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9753Y1 - 신축성 바지 - Google Patents

신축성 바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753Y1
KR200489753Y1 KR2020190000961U KR20190000961U KR200489753Y1 KR 200489753 Y1 KR200489753 Y1 KR 200489753Y1 KR 2020190000961 U KR2020190000961 U KR 2020190000961U KR 20190000961 U KR20190000961 U KR 20190000961U KR 200489753 Y1 KR200489753 Y1 KR 200489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cloth
waist
waist portion
pa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
Original Assignee
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 filed Critical 신용
Priority to KR2020190000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53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 몸체 및 허리부를 포함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는 겉감(30)과 안감(40)으로 구성되며; 상기 겉감(30)은 일측을 접어 외측 겉감(31), 내측 겉감(32) 및 겉감 접히는 부분(33)으로 구성되고, 폭방향의 날실이 길이 방향의 씨실의 신축성 보다 작거나 없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감(40)은 상기 외측 겉감(31)의 내측에 핫멜트에 의해 부착되는 외측 안감(41)과 내측 겉감(32)의 내측에 핫멜트에 의해 부착되는 내측 안감(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안감(41)과 내측 안감(42)은 신축성 소재인 심지를 이용하며; 상기 겉감의 마감 처리는 주머니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원단을 사선으로 커팅하여 해리 마감(60) 처리를 진행하여 신축성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바지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신축성 바지{Stretchable Pants}
본 고안은 신축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지의 허리부에 신축성 소재를 통하여 허리부가 늘어날 수 있으며, 신축성을 부가하는 봉제 방식과 해리 마감을 통하여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신축성 바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시 과식을 하게 되면 복부가 팽창하게 되며, 이때에는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해소하기 위하여 착용중인 바지의 허리 사이즈를 조절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청바지, 면바지 및 정장 등의 바지류는 지퍼를 적용하고 있어 허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착용자는 바지 허리띠나 단추를 풀어줌으로써 해소하게 되며, 이는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지 구입 후 착용자의 체중 증가나 감소되었을 경우에는 바지를 허리 사이즈에 맞게 수선해야 하는 바, 이는 수선비가 지출되는 경제적인 문제점과 더불어, 체중이 줄어 허리 사이즈를 줄인 바지의 경우, 후에 체중이 늘었을 때 착용하지 못하는 제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911호, 공고일 2015.04.17(이하 [특허문헌1]이라함)에서는 신축성 바지를 공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신축성 바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앞트임부가 구비되는 바지 몸체의 상단에 박음질되는 허리단을 포함하고, 바지 몸체는 신축성 있는 탄성섬유로 이루어지고, 허리단은 그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되 앞트임부와 상응하는 부위에 제1 절개부를 갖는 탄성 밴드 및 상기 탄성 밴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탄성 밴드를 감싸고, 제1 절개부에 상응하는 부위에 제2 절개부를 가지며, 신축성 있는 탄성섬유로 이루어지는 외피를 포함하고, 탄성 밴드와 외피는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함께 상기 바지 몸체에 박음질되는 것을 공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3465호, 공고일 2018.08.24.(이하 [특허문헌2]이라함)에서는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바지 착용자의 체형변화에 따라 허리단의 사이즈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바지를 제공함으로서, 과식 등으로 인한 복부팽창시 자체 신축성으로 압박감을 해소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신축시 변형되는 허릿단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허리사이즈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외관의 변형이 노출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내부에 삽입되는 밴드의 신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인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를 공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에서는 바지의 허리 내부에 탄성 밴드를 삽입하여, 허리 사이즈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나, 이는 운동복이나 캐주얼과 같은 의류에 한정되어 적용 가능할 뿐, 밴드의 밴딩작용으로 인한 주름이 발생하여 청바지, 면바지 및 정장 등의 바지류에 적용하기에는 품위가 떨어지는 문제점과 아울러, 착용시에는 탄성 밴드의 가압력에 의해 눌려진 피부 부위는 가려움이 발생하거나 피부에 주름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1911호, 공고일 2015.04.1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3465호, 공고일 2018.08.24.