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9627Y1 -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27Y1
KR200489627Y1 KR2020190002362U KR20190002362U KR200489627Y1 KR 200489627 Y1 KR200489627 Y1 KR 200489627Y1 KR 2020190002362 U KR2020190002362 U KR 2020190002362U KR 20190002362 U KR20190002362 U KR 20190002362U KR 200489627 Y1 KR200489627 Y1 KR 200489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gmented reality
guest
host terminal
ho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진
정상철
Original Assignee
황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진 filed Critical 황영진
Priority to KR2020190002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27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 상호간에 증강현실 콘텐츠를 동기화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호스트 단말을 이용하여 게스트 단말에 실행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여 교육 효율을 향상시키는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게스트 단말 및 호스트 단말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공유, 동기화 및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교육 내용 이해도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은 호스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으로 게스트 단말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학생이나 관람객을 상대로 집중도 있는 수업이나 안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Multiplayer education system using augment reality}
본 고안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 상호간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동기화시켜 디스플레이하거나, 호스트 단말을 이용하여 게스트 단말에 실행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하여 교육 효율을 향상시키는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R(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은 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이음새 없이(seamless) 실시간으로 혼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몰입감과 현실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는 학생들에게 몰입감을 높일 뿐만 아니라 교육 내용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0020051호에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교육용 보드게임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상기 공개특허는 객체에 특정 패턴을 부착하고, 상기 패턴의 위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의 위치, 방향, 인식 번호가 획득되며, 상기 획득된 정보가 제어부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부에 보이는 가상 객체를 조작하여 보드게임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7-0015261호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스마트 보드 시스템 및 증강현실 교육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개특허는 학습자가 전자장치(단말기)를 이용하여 보드 상에 부착된 기호나 숫자 등을 촬상하여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증강현실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증강 현실 콘텐츠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공개특허들은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에 증강현실을 독자적으로 시연하고 있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공개특허와 같이 콘텐츠를 다수의 학생이나 관람객들이 각각 시연할 경우 자칫 수업의 집중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선생님이나 가이드가 다수의 학생이나 관람객을 상대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좀 더 세밀하게 시연하여 이해도를 높이기에는 한계가 많다.
본 고안은 선생님이나 가이드가 다수의 학생이나 관람객을 상대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시연하여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선생님이나 가이드가 다수의 학생이나 관람객과 증강현실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동기화하여 교육 내용 이해도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선생님이나 가이드가 다수의 학생이나 관람객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어하여 교육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상에서 본 고안은
증강현실 에이전트가 설치되며, 교재나 교구에 형성된 마커를 촬영하여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게스트 단말 ;
증강현실 에이전트가 설치되며, 교재나 교구에 형성된 마커를 촬영하여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스트 단말 ; 및
상기 게스트 단말 및 호스트 단말과 온라인으로 접속되며, 상기 호스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게스트 단말에서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 및 이를 동기화하여 게스트 단말이나 호스트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게스트 단말 및 호스트 단말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공유, 동기화 및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교육 내용 이해도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은 호스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으로 게스트 단말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학생이나 관람객을 상대로 집중도 있는 수업이나 안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은 게스트 단말(10), 호스트 단말(20) 및 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상기 게스트 단말(10)은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증강현실 에이전트(어플)를 다운받아 이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다.
상기 게스트 단말의 사용자로는 학생, 교육생, 관람객, 고객(이하, 학생)등 일 수 있고, 상기 호스트 단말의 사용자로는 강사, 학교 선생님, 안내자, 판매자(이하 강사) 등 일수 있다.
