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023Y1 - Plug Module of External-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Device - Google Patents
Plug Module of External-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8023Y1 KR200488023Y1 KR2020180002102U KR20180002102U KR200488023Y1 KR 200488023 Y1 KR200488023 Y1 KR 200488023Y1 KR 2020180002102 U KR2020180002102 U KR 2020180002102U KR 20180002102 U KR20180002102 U KR 20180002102U KR 200488023 Y1 KR200488023 Y1 KR 20048802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socket
- portable terminal
- terminal portion
- plug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용 외장장치의 플러그 모듈 및 그 플러그 모듈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외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플러그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 걸쳐지는 형태로 외장되는 외장장치에 마련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소켓에 결합하며, 특히 상기 소켓의 위치가 제조사마다 다른 경우에도 플러그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켓에 삽입할 수 있다. 플러그 모듈은 수직으로 마련된 샤프트와, 일 측에 마련된 관통홀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져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는 플러그 단자부와,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상부 및 하부 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부를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플러그 단자부는 외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할 때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하로 이송하면서 상기 소켓과 수직방향 높이를 맞추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외력이 제거된 때에 상기 플러그 단자부가 기준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A plug module of an external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plug module are disclosed. The plu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that is installed in an external device that is wrapped around a portable terminal and is coupled to a sock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when the position of the socket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terminal. The plug module includes a vertically provided shaft, a plug terminal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shaft and is supported by the shaft, and a plug terminal portion provided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And includes an elastic member. The plug terminal portion vertically heightens the socket while vertically moving along the shaft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restores the restoring force to return the plug terminal portion to the reference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o provide.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외장장치에 마련된 플러그 모듈과 그 플러그 모듈을 구비한 외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devic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by inserting a plug into a socket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ug module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plug module.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외장장치들과 케이블을 통하거나 직접 결합한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외장장치에는 케이블 등으로 연결하는 충전기가 있고, 직접 유에스비 플러그(USB Plug)를 연결하는 유에스비 메모리가 있다. 다만, 어떠한 방식의 외장장치라도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소켓(Socket)에 플러그를 꽂아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을 이용하는 방식도 마찬가지다.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couples or directly couples to various external devices. The most common external devices include a charger that connects with a cable, and a USB memory that connects directly to a USB plug. However, any type of external device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until a plug is inserted into a sock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same is true of cable.
종래의 많은 외장장치는 케이블을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외장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직접 체결하는 방식이 구조적으로 불안전한 부분이 있고, 휴대 단말기의 휴대성도 상당히 제한하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케이블 끝에 마련된 플러그를 휴대 단말기의 소켓에 결합해야 하지만, 외장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케이블을 매개로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휴대성이 그대로 유지되고, 구조적 결합의 안정성도 문제되지 않는다. Many conventional external devices use a cable-based approach. As the size of the external device increases, there is a part where the direct connection is structurally insecure, and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lso significantly restricted. However, since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a cable,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aintained as it is, and the structural coupling The stability of the
그러나 최근에는 직접 결합하는 형태의 외장장치가 많이 생기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3332호(고안의 명칭: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에 직접 장착하는 형태의 외장기기의 일 예를 보인다.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direct coupling type external devices.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93332 (entitled: fingerprint input dev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its external optical device for fingerprint input) is an external device of a type directly attached to a camera of a portable terminal It shows an example.
