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876Y1 - Headset holder - Google Patents
Headset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7876Y1 KR200487876Y1 KR2020160007314U KR20160007314U KR200487876Y1 KR 200487876 Y1 KR200487876 Y1 KR 200487876Y1 KR 2020160007314 U KR2020160007314 U KR 2020160007314U KR 20160007314 U KR20160007314 U KR 20160007314U KR 200487876 Y1 KR200487876 Y1 KR 2004878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plate
- headset
- monitor
- bent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셋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헤드셋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의 후면부에 장착되는 헤드셋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중량의 헤드셋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책상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모니터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mount that stably mounts a headset and provides a headset mount that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monitor to stably mount a relatively heavy headset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on the desk, It is freely adjustable in height and can be used universally for monitors of various sizes.
Description
본 고안은 헤드셋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헤드셋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후면부에 일체 또는 착탈가능하게 창착되는 헤드셋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set holder for stably mounting a head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set holder which is integrally or detachably installed on a rear portion of a monitor.
일반적으로, 헤드셋(Headset)은 귓속에 꽂거나 귀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져 마이크가 함께 내장된 마이크로 폰의 일종으로서, 그 형태에 따라 밴드가 머리를 가로질러 착용되는 헤드 밴드형과, 밴드가 목 뒤를 감싸도록 목 뒤에 착용되는 넥 밴드형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헤드 밴드형 헤드셋은 착용시 머리를 감싸주어 안정감이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귀가 아프지 않아 컴퓨터 사용시 주로 사용된다. In general, a headset is a type of microphone that is built in a form that plugs into the ear or covers the ear and has a built-in microphone. Depending on the form, a headband type in which the band is worn across the head, A neckband type worn behind the neck to wrap it is widely known. Especially, the headband type headset has excellent stability by covering the head when worn. It is mainly used for computer use because it does not hurt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하지만, 헤드셋은 사용 중에는 머리 또는 목에 착용한 상태로 거치할 수 있으나, 사용 전·후에는 별도로 거치할 거치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컴퓨터 모니터가 안치된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책상의 공간 활용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책상이 정리되지 않아 컴퓨터 키보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headset can be mounted on the head or neck while it is in use. However, since the headset is not provided with a stand to mount before and after use, it is put on a desk with a computer monitor. As a resul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desk is lowered and the desk is not arranged, which makes the use of the computer keyboard uncomfortabl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니터 또는 책상의 일측부에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고리부재를 부착하여 헤드셋을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고리부재가 헤드셋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모니터 또는 책상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장시간 사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모니터 또는 책상의 일측부로 돌출되어 부상의 위험이 있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eadset is mounted by attaching a hook member in the form of a hook to one side of a monitor or a desk. However, since the hook member can not stand the weight of the headset and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onitor or desk, In addition, there was a risk of injury due to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onitor or desk.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105360호(공개일: 2008.12.04.)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4031호(공개일: 2009.12.03.)에서는 모니터나 본체, 예를 들면 모니터의 우측 또는 좌측 테두리에 헤드셋 거치대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개념이 기술되어 있으나, 단순히 아이디어 상태로만 기재되어 있을 뿐 거치대의 구조 및 결합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그 개시나 암시가 되어 있지 않고 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8-0105360 (published on Dec. 4, 2008) and Korean Laid-open Patent No. 10-2009-0124031 (published on December 23, 2009) disclose a monitor or a main body, A headset holder is attached to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holder.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holder is not disclosed or implied.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모니터의 후면부에 형성된 배치홀에 일체 또는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비교적 중량의 헤드셋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책상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셋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itor which can be mounted integrally or detachably in an arrangement hole formed in a rear portion of a monitor, stably mounting a relatively heavy headse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set cradle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its siz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하부가 모니터의 후면부에 장착된 지지판; 및 하부가 상기 지지판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지지되되,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경계로 높이가 가변되고, 상단부가 전방측으로 탄성 절곡되어 헤드셋이 거치되는 거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거치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pport plate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a monitor; And the lower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on the rear portion of the monitor.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is varied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plate is engaged with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portion is elastically bent toward the front s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set cradl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unting plate to be mounted.
또한, 상기 지지판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되, 하부는 인체의 어깨와 같이 양측부로 확장되어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체결 고정된 확장 다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xtension leg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upling portion and increases in width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is extended to both side portions like a shoulder of a human body and fastened and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onitor .
