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8387Y1 -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 Google Patents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387Y1
KR200488387Y1 KR2020180002101U KR20180002101U KR200488387Y1 KR 200488387 Y1 KR200488387 Y1 KR 200488387Y1 KR 2020180002101 U KR2020180002101 U KR 2020180002101U KR 20180002101 U KR20180002101 U KR 20180002101U KR 200488387 Y1 KR200488387 Y1 KR 200488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sb
socket
light source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박중원
Original Assignee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클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클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2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387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주로 차량용으로 사용되는 USB 커넥터 소켓에 관한 것으로, PCB 기판상에 배치된 전방 USB 소켓과 후방 광원, 상기 USB 소켓과 광원을 커버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진행되도록 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상기 USB 소켓은, 상면을 절취하여 형성된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절취시 생긴 구멍을 커버하는 'ㄷ'형 캡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USB 슬롯을 통한 과다 광량 출력 및 그로 인한 광 번짐 및 퍼짐, 눈부심 등이 방지되면서 사용자가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USB connector socket for treating light}
본 고안은 USB 커넥터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USB 커넥터 소켓에서 조명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커넥터 소켓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전면 패널에는 계기판 구성 및 오디오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와 단자, 슬롯이 위치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전면 패널의 장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조작할 수 있도록 그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 사람들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차량 전면 패널에 예전보다 많은 기능을 갖는 장치와 이의 조작을 위한 버튼 및 스위치 그리고, 이들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들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장치들에는 각 광원이 위치하여 주간이든 야간에든 운전자가 충분히 식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단자, 예컨대 USB 슬롯 영역에는 별도의 광원이 위치하지 않아 특히 야간에 운전자의 식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광원을 포함하는 단자 접속장치들이 다수 제안된 바 있는데, 등록특허공보 제10-1568269호 및 제10-135451호에 개시된, 조명을 포함하는 USB 단자 접속장치 등이 그 예이다.
도 1은 후자의 특허에 예시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단자 접속장치(1)는 후방의 단자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에 삽입 고정되는 PCB 기판(3)을 통하여 그 전방에 설치되는 LED 광원(4)과 USB 커넥터 소켓(4), 상기 광원(4)과 소켓(5)을 커버하며 광이 상기 소켓(5)을 지나 전방을 향하게 하는 광 가이드(6) 및 상기 접속장치(1)의 전방에 배치되어 하우징(2)과 체결되는 커버(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소켓(4)은 삽입된 USB 단자가 탄력적으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면을 절취하여 형성된 판 스프링(4a)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7)는 전방 면에 형성된 USB 슬롯(8)을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 상기 광원(4)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광 가이드(6)에 의해 굴절되어 전방을 향하여 진행하며, 이에 상기 커버(7)의 USB 슬롯(8) 주변의 광 투과성 문자, 표시, 기호(도 6 참조) 등을 조명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 조명에 의지하여 USB 슬롯(8)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장치나 기기의 사용이 더욱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야간 운전시 이러한 조명수단은 많은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USB 커넥터 소켓(4)은 상면을 절취하여 판 스프링(4a)을 구성하기 때문에 그 구성을 위하여 상면에 상당한 크기의 구멍(4b)이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예측하지 못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4)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상당량이 직진 도중에 상기 구멍(4b)을 통하여 굴곡되어 소켓(4) 내부에 과다하게 공급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오히려 과다 광량에 의한 광 번짐 및 퍼짐, 눈부심 등을 야기하는 것은 물론, USB 커넥터 소켓(4) 및 거기에 접속된 USB 단자의 전기적 특성, 안정성을 크게 해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단자 접속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광원을 포함하는 USB 커넥터 소켓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조명이 소켓 내부로 과다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개선하고 소켓의 전기적·열적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 USB 커넥터 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USB 커넥터 소켓은:
