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58Y1 - A protruding scrubber - Google Patents
A protruding scrub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9458Y1 KR200489458Y1 KR2020180000114U KR20180000114U KR200489458Y1 KR 200489458 Y1 KR200489458 Y1 KR 200489458Y1 KR 2020180000114 U KR2020180000114 U KR 2020180000114U KR 20180000114 U KR20180000114 U KR 20180000114U KR 200489458 Y1 KR200489458 Y1 KR 20048945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body portion
- present
- cleaning liquid
- piec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2—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 A46B7/023—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 an expanding or articulating manner where the bristle carrier retracts or collapses, i.e. for storag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92—Bristles having split ends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33—Household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in the house or dish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돌기형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복수지점에 연장된 브러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쉬부 각각은 복수의 브러쉬편이 일정형태를 이루면서 분기되는 구조로 되어, 복수의 브러쉬편 사이에 세정액 거품이 유지되고 브러쉬편의 첨단부가 눌러붙은 음식물찌꺼기에 직접 맞닿아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식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ruding type scrubber, comprising a body portion and a brush portion extending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body portion, wherein each of the brush portions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rush pieces are branch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cleaning liquid bubbles are retained between the bristles and the leading edge of the brush piece is directly abutted against the pressurized food waste to clean the tableware.
Description
본 고안은 돌기형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 표면을 따라 복수의 브러쉬부가 돌출되어 식기를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돌기형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ruding type scrubbing br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truding type scrubbing brush in which a plurality of brush portions are protruded along one side surface, so that a tableware can be conveniently cleaned.
일반적으로, 수세미는 대부분 가정에서 싱크대에 구비되는 필수품으로 세정액을 묻혀서 식기를 세척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세미는 식기에 따라 스테인리스 제품을 세척하는 철 수세미, 기름이 묻은 식기를 세척하는 아크릴 수세미, 코팅 용기나 사기 그릇을 세척하는 스펀지 수세미, 서도 다른 재질을 결합한 이종결합 수세미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Generally, a scrubbing brush is a necessity which is installed in a sink at home, and is used to clean a tableware with a cleaning liquid. These scrubbers can be divided into iron scourers to clean stainless steel products, acrylic scourers to clean dishware with oil, sponge scourers to clean coating containers or scoop dishes, and hybrid scouring pads combined with other materials.
스펀지 수세미는 내부로 세척액이 스며들어 오랫동안 거품이 유지되는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식기에 눌어붙은 이물질이나 기름기를 제거하기 어려워 세척력의 한계가 있다. 철 수세미는 식기에 눌어붙은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식기면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세정액의 거품이 오랫동안 머물러 있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Sponge scrubbing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ashing liquid penetrates into the inside and the foam is retained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imitation in cleaning ability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matter or grease stuck to the tableware. Iron scouring can easily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tableware, but it can damage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and the bubble of the cleaning liquid can not stay for a long time.
한편, 아크릴 수세미는 스펀지 수세미에 비하여 식기에 묻은 기름기를 쉽게 세척할 수 있으나, 시간에 지남에 따라 표면이 마모되어 세척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cryl scrubber can easily clean the grease on the dishware compared with the sponge scrubber bu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surface is worn over time and the washing power is rapidly deteriorated.
공개특허공보 2013-0105590(특허문헌1)에서는 전면을 따라 높이가 서로 다른 제1,2 돌기가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돌기 수세미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 수세미는 표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척시 이물질이 돌기 사이에 쉽게 끼이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물질과 함께 오염된 세정액이 수세미 표면에 머물게 됨으로써 수세미 자체를 청결하게 유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0105590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rojection woven material made of a silicon material having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along the front surface. Since the protrusion wool is not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on the surface thereof, the foreign matter easily fits between the protrusions during cleaning, and it is not only difficult to remove foreign matter, but also the contaminated cleaning liquid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wipe so as to keep the wool itself clean .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20-0476495(특허문헌2)에서는 양측면 표면을 따라 돌기형 세척모가 구비되고, 양표면과 통공된 내부공간부에 세정액이 채워진 수세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2의 수세미는 양면에 모두 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세정액이 채워져 있어서 필요시마다 일정량의 세정액을 인출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으나, 세정액이 인출되는 통공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부에 보관되는 세정액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In addition, in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76495 (Patent Document 2), a protrusion-type cleaning hair is provided along both side surfaces, and a wool with both surfaces and an inner space portion being perforated filled with a cleaning liquid is disclosed. In the wool of Patent Document 2,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cleaning liquid is filled in the inside, so that a certain amount of the cleaning liquid can be drawn out to clean the dishes. However, since foreign substanc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drawn o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cleaning liquid container may be contaminated.
