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8604Y1 - Strap for Weight Training - Google Patents

Strap for Weight Trai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04Y1
KR200488604Y1 KR2020170003690U KR20170003690U KR200488604Y1 KR 200488604 Y1 KR200488604 Y1 KR 200488604Y1 KR 2020170003690 U KR2020170003690 U KR 2020170003690U KR 20170003690 U KR20170003690 U KR 20170003690U KR 200488604 Y1 KR200488604 Y1 KR 200488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wearer
wrist
strap body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69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0211U (en
Inventor
박성욱
Original Assignee
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욱 filed Critical 박성욱
Priority to KR2020170003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04Y1/en
Publication of KR20190000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1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04Y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8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the wris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23Protective gloves absorbing shocks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80Friction or grip reinforce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중앙부를 올무 형상으로 하여 손목을 끼우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를 형성하고 남은 부분을 "X" 자로 교차시키는 한편 상기 교차된 부위를 봉합, 고정하여 형성된 봉합부와,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어느 한 개의 줄을 절단하여 형성된 절단부와,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에 의해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2중 구조를 가지는 봉권취부를 포함하는 스트랩 몸체와, 상기 착용부 내면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상기 스트랩 몸체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손목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 패드를 포함함으로써, 봉이 설치된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근력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운동 기구의 봉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목 주위의 피부가 쓸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training st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 training strap, which has a wear portion for holding a wrist with a predetermined width and a middle portion in a snare shape, and an X- A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 portion and a second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 portion to form a partially double structure And a cushioning pa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er so as to protect the wrist skin by preventing the strap body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wearer's wrist, When exercising, the slip between the hands of the user and the rod of the exercise machine is efficiently And so it can stop, cut off or the use of skin around the wrist has to prevent the damaging effects.

Description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Strap for Weight Training} [0001] Strap for Weight Training [

본 고안은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이 설치된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근력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과 운동 기구의 봉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목 주위의 피부가 쓸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training st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ight training strap for effectively preventing slippage between a user's hand and a rod of a fitness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training strap capable of preventing the skin of the wearer from being worn or damaged.

최근 웰빙 바람과 함께 건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헬스장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통상, 턱걸이를 하거나 덤벨이나 바벨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잡아당기는 운동을 할 때에는 손목에 띠 형태의 스트랩을 감은 후, 감고 남은 스트랩으로 운동기구의 봉을 감아쥐고 운동함으로써 봉으로부터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은 물론 손바닥에 못이 박히지 않도록 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health along with well-being, and as a result, more and more people are looking for a gym. Usually, when exercising by pulling a jaw or using a dumbbell or a barbell, After wrapping, wrap the rod of the exercise equipment with the remaining strap so that the hand does not slip from the rod by exercising by holding it, and the nail is not stuck in the palm of the han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트랩은 손목에 감아 착용함으로써 중량물의 힘을 모두 손목에서 받게 되므로 오랜 시간 운동하게 되면 줄이 손목을 꽉 조이게 되어 손목 부위의 혈액순환이 잘 안 되는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 중량물을 잡아당길 때 순간적으로 많은 힘이 손목에 가해져 관절을 다치는 등 손목 부상을 가져오기도 한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trap is wrapped around the wrist to receive all of the power of the weight from the wrist, the string is tightly fastened to the wrist so that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wrist is not easily performed. When you pull it, a lot of power is momentarily applied to your wrists, which can cause injuries to your wrists.

또한, 봉을 감아쥐는 스트랩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도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없었고, 운동하는 중에 스트랩이 손목의 피부에 직접 닿게 되면 피부가 스트랩에 의해 쓸리게 되어 피부가 손상되어 통증이 유발하므로, 운동을 계속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trap which is wrapped around the rod is biased to one side, the force from the heavy object is also shifted to one side,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exercise effectively. If the strap touches directly to the skin of the wrist during exerci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ntinue the exercise since the pain is caused by the injur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스트랩의 안쪽면에 부드러운 스폰지 재질의 패드를 덧대기도 하였으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패드의 위치나 길이 등이 손목 피부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스트랩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봉에 감거나 풀 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lthough a pad of a soft sponge material is pas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rap in the prior art,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pad have a limitation in protecting the wrist ski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when it is wrapped around the rod or loosened.

한국공개특허 10-2008-006851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8516.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턱걸이, 덤벨 또는 바벨과 같이 봉이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손과 운동 기구의 봉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목 주위의 피부가 쓸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ffectively prevent slippage between a user's hand and a rod of a fitness instrument when performing exercise using a ro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ight training strap capable of preventing the skin around the wrist from being worn or damaged.