상기 게스트 단말(10)은 교재나 교구 등에 형성되거나 부착된 마커(marker)를 촬영하면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게스트 단말(10)과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안경 등 증강현실을 디스플레이하는 장비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게스트 단말(10)은 카메라부(11), 디스플레이부(12), 제어프로세서(13), 저장부(14) 및 통신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부(11)는 제어 프로세서(13)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인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카메라부(11)는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카메라부(11)에 의해서 촬영되는 피사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미 촬영된 이미지 파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는 카메라부(11)에 의해서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증강현실 콘텐츠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프로세서(13)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프로세서(13)는 게스트 단말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관리, 각종 주변 기기 관리, 전원관리, 애플리케이션 관리, 애플리케이션 실행 등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저장부(14)는 카메라부(11)에 의해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서버(30)로부터 다운로드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통신부(15)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모듈로서 WiFi, 지그비, 적외선 통신, NFC, 블루투스 등 통한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재나 교구에 대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선생님, 강사, 안내자, 판매자 등이 특정 내용을 설명하거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교재나 교구로 책이나 칠판, 설명을 위해 제작된 물품, PPT, 팜플렛, 안내서 등일 수 있다.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상기 관리서버(30)로부터 증강현실 에이전트(어플)를 다운받아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이다.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교재나 교구 등에 형성되거나 부착된 마커(marker)를 촬영하면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증강현실 콘텐츠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며(증강현실 실행 화면),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상기 게스트 단말(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카메라부, 디스플레이부, 제어프로세서, 저장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술한 게스트 단말(10)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상기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제어명령을 요청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단말(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수업이나 안내 설명에 참여하는 게스트 단말의 선정, 교재나 교구 선정, 선정된 게스트 단말의 증강현실 콘텐츠 제어나 동기화, 지시문구나 쪽지시험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증강현실 실행 화면을 모두 표시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측면이나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트 단말(20)은 증강현실 실행 화면과 인터페이스 (실행)화면을 구분되는 웹페이지실행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호스트 단말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40)은 호스트 단말의 사용자인 강사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40)은 상기 관리서버와 온라인 또는 인트라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관리서버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나 어플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의 사용자는 상기 관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게스트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게스트 단말 및 호스트 단말과 온라인 또는 인트라넷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며,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의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게스트 단말에서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 및 이를 동기화하여 게스트 단말이나 호스트 단말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30)는 통신부(31), 프로세서(32), 저장부(33), 프론트-엔드 모듈(Front-end module)(34) 및 백-엔드 모듈(Back-end module)(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1)는 상기 호스트 단말, 관리자 단말, 및 게스트 단말과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공지된 통신모듈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33)는 복수의 증강현실 콘텐츠(a)를 저장한다.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Front-end module)(35)은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을 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Front-end module)(35)은 상기 프로세서(32)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엔드 모듈(Front-end module)(35)은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에서 이루어지는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며, 상기 프로세서(33)는 수용된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에 따라 게스트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33)는 호스트 단말(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수업에 참여하는 게스트 단말, 교재나 교구, 증강현실 콘텐츠 제어나 동기화, 지시문구나 쪽지시험 전송 등의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게스트 단말의 선정, 교재나 교구, 증강현실 콘텐츠 제어나 동기화, 지시문구나 쪽지시험 전송 등의 명령을 백-엔드 서버 모듈(Back-end serve module)(35)을 처리하여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백-엔드 서버 모듈(Back-end serve module)(35)은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에 따라 수업 참여가 허락된 게스트 단말에 증강현실 콘텐츠나 해당 수업에 관한 어플을 실행 내지 종료시키거나 각각의 게스트 단말의 어플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모듈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백-엔드 서버 모듈(Back-end serve module)(35)은 각 게스트 단말의 실행화면을 설정시간(예를 들면, 1초 간격)마다 수집하여(스크린샷으로 수집) 상기 저장부(32)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33)는 상기 스크린샷을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엔드 서버 모듈(Back-end serve module)(35)은 각 게스트 단말에서 수행된 쪽지시험이나 테스트 결과를 수집하고 상기 저장부(32)에 저장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33)는 쪽지시험이나 테스트 결과를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은 게스트 단말의 화면 상태뿐만 아니라 교육 성과에 따른 점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엔드 모듈은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게스트 단말에서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 및 동기화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이나 호스트 단말에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에서 실행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보여준다.
먼저, 상기 게스트 단말은 상기 호스트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업 참여가 허락되고, 증강현실 콘텐츠를 다운받아 이를 실행한다. 관리자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관리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의 수업참여가 허락되면,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은 증강현실 콘텐츠를 다운받아 이를 실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관리자 단말 없이 호스트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증강현실 콘텐츠 실행 화면을 각각 화면(페이지)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기재한다.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이 교재(A, B)에 부착된 마커(b)를 촬영하는 경우 마커 b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콘텐츠(a)를 촬영된 교재(A, B)와 함께 증강현실 콘텐츠를 중첩하여 각각의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상기 호스트 단말의 강사가 블록의 설명을 위해 증강현실 콘텐츠(a)를 터치하여 거꾸로 회전시키거나(도 4) 블록을 분리할 수 있다(도 5).