또한, 일본공개특허 2003-325409(특허문헌3)에서는 수세미 본체의 중심부에 돌기형 브러쉬가 부착된 브러쉬 부착 수세미가 개시되어 있는데, 브러쉬가 부착된 중심부가 관통되는 구조로 되어 그 관통홀을 통해 세정액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03-325409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brush-attached wool having a protruding brush attached to the center of a scrubbing body. In this structure, a central portion with a brush is passed therethrough, This is a wasted problem.
한편, 특허문헌1,2,3의 수세미는 돌기 선단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식기의 모서리부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wools of Patent Documents 1, 2, and 3, the projecting tip is formed as a flat surface, and there is a limit to cleanly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corner of the tableware.
삭제delete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세미의 표면에 이물질이 쉽게 빠지는 구조로 되어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돌기형 수세미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truding type detergent which can be kept clean at all times by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surface of the detergent.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브러쉬부의 선단에 형성된 첨단부를 통해 식기의 모서리 등에 부착되어 세척이 어려운 이물질과 직접 맞닿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돌기형 수세미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truding type scrubber which is attached to the edge of a tableware through a tip portion formed at the tip of a brush portion and is directly in contact with a foreign substance which is difficult to clean and can be cleanly rem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복수지점에 연장된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부는 각각 복수의 브러쉬편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브러쉬편은 하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부가 분리 형성된 돌기형 수세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ush device comprising a body part and a brush part extending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body part, wherein each of the brush parts has a plurality of brush pieces, Shaped rubbing wool.
상기 몸체부는 상기 브러쉬부가 형성되는 중심부에 각각 관통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have a through-hole formed in a center portion where the brush portion is formed.
상기 브러쉬편은 각각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고, 상부 선단에 첨단부가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each of the brush pieces has a downwardly projecting sidewall structure and a tip end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몸체부는 상하부면에 각각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되고, 하부면을 따라 일정 패턴으로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may have rib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reof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the anti-slip tabs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long the lower surface.
상기 몸체부에 이음줄을 통해 연결되고 벽면에 부착가능한 거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a mount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through a seam and being attachable to a wall surf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돌기형 수세미에 의하면, 식기세척시 복수의 브러쉬편 사이에 세정액 거품이 유지되고 브러쉬편의 첨단부가 눌어붙은 음식물찌꺼기에 직접 맞닿으면서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식기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hwashing liquid is cleaned, the cleaning liquid bubbles are held between the brush pieces and the tip of the brush piece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food waste residue, .
또한, 본 고안의 돌기형 수세미는 식기세척 후 헹굼시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음식물찌꺼기나 오염세정액이 용이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수세미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수세미를 삶아서 살균 및 소독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type scrubb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keeping food wastes and contaminated cleaning liquid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grooves formed in the body part when rinsing after washing dishes, so that the detergent can be kept clean, It can be process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의 배면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sion w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jection wool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rojection wa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view of the projection w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projection w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trusion w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rotrusion w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돌기 수세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와, 상기 몸체부(20)의 복수지점에 연장된 브러쉬부(30)로 이루어져 있다.1 and 2, the