또한, 스트랩의 길이가 짧게 이루어지어 봉에 감거나 풀 때 편하면서도 접지력이 우수하고,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한쪽으로 쏠림 없이 중앙에서 받게 되어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ight training strap which can be easily moved when the strap is made short in length and wound on a rod,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에 있어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중앙부를 올무 형상으로 하여 손목을 끼우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를 형성하고 남은 부분을 "X" 자로 교차시키는 한편 상기 교차된 부위를 봉합, 고정하여 형성된 봉합부와,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어느 한 개의 줄을 절단하여 형성된 절단부와,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에 의해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2중 구조를 가지는 봉권취부를 포함하는 스트랩 몸체와, 상기 착용부 내면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상기 스트랩 몸체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손목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 패드를 포함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ight training strap, comprising: a wearabl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formed in a snare shape to sandwich the wrist; A cutting portion formed by cutting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ing portion, and a cutting portion formed by cutting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ing portion, And a cushioning pa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er to protect the wrist skin by preventing the strap body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wearer's wrist. A training strap is provided.

본 고안에서, 상기 착용부는 손등을 끼는 부위는 좁고 손등이 나오는 부위는 넓게 형성되며, 착용자가 상기 착용부에 손목을 끼우고 나서 스트랩 몸체를 돌려감은 후 상기 봉권취부를 봉에 감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ing portion is narrow and the portion where the back of the hand is wider is formed wide. After the wearer wraps his / her wrist on the wearing portion, the strap body is turned and then the rod winding portion is wound around the rod.

또한, 상기 완충 패드는 상기 봉합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착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어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한쪽으로 쏠림 없이 중앙에서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ushioning pads are symmetrically installed on the wearer with respect to the seam part, so that the force from the cushioning pad is received at the center without being deviated to one side.

한편, 상기 절단부는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ut portion may be formed by cut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ther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 portion.

또한, 상기 절단부는 왼손용과 오른손용으로 구분하여 상기 봉합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u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suture portion for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몸체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더 부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non-slip pad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p body.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상기 스트랩 몸체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폭과 너비를 이루는 합성수지재, 러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non-slip pad may be formed of any on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rubber, and silicon, which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trap body so as to be double-formed and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width.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상기 스트랩 몸체의 외면에 봉제되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on-slip pad may be se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p body.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에 의하면, 턱걸이, 덤벨 또는 바벨과 같이 봉이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 사용자의 손과 운동 기구의 봉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목 주위의 피부가 쓸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lippage between the user's hand and the exercise instrument rod when exercising using a rod-like implement such as a jaw-drop, dumbbell, or barbel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worn or damaged.

또한, 스트랩의 길이가 짧게 이루어지어 봉에 감거나 풀 때 편하면서도 접지력이 우수하고,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한쪽으로 쏠림 없이 중앙에서 받게 되어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trap is short in length and is easy to wind and unwind on the rod, but has excellent gripping force, and receives the force from the weight without being tilted to one side.

도 1은 본 고안의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s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1은 본 고안의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weight trainin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은 크게 스트랩 몸체(10)와, 완충 패드(20)로 구성된다. The weight trainin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strap body 10 and a cushioning pad 20.

상기 스트랩 몸체(10)는 늘어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이 좋으며, 잘 굽어지고 일정 이상의 인장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예컨대, 벨트 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가죽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The strap body 10 preferably has a non-stretchable property. The strap body 10 is preferably formed of, for example, a belt strap that is well bent and can withstand a tensile load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본 고안의 상기 스트랩 몸체(10)는 종래의 스트랩에 비해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가지며, 중앙부를 올무 형상으로 하여 손목을 끼우는 착용부(12)와, 상기 착용부(12)를 형성하고 남은 부분을 "X" 자로 교차시키는 한편 상기 교차된 부위를 봉합, 고정하여 형성된 봉합부(14)와, 상기 봉합부(14)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어느 한 개의 줄을 절단하여 형성된 절단부(16)와, 상기 봉합부(14)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에 의해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2중 구조를 가지는 봉권취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trap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hort length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trap, and includes a wearable portion 12 for holding the wrist and having a middle portion as a snare, and a portion remaining after forming the wearable portion 12 as a " Quot; X "and intersecting the intersecting portion, and a cutting portion 16 formed by cutting one of two lines forming the sealing portion 14, And a sealing portion 18 formed by the remaining one of the two rows of the sealing portion 14 and partially having a double structure.