도 1은 외장장치(20)의 형태를 개념적으로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외장장치(20)는 이러한 특허의 외장장치의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외장장치(20)가 휴대 단말기(10a, 10b)에 장착되면, 외장장치(20)는 휴대 단말기(10a, 10b)의 상부(또는 하부)에 걸쳐진 상태가 되고, 외장장치(20)의 일 면(23a)이 휴대 단말기(10a, 10b)의 앞면(13a) 및/또는 뒷면(13b)과도 접촉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은 외장장치(20)가 휴대 단말기(10a, 10b)의 다른 구성(예를 들어, 카메라)과 기능적으로 또는 구조적으로 결합해야 하기 때문일 수도 있고, 외장장치(20) 자체의 부피가 커서 결합의 구조적 안정을 얻기 위한 목적도 있을 수 있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hape of the
문제는 도 1의 외장장치(20)가 휴대 단말기(10a, 10b)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경우이다. 휴대 단말기(10a, 10b)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소켓(11a, 11b)은 통상 앞면(13a)과 뒷면(13b)을 연결하는 옆면, 윗면, 또는 밑면에 마련된다. 그런데 제조사마다 휴대 단말기(10a, 10b)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소켓(11a, 11b)의 위치, 특히 앞면(13a) 또는 뒷면(13b)과의 이격된 거리가 다르다. 도 1에서도 (a)의 휴대 단말기(10a)와 (b)의 휴대 단말기(10b)의 폭이 다르고, 따라서 각 소켓(11a, 11b)의 위치가 다르다. The problem is that the
따라서 외장장치(20)의 플러그(21)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플러그(21)의 위치는 (a)의 휴대 단말기(10a)의 소켓(11a)의 위치와 합치하여 삽입하여 결합하는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b)의 휴대 단말기(10b)의 소켓(11b)의 위치는 플러그(21)의 위치와 맞지 않기 때문에 삽입할 수 없다. 어떤 경우에는 삽입하여 결합하더라도 외장장치(20)와 휴대 단말기(10a, 10b)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외장장치(20)가 휴대 단말기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한다. 다시 말해, 플러그(21)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조사마다 그 소켓의 위치가 다른 휴대 단말기에 대응할 수 없다. 어쩌면, 이러한 문제가 다양한 외장장치의 개발을 막고 있는지도 모른다. 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관련선행기술][Related Prior Art]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3332호(고안의 명칭: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493332 (name of design: fingerprint input device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external optical device for fingerprint input)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켓의 위치가 서로 다른 휴대 단말기에 결합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플러그 모듈과 그 플러그 모듈이 구비한 외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g module capable of adjusting its position so as to be able to be coupled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different socket positions and an external device having the plug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모듈은 휴대 단말기에 외장되는 외장장치에 마련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윗면, 밑면 및 옆면 중 하나에 마련된 소켓과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플러그 모듈은 수직으로 마련된 샤프트와, 일 측에 마련된 관통홀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져 상기 샤프트에 지지되는 플러그 단자부와,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상부 및 하부 중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부를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소켓의 수직방향 높이가 제조사마다 다른 경우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켓에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다. 플러그 단자부는 상기 소켓과 수직방향 높이를 맞추기 위해 외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할 때 상기 샤프트를 따라 상하로 이송하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외력이 제거된 때에 상기 플러그 단자부가 기준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외장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때에, 상기 외장장치의 케이스에 포함된 제1 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면 또는 뒷면과 마주한다.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that is external to a portable terminal, and is electrically coupled to a socket provided on one of a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lug module includes a vertically provided shaft, a plug terminal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shaft and is supported by the shaft, and a plug terminal portion provided at least one of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By including the elastic member, the plug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even if the vertical height of the socket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The plug terminal portion vertically moves along the shaft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lign the height with the socket. The first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to move the plug terminal portion backward . Meanwhil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surface included in the case of the external device faces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상기 제1 면에서 더 먼 쪽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를 상기 제1 면을 향해 미는 경우에, 플러그 모듈은 상기 외력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부를 상기 제1 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플러그 모듈은 상기 플러그 단자와 버튼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버튼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located farther from the first surface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and pushes the plug terminal toward the first surface, To push the plug terminal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surface. Furthermore, the plu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lug terminal and the button and restoring the button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제2 실시 예는 상기 제1 탄성부재가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상부 및 하부 중에서 상기 제1 면에서 가까운 쪽에 위치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를 상기 제1 면으로부터 밀어내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realiz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is located on the side closer to the first surface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and pushes the plug terminal from the first surfac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는 플러그 단자부와 함께 상기 샤프트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모듈은 상기 샤프트, 플러그 단자부 및 제1 탄성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상하 이송 범위를 제한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elastic member can be fitted to the shaft together with the plug terminal portion. The plug module may include a bracket that receives the shaft, the plug terminal portion,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limits the vertical transfer range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본 고안은 이상의 플러그 모듈을 구비한 외장장치에도 미친다. 외장장치는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플러그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켓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외장되며,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폭에 따라 상기 소켓의 수직 방향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외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an external device having the above plug module. The external device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while the plug of the plu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external force is provided even if the vertical height of the socke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cket.
본 고안의 플러그 모듈은 플러그를 구비하며 휴대 단말기에 걸쳐지는 형태로 외장되는 외장장치에 마련되어, 플러그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소켓에 삽입하면서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특히 제조사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소켓의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본 고안의 플러그 모듈은 플러그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휴대 단말기의 소켓에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다.The plu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g and is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that is wrapped around the portable terminal so that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electrically coupled. In particular, although the position of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vari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e plu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ert the plug into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lug.