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간편하게 허리부가 늘어날 수 있는 바지를 제공하며, 주름이 발생하지 않으며, 봉제를 최소화 하고 사용하는 소재 종류를 줄여 생산 시간을 단축시키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신축성 바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지 몸체 및 허리부를 포함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는 겉감(30)과 안감(40)으로 구성되며; 상기 겉감(30)은 일측을 접어 외측 겉감(31), 내측 겉감(32) 및 겉감 접히는 부분(33)으로 구성되고, 폭방향의 날실이 길이 방향의 씨실의 신축성 보다 작거나 없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감(40)은 상기 외측 겉감(31)의 내측에 핫멜트에 의해 부착되는 외측 안감(41)과 내측 겉감(32)의 내측에 핫멜트에 의해 부착되는 내측 안감(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안감(41)과 내측 안감(42)은 신축성 소재인 심지를 이용하며; 상기 겉감의 마감 처리는 주머니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원단을 사선으로 커팅하여 해리 마감(60) 처리를 진행하여 신축성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안감(41)은 면과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된 혼합심지를, 내측 안감(42)은 실크 심지를 사용하며; 상기 내측 겉감(32)에 부착되는 내측 안감(42)의 두께가 외측 겉감(31)에 부착되는 외측 안감(41)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허리부의 상측인 허리부 미봉 영역(21)은 허리띠 걸이 봉제 부분(23)을 제외하고 봉제를 하지 않으며, 상기 허리부의 하측의 허리부 봉제 영역(22)에는 봉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첫째, 허리부의 겉감은 폭방향의 날실이 길이 방향의 씨실의 신축성 보다 작거나 없는 것으로 구성되어, 허리부의 가로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나며 허리부의 세로 방향인 폭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나지 않아 바지의 맵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둘째, 허리부에 신축성이 있는 안감이 핫멜트(Hot Melt)로 외측 겉감과 내측 겉감에 부착되어 겉감 내면에 간편하게 접착될 수 있고, 상기 안감을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여 허리부를 늘릴 수 있으므로, 허리 사이즈가 늘어 날 때 별도의 처리없이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고, 바지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셋째, 봉제부분을 최소화하고 해리 마감을 통하여 원단 사용을 최소화 하여 생산시간을 단축하며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바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를 따라 절취한 허리부 단면도,
도 3은 허리부의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방법 및 해리마감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옷감의 조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 소재와 해리 마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신축성 바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바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를 따라 절취한 허리부 단면도이고, 도 3은 허리부의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방법 및 해리마감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옷감의 조합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머니 소재와 해리 마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바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 몸체(10)와 허리부(20)를 포함한다.
바지 몸체(10)는, 착용자의 두 다리와 엉덩이 부분이 착용되는 부분이며, 허리부(20)는 바지 몸체(10)의 상단에 구성되어 착용자의 허리가 착용되는 부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부(20)는 바깥으로부터 안쪽 몸통 방향으로 외측 겉감(31), 외측 안감(41), 내측 안감(42), 내측 겉감(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 안감(41)과 내측 안감(42)은 신축성 소재로 구성되며, 신축성 소재는 옷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인 소재 중 일 방향 이상 신축이 가능한 것을 가리키며, 직물, 편성물 등의 원단 형태를 포함한다.
직물인 신축성 소재는 신축성 날실과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의 씨실로 직조되어 일 방향 이상 신축되는 성질을 갖는 직물을 가리킨다.
또한, 편성물인 신축성 소재는 신축성 실로 편조되어 신축되는 성질을 갖는 편성물을 가리킨다.
본 고안에서는 겉감은 폭방향의 날실이 길이 방향의 씨실의 신축성 보다 작거나 없는 것으로 구성되어, 허리부의 가로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나며 허리부의 세로 방향인 폭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나지 않아 바지의 맵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외측 안감(41)은 면과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된 혼합심지를, 내측 안감(42)은 실크 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옷의 형태 보강 및 옷의 물리적 기능을 잡아주며 신축성을 가지기만 하면 어떠한 심지(芯地)여도 상관없음은 물론이다.
상기 심지(芯地)는 옷 속에 넣어 옷의 형태를 바로 잡고 옷의 형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심지가 들어가는 용도에 따라 앞심, 등심, 어깨심, 벨트심 등으로 구분되며 기본적인 옷의 형태 보강 뿐만 아니라, 드레이프성, 촉감, 굽힘성, 비틀림 등 옷의 물리적 기능을 잡아주는 목적이 있다. 심지는 사용되는 원단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게 나뉜다.
또한,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겉감(31)과 외측 안감(41)의 두께인 제1 두께(W1)가 안쪽에 위치한 내측 겉감(32)과 내측 안감(42)의 두께인 제2 두께(W2)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있으며, 즉 내측 안감(42)이 외측 안감(41)보다 얇게 구성되며, 바깥쪽은 두껍게 안쪽은 얇게 구성되어 바지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며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외측 겉감(31), 외측 안감(41), 겉감 접히는 부분(33), 내측 안감(42), 내측 겉감(32)으로 구성되며, 안감(41,42)은 핫멜트(Hot Melt)를 통해 겉감(31,32)에 부착 되며, 겉감 접히는 부분(33)에는 안감(41,42)이 부착되지 않는다.