이와 같은 스트랩 몸체(10)는 손목과 손등을 포함하는 부위에 착용하는 착용부(12)를 형성하되 상기 착용부(12)는 손등을 끼는 부위는 좁고(入狹), 손등이 나오는 부위는 넓게(出廣)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착용부(12)를 손등에도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손목부상의 원인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였다. The strap body 10 has a wearable portion 12 to be worn on a portion including a wrist and a hand such that the wearable portion 12 is narrowed at a portion where the back of the hand is inserted, (廣 廣) was formed. In this way, the wearer 12 can be worn on the back of the user's hand so that the cause of the wrist injury is fundamentally removed.

또한, 상기 스트랩 몸체(10)는 착용자가 상기 착용부(12)에 손목을 끼우고 나서 스트랩 몸체(10)를 돌려감은 후 상기 봉권취부(18)를 봉에 감아 사용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trap body 10 has a length sufficient to allow the wearer to wrap the strap body 10 after the wrist is put on the wearer's mouth 12 and then wind the wound body 18 on the stick .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트랩 몸체(10)의 길이가 종래의 스트랩에 비해 비교적 짧은 길이를 갖도록 하여, 상기 봉권취부(18)가 봉에 한번 감긴 상태에서 착용자가 손으로 봉권취부(18)를 잡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종전에 스트랩을 봉에 몇 번 감아서 사용하는 것에 비해 밀착감을 더 높일 수 있게 하였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trap body 10 is relatively short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strap so that the wearer grips the sealing member 18 by hand while the sealing member 18 is once wound around the sealing member So that the feeling of adhesion can be enhan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trap was wound around the rod a few times before.

또한, 상기 착용부(12)를 형성하고 남은 2줄의 천을 "X"자 형으로 교차시키고 이 교차된 부위를 봉합, 고정하여 봉합부(14)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봉합부(14)는 운동용 스트랩의 정 중앙에 위치하게 되어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서 받아 손등으로 전달하게 되므로 착용부(12)에서는 힘을 손등에서 분산하여 받게 됨으로써 손목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two rows of cloths forming the wearing portion 12 were crossed in an "X " shape, and the crossed portions were sealed and fixed to form a sealing portion 14. Accordingly, the suture part 14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movement strap so that the force from the weight is not transmitted to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back of the hand, So that no load is imposed on them.

또한, 덤벨이나 바벨의 봉에 상기 봉권취부(18)를 돌려 감은 뒤 중량물을 잡아당겨 올리면 봉권취부(18)가 손바닥의 정 중앙에 위치하게 되므로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똑바로 손등에 전달하게 되므로 종전의 스트랩을 사용할 때와 같이 힘이 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제거되었다. 즉, 중량물의 힘을 중앙에서 받게 되고 또 이 힘을 손등에서 분산하여 받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ove-mentioned portion 18 of the barbell is wound around the dumbbell or barbell and the weight of the heavy object is pulled up, the force from the heavy object is transferred to the back of the hand because the portion 18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alm. As with the strap, the effect of pulling the force to one side was eliminated. In other words, the force of the heavy object is received from the center and the force is dispersed from the back of the hand, so that it is possible to exercise effectively.

한편, 상기 봉합부(14)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어느 한 개의 줄을 절단하여 절단부(16)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any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ing portion 14 is cut to form the cut portion 16.

이 경우, 상기 절단부(16)는 상기 봉합부(14)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단부(16)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봉합부(14)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되어 착용자가 상기 봉권취부(18)를 봉에 감아 들어올릴 때 스트랩이 불필요하게 남는 것을 방지하여, 봉과의 접지력을 높이게 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ut portion 16 is form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ther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ing portion 14. 1 and 2, the cut portion 16 is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emaining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 portion 14, The strap is prevented from being left unnecessarily when it is lifted up to the rod, thereby increasing the gripping force of the rod.

이와 같은 상기 절단부(16)는 왼손용과 오른손용 스트랩으로 구분하여 상기 봉합부(14)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ut portion 16 may be formed on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the sealing portion 14 by separating the left and right hand straps.

또한, 본 고안의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은 상기 착용부(12) 내면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상기 스트랩 몸체(10)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손목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 패드(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eight training str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 pad 20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er 12 so as to protect the wrist skin by preventing the strap body 10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wearer's wrist .