도 1은 종래의 외장장치와 휴대 단말기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 모듈을 구비한 외장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모듈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모듈의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6의 플러그 모듈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xterna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device having a plu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plug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cross-sectional view provided in the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plug module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장장치(200)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플러그 모듈(210)이 내장되어 있다. 플러그 모듈(210)은 그 자체로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도 2에서처럼 다른 별도의 기능을 수행하는 외장장치(200)에 내장될 수도 있다. 외장장치(200)의 실질적 기능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배터리, 마이크로폰, 각종 센서, 카메라, 광학 렌즈, 키 버튼(Key Button) 같은 입력수단 또는 네트워크 수단 등을 내장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IG. 2 illustrates an
우선, 휴대 단말기(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플러그 모듈(210) 또는 외장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전기 소켓을 구비한 것이면 족하다. 여기서, 외장장치(200)의 플러그(211)와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에 사이에 적용되는 전기적, 기구적 규정(또는 표준)은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휴대 단말기(10)로는 스마트폰이 가장 대표적이지만, 개인정보단말기(PDA), 엠피쓰리 플레이어(MP 3 Player), 또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등이 모두 휴대 단말기(10)에 해당할 수 있다. First, the
플러그 모듈(210)이 외장장치(200)에 내장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과의 전기적 접속 이외에 다른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서 별도의 케이스(미도시)를 가진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장치로부터 연장된 케이블(미도시)의 단부에 플러그 모듈(210)이 마련된 형태가 될 수 있다. When the
통상적으로, 플러그 모듈(210)은 외장장치(200)에 내장된 형태가 될 것이다. 플러그 모듈(210)의 플러그(211)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은 휴대 단말기(10)의 정면(13a)이나 뒷면(13b)에 설치되지 않고 밑면(13c), 윗면, 그리고 옆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정면(13a)은 예컨대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또는 조작부가 설치된 면이 될 수 있다. 도 2는 휴대 단말기(10)의 밑면(13c)에 소켓(11)이 설치된 예이다. 따라서 외장장치(200)가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될 때, 플러그 모듈(210)은 소켓(11)에 수직한 방향, 즉 휴대 단말기(10)의 윗면의 외측, 밑면(13c)의 외측 또는 옆면의 외측에 위치한다. 더불어, 외장장치(200)의 형태적 특징은 플러그 모듈(210)로부터 기역(ㄱ)자 형상으로 연장된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될 때, 외장장치(200)의 일 측이 휴대 단말기(10)의 정면(13a) 또는 뒷면(13b)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외장장치(200)의 제1 면(251)이 휴대 단말기(10)의 정면(13a) 또는 뒷면(13b)과 마주한다. 결과적으로, 외장장치(200)가 휴대 단말기(10)에 장착되면, 제1 면(251)에 의해 상호 지지하게 된다. Typically, the
도 2의 외장장치(200)는 그 전형적인 예로서,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 상부에 위치하게되는 플러그 모듈(210)를 내장하는 상부 본체(230)와, 휴대 단말기(10)의 정면(13a) 또는 뒷면(13b)과 마주하도록 상부 본체(230)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50)를 포함한다. 연장부(250)의 제1 면(251)이 휴대 단말기(10)와 마주한다. 플러그 모듈(210)은 외장장치(200) 내에서 위치 고정되지만, 플러그 모듈(210)의 플러그(211)는 외력에 의해 일정한 범위(x1a - x1b)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면(251)과 플러그 모듈(210)의 플러그(21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하'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제1 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외력은 사용자가 상하방향으로 제공하는 힘이나,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휴대 단말기(10)의 무게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x1a 위치를 '기준위치'라 하고, x1b 위치를 '확장위치'라 한다. 2 includes an