상기 몸체부(20)는 전면에 상기 브러쉬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쉬부(30)가 형성되는 부분 중심에 관통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홈(22)은 각각의 브러쉬부(30) 사이에 형성되어 헹굼시 세정 거품이 배출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The
그리고, 몸체부(20)는 원형구조, 타원형구조, 4각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실리콘(Silicon) 재질로 하여 브러쉬부(30)와 함께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The
또한, 몸체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배면에 리브(24)가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 미끄럼방지턱(26)이 일정패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24)는 상기 몸체부(20)를 폭방향으로 접을 때 사용자에게 그립감을 부여하는 한편, 접히는 몸체부(20)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물론 리브(24)는 도면에서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3 and 4,
상기 미끄럼방지턱(26)은 상기 리브(24)를 기준으로 몸체부(20)의 양측에 각각 트랙 타입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물론, 미끄럼방지턱(26)은 트랙 타입으로 연장되지 않고, 복수개로 분리되어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몸체부(20)에 따라 그 패턴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slip-
한편, 몸체부(20)의 일측부에 연결홈(28)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거치부(40)와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브러쉬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0)의 전면에 연장되어 돌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부(30)는 복수의 브러쉬편(32)이 일정형태를 이루면서 분기되도록 되어 있다. 즉 브러쉬부(30)는 복수의 브러쉬편(32)의 하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부가 분리되어 일정형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브러쉬편(32)은 각각 하광상협 구조로 되어 있고, 상부 선단에 첨단부가 형성되어 세척식기의 모서리 등에 부착된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그리고, 상기 브러쉬부(30)는 1개를 기준으로 하부가 원통형으로 복수의 브러쉬편(32)이 연장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몸체부(20)의 관통홈(22)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브러쉬편(32)은 그 사이공간을 통해 세정액의 거품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브러쉬부(30)는 복수의 브러쉬편(32)이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시 이물질이 끼이더라도 용이하게 배출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A plurality of
한편, 브러쉬부(30)은 브러쉬편(32)의 높이가 몸체부(2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러쉬편(32)는 세척시 식기면에 닿을 때 충분한 탄성을 지닐 정도의 두께나 폭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첨단부가 식기표면에 닿을 때 충분히 세척 가능하게 소정의 마찰력을 지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한편, 상기 몸체부(20)의 연결홈(28)에 이음줄(42)을 통해 연결되는 거치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40)는 싱크대에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돌기형 수세미에 의하면, 몸체부(20)의 일측으로 브러쉬부(30)가 연장되어 있고, 브러쉬부(30)의 브러쉬편(32)이 일정길이를 갖고 탄성을 지니고 있으며, 브러쉬편(32)의 첨단부가 기존의 수세미로 세척이 어려운 식기의 모서리부나 홈부에 눌어붙은 이물질에 직접 맞닿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ojection type rubbing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식기세척 후 헹굼시 몸체부(20)에 형성된 관통홈(22)을 통해 음식물찌꺼기나 오염세정액이 용이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수세미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food waste and the contaminated cleaning liquid ar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돌기형 수세미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될 수 있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이나 기술적 구성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당연히 속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can be understoo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matter of course.
10 : 수세미 20 : 몸체부
22 : 관통홈 24 : 리브
26 : 미끄럼방지턱 28 : 연결홈
30 : 브러쉬부 32 : 브러쉬편
40 : 거치부 42 : 이음줄10: loofah 20: body part
22: through groove 24: rib
26: non-skid 28: connecting groove
30: Brush part 32: Brush part
40: mounting part 42:
Claims (5)
상기 브러쉬부는 각각 복수의 브러쉬편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브러쉬편은 각각 하광상협 구조를 이루면서 하부가 상호 연결되고 상부 선단에 첨단부가 분리 형성된 돌기형 수세미.
A body portion and a brush portion extending at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body portion,
The brush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brush pieces, each of the plurality of brush pieces having a lower subassembly structure and lower portions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and apices at upper ends there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몸체부는 상기 브러쉬부가 형성되는 중심부에 각각 관통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형 수세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portion is formed with a through groove at a center portion where the brush portion is formed.
상기 몸체부는 상하부면에 각각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되고, 하부면을 따라 일정 패턴으로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형 수세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body is formed with ribs in the width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a non-slip ridge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along the lower surface.
