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8846Y1 -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 Google Patents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846Y1
KR200488846Y1 KR2020190000186U KR20190000186U KR200488846Y1 KR 200488846 Y1 KR200488846 Y1 KR 200488846Y1 KR 2020190000186 U KR2020190000186 U KR 2020190000186U KR 20190000186 U KR20190000186 U KR 20190000186U KR 200488846 Y1 KR200488846 Y1 KR 200488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plow
garlic
attached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김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filed Critical 김창규
Priority to KR2020190000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846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02Dibble s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장치되어 견인되고, 농기계에 장치된 동력을 이용하여 파종기의 구성요소가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마늘파종기의 호퍼에 수용한 마늘종사를 파종홈에 낙하시키면 마늘파종기에 장착된 복토날이 마늘파종부에 흙을 살포하여 파종된 마늘을 덮어주도록 된 마늘파종기의 복토날개량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중심부에 6각 구멍이 형성된 복토날 고정관체에 복토날을 부착하고, 복토날고정관체를 회전축에 끼워서 파종쟁기 전방 사이에 배치하되, 복토날고정관체의 길이를 쟁기와 쟁기 사이에 하나가 장치되는 길이로 선택하여 고정관체 중간부에 두개의 복토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부착하고, 복토날 돌출단에 형성되는 흙살포부를 고정관체에 부착되는 흙제거날 부착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굴절각도가 30∼50도가 되게 하고, 흙살포부가 복토날고정관체 중간부 회전선상 외주에 위치하게 하고, 복토날 몸체가 부착되는 부착부의 외측면에 각각 일정크기의 흙제거날을 부착하여서 되는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이다.

Description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Rotary tilling blade of garlic planter trailed by agricultural machinery}
본 고안은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에 장치되어 견인되고, 농기계에 장치된 동력을 이용하여 파종기의 구성요소가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마늘파종기의 호퍼에 수용한 마늘종사를 파종홈에 낙하시키면 마늘파종기에 장착된 복토날이 마늘파종부에 흙을 살포하여 파종된 마늘을 덮어주도록 된 마늘파종기의 복토날개량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중심부에 6각 구멍이 형성된 복토날 고정관체에 복토날을 부착하고, 복토날고정관체를 회전축에 끼워서 파종쟁기 전방 사이에 배치하되, 복토날고정관체의 길이를 쟁기와 쟁기 사이에 하나가 장치되는 길이로 선택하여 고정관체 중간부에 두개의 복토날이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부착하고, 복토날 돌출단에 형성되는 흙살포부를 고정관체에 부착되는 흙제거날 부착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굴절각도가 30∼50도가 되게 하고, 흙살포부가 복토날고정관체 중간부 회전선상 외주에 위치하게 하고, 복토날 몸체가 부착되는 부착부의 외측면에 각각 일정크기의 흙제거날을 부착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경운기와 같은 농기계(가)에 장치되어 견인되고, 농기계의 동력으로 파종기의 각 구성요소가 순차 구동되는 마늘파종기는 마늘파종기(나)의 호퍼(다)에 수용된 마늘종자(라)가 배종장치(마)에 의거 하나씩 인양되어 파종안내관(바) 입구로 투입되고, 파종안내관 출구를 통해 쟁기배면에 떨어져 쟁기(사)가 만드는 파종홈(아)에 하나씩 떨어져 파종되고, 파종쟁기 앞쪽에 설치되어 경운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에 복토날을 부착하여 쟁기앞쪽의 흙을 파서 마늘종자가 파종된 상면에 살포함으로써, 파종홈에 파종된 마늘 위에 흙을 덮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토날에는 복토날고정관체 표면과 복토날몸체의 부착부 사이에 흙제거날을 구비하여서 쟁기전방 표면에 흙이 부착되는 쌓이는 것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건 출원인은 마늘파종기의 복토날을 개량하여 발명특허 제10-1763678호를 등록한바 있으며,