상기 완충 패드(20)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착용자의 손목 또는 손등에 직접 닿는 부위이므로, 사용자의 땀을 흡수할 수 있는 다공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 패드(20)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층으로 형성되는 완충 패드(20)는 착용자의 팔목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할 수 있다.The cushioning pad 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ponge, and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the sweat of the user since it is a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wrist or the back of the wearer. In addition, the buffer pads 20 may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The cushioning pad 20 formed as a multi-layer can absorb multiple external impacts transmitted to the wearer's cuff.

또한, 상기 완충 패드(20)는 상기 봉합부(1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착용부(12)에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어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한쪽으로 쏠림 없이 중앙에서 받도록 하며, 착용자의 손목 또는 손등에 스트랩 몸체(10)가 닿는 면이 전혀 없도록 한다. The cushioning pad 20 is symmetrically installed on the wearer 12 with respect to the suture part 14 so that the cushioning pad 20 receives the force from the center of the cushioning pad 14 without being tilted toward one side. So that the strap body 10 does not touch the surface of the strap body 10 at all.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몸체(1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3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non-slip pad 30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p body 10.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30)는 상기 스트랩 몸체(10)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으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30)를 부착함으로써, 착용자가 손으로 스트랩을 봉에 감을 때 봉과 스트랩의 접지력을 높이게 되어 덤벨이나 바벨을 들어올릴 때 스트랩이 안풀리게 할 수 있다. The non-slip pad 30 may b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trap body 10 and may be formed as a double body. By attaching the non-slip pad 30, the wearer can hold the strap by the hand, When you lift the dumbbell or barb, you can increase the gripping force of the rod and strap so that the strap can not be released.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30)는 접지력을 높일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합성수지재, 러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non-slip pad 3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enhancing the grounding force,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synthetic resin, rubber, or silicone.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30)는 상기 스트랩 몸체(10)의 외면에 봉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 몸체(10)의 외면에 봉제되어 미끄럼 방지 패드(30)를 부착하는 경우, 봉제선으로 인해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30)의 외면에 거칠기가 더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slip pad 30 may be se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p body 10. When the non-slip pad 30 is se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p body 10 as described above, roughness is furth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on-slip pad 30 due to the sewing line, thereby preventing slippag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트랩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strap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스트랩 몸체(10)의 착용부(12)에 착용자의 손을 끼워 완충 패드(20)에 밀착한 후, 스트랩 몸체(10)를 돌려감아 착용자의 손목과 손등에 착용부(12)가 조여지도록 조정한다. The strap body 10 is wound around the wearer's portion 12 so that the wearer's hands and the strap body 10 are wound around the strap body 10 so that the wearer's portion 12 is tightened Adjust.

이후, 스트랩 몸체(10)의 봉권취부(18)를 운동 기구의 봉에 감은 후 스트랩 몸체(10)를 이용하여 운동한다. 이때, 미끄럼 방지 패드(30)로 인해 손에서 봉이 미끄러지거나 봉을 놓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한다.Thereafter, the sealing member 18 of the strap body 10 is wound around the rod of the exercise device, and then the strap body 10 is used to move. At this time, the non-slip pad 30 eliminates the problem of slipping the rod in the hand or missing the rod.

본 고안은 사용자가 봉 형상의 운동 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악력이 감소하더라도 사용자의 손이 운동 기구의 봉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user's hand from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rod of the exerciser even if the user's grip is reduced when the user performs exercise using the rod-shaped exercise device.

또한, 손목 주위의 피부가 쓸리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스트랩의 길이가 짧게 이루어지어 봉에 감거나 풀 때 편하면서도 접지력이 우수하고,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한쪽으로 쏠림 없이 중앙에서 받게 되어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kin around the wrist is prevented from being worn or damaged, and the length of the strap is made short so that it is easy to wind or unwind on the rod, but has excellent gripping force and receives the force from the weight without centering on one sid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erformed.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0: 스트랩 몸체 12: 착용부
14: 봉합부 16: 절단부
18: 봉권취부 20: 완충 패드
30: 미끄럼 방지 패드
10: strap body 12:
14: Sealing section 16: Cutting section
18: Envelope fitting 20: Buffer pad
30: Non-slip pad