핫멜트(Hot Melt)는 열에 의해 용융되었다가 수초 내에 고체화되어 접착력이 발생하는 고체형 접착제인 핫멜트(Hot Melt)는 이제까지 어렵다고 여겨졌던 난접착 분야에서도 전처리나 프라이머 처리없이 접착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다양한 폭과 크기로 절단이 가능하고, 강한 접착력으로 산업용 라미네이팅 작업에 쓰이는 등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도와주고 있으며, 내열성 등의 성능면에서도 기존 접착제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이러한 핫멜트(Hot Melt)는 습기에 매우 잘 견디며 다양한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도 높아서 내구성이 뛰어나며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겉감 접히는 부분(33)을 접으면 허리부의 상측에는 봉제(縫製)부분이 없으며 허리부의 하측에만 봉제(縫製)가 되어 허리부의 가로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나며 허리부의 세로 방향인 폭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나지 않아 바지의 맵시를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허리부의 신장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제작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구성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제 방법 및 해리마감을 살펴보면, 허리부(20)의 내측(內側)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허리부(20)의 내측 겉감(32)에서 상측에는 허리부 미봉(未縫) 영역(21)에 봉제가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 하측에는 허리부 봉제(縫製) 영역(22)을 통해 봉제(縫製)가 되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허리부의 상측은 허리띠 걸이(24)를 고정하도록 허리띠 걸이 봉제(縫製) 영역(23)에만 봉제(縫製)가 되어 가로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쉽게 늘어나고 허리부의 신장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으며, 허리부의 하측은 봉제(縫製) 부분인 허리부 봉제(縫製) 영역(22)을 통해 허리부의 세로 방향인 폭 방향으로는 쉽게 늘어나지 않고 안감과의 결합을 향상시켜 바지의 맵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허리부(20) 아래쪽으로는 내측 겉감(32)을 해리 마감(60)을 통하여 마감처리를 진행하며, 상기 해리 마감(60)은 주머니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원단을 사선(斜線) 방향으로 커팅(Cutting)하고 결합하여 신축성을 부가한 해리 마감(60)을 진행하여 추가적인 원단 사용 없이, 일반적인 정장바지에서 사용하는 소재인 고시우라를 대체하고, 허리를 더 잘 잡아주는 역할과 상의와의 마찰 조절을 통해 원단 손상을 막으며 상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활동시 바지 안쪽으로 넣은 상의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진행하여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부 옷감의 조합 상태도를 살펴보면, 본 고안에서 외측 겉감(31)과 내측 겉감(32)은 같은 소재이며, 외측 겉감(31)과 외측 안감(41)은 핫멜트(Hot Melt)에 의해 부착되며, 내측 겉감(32)과 내측 안감(42)도 핫멜트(Hot Melt)에 의해 부착된다.
또한, 외측 안감(41)은 면과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된 신축성이 있는 혼합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 안감(42)은 실크 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안감(41)은 허리단 정도의 폭을 가질 수 있으며, 허리부(20)의 폭 방향 대부분에 외측 안감(41)이 놓이므로, 폭과 두께가 거의 동일한 일자 형상의 고무줄이 허리부(20)의 폭 방향 일부에 놓이는 것에 비해 허리를 제대로 잡아줄 수 있고, 착용자의 허리에 고무줄로 인한 주름 자국 및 고무줄의 가압력에 의해 눌려진 피부 부위는 가려움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허리부(20)의 겉감의 마감 처리는 바지 몸체(10)의 주머니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원단인 주머니 소재(50)를 사선으로 커팅하여 해리 마감(60) 처리를 진행하며 주머니 소재(50)가 사선으로 커팅되어 신축성을 가지며, 주머니 소재(50)를 해리 마감(60)처리 원단으로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의 종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신축성 바지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10 : 바지 몸체
20 : 허리부
21 : 허리부 미봉 영역
22 : 허리부 봉제 영역
23 : 허리띠 걸이 봉제 부분
24 : 허리띠 걸이
30 : 겉감
31 : 외측 겉감
32 : 내측 겉감
33 : 겉감 접히는 부분
40 : 안감
41 : 외측 안감
42 : 내측 안감
50 : 주머니 소재
60 : 해리 마감
W1 : 제1 두께
W2 : 제2 두께

Claims (3)

  1. 바지 몸체 및 허리부를 포함하는 바지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는 겉감(30)과 안감(40)으로 구성되며;
    상기 겉감(30)은 일측을 접어 외측 겉감(31), 내측 겉감(32) 및 겉감 접히는 부분(33)으로 구성되고, 폭방향의 날실이 길이 방향의 씨실의 신축성 보다 작거나 없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감(40)은 상기 외측 겉감(31)의 내측에 핫멜트에 의해 부착되는 외측 안감(41)과 내측 겉감(32)의 내측에 핫멜트에 의해 부착되는 내측 안감(42)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안감(41)과 내측 안감(42)은 신축성 소재인 심지를 이용하며;
    상기 외측 안감(41)의 신축성 소재는 면과 폴리에스테르가 혼합된 혼합심지를, 내측 안감(42)의 신축성 소재는 실크 심지를 사용하며;
    상기 내측 겉감(32)에 부착되는 내측 안감(42)의 두께가 외측 겉감(31)에 부착되는 외측 안감(41)의 두께보다 얇게 구성되며;
    상기 겉감의 마감 처리는 주머니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원단을 사선으로 커팅하여 해리 마감(60) 처리를 진행하여 신축성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바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부의 상측인 허리부 미봉 영역(21)은 허리띠 걸이 봉제 부분(23)을 제외하고 봉제를 하지 않으며, 상기 허리부의 하측의 허리부 봉제 영역(22)에는 봉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바지.
