(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3)는, 일측은 도어 레버(31)에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 도어(24)에 연결되어, 도어 레버(31)의 일측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도어를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3)는 회전 도어(24)와 도어 레버(31)의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 타입의 연결 라인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연결부와 연결 라인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도어 레버(31)가 가이드부(40)를 따라 이동하면 연결 라인(33)도 함께 이동되는 바, 회전 도어(24)의 일방향 회전 작동에 따라 투입 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바디부(10)에는 가이드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일측은 바디부(10)에서 투입부(20)의 측면에 연결되며 타측은 투입부(20)와 충진부(12)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바디부(1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40)가 바디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은, 이물질 제거 유닛(50)이 바디부(10)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도어 레버(31)의 슬라이딩 연동 작동에 따라 회전 도어(24)가 선택적으로 개폐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물질 제거 유닛(50)은, 가이드부(40)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51)와, 슬라이딩 레버(51)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충진재(11)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투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레버(51)는 가이드부(40)에 삽입된 상태로 바디부(10)의 상부에서 가이드부(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레버(5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가압하여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슬라이딩 레버(51)는 수작업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구동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슬라이딩 레버(51)가 자동 작동되는 것은 스텝 모터 또는 가압 실린더 등의 소정의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될 수 있다.
거름부(53)는 일측은 슬라이딩 레버(51)에 연결되고 타측은 충진부(12)의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거름부(53)는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레버(51)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거름 플레이트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거름부와 거름 플레이트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거름 플레이트(53)는 슬라이딩 레버(51)에 경사지게 돌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버(51)가 가이드부(4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 충진재(11)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으로 충진재(11)에 포함된 이물질을 투입부(20) 방향으로 이동 제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름 플레이트(53)는 충진재(11)의 표면의 일부분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충진재(1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거름 플레이트(53)는 가이드부(40)를 따라 투입부(2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충진재(11)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서 투입부(2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레버(51)는 거름 플레이트(53)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도어 레버(31)의 측면에 가압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레버(31)는 슬라이딩 레버(51)의 가압 접촉에 따라 투입부(20) 방향으로 가이드부(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33)는 도어 레버(3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바, 회전 도어(24)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도어(24)는 도어 레버(31)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는 바, 거름 플레이트(53)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된 이물질은 투입부(20)의 내부로 투입되어 안정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100)는, 바디부(10)의 상부에 충진된 충진재(11)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된 투입부(20)에 자동으로 배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여, 충진재(11)를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항상 유지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바디부(10)와 투입부(20)의 사이 위치에 거름부(53)에 접촉되는 마찰부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110)는 바디부(10)와 투입부(20)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거름부(53)에 마찰 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부재(110)는 거름부(53)에 부착된 이물질이 이탈되도록 하여, 투입부(20)의 내부에 온전하게 제거 투입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300)의 거름부는, 슬라이딩 레버(5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충진부(12)의 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개의 거름 돌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 거름부와 거름 돌부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거름 돌부(253)는 슬라이딩 레버(51)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바, 충진재(11)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과정에서 충진재(11)에 포함된 담배 꽁초 등의 이물질을 걸러서 투입부(20)에 투입되도록 하여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400)는,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물품 보관 공간이 형성된 비품 보관부(310)와,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쓰레기 저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품 보관부(310)는 바디부(1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물통 등의 비품이 수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충진재(11)에 포함된 담배 꽁초 등의 이물질이 완전 소화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 물통의 물을 이용하여 안전한 소화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의 측면에는 쓰레기 저장부(3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쓰레기 저장부(320)는 바디부(10)의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충진재에 포함되지 않은 쓰레기 등을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10)의 측면에 비품 보관부(310)와 쓰레기 저장부(320)가 각각 설치되는 바, 안전한 소화 상태를 유지하면서 주변 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바디부 11...충진재
12...충진부 20...투입부
21...투입 공간 22...투입 바디
24...회전 도어 31...도어 레버
33...연결부, 연결 라인 40...가이드부
50...이물질 제거 유닛 51...슬라이딩 레버
53...거름부, 거름 플레이트 110..마찰부재
253..거름 돌부 310..비품 보관부
320..쓰레기 저장부

Claims (5)