상기 마늘파종기의 복토날은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토날고정관체의 길이를 쟁기와 쟁기사이에 하나가 설치되는 길이로 선택하고, 고정관체의 중간부 외주면에 고정관체에서 직각되는 회전선상에 돌출방향이 서로 반대되는 두개의 복토날고정돌편을 부착하여 각 고정돌편 측면에 복토날 몸체의 부착부를 부착하여 복토날을 형성하고, 양측 복토날은 복토날몸체 돌출단에 일정각도를 가지는 흙살포부를 대칭되게 형성하고 있어서 복토날을 고정관체에 부착하려면 복토날고정돌편을 먼저 용접하고, 고정돌편에 복토날몸체의 부착부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복토날 고정돌편과 복토날몸체를 따로 준비하고 2 단계의 용접 작업을 통해 부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흙살포부가 복토날몸체에서 바깥쪽으로 굴절되게 돌출되므로 양측의 흙살포부가 고정관체 중심에서 양측으로 형성되어 동일회전선상에 올 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
본 고안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심부에 6각구멍(1a)이 형성되어 단면이 6각형으로된 파종기회전축(4)에 끼워지고, 주벽일측에 형성한 나사구멍(1b)에 고정볼트(1c)를 나사결합하여 파종기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복토날고정관체(1)를 쟁기와 쟁기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도록 길이를 맞추어 준비하고, 복토날고정관체(1)의 중간부에 고정관체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두개의 복토날(2)(2a)을 일정간격(2d)을 띄워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부착하여, 두개의 복토날은 복토날몸체 돌출단에 흙살포부를 형성하되, 상기 흙살포부는 고정관체에 부착한 당해 복토날에 부착되는 흙제거날 부착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양측 복토날의 흙살포부가 복토날고정관체 중간부 회전선상 외주에 배치되게 하고, 복토날고정관체 표면과 복토날몸체 외측면 사이에 두면이 부착되게 흙제거날(3)을 부착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의 복토날(2)(2a)은 일정두께와 폭과 길이를 가지는 복토날몸체(20)의 돌출단에 흙살포부(21)를 형성하고, 복토날몸체(20)의 부착부(22)는 복토날고정관체(1)의 표면 곡율에 맞도록 오목홈(22a)을 형성하여 부착하거나 부착부(22)에 복토날고정관체가 끼워지는 구멍(22b)을 형성하여 복토날고정관체에 끼워 결합하고, 구멍(22b) 외주를 복토날고정관체에 용접하는 방법으로 부착하게 되며,
흙살포부(21)는 복토날몸체끝에서 복토날고정관체에 부착한 당해 복토날의 흙제거날 부착면 반대쪽으로 30∼50도 각으로 굴절되게 하고, 흙살포부(21)의 끝은 회전방향쪽 끝을 40∼50도각으로 뾰족하게 형성하여 끝부분(21a)이 곡면을 이루게 형성하며 복토날 몸체가 돌출되는 각도는 고정관체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92도∼95도 각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복토날 고정관체의 길이를 쟁기와 쟁기 사이에 한개가 배치되는 길이로 선택하고, 쟁기와 쟁기 사이의 중간지점이 되는 고정관체의 중간부에서 바깥쪽으로 일정거리를 이동한 위치에서 두개의 복토날을 배치하여 두 복토날 몸체가 양측으로 어긋나게 돌출되게 부착하고, 복토날몸체의 돌출각은 복토날고정관체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92∼95도 각으로 돌출되게 돌출시킨 후 복토날 몸체돌출단에 흙살포부를 형성하여 흙살포부가 복토날 몸체 끝에서 당해 복토날의 흙제거날 부착면 반대쪽으로 30∼50도 각이 되게 굴절시키고, 흙살포부끝을 회전방향 쪽으로 돌출시켜 끝이 뾰족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복토날이 회전하면 흙살포부가 양즉 쟁기 중간부에 배치되고, 복토날고정관체 중간부 회전선상 외주에 위치함으로써, 복토날이 쟁기전방의 흙을 파서 마늘종자가 파종된 상면을 향해 정확히 살포하므로 파종된 마늘위에 정확하게 복토가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고, 복토날 몸체의 부착부를 고정관체 표면 곡율에 맞도록 요입홈으로 형성하여 고정관체 표면에 부착하고 용접하거나 복토날몸체의 부착부에 고정관체가 끼워지는 구멍을 뚫어서 복토날몸체의 부착부를 고정관체에 끼워 구멍외주를 고정관체에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고정돌편을 만들지 않아도 복토날부착부를 고정관체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오 견고한 복토날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고정관체에 두개의 복토날을 형성하여 복토날과 복토날 사이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므로 쟁기와 쟁기 사이중간부에 흙살포부를 형성할 수 있는 복토날을 만들 수 있고, 회전축에 부착하기 좋은 복토날을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 에시도
도 4(a)(b)는 본 고안의 복토날 예시도
도 5는 도 4a 복토날 부착상태 측면도