KR2020190000961U 2019-03-08 2019-03-08 신축성 바지 Active KR200489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61U KR200489753Y1 (ko) 2019-03-08 2019-03-08 신축성 바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61U KR200489753Y1 (ko) 2019-03-08 2019-03-08 신축성 바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53Y1 true KR200489753Y1 (ko) 2019-08-01

Family

ID=6758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961U Active KR200489753Y1 (ko) 2019-03-08 2019-03-08 신축성 바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5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651Y1 (ko) * 2004-01-19 2004-04-28 김종남 매직 바지
JP3100491U (ja) * 2003-09-17 2004-05-20 糸井 彰英 絹帯芯
KR101450047B1 (ko) * 2013-04-18 2014-10-14 아화텍스타일(주) 주름 없는 바지와 치마의 허릿단 벨트구조
KR101511911B1 (ko) 2014-08-13 2015-04-17 감순이 신축성 바지
KR101752356B1 (ko) * 2015-07-17 2017-07-11 유이샤이닝 주식회사 허리가 늘어나는 바지
KR101883465B1 (ko) 2016-12-30 2018-08-24 김민지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491U (ja) * 2003-09-17 2004-05-20 糸井 彰英 絹帯芯
KR200348651Y1 (ko) * 2004-01-19 2004-04-28 김종남 매직 바지
KR101450047B1 (ko) * 2013-04-18 2014-10-14 아화텍스타일(주) 주름 없는 바지와 치마의 허릿단 벨트구조
KR101511911B1 (ko) 2014-08-13 2015-04-17 감순이 신축성 바지
KR101752356B1 (ko) * 2015-07-17 2017-07-11 유이샤이닝 주식회사 허리가 늘어나는 바지
KR101883465B1 (ko) 2016-12-30 2018-08-24 김민지 허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바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9150B2 (en) Trousers with multilayer internal abdominal support panels
US8601615B2 (en) Shirt hold-down undergarment
JP4416793B2 (ja) ショーツ、水着等の衣料
ES2753898T3 (es) Prendas de vestir para la parte superior e inferior del torso que tienen una banda mejorada
EP3445196B1 (en) Trim piece for an apparel item
KR101938443B1 (ko) 의복
US8146172B2 (en) Method for creating garment cuffs with stretch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US20180255854A1 (en) Garment with integrated reinforcement panel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7186829A (ja) 衣料および衣料の製造方法
JP4261791B2 (ja) 伸縮性衣類
KR101752356B1 (ko) 허리가 늘어나는 바지
US4146934A (en) Curved finishing band for garments
US20200375273A1 (en) Woven stretch pants with longer wear inner thigh assembly
KR200489753Y1 (ko) 신축성 바지
JP3777464B2 (ja) ヒップアップ用スラックス
US20100251463A1 (en) Butterfly Panty
US2079398A (en) Trousers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00192304A (ja) ウエスト調節機能付衣料品
JP3207989U (ja) 衣類
JP4601981B2 (ja) 下衣
CN110432564A (zh) 一种多功能拼接打底裤及其制作工艺
CN220079388U (zh) 一种降低摩擦异物感的裤子牢固缝制结构
JP7510014B2 (ja) 下肢に着用されるベルトが設けられた衣類を実現する方法、及び、ベルトが設けられた関連する衣類
JP3790374B2 (ja) パンツ
KR200402390Y1 (ko) 허리사이즈 조절용 주름고무밴드가 부착되어 신축성 및유연성이 향상된 바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3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5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7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