플러그 모듈의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of Plug Module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 모듈(210)은 플러그(211)를 구비한 플러그 단자부(310)와, 플러그 단자부(31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331a, 331b)와, 제1 탄성부재(351a, 351b)와, 버튼(371) 및 제2 탄성부재(373a, 373b) 및 브라켓(390)을 포함한다. 브라켓(390)은 플러그 단자부(310), 샤프트(331a, 331b) 및 제1 탄성부재(351a, 351b)를 수용한다. 샤프트(331a, 331b)와 제1 탄성부재(351a, 351b)는 하나 이상이 구비되면 족하며, 이하에서는 샤프트(331a, 331b)와 제1 탄성부재(351a, 351b)가 각각 2개씩 마련된 도 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3, the
플러그 단자부(310)가 상하로 움직이므로, 외장장치(200) 내에서의 플러그(211)의 전기접속은 플랙시블 피시비(Flexible PCB)와 같은 연성 소재의 케이블을 이용한 납땜 접속이 바람직하며, 플러그 단자부(310)는 플러그(211)와 함께 그 납땜 접속을 보호한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플러그 단자부(310)의 양 측에는 샤프트(331a, 331b)가 끼워지는 두 개의 관통홀(313a, 313b)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331a, 331b)는 플러그 단자부(310)의 양쪽 관통홀(313a, 313b)에 끼워진 상태로 플러그 단자부(3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하 이동을 가이드한다. 플러그 단자부(310)의 상하 이동 범위(x1a ~ x1b)는 샤프트(331a, 331b) 또는 브라켓(390)에 의해 1차 제한되며 다시 제1 탄성부재(351a, 351b)에 의해 제한된다. On both sides of the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1 탄성부재(351a, 351b)는 플러그 단자부(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플러그 단자부(310)를 기준 위치 쪽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플러그 단자부(310)의 기준위치는 플러그(211)가 제1 탄성부재(351a, 351b)에 의해 아래로 최대로 밀려진 상태이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351a, 351b)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플러그 단자부(310)를 기준위치에 고정할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탄성부재(351a, 351b)는 도 3의 실시 예처럼 플러그 단자부(310)와 함께 샤프트(331a, 331b)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단자부(310)에 화살표와 같은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플러그 단자부(310)는 제1 탄성부재(351a, 351b)를 가압하면서 기준위치로부터 확장위치(x1b)로 이송한다. 3, since the first
버튼(371)은, 도 4에서처럼, 플러그 단자부(310)의 하부에 외장장치(200)의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 홀(231)에 끼워진 상태로 마련되며, 플러그 단자부(310)와 버튼(371) 사이에 제2 탄성부재(373a, 373b)가 마련된다. 버튼(371)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 플러그 단자부(310)에 확장위치(x1b) 방향의 외력을 제공하였다가, 사용자의 조작이 제거되면 제2 탄성부재(373a, 373b)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플러그 단자부(310)에 작용하던 외력도 제거한다.4, th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1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모듈(210)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외력이 없고 플러그는 기준위치에 정렬: 도 4의 (a)> ≪ No external force and the plug is aligned at the reference position: Fig. 4 (a)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플러그 모듈(210)은 제1 탄성부재(351a, 351b)에 의해 기준위치(x1a)에 위치한다. 외장장치(200)의 제1 면(251)이 휴대 단말기(10)의 정면(13a) 또는 뒷면(13b)과 대향하는 방식으로, 외장장치(200)의 플러그(211)를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에 결합하고자 한다. 기준위치의 플러그(211)와 소켓(11)의 체결 가능한 상태이면 다른 조작없이 결합할 수 있지만, 도 4의 (a)처럼 만약 제1 면(251)에 접촉한 상태의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 높이가 플러그(211)의 기준위치보다 높으면 플러그 단자부(310)의 위치를 조정해야 한다. The
<버튼 조작으로 플러그를 확장위치로 이동: 도 4의 (b)> <Moving the plug to the extended position by button operation: (b) of FIG. 4>
플러그 단자부(310)의 위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자가 버튼(371)을 누르면, 버튼(371)은 제2 탄성부재(373a, 373b)와 플러그 단자부(310)를 확장위치(x1b) 방향으로 가압한다. 버튼(371)에 의해 가압된 플러그 단자부(310)는 제1 탄성부재(351a, 351b)를 가압하면서 확장위치(x1b) 방향으로 이송된다. 제1 면(251)으로부터 확장위치(x1b)까지의 높이가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 높이와 같거나 높으면, 플러그(211)를 소켓(11)에 삽입할 수 있다. 도 4의 (b)처럼, 소켓(11)의 높이가 확장위치(x1b)의 플러그(211)의 높이보다 높다면, 외장장치(200)의 제1 면(251)은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외력을 제거하여 플러그 결합 완료: 도 4의 (c)> <Completion of plug connection by removing external force: Fig. 4 (c)>