PCB 기판상에 배치된 전방 USB 소켓과 후방 광원, 상기 USB 소켓과 광원을 커버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진행되도록 하는 광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USB 소켓은:
상면을 절취하여 형성된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절취시 생긴 구멍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진행될 때 상기 구멍을 직접적으로 통하여 본체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 내부로부터 광량에 의한 광 번짐 및 눈부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ㄷ'형 캡;
을 포함한다.
상기 캡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USB 소켓은 후방 저면이 PCB 기판 표면에 밀접하게 고정되고 전방 저면은 PCB 기판 표면과 이격된 틈이 있는 형태이며;
상기 캡은 양단이 내향 절곡된 턱을 가진 형태로서;
상기 턱이 틈에 대응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캡이 USB 소켓에 장착;
된다.
상기 USB 커넥터 소켓은:
상기 PCB 기판, USB 소켓, 광원, 광 가이드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그 전방에 상기 USB 소켓에 연통하는 슬롯과, 슬롯 주변의 광 투과성 문자 또는 표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USB 커넥터 소켓은 상기한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캡에 의하여 차단되어, 종래의 경우와 같이 광원의 조명이 소켓 상면의 판 스프링 구멍을 통하여 소켓 내부로 과다하게 공급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슬롯 주변의 문자, 표시 또는 기호 등에 의하여 적당한 조명 밝기로 확인되는 USB 슬롯의 위치를 육안 확인하여 사용자가 선명하고 편안하게 USB 커넥터 소켓을 인식 및 이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소켓 내부 및 USB 단자 간 전기적·열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자 접속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광 진행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USB 커넥터 소켓의 분해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정면도.
이상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이하 'USB 커넥터 소켓')의 기술적 특징과 작용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3 이하의 도면에서, 본 고안에 따른 USB 커넥터 소켓이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USB 커넥터 소켓(10)은 PCB 기판(11)상에 배치된 전방 USB 소켓(12)과 후방 LED 광원(13), 상기 USB 소켓(12)과 광원(13)을 커버하며 상기 광원(13)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진행되도록 하는 광 가이드(14)를 포함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며, 이 점에서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다르지 않다.
여기에서, 상기 USB 소켓(12)은 그 상면을 절취하여 형성된 판 스프링(16)을 포함하는 본체(15)와, 상기 본체(15)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상면 절취시 생긴 구멍(17)을 커버하는 'ㄷ'형 캡(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캡(19)은 상기 본체(15)의 상측에 덮어지는 형태로 장착되지만, 편의상 'ㄷ'형이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캡(19)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료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캡(19)은 반투명 재료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캡(19)은 광원(13)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진행될 때 상기 구멍(17)을 통하여 제한 없이 직접 본체(15)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이 그 내부에 과다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소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USB 소켓(12)은 후방 저면이 PCB 기판(11) 표면에 밀접하게 고정되고 전방 저면은 PCB 기판(11) 표면과 이격된 틈(18)이 있는 형태이며, 상기 캡(19)은 양단이 내향 절곡된 턱(20)을 가진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턱(20)이 틈(18)에 대응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캡(19)이 USB 소켓(12)에 아주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 및 장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USB 커넥터 소켓(10)은, 나아가, 상기 PCB 기판(11), USB 소켓(12), 광원(13), 광 가이드(14)가 내장되는 커버(21a) 체결형 하우징(2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1)은 그 전방 커버(21a) 면에 상기 USB 소켓(12)에 연통하는 슬롯(22)과, 슬롯(22) 주변의 문자, 기호 등 각종 광 투과성 표시(23)가 형성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PCB 기판(11)의 상·하면에 각 배치된 광원(13)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광 가이드(14)의 내부 반사면에 의하여 전방 커버(21a) 면을 향하게 되는데(화살표 ②,④ 참조), 이때 상기 USB 소켓(12)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17)은 반투명 캡(19)에 의하여 광 투과가 직접적이지 않고 극히 제한적이게 된다(화살표 ③ 참조).
그러면, 사용가가 전방 커버(21a)를 육안으로 보기에 상기 USB 슬롯(22)은 은은하면서 약한 광으로 인식되는 한편, 상기 표시(23)는 상대적으로 선명하고 밝은 광으로 인식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본체(15) 내부로부터 USB 슬롯(22)을 통한 과다 광량 출력 및 그로 인한 광 번짐 및 퍼짐, 눈부심 등이 방지되면서 사용자가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또한, USB 커넥터 소켓(4) 및 거기에 접속된 USB 단자의 전기적 특성,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USB 커넥터 소켓
11. PCB 기판
12. USB 소켓
13. 광원
14. 광 가이드
15. 본체
16. 판 스프링
17. 구멍
18. 틈
19. 캡
20. 턱
21. 하우징
21a. 커버
22. 슬롯
23. 표시