이 경우, 호스트 단말의 제어부는 강사의 터치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상기 증강 현실 콘텐츠를 회전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호스트 단말의 제어부는 강사에 의해 회전된 증강현실 콘텐츠의 변화된 위치 좌표, 회전 각 등을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는 백-엔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를 게스트 단말의 사용자의 터치없이도 동기화시켜 회전 내지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은 호스트 단말의 증강현실 콘텐츠가 콘트롤된 경우, 게스트 단말의 실행화면 중 카메라부에 의해서 촬영된 이미지(예를 들면, 교재(B))는 그대로 유지한 채로 증강현실 콘텐츠만 호스트 단말과 동일하게 변형(동기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호스트 단말에서 증강현실 콘텐츠의 제어가 있으면, 게스트 단말은 호스트 단말의 실행화면(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증강현실 콘텐츠)과 동일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보여준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이 교재(A, B)에 부착된 마커(b)를 촬영하는 경우 마커 b에 대응되는 증강현실 콘텐츠(a)를 촬영된 이미지(예를 들면 교재(A, B)와 함께 증강현실 콘텐츠를 중첩하여 각각의 단말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어서, 상기 호스트 단말의 강사가 블록의 설명을 위해 증강현실 콘텐츠(a)를 터치하여 블록을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의 제어부는 강사의 터치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블록 일부를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호스트 단말의 제어부는 강사에 의해 변형된 증강현실 콘텐츠의 실행화면(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인 교재 A+증강현실 콘텐츠)을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관리서버는 백-엔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실행 화면을 전송된 호스트 단말의 실행화면(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인 교재 A+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시스템은 호스트 단말이나 관리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단말에서 게스트 단말로의 콘텐츠의 동기화(도 4와 도 5) 내지 화면 전환(도 6)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은 특정 게스트 단말에서 호스트 단말 내지 다른 게스트 단말로의 콘텐츠의 동기화 내지 화면 전환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사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특정 게스트 단말에 동기화 권한이나 화면 전환 권한을 주는 경우, 특정 게스트 단말(예를 들면, 제 1 게스트 단말)에서 증강현실 콘텐츠가 콘트롤되는 경우, 본 고안의 시스템은 호스트 단말이나 다른 게스트 단말들(예를 들면, 제 2 게스트단말 내지 n 게스트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 1 게스트 단말과 동일하게 변형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시스템은 관리서버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단말과 게스트 단말과의 콘텐츠를 동기화하여 강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시스템은 호스트 단말뿐만 아니라 권한을 가지게 되는 게스트 단말에서 콘트롤한 증강현실 콘텐츠나 디스플레이 화면에 터치하여 필기하거나 드로잉한 내용을 호스트 단말이나 또 다른 게스트 단말들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관리서버를 통해 상기 게스트 단말 및 호스트 단말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공유, 동기화 및 제어할 수 있으므로 교육 내용 이해도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단순히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 및 개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고안의 범위 및 요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경, 수정 및 변형예가 가능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10 : 게스트 단말 20 : 호스트 단말
30 : 관리서버 40 : 관리자 단말

Claims (3)

  1. 증강현실 에이전트가 설치되며, 교재나 교구에 형성된 마커를 촬영하여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게스트 단말 ;
    증강현실 에이전트가 설치되며, 교재나 교구에 형성된 마커를 촬영하여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와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스트 단말 ; 및
    상기 게스트 단말 및 호스트 단말과 온라인으로 접속되며, 상기 호스트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게스트 단말에서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 및 이를 동기화하여 게스트 단말이나 호스트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호스트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는 프런트-엔드 모듈 ;
    상기 프런트-엔드 모듈로부터 호스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게스트 단말에서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 및 이를 동기화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이나 호스트 단말에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백-엔드 모듈 ; 및
    상기 프런트-엔드 모듈과 백-엔드 모듈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교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호스트 단말과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 단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교육 시스템.