도 6은 도 4b 복토날 부착상태 측면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중심부에 6각구멍(1a)이 형성되어 단면이 6각형으로된 파종기 회전축(4)에 끼워지고, 주벽일측에 형성한 나사구멍(1b)에 고정볼트(1c)를 나사결합하여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복토날고정관체(1)를 쟁기와 쟁기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도록 길이를 맞추어 준비하고, 복토날고정관체(1)의 중간부에서 고정관체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두개의 복토날(2)(2a)을 일정간격(2c)을 띄워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부착하며, 두개의 복토날은 그 돌출단부에 흙살포부(21)를 형성하되 흙살포부는 고정관체에 부착한 당해 복토날의 흙제거날(3) 부착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굴절시켜 굴절각도가 30∼50도가 되게 하여 양측 복토날이 흙살포부가 복토날고정관체 중간부 회전선상 외주에 위치되게 하고, 복토날 고정관체 표면과 복토날몸체 외측면 사이에 두면이 부착되게 흙제거날(3)을 부착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한편, 본 고안의 복토날(2)(2a)은 일정두께와 폭과 길이를 가지는 복토날몸체(20)의 돌출단에 흙살포부(21)를 형성하고, 복토날몸체(20)의 부착부(22)는 복토날고정관체(1)의 표면 곡율에 맞도록 오목홈(22a)을 형성하여 부착하거나 부착부(22)에 복토날고정관체가 끼워지는 구멍(22b)을 형성하여 복토날고정관체에 끼워 결합하고, 구멍(22b) 외주를 복토날고정관체에 용접하여 부착하게 되며,
흙살포부(21)의 끝은 회전방향쪽 끝을 40∼50도각으로 뾰족하게 형성하여 끝부분(21a)이 곡면을 이루게 형성하고, 복토날 몸체가 돌출되는 각도는 고정관체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92도∼95도 각으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복토날고정관체는 중심부에 6각형구멍이 형성되고, 외경 28∼30mm 되는 관체로서 길이가 10∼11cm 되는 규격으로 되어 쟁기와 쟁기사이에 하나가 배치되고 복토날몸체는 복토날고정관체 중간부에서 양측으로 일정거리를 이동하여 25∼30mm 간격을 둔 위치에 부착부가 용접되어 양측으로 어긋나게 돌출되고 돌출각이 복토날고정관체 표면에서 92∼95도 범위를 유지하게 하여 복토날몸체 부착부 간격이 20∼25mm를 유지하고, 복토날몸체는 두께 8∼10mm 되고, 폭40∼50mm, 길이 130∼150mm 되는 금속판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흙제거날은 가로세로 30∼40mm 되는 4각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 외측모서리를 둥글게 가공하여 이루어진다.
1 : 복토날고정관체 1a : 6각구멍
1b : 나사구멍 1c : 고정볼트
2,2a : 복토날 3 : 흙제거날
4 : 파종기회전축 20 : 복토날몸체
21 : 흙살포부 21a : 흙살포부끝부분
22 : 복토날몸체부착부 22a : 오목홈
22b : 구멍

Claims (1)

  1. 중심부에 6각구멍(1a)이 형성되어 단면이 6각형으로된 파종기회전축(4)에 끼워지고, 주벽일측에 형성한 나사구멍(1b)에 고정볼트(1c)를 나사결합하여 파종기 회전축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되며, 쟁기와 쟁기 사이에 하나가 배치되도록 길이를 맞추어 준비한 복토날고정관체(1)와,
    복토날고정관체(1)의 중간부에서 일정간격(2d)을 두고 두개가 배치되어 복토날고정관체에서 서로 반대되게 돌출되는 복토날(2)(2a)과, 복토날(2)(2a) 부착부와 복토날고정관체 사이에 부착되는 흙제거날(3)로 이루어지고, 복토날(2)(2a)은 복토날몸체(20)의 부착부(22)를 복토날고정관체(1)의 표면 곡율에 맞도록 오목홈(22a)으로 형성하여 부착하거나, 부착부(22)에 복토날고정관체가 끼워지는 구멍(22b)을 형성하여 복토날고정관체에 끼워 결합하고, 구멍(22b) 외주를 복토날고정관체에 용접하는 방법중에서 선택한 방법으로 복토날고정관체(1)에 부착하며, 복토날몸체 돌출단에 형성되는 흙살포부(21)를 복토날몸체 부착부와 복토날고정관체 사이에 부착되는 흙제거날(3) 부착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30∼50도를 유지하게 굴절시켜 양측의 흙살포부(21)가 복토날고정관체 중간부 회전선상 외주에 위치하도록 하며, 흙살포부(21)의 회전방향쪽 끝을 40∼50도 각으로 뾰족하게 하여 끝부분(21a)에 곡면을 이루게 한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KR2020190000186U 2019-01-14 2019-01-14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Active KR200488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86U KR200488846Y1 (ko) 2019-01-14 2019-01-14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86U KR200488846Y1 (ko) 2019-01-14 2019-01-14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846Y1 true KR200488846Y1 (ko) 2019-03-27

Family

ID=6589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86U Active KR200488846Y1 (ko) 2019-01-14 2019-01-14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84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3142A (zh) * 2020-04-14 2020-08-18 贾宏英 一种园林绿化播种装置
