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9242Y1 - 차량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42Y1
KR200489242Y1 KR2020170006580U KR20170006580U KR200489242Y1 KR 200489242 Y1 KR200489242 Y1 KR 200489242Y1 KR 2020170006580 U KR2020170006580 U KR 2020170006580U KR 20170006580 U KR20170006580 U KR 20170006580U KR 200489242 Y1 KR200489242 Y1 KR 2004892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lange
fixed
air circulation
circula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내수
Original Assignee
(주)가나웨이브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나웨이브시스 filed Critical (주)가나웨이브시스
Priority to KR2020170006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42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통풍구에 직접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부착캡과, 상기 부착캡에 연결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회전홀더에 포함되는 가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회동가능한 조립부재와, 상기 조립부재에 연결되며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부재의 내측에 방향제를 삽입하여 스마트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대와 방향제를 일체화시킨 것으로, 상기 장착부재에 공기순환공을 형성하여 통풍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장착부재를 통해 조립부재로 유입되어 전면을 통해 향을 발산하므로 구성은 간소화하고 향의 발산효과는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 {PORTABLE HOLDER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형성된 통풍구에 장착되는 차량용 거치대의 조립부재의 내측에 방향제를 내삽하여 스마트기기를 거치함과 동시에 방향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기기는 전화통화는 물론 영화감상, 음악감상, 인터넷서핑, 사진촬영,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여러 분야에서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스마트기기를 차량용 네비게이션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스마트기기에는 GPS가 내장되어 있고, 각 통신사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성능 좋은 네비게이션 앱까지 다운로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차량용 네비게이션에는 티팩 등 별도의 서비스 신청을 해서 이용해야 하는 실시간 교통상황 적용기능도 스마트폰용 네비게이션앱에서는 기본으로 쓸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네비게이션 대신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증가되는 추세이고 그로인해 함께 성장하고 있는 액세서리시장이 바로 차량용 거치대 시장이다.
종래의 차량용 거치대는 자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배터리 뒷면만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차량이 노면의 요철 등과 같은 굴곡이 심한 도로를 주행할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스마트폰이 거치대에서 떨어지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치대의 본체의 저면에 흡착판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유리나 자동차의 대시보드에 부착하여 사용하였으나, 흡착판이나 접착제는 한번 거치를 하게 되면 스마트폰의 각도를 조정하기 어렵고, 흡착판이나 접착제를 제거하였을 경우에는 유리나 대시보드에 자국이 남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통풍구를 통해 배출되는 바람이 방향제를 통과하여 방향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통풍구에 결착하는 방향제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통풍구에 스마트폰 거치대와 방향제를 각각 설치할 경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거치대와 방향제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서, 방향제를 거치대와 일체화한 발명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공보 제10-2017-0022469호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통풍구에 거치대를 장착하여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치대에 포함된 조립부재 내에 방향제를 삽입하여 통풍구에서 배출되는 바람으로 거치대의 전방을 향해 퍼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통풍구에 직접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부착캡과, 상기 부착캡에 연결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회전홀더에 포함되는 가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회동가능한 조립부재와, 상기 조립부재에 연결되며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캡에 포함된 제1공기순환공과 상기 회전홀더에 형성된 제2공기순환공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기순환공과 제2공기순환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장착부재의 내측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립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홀더의 하우징이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선단에는 마감용캡이 조립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상기 조립부재의 상단에는 볼죠인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조인트고정부가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내삽되고 고정되는 상기 회전홀더와 마감용캡의 사이에는 방향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캡은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로부터 배면으로 돌출되며 루버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결착부와, 상기 결착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루머에 밀착되는 돌기와, 상기 제1플랜지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1공기순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홀더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선단에 위치하며 조립부재에 내삽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플랜지의 후단에 형성되며 사각의 판재형상으로 결착부의 내측에 형성된 결착홈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삽입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플랜지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제1플랜지의 제1공기순환공(114)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공기순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용캡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내측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조절캡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절캡은 상기 고정캡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방향제에서 발산하는 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는 통풍구에 거치되는 장착부재내에 통공이 형성되어, 통풍구에서 배출되는 바람이 장착부재를 통해 방향제가 삽입된 조립부재의 내측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고, 방향제 전면에 설치된 마감용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방향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부재에 포함되는 부착캡을 실리콘 소재로 형성하여 상기 부착캡의 내측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회전홀더의 진동 또는 충격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부착캡의 외주면에 직각구배와 곡선구배를 형상화한 돌기가 형성되어 통풍구 루버 사이에 삽입이 용이하고 밀착이 이루어져 상기 부착캡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홀더를 가압하여 상기 회전홀더가 부착캡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포함된 부착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포함된 부착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포함된 회전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포함된 회전홀더와 조립부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방향제가 삽입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거치부재를 양쪽 측면으로 벌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를 통풍구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내 통풍구에 결합되는 장착부재(100)와, 상기 장착부재(100)와 연결되며 회전가능한 조립부재(200)와, 상기 조립부재(200)에 연결되며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300)와, 상기 조립부재(200)와 거치부재(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거치부재(3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볼죠인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통풍구에 직접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부착캡(110)과, 상기 부착캡(110)에 고정되는 회전홀더(120)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캡(11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잦은 착탈에도 마모성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탄성효과로 인해 밀착효과가 우수하며 차량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므로 상기 부착캡(110)이 통풍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착캡(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홀더(12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1플랜지(111)와, 상기 제1플랜지(111)의 내측에 위치하며 배면쪽으로 돌출된 결착부(112)를 형성한다.