다시, 사용자가 버튼(371)을 누르지 않게 되면, 제2 탄성부재(373a, 373b)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버튼(371)의 위치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고, 이에 따라 플러그 단자부(310)와 제1 탄성부재(351a, 351b)에 작용한 외력이 제거되고 제1 탄성부재(351a, 351b)는 플러그 단자부(310)를 기준위치(xla)로 복원시킨다.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도 4의 (b)는 소켓(11)의 높이가 기준위치(xla)와 확장위치(x1b) 사이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고 플러그(211)가 소켓(11)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플러그 단자부(310)는 기준위치(xla)까지 복원하지 못한 위치(xlc)에 고정된다. 그러나 외장장치(200)의 제1 면(251)이 휴대 단말기(10)에 밀착됨으로써 외장장치(200)와 휴대 단말기(10) 결합의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진다. 4B shows a state in which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플러그 모듈(210)을 사용하면, 플러그 단자부(310)의 기준위치(x1a)부터 확장위치(x1b) 사이의 높이에 대응되는 소켓 높이를 가진 휴대 단말기(10)에는 본 고안의 외장장치(200)를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플러그 모듈의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of Plug Module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모듈(500)은 제1 탄성부재(501a, 501b)가 플러그 단자부(310) 아래에 위치한다. 제1 탄성부재(501a, 501b)는 샤프트(501a, 501b)에 끼워진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플러그 모듈(500)은 플러그(211)를 구비한 플러그 단자부(310)와, 플러그 단자부(310)를 수직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331a, 331b)와, 제1 탄성부재(501a, 501b) 및 브라켓(390)을 포함한다. 도 3의 플러그 모듈과 비교할 때, 제1 탄성부재(501a, 501b)의 위치가 플러그 단자부(310) 아래로 변경되고, 버튼(371)과 제2 탄성부재(373a, 373b)를 포함하지 않는다. The
제1 탄성부재(501a, 501b)가 플러그 단자부(310) 아래에 위치하므로, 도 6에서처럼 기준위치(x2a)는 제1 실시 예와 반대로 확장위치(x2b)보다 높다. 플러그 단자부(310)는 외력에 의해 기준위치(x2a)에서 확장위치(x2b)로 이송되며, 이송방향은 제1 면(251)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Since the first
도 6의 (a)에서처럼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플러그 단자부(310)의 플러그(211)는 제1 면(251)으로부터 최대 이격된 상태에 위치하므로, 외장장치(200)의 설계가 허용하는 높이의 소켓(11)에 다른 조작없이 결합할 수 있다. 외장장치(200)의 설계가 허용하는 최대 높이의 소켓(11)을 가진 휴대 단말기(10)에 외장장치(200)가 결합하면, 휴대 단말기(10)와 외장장치(200)의 제1 면(251)에 접촉하게 되고 그 결합이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The
도 6의 (b)에서처럼 휴대 단말기(10)의 소켓(11)의 높이가 기준위치(x2a)보다 낮으면, 결합 후에도 외장장치(200)의 제1 면(251)은 휴대 단말기(10)에 접촉하지 못하고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외장장치(200)의 연장부(250)가 휴대 단말기(1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휴대하면, 휴대 단말기(10) 자체의 무게가 플러그 단자부(310)에 확장위치(x2b)를 향하는 외력으로 작용하여 플러그 단자부(310)를 확장위치(x2b)로 밀어낸다. 따라서 외장장치(200)의 제1 면(251)은 휴대 단말기(10)에 접촉하게 되고 그 결합이 구조적으로 안정한 상태가 된다. 6 (b), when the height of th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휴대 단말기
11: 소켓
200; 외장장치
210: 플러그 모듈
211: 플러그
230: 상부 본체
250: 연장부
251; 제1 면
310: 플러그 단자부
313a, 313b: 관통홀
315; 플랙시블 피시비
331a, 331b: 샤프트
351a, 351b: 제1 탄성부재
371: 버튼
373a, 373b: 제2 탄성부재
390; 브라켓
500: 플러그 모듈
501a, 501b: 제1 탄성부재10; Mobile terminal
11: Socket
200; External device
210: Plug module
211: Plug
230: upper body
250: Extension
251; The first side
310: plug terminal
313a, 313b: through hole
315; Flexible PCB
331a, 331b: shaft
351a, 351b: a first elastic member
371: Button
373a, 373b: a second elastic member
390; Brackets
500: Plug module
501a, 501b: a first elastic member
Claims (7)
수직으로 마련된 샤프트;
일 측에 마련된 관통홀에 상기 샤프트가 끼워져 상기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소켓과의 접속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플러그 단자부;
외력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플러그 단자부를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높이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소켓에 맞추는 버튼; 및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이송을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단자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외력이 제거된 때에 상기 플러그 단자부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소켓의 수직방향 높이가 제조사마다 다른 경우에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켓에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모듈.