Claims (4)

  1. PCB 기판(11)상에 배치된 전방 USB 소켓(12)과 후방 광원(13), 상기 USB 소켓(12)과 광원(13)을 커버하며 상기 광원(13)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진행되도록 하는 광 가이드(14)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USB 소켓(12)은:
    상면을 절취하여 형성된 판 스프링(16)을 포함하는 본체(15)와;
    상기 본체(15)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절취시 생긴 구멍(17)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광원(13)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전방을 향하여 진행될 때 상기 구멍(17)을 통하여 직접 본체(15) 내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본체(15) 내부로부터 광량에 의한 광 번짐 및 눈부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ㄷ'형 캡(19);
    을 포함하며,
    상기 캡(19)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료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소켓(12)은, 후방 저면이 PCB 기판(11) 표면에 밀접하게 고정되고 전방 저면은 PCB 기판(11) 표면과 이격된 틈(18)이 있는 형태이며;
    상기 캡(19)은, 양단이 내향 절곡된 턱(20)을 가진 형태로서;
    상기 턱(20)이 틈(18)에 대응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캡(19)이 USB 소켓(12)에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 소켓은, 상기 PCB 기판(11), USB 소켓(12), 광원(13), 광 가이드(14)가 내장되는 하우징(2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1)은, 그 전방에 상기 USB 소켓(12)에 연통하는 슬롯(22)과, 슬롯(22) 주변의 광 투과성 문자 또는 표시(23)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KR2020180002101U 2018-05-15 2018-05-15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Expired - Fee Related KR200488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01U KR200488387Y1 (ko) 2018-05-15 2018-05-15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101U KR200488387Y1 (ko) 2018-05-15 2018-05-15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387Y1 true KR200488387Y1 (ko) 2019-01-23

Family

ID=65266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10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8387Y1 (ko) 2018-05-15 2018-05-15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38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754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광원 모듈을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
KR20160136546A (ko) * 2015-05-20 2016-1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7754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광원 모듈을 구비한 단자 접속 장치
KR20160136546A (ko) * 2015-05-20 2016-1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76245A1 (en) Illumination devices for watches and other instruments
JP6576830B2 (ja) 車輌用灯具
CN102022699B (zh) 发光模块以及车辆用灯具
CN112601678A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KR20140148477A (ko) 디스플레이 스위치
JPWO2015076113A1 (ja) 車輌用灯具
KR101625017B1 (ko) 전원 내장형 면조명장치
TWI584105B (zh) Memo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0465032C (zh) 光学防眩目装置
US20080117629A1 (en) Room lamp for vehicle
KR200488387Y1 (ko) 조명 처리용 usb 커넥터 소켓
MY134212A (en) Indicating light
KR200488388Y1 (ko) 광 가이드 커버를 포함하는 usb 커넥터 소켓 구조
KR102445415B1 (ko) 차량 발판용 전기장치
DK2202856T3 (en) Electrical installer
KR100879128B1 (ko) 입체 식별기능을 갖는 계기판
KR100857372B1 (ko) 복합스위치의 다이얼노브 조명구조
WO1998047123A3 (de) Elektrisches gerät
KR101021951B1 (ko) 차량용 스타트버튼
JP4161972B2 (ja) 照明器具
JP2001259125A (ja) 遊技機における電飾構造
JP6168455B2 (ja) スイッチ
CN209926263U (zh) 信号灯结构及行驶设备
CN109084194B (zh) 超窄细条发光件
KR102568243B1 (ko) 조명등의 조명색 변경을 위한 탈착식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5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710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1127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U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U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UX07013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1127

Patent event code: UX07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7

Patent event code: UX07012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901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4102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