  3. 증강현실 에이전트가 설치되며, 교재나 교구에 형성된 마커를 촬영하여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이상의 게스트 단말 ;
    증강현실 에이전트가 설치되며, 교재나 교구에 형성된 마커를 촬영하여 상기 마커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콘텐츠와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호스트 단말 ; 및
    상기 게스트 단말 및 호스트 단말과 온라인으로 접속되며, 상기 호스트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게스트 단말에서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 및 이를 동기화하여 게스트 단말이나 호스트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호스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는 프런트-엔드 모듈 ;
    상기 프런트-엔드 모듈로부터 수신받은 호스트 단말의 인터페이스 제어명령을 수용하여 상기 게스트 단말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이나 게스트 단말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받은 촬영된 이미지와 콘트롤된 증강현실 콘텐츠를 상기 게스트 단말이나 호스트 단말에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백-엔드 모듈 ; 및
    상기 프런트-엔드 모듈과 백-엔드 모듈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멀티 플레이 교육 시스템.
KR2020190002362U 2019-06-11 2019-06-11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Active KR200489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62U KR200489627Y1 (ko) 2019-06-11 2019-06-11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62U KR200489627Y1 (ko) 2019-06-11 2019-06-11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834 Division 2018-0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27Y1 true KR200489627Y1 (ko) 2019-07-12

Family

ID=6722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362U Active KR200489627Y1 (ko) 2019-06-11 2019-06-11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87A (ko) 2021-06-04 2022-12-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4289A (ko) 2021-06-04 2022-12-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 시각화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지식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4290A (ko) 2021-06-04 2022-12-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관련 지식 측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25A (ko) * 2009-10-08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6298A (ko) * 2009-12-11 2011-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형 혼합현실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협력형 혼합 현실 서비스방법
KR101479410B1 (ko) * 2013-07-08 2015-01-06 지승환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16224810A (ja) * 2015-06-02 2016-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7002473A1 (ja) * 2015-06-30 2017-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6466A (ja) * 2015-07-02 2017-01-19 富士通株式会社 端末制御方法、画像生成方法、端末制御プログラム、及び端末
KR20170082907A (ko) * 2016-01-07 2017-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425A (ko) * 2009-10-08 2011-04-14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 환경에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6298A (ko) * 2009-12-11 2011-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협력형 혼합현실 서버, 단말기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협력형 혼합 현실 서비스방법
KR101479410B1 (ko) * 2013-07-08 2015-01-06 지승환 완구 부착형 애드온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16224810A (ja) * 2015-06-02 2016-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
WO2017002473A1 (ja) * 2015-06-30 2017-0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6466A (ja) * 2015-07-02 2017-01-19 富士通株式会社 端末制御方法、画像生成方法、端末制御プログラム、及び端末
KR20170082907A (ko) * 2016-01-07 2017-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4287A (ko) 2021-06-04 2022-12-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4289A (ko) 2021-06-04 2022-12-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 시각화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지식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64290A (ko) 2021-06-04 2022-12-1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천식 관련 지식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en et al. Augmented reality: An overview and five directions for AR in education
Yuen et al. Augmented reality and education: Applications and potentials
KR101692335B1 (ko)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KR200489627Y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교육 시스템
Bowman et al. Evaluating effectiveness in virtual environments with MR simulation
WO2017186001A1 (en) Education system using virtual robots
JP6683864B1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CN108805766B (zh) 一种ar体感沉浸式教学系统和方法
US12327490B2 (en) Content provision system, content provision method, and content provision program
Barkatov et al. New effective aid for teaching technology subjects: 3D spherical panoramas joined with virtual reality
Greenwood et al.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learning: theoretical foundations and implementation
Pantelić et al.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a practical approach
CN112331001A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教学系统
KR20160005841A (ko) 모션인식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반응형 인체학습시스템
Patil et al. E-learn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JP7465736B2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Laviole et al. Nectar: Multi-user spatial augmented reality for everyone: three live demonstrations of educative applications
Parashar Augmented Reality a New Era in Education
Marques et al. An overview of teaching a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course at postgraduate level for ten years
JP6733027B1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CN210072615U (zh) 一种沉浸式教练系统及可穿戴设备
JP6892478B2 (ja) コンテンツ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制御プログラム
JP6535801B1 (ja) 拡張現実表示システム、拡張現実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2647B1 (ko) 아동용 ict 활용 스토리 과학실험교재
Hrad et al. NEWTON-Vision and Reality of Future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04834

Filing date: 201801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7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