상기 제1플랜지(111)는 상기 회전홀더(120)의 제2플랜지(도 5의 122)와 밀착되어 회전홀더(12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통풍구의 루버와 결착할 경우 상기 결착부(112)의 진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착부(112)는 통풍구의 틈새 규격과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한쌍으로 형성되므로 통풍구의 루버에 클립과 같이 끼워넣어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착부(112)와 마주보고 있는 다른 결착부(112)의 사이가 역구배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은 용이하나 빼내기가 수월하지 않으므로 지면이 고르지 못해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도 탈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통풍구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착부(112)의 내측에는 직선의 판재형상으로 결착홈(1121)이 형성되며, 상기 결착홈(1121)은 회전홀더(120)의 삽입판재(도 5의 123)를 내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결착홈(1121)은 상기 삽입판재(123)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억지끼워맞춤 또는 중간끼워맞춤으로 결착되어 상기 삽입판재(123)가 상기 결착홈(1121)으로부터 쉽게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착부(112)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루버에 밀착되는 돌기(113)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13)는 길이의 대략 1/3지점까지는 직각구배로 형성되어 통풍구 루버 사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로 갈수록 곡선 구배로 형성되어 삽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111)의 상측과 하측에는 제1공기순환공(114)이 형성되어 통풍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공기순환공(114)을 통해 후술되는 회전홀더(12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착캡(110)에 결합되는 회전홀더(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111)에 맞닿아 결합하는 제2플랜지(122)와, 상기 제2플랜지(122)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결착홈(112)의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판재(123)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1)은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마주보는 위치에서 한쌍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211)과, 상기 이탈방지홈(1211)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며 이탈방지홈(1211)과 다른 이탈방지홈(1211)의 사이를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홈(121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통홈(1212)에는 상기 하우징(121)이 조립부재(200)의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밀착되어 하우징(121)이 고정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가압부재(1213)가 삽입되며, 상기 가압부재(1213)와 다른 가압부재(1213)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관통홈(1212)에 내삽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프링(12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1)은 상기 부착캡(1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조립부재(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21)의 직경은 상기 조립부재(200)의 삽입홈(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21)을 가로지르는 스프링(1214)이 가압부재(1213)에 의해 가압한 상태로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1214)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213)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삽입홈(210)의 내벽을 밀어 긴밀하게 면접촉하는 미끄럼 저항을 갖음으로 상기조립부재(200)의 회전 위치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1213)는 상기 하우징(121)의 관통홈(121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헐거운끼움 형식으로 결합되어, 스프링(1214)의 탄성력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압부재(1213)의 외주면은 곡선으로 형성되어 삽입홈(210)의 내주면과 일치하여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도 6 참조).
상기 제2플랜지(122)는 상기 하우징(121)의 일단에 형성되며, 일면은 상기 조립부재(200)의 삽입홈(210)의 테두리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고, 타면은 상기 제1플랜지(111)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플렌지(122)의 직경은 상기 제1플랜지(111)의 직경 및 삽입홈(210)의 직경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플랜지(122)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제1플랜지(111)의 제1공기순환공(114)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공기순환공(1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공기순환공(114)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공기순환공(1221)을 통해 하우징(121)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의 상기 제1공기순환공(114)과 제2공기순환공(1221)은 제1플랜지(111) 및 제2플랜지(122)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공기순환공(114)과 제2공기순환공(1221)은 제1플랜지(111) 및 제2플랜지(122)의 외주면을 따라 또는 내측 등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판재(123)는 사각의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착홈(1121)에 내삽된다. 상기 삽입판재(123)는 상기 결착홈(1121)과 억지끼워맞춤 또는 중간끼워맞춤으로 결합되어 삽입판재(123)가 부착캡(110)의 결착홈(1121)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판재(123)는 실리콘재질의 부착캡(110)에 감싸지며, 부착캡(110)의 돌기(113)가 루버와 루버 사이에서 압착되는 것을 삽입판재(123)가 지지해 준다.