1. A plug module provided in an external device external to a portable terminal and coupled to a socket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 vertically arranged shaft;
A plug terminal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rovided at one side and is supported by the shaft and is transp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direction with the socket;
A button that operates according to an external force to transfer the plug terminal portion to fit the height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to the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d a first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the plug terminal portion in a direction to resist the transfer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thereby providing a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plug terminal por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Wherein a plug of the plug terminal unit can be inserted into a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even when the vertical height of the socket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상기 외장장치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때에, 상기 외장장치의 케이스에 포함된 제1 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면 또는 뒷면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surface included in a case of the external device faces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플러그 단자와 버튼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버튼을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plug terminal and the button for restoring the button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상기 제1 탄성부재는 플러그 단자부와 함께 상기 샤프트에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fitted to the shaft together with the plug terminal portion.
상기 샤프트, 플러그 단자부 및 제1 탄성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플러그 단자부의 상하 이송 범위를 제한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racket accommodating the shaft, the plug terminal portion,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the plug terminal portion limiting a vertical transfer range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폭에 따라 상기 소켓의 수직 방향 높이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소켓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장치.A plug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6, wherein the plug of the plug terminal portion is inserted into a socke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ocket, even if the vertical height of the socket varies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ortable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2102U KR200488023Y1 (en) | 2018-05-15 | 2018-05-15 | Plug Module of External-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2102U KR200488023Y1 (en) | 2018-05-15 | 2018-05-15 | Plug Module of External-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Devic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9357 Division | 2017-02-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535U KR20180002535U (en) | 2018-08-22 |
KR200488023Y1 true KR200488023Y1 (en) | 2018-12-05 |
Family
ID=6340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2102U Active KR200488023Y1 (en) | 2018-05-15 | 2018-05-15 | Plug Module of External-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8023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169496B (en) * | 2024-03-26 | 2024-09-24 | 中山市博测达电子科技有限公司 | A router joint fatigue test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4503B1 (en) * | 2007-09-27 | 2009-02-18 | (주)무브앤삼우코리아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
US20150358439A1 (en) | 2014-02-24 | 2015-12-10 | National Products, Inc. |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9348B1 (en) * | 2002-11-08 | 2005-03-3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Portable usb storage device |
-
2018
- 2018-05-15 KR KR2020180002102U patent/KR200488023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4503B1 (en) * | 2007-09-27 | 2009-02-18 | (주)무브앤삼우코리아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
US20150358439A1 (en) | 2014-02-24 | 2015-12-10 | National Products, Inc. | Docking sleeve with electrical adap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2535U (en) | 2018-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17942B2 (en) | Connector having metal shell with anti-displacement structure | |
KR101405788B1 (en) |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190326767A1 (en) |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 |
US7086880B2 (en) | Connector with movable shutters | |
CN102043205B (en) | Connector | |
US7445510B2 (en) | Surface contact card holder | |
CN101217222B (en) | Extendable connector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 |
US7381082B2 (en) | Connector assembly with the cable positioned inside | |
US11251572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features on the board-side wall of the housing | |
CN102148448A (en) | Socket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 electrical connector | |
CN101295848A (en) | Electric connector and camera device with the same | |
JP2006527517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elastic connection between the internal electronic device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device | |
US11038310B2 (en) | Reversible dual-position electric connector | |
KR200488023Y1 (en) | Plug Module of External-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the External-Device | |
US20050174746A1 (en) | LGA contact with pair of cantilever arms | |
US20080096434A1 (en) | Microphone Connector | |
US7371018B2 (en) | Optical-electric connector | |
US7614912B2 (en) | Card connector with dummy card | |
US7150641B2 (en) |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structure with a movable insulation block | |
US20080090459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348141B1 (en) | Multi typ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applied for it | |
JP2009176423A (en) | Plug connec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812421B1 (en) |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parts | |
KR101711365B1 (en) | Micro USB connector plug | |
CN213636366U (en) |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UA01011R05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Conversion into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19357 Filing date: 20170213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53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1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112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