KR20200120302A (ko) 2019-04-12 2020-10-21 조귀현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작업의 효율이 우수한 파종용 기구
KR20230166850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견인식 소형 파종기
KR20250091447A (ko) 2023-12-14 2025-06-23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입상물 산포기능을 갖는 견인식 소형 파종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908Y2 (ja) 1989-02-01 1996-09-25 三菱農機株式会社 ロ−タリ装置における溝掘拡散装置
JP3071949B2 (ja) 1992-06-17 2000-07-31 三菱農機株式会社 播種方法
US20130133903A1 (en) 2011-05-16 2013-05-30 John M. Lipscomb Hole Digging Tiller Or Cultivator
US20140166320A1 (en) 2011-09-05 2014-06-19 Soil-Kee Pty. Ltd. Til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908Y2 (ja) 1989-02-01 1996-09-25 三菱農機株式会社 ロ−タリ装置における溝掘拡散装置
JP3071949B2 (ja) 1992-06-17 2000-07-31 三菱農機株式会社 播種方法
US20130133903A1 (en) 2011-05-16 2013-05-30 John M. Lipscomb Hole Digging Tiller Or Cultivator
US20140166320A1 (en) 2011-09-05 2014-06-19 Soil-Kee Pty. Ltd. Tilling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302A (ko) 2019-04-12 2020-10-21 조귀현 공기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작업의 효율이 우수한 파종용 기구
CN111543142A (zh) * 2020-04-14 2020-08-18 贾宏英 一种园林绿化播种装置
KR20230166850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견인식 소형 파종기
KR20250091447A (ko) 2023-12-14 2025-06-23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입상물 산포기능을 갖는 견인식 소형 파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8846Y1 (ko)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용 복토날
KR101763678B1 (ko) 농기계로 견인되는 마늘파종기의 복토날
US4011612A (en) Combination lawn and garden implement
KR200495337Y1 (ko) 마늘 파종기용 복토장치
US10638659B2 (en) Fertilizer tube system
ES2383446T3 (es) Un aparato y un método de cultivo utilizando caballones
CN103999587A (zh) 一种与四轮拖拉机配套使用的中耕施肥机
CN204231900U (zh) 一种新型籽肥撒播机
US20150060095A1 (en) Dual Blade Parallel Garden Hoe
CZ291748B6 (cs) Sestava secího hrotu
CN203912486U (zh) 一种与四轮拖拉机配套使用的中耕施肥机
Dharmawardene Trends in farm mechanization by sugarcane small land holders in Sri Lanka
EP2773177A1 (en) An agricultural machine provided with a displaceable implement section
CN204031744U (zh) 农田除草器
CN202721972U (zh) 手扶电动多功能农具车
RU2070367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культиватора
KR100433264B1 (ko) 파종기
RU27147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RU2274991C1 (ru) Агрегат для внесения жидких удобрений и гербицидов в прикорневую зону посевов кукурузы и пропашных культур
US2712782A (en) Garden hoe cultivator
CN205546457U (zh) 一种可对路面进行除辙压实处理的苜蓿草播种机
RU2356211C1 (ru) Лаповый сошник
RU50364U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сеялки зернотуковой стерневой (варианты)
RU2259700C2 (ru) Способ окучивания рядков пропашных культу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074596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культиватора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01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3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