도 2에서, 상기 조립부재(200)는 하측에는 상기 회전홀더(120)가 고정되고, 상측에는 거치부재(300)가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조립부재(200)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홀더(120)의 하우징(121)이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0)의 반대편 선단에는 마감용캡(220)이 조립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상기 조립부재(200)의 상단에는 볼죠인트(4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조인트고정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0)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홀더(120)의 이탈방지홈(1211)을 통해 끼워질 수 있는 이탈방지돌기(211)가 형성된다.
따라서, 통풍구의 루버 각도가 0°또는 90°에 따라, 상기 회전홀더(120)의 이탈방지홈(1211)과 삽입홈(210)의 이탈방지돌기(211)가 결착되지 않은 상태로 스프링(1214)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재(1213)가 삽입홈(2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홈(210)은 회전홀더(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홀더(120)와 마감용캡(220)의 사이에 방향제가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공기순환공(114)과 제2공기순환공(122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방향제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다시 상기 마감용캡(220)을 통해 외측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향제는 방향액이 함침된 세라믹이나 석고와 같이 고체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방향제가 히터열에 의해 녹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방향제는 소모재로서 일정한 시간 또는 기간이 지난 후에는 방향액을 리필하거나 새로운 방향제로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마감용캡(220)은 방향제를 고정함과 동시에 방향제가 조립부재(200)의 전면방향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21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고정캡(221)과, 상기 고정캡(221)의 전면부에 고정되며 상기 방향제에서 배출되는 발산량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캡(22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캡(221)은 내측에 방향제의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22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캡(221)은 착탈이 가능하여 상기 조립부재(200)를 분해하지 않고, 상기 고정캡(221)을 이용하여 방향제의 교체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캡(221)과 돌기(2212)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재(200)의 삽입홈(210)의 선단 내주면에는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2212)가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캡(221)과 삽입홈(210)의 고정방법은 한 일예이고, 상기 고정캡(221)의 외주면과 삽입홈(210)의 내주면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나사식으로 결합하거나 단순히 끼워넣는 방법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절캡(222)은 상기 고정캡(221)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캡(222)과 고정캡(221)의 사이간격을 조절함으로서 방향제의 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볼조인트고정부(230)는 후술되는 볼죠인트(4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볼죠인트(400)는 스마트기기를 거치하는 거치부재(300)의 내측에 내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부재(300)는 상기 조립부재(200)의 상측에 볼죠인트(400)로 연결되어 스마트기기를 파지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면에는 상기 볼죠인트(400)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하는 볼죠인트조립부(310)와, 상기 볼죠인트조립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되는 제1, 2 결합링(320,330)이 형성되어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볼조인트(400)는 상기 제1, 2 결합링(320,330)에 의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거치부재(300)는 그 내측에 스마트기기의 양쪽 측면부를 고정하기 위해 양쪽 또는 한쪽으로 벌어지며 그 내측에 스마트기기를 고정하는 구성과, 스마트기기의 크기에 따라 거치부재(300)의 길이를 일시적으로 변화시키는 길이조절부재(340)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어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원고안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는 회전홀더(120)의 외측에 실리콘소재로 형성된 부착캡(110)를 위치하고 이를 통풍구에 끼워넣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하는 것으로, 부착캡(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13)에 다양한 구배(도 4 참조)가 형성되어 통풍구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으로서 차량이 지면이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되는 외력에도 상기 거치대가 통풍구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돌기(113)의 사이 간격이 루버 두께와 일치함으로서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착캡(110)에 고정되는 회전홀더(120)는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1214)과 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213)가 조립부재(200)의 삽입홈(210)의 내주면을 밀어냄으로서 상기 조립부재(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립부재(200)의 내측에 방향제를 삽입하고 상기 부착캡(110)과 회전홀더(120)에 형성된 상기 제1공기순환공(114)과 제2공기순환공(1221)을 통해 통풍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조립부재(200)의 내측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는 방향제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어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감용캡(220)을 통해 방향제의 삽탈이 가능하게 하며, 마감용캡을 고정캡(221)과 조절캡(222)으로 나뉘어 형성하여 방향제에서 발산하는 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장착부재
110 : 부착캡
120 : 회전홀더
200 : 조립부재
210 : 삽입홈
220 : 마감용캡
230 : 볼조인트고정부
300 : 거치부재
310 : 볼조인트조립부
320,330 : 제1, 2 결합링