Claims (9)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에 있어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중앙부를 올무 형상으로 하여 손목을 끼우는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를 형성하고 남은 부분을 "X" 자로 교차시키는 한편 상기 교차된 부위를 봉합, 고정하여 형성된 봉합부와,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어느 한 개의 줄을 절단하여 형성된 절단부와,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에 의해 형성되어 부분적으로 2중 구조를 가지는 봉권취부를 포함하는 스트랩 몸체; 및
상기 착용부 내면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손목에 상기 스트랩 몸체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손목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완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패드는 상기 봉합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착용부에 좌우 대칭되게 설치되어 중량물로부터 오는 힘을 한쪽으로 쏠림 없이 중앙에서 받게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 몸체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A weight training strap,
A suture portion formed by intersecting the remaining portion forming the wearing portion with an "X " s and sealing and fixing the crossed portion, and a suture portion formed by forming the suture portion A strap body including a cut-off portion formed by cutting one of two rows of cut-off portions, and a bar take-up portion formed by the other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cut-off portion and having a partially double structure; And
And a cushion pa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er to protect the wrist skin by preventing the strap body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wearer's wrist,
The cushioning pads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the wearer with respect to the seam portion, and the cushioning pad is formed so as to receive the force from the weight without being devia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Wherein a strapping pad is furth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p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손등을 끼는 부위는 좁고 손등이 나오는 부위는 넓게 형성되며, 착용자가 상기 착용부에 손목을 끼우고 나서 스트랩 몸체를 돌려감은 후 상기 봉권취부를 봉에 감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arer is narrowed at a portion where the back of the hand is worn and a portion at which the back of the hand is wide is formed so that the wearer wraps the wrist at the wear portion and then winds the wrap around the strap body, Strap fo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봉합부를 형성하고 내려온 2줄 중 나머지 한 개의 줄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t portion is formed by cutt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other one of the two lines forming the seal por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왼손용과 오른손용으로 구분하여 상기 봉합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ut portion is form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uture portion so as to be divided into a left hand and a right han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상기 스트랩 몸체의 양단부에 부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n-slip pad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trap body and formed in a double shap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일정 폭과 너비를 이루는 합성수지재, 러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non-slip pad is made of any on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rubber, and silicon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width.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패드는 상기 스트랩 몸체의 외면에 봉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용 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non-slip pad is se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rap body.
KR2020170003690U 2017-07-17 2017-07-17 Strap for Weight Training Expired - Fee Related KR2004886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90U KR200488604Y1 (en) 2017-07-17 2017-07-17 Strap for Weight Trai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690U KR200488604Y1 (en) 2017-07-17 2017-07-17 Strap for Weight Train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11U KR20190000211U (en) 2019-01-25
KR200488604Y1 true KR200488604Y1 (en) 2019-02-26

Family

ID=6526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69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8604Y1 (en) 2017-07-17 2017-07-17 Strap for Weight Trai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04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4857A2 (en) * 2010-10-22 2012-04-26 Nike International Ltd. Shin guard strap
KR200463738Y1 (en) * 2011-05-26 2012-11-21 김진욱 Strap for weight training
KR101247116B1 (en) * 2007-03-13 2013-03-29 홍승진 Strap for Spor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516A (en) 2007-01-19 2008-07-23 홍승진 Exercise str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16B1 (en) * 2007-03-13 2013-03-29 홍승진 Strap for Sports
WO2012054857A2 (en) * 2010-10-22 2012-04-26 Nike International Ltd. Shin guard strap
KR200463738Y1 (en) * 2011-05-26 2012-11-21 김진욱 Strap for weight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11U (en) 201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609A (en) Protective hand wrap for athletes
US20070232468A1 (en) Endless elastic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5806091A (en) Hand grip aid
US3863271A (en) Athlete{3 s glove and pad
US5603679A (en) Gripping device
US10080392B2 (en) Hand wrap and method
US20140274614A1 (en) Deformable grip pad with bistable spring bands and methods of use
US8157712B1 (en) Resistance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apparatus
US20080090705A1 (en) Multi-use powerful guiding band
US20150059043A1 (en) Disposable Fingerless Exercise Glove
KR101853070B1 (en) Wrist protecting band having thumb guard
US20130012368A1 (en) Apparatus For Stretching and Yoga and Method Of Using
US20050227814A1 (en) Exercise device
KR200488604Y1 (en) Strap for Weight Training
US6299557B1 (en) Racket gripping device
KR101136997B1 (en) Health Glove
JP7138274B2 (en) stretching equipment
KR101247116B1 (en) Strap for Sports
AU2006100797A4 (en) Multi-use powerful guiding band
TWM591428U (en) Velcro type tension band
KR20180041308A (en) Elastic band
JP2017184881A (en) Hip motion assist device
CN217489674U (en) A training device for muscle recovery exercise for orthopedic patients
KR20080068516A (en) Exercise strap
US11745052B2 (en) Exercis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7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82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2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120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