  1. 상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의 측면에는 상기 충진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된 바디부;
    일측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투입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부와 상기 충진부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와, 상기 슬라이딩 레버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충진재에 접촉되어 상기 이물질을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투입 바디와, 상기 투입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슬라이딩되는 도어 레버; 및
    일측은 상기 도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레버의 일측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도어를 개폐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2. 삭제
  3. 상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의 측면에는 상기 충진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된 바디부;
    일측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투입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부와 상기 충진부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와, 상기 슬라이딩 레버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충진재에 접촉되어 상기 이물질을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투입 바디와, 상기 투입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슬라이딩되는 도어 레버; 및
    일측은 상기 도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레버의 일측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도어를 개폐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충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거름 플레이트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4. 상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의 측면에는 상기 충진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된 바디부;
    일측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투입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부와 상기 충진부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와, 상기 슬라이딩 레버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충진재에 접촉되어 상기 이물질을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투입 바디와, 상기 투입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슬라이딩되는 도어 레버; 및
    일측은 상기 도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레버의 일측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도어를 개폐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름부는, 상기 슬라이딩 레버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충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개의 거름 돌부인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5. 상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진부의 측면에는 상기 충진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된 바디부;
    일측은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투입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투입부와 상기 충진부의 상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레버와, 상기 슬라이딩 레버에 연결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며 상기 충진재에 접촉되어 상기 이물질을 상기 투입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거름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투입 공간이 형성되는 투입 바디와, 상기 투입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버의 이동에 따라 가압되어 슬라이딩되는 도어 레버; 및
    일측은 상기 도어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레버의 일측 슬라이딩과 연동되어 상기 회전 도어를 개폐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물품 보관 공간이 형성된 비품 보관부; 및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쓰레기가 투입되는 쓰레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KR2020190001349U 2019-04-02 2019-04-02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90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49U KR200490087Y1 (ko) 2019-04-02 2019-04-02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349U KR200490087Y1 (ko) 2019-04-02 2019-04-02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87Y1 true KR200490087Y1 (ko) 2019-09-23

Family

ID=6806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4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90087Y1 (ko) 2019-04-02 2019-04-02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87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A (ja) * 1994-06-18 1996-01-09 Hanii Steel Kk 吸殻掻集装置
KR970005715Y1 (ko) * 1994-04-19 1997-06-11 노상완 쓰레기통을 구비한 인쇄물배포대
KR20040012436A (ko) * 2002-07-31 2004-02-11 오미숙 다기능 재떨이
KR20110138806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줄루 재떨이 장치
KR20130142858A (ko) * 2012-06-19 2013-12-30 이재범 애완동물 배변기
KR20140148250A (ko) 2013-06-21 2014-12-31 박준희 담배꽁초 처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715Y1 (ko) * 1994-04-19 1997-06-11 노상완 쓰레기통을 구비한 인쇄물배포대
JPH08248A (ja) * 1994-06-18 1996-01-09 Hanii Steel Kk 吸殻掻集装置
KR20040012436A (ko) * 2002-07-31 2004-02-11 오미숙 다기능 재떨이
KR20110138806A (ko) * 2010-06-22 2011-12-28 주식회사 줄루 재떨이 장치
KR20130142858A (ko) * 2012-06-19 2013-12-30 이재범 애완동물 배변기
KR20140148250A (ko) 2013-06-21 2014-12-31 박준희 담배꽁초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1992B1 (ja) 生ゴミの自動処理と包み装置
KR102126273B1 (ko) 담배꽁초 수거함
EP1502534A1 (de) Staubsauger mit einem durch einen Deckel verschliessbaren Staubsammelraum
KR20110009326A (ko) 친환경 쓰레기통
KR200490087Y1 (ko) 담배 꽁초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946064B1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KR101226106B1 (ko) 친환경 쓰레기통
DE19737338A1 (de) Verfahren zum Verpacken von Gefriergut, Abfall, Speiseresten und dergleichen
KR102097986B1 (ko) 공중장소용 재떨이
DE10118555C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Aschenbechern
KR20200144034A (ko) 고양이 화장실
KR200498667Y1 (ko) 쓰레기통
KR102389925B1 (ko) 정유 산업폐기물질 처리장치
CN205616029U (zh) 一种公用便利垃圾桶
CN210528611U (zh) 一种化粪池污物处理装置
CN203986088U (zh) 一种设有烟蒂处理装置烟盒
CN214216998U (zh) 一种智能垃圾亭垃圾桶安装装置
DE202005012273U1 (de) Stopfvorrichtung für Tabak
CN217937021U (zh) 鼠前进笼
KR20160139763A (ko) 담배꽁초의 자연소화기능을 가지는 재떨이
DE19919724C2 (de) Transportabler Behälter zur Aufnahme von Resten von Tabakwaren, insbesondere von Zigaretten oder Zigarren
CN210437818U (zh) 湿垃圾投掷装置
CN214772594U (zh) 一种室内装修木质材料切割机
KR101987029B1 (ko) 자동덮개구조를 갖는 암롤박스
KR200346459Y1 (ko) 휴대용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4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60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9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9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62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