400 : 볼죠인트

Claims (5)

  1. 차량의 통풍구에 직접적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부착캡과, 상기 부착캡에 연결되는 회전홀더를 포함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회전홀더에 포함되는 가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회동가능한 조립부재와, 상기 조립부재에 연결되며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캡에 포함된 제1공기순환공과 상기 회전홀더에 형성된 제2공기순환공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공기순환공과 제2공기순환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장착부재의 내측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립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회전홀더의 하우징이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선단에는 마감용캡이 조립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고, 상기 조립부재의 상단에는 볼죠인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볼조인트고정부가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에 내삽되고 고정되는 상기 회전홀더와 마감용캡의 사이에는 방향제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홀더는 제2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선단에 위치하며 조립부재에 내삽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플랜지의 후단에 형성되며 사각의 판재형상으로 결착부의 내측에 형성된 결착홈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삽입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캡은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로부터 배면으로 돌출되며 루버의 간격과 동일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결착부와, 상기 결착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루버에 밀착되는 돌기와, 상기 제1플랜지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1공기순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의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제1플랜지의 제1공기순환공(114)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제2공기순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용캡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내측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의 전면부에 위치하여 고정되며 조절캡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절캡은 상기 고정캡과의 간격을 조절하여 방향제에서 발산하는 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KR2020170006580U 2017-12-20 2017-12-20 차량용 거치대 Active KR2004892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580U KR200489242Y1 (ko) 2017-12-20 2017-12-20 차량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580U KR200489242Y1 (ko) 2017-12-20 2017-12-20 차량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42Y1 true KR200489242Y1 (ko) 2019-05-21

Family

ID=6665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580U Active KR200489242Y1 (ko) 2017-12-20 2017-12-20 차량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4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837A (ko) * 2014-04-02 2015-10-13 조규호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JP2016043249A (ja) * 2014-08-19 2016-04-04 エセス アルフレッド 携帯機器ホルダ及びエアフレッシュナ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KR20170022469A (ko) 2015-08-20 2017-03-02 조규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837A (ko) * 2014-04-02 2015-10-13 조규호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JP2016043249A (ja) * 2014-08-19 2016-04-04 エセス アルフレッド 携帯機器ホルダ及びエアフレッシュナ
KR101672534B1 (ko) * 2015-05-26 2016-11-03 조규호 차량용 거치대
KR20170022469A (ko) 2015-08-20 2017-03-02 조규호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331B2 (en) Fixture apparatus for automotive air-conditioning outlet
US8757461B2 (en) Device for the support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nchorage device provided with a magnetic support
RU2697952C2 (ru) Магнитное крепежное средство
US20100327031A1 (en) Car Clip and Magnetized Anchor for Portable Objects
KR20170022469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KR200493967Y1 (ko) 방향제 케이스
KR101672534B1 (ko) 차량용 거치대
KR101614388B1 (ko) 단말기 거치대
FR2829980B1 (fr) Procede de montage d'un boitier sur un coussin muni d'une housse d'habillage, housse d'habillage equipee d'un boitier et le coussin revetu de cette housse
WO2006138446A3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WO2006052297A3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KR102034739B1 (ko) 시계기능을 갖는 차량용 방향제
KR200475504Y1 (ko) 이동통신기기의 거치장치
KR200489242Y1 (ko) 차량용 거치대
US20170080877A1 (en) Vented Detachable Phone Holder for Automobiles
KR101705108B1 (ko) 거치대 및 이를 위한 고정부 구조
KR200489241Y1 (ko) 차량용 거치대
CN206739441U (zh) 空调内机以及空调系统
CN107218715B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WO2019062470A1 (zh) 空调器
KR200432572Y1 (ko) 다용도 거치대
KR102627678B1 (ko) 휴대폰 거치대
CN110154847A (zh) 具有带有闩锁释放手柄的盖的扶手组件
CN209955896U (zh) 一种车载无线充电手机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122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2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5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