상기 몸체부에 이음줄을 통해 연결되고 벽면에 부착가능한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형 수세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mounting part connected to the body part through a seam and being attachable to the wall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114U KR200489458Y1 (en) | 2018-01-09 | 2018-01-09 | A protruding scrub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0114U KR200489458Y1 (en) | 2018-01-09 | 2018-01-09 | A protruding scrubb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9458Y1 true KR200489458Y1 (en) | 2019-06-20 |
Family
ID=6700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0114U Active KR200489458Y1 (en) | 2018-01-09 | 2018-01-09 | A protruding scrub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9458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932Y1 (en) * | 2019-05-30 | 2019-08-29 | 서우석 | scrubber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76954U (en) * | 1985-10-31 | 1987-05-16 | ||
EP0289880A2 (en) * | 1987-05-07 | 1988-11-09 | Erich Arens | Grill for constructing floor mats or shoe scrapers |
KR20000003080U (en) * | 1998-07-10 | 2000-02-15 | 박원락 | Shoe brush. |
JP2003010087A (en) * | 2000-10-31 | 2003-01-14 | Suezo Iwata | Rotary scrubbing brush for motor-driven floor polisher |
JP2003325409A (en) | 2002-05-14 | 2003-11-18 | Mac Sanko Co Ltd | Scrubbing brush with brush |
KR200443407Y1 (en) * | 2008-10-22 | 2009-02-10 | 정봉옥 | Prefabricated Bottle Washer |
KR20100035782A (en) * | 2008-09-29 | 2010-04-07 | 강덕기 | Brush and a dish washer |
KR20130105590A (en) | 2013-09-10 | 2013-09-25 | 곽경수 | Loofah |
JP2015024105A (en) * | 2013-07-24 | 2015-02-05 | 株式会社まめいた | Sliding washer |
KR200476495Y1 (en) | 2014-09-17 | 2015-03-06 | 최완성 | Scrubber |
KR101577934B1 (en) * | 2015-09-14 | 2015-12-17 | 최영진 | Vessel cleaning brush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2018
- 2018-01-09 KR KR2020180000114U patent/KR200489458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76954U (en) * | 1985-10-31 | 1987-05-16 | ||
EP0289880A2 (en) * | 1987-05-07 | 1988-11-09 | Erich Arens | Grill for constructing floor mats or shoe scrapers |
KR20000003080U (en) * | 1998-07-10 | 2000-02-15 | 박원락 | Shoe brush. |
JP2003010087A (en) * | 2000-10-31 | 2003-01-14 | Suezo Iwata | Rotary scrubbing brush for motor-driven floor polisher |
JP2003325409A (en) | 2002-05-14 | 2003-11-18 | Mac Sanko Co Ltd | Scrubbing brush with brush |
KR20100035782A (en) * | 2008-09-29 | 2010-04-07 | 강덕기 | Brush and a dish washer |
KR200443407Y1 (en) * | 2008-10-22 | 2009-02-10 | 정봉옥 | Prefabricated Bottle Washer |
JP2015024105A (en) * | 2013-07-24 | 2015-02-05 | 株式会社まめいた | Sliding washer |
KR20130105590A (en) | 2013-09-10 | 2013-09-25 | 곽경수 | Loofah |
KR200476495Y1 (en) | 2014-09-17 | 2015-03-06 | 최완성 | Scrubber |
KR101577934B1 (en) * | 2015-09-14 | 2015-12-17 | 최영진 | Vessel cleaning brush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9932Y1 (en) * | 2019-05-30 | 2019-08-29 | 서우석 | scrubb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368363A1 (en) | Self-cleaning pet grooming scrub brush | |
KR101315348B1 (en) | Improved cleansing pad | |
KR200489458Y1 (en) | A protruding scrubber | |
CN116887739A (en) | Magnetic sponge component | |
US9795266B2 (en) | Scourer having a shape-supporting body | |
KR101504826B1 (en) | Soap case | |
KR200466368Y1 (en) | Sash for cleaning brushes | |
KR101802492B1 (en) | Scrubber | |
US20150040940A1 (en) | Cleaning Pad | |
KR101620984B1 (en) | multi-function scrubber with function of bath towels | |
KR200422215Y1 (en) | Fabric scrubber | |
JP2015024105A (en) | Sliding washer | |
US20030131431A1 (en) | Cleaning implement | |
JP4699437B2 (en) | Cleaning tool | |
JP3135553U (en) | Cleaning tool | |
KR200432676Y1 (en) | Dishwashing utensils | |
JP2004073678A (en) | Cleaner | |
KR200243257Y1 (en) | a pot cleaner | |
JP2002125907A (en) | Sponge scrubbing brush | |
KR20110000452U (en) | One step cleaner | |
KR200304453Y1 (en) | Structure of a scrubbing brush | |
KR20210144323A (en) | Bathroom cleaning tools | |
KR200351059Y1 (en) | Fix a finger in a frame with scrubber | |
KR200461992Y1 (en) | Holder for pot cleaner | |
KR20110053807A (en) | Armored Scrub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10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122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906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61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