또한, 상기 확장 다리부 사이에는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다리의 상단부가 인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ecessed recess may be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legs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monitor leg supporting the monitor is drawn in.
또한, 상기 거치판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결합부와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결합부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거치판의 결합부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절곡된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고 상기 헤드셋이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종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전방측으로 경사진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fixing plat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up-and-dow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of the fastening holes of the fastening plate, A bent portion bent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An inclined portion that is bent downward in the bent portion and is bent obliquely toward the front side; A mounting portion which is horizontally bent forward at the inclined portion and on which the headset is mounted; And a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that is bent at an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n an upward direction and inclined forward.
또한, 상기 거치판의 결합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it may further comprise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the inclined portion.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15°~ 45°의 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may be bent at an angle of 15 ° to 45 °.
또한,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책상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키보드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판이 상승된 후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거나, 상기 승강부의 승강로드에 걸리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통해 상기 거치판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헤드셋이 제거되어 상기 지지판에 걸리는 중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강부의 승강로드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evator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monitor to elevate the support plate, wherein the elevator includes a control unit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computer bod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switch or a keyboard installed on a desk,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weight of the upper plate of the mounting plate through a weight sensor that senses a weight of the lifting ro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unit ove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ifting of the supporting plate, The lifting ro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is lowered to lower the support plate when the weight of the headset mounted on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is determined to be re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 모니터의 후면부에 장착되고, 자유롭게 높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셋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비교적 중량의 헤드셋을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책상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모니터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drest mount which is mounted on the rear portion of a computer monitor and freely adjustable in height, thereby stably mounting a relatively heavy headset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desk, It can be used universally for monitors of various sizes by adjusting the height freely.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가 모니터의 후면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FIG.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set holde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of the headset holder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set rest of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set holder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monitor;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set rest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dset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dset cra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가 모니터의 후면부에 장착되고 그 상부에 헤드셋이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the headset holder shown in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set holder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set mount shown in FIG. 1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monitor and a headset mounted thereon, and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set mount shown in FIG.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10)는모니터(M)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책상(미도시)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는 구조에 비해 상기 책상의 공간을 축소시키지 않아 책상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 to 5, the
이러한 헤드셋 거치대(10)는 금속판을 절단 및 절곡하여 제작하며, 하부가 모니터(M)의 후면부에 일체로 용접 체결되거나, 혹은 체결부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상단는 헤드셋(H)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전방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모니터(M)의 크기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분할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헤드셋 거치대(10)는 도 3과 같이, 하부가 모니터(M)의 후면부에 일체 또는 체결부재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지지판(11)과, 지지판(11)의 상단부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전방측으로 절곡되는 거치판(12)을 포함한다.3, the
지지판(11)은 비교적 중량의 헤드셋(H)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지지판(11)이 헤드셋(H)의 중량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셋(H)의 중량이 하부 양측부로 분산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러한 지지판(11)은 도 3과 같이, 거치판(12)의 결합부(121)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1)와, 결합부(111)의 하부로부터 연장되고 하부 양측부가 인체의 어깨와 같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확장된 확장 다리부(112, 113)를 포함한다. 3, the
확장 다리부(112, 113)에는 도 4와 같이, 복수 개의 체결공(112a, 113a)이 형성되어 있어 모니터(M)의 후면부에 형성된 배치홀(미도시)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 배치홀은 모니터(M)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벽 걸이형 브라켓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홀로서, 나사(또는 볼트)를 이용하여 확장 다리부(112, 113)를 모니터(M)에 체결한다. As shown in FIG. 4, the
도 1 및 도 4와 같이, 확장 지지부(112, 113) 사이, 즉 지지판(11)의 하부 중앙부에는 모니터 다리(ML)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인입홈(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모니터(M)에 모니터 다리(ML)를 장착시킬 때 모니터 다리(ML)의 상단부가 확장 지지부(112, 113)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인입홈(111b)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4, a lead-in
거치판(12)은 지지판(11)의 결합부(111)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1)와, 결합부(121)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2)와, 절곡부(122)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전방측으로 경사진 경사부(123)와, 경사부(123)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되고 헤드셋(H)이 거치되는 거치부(124)와, 거치부(124)의 종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전방측으로 경사진 이탈방지부(125)를 포함한다.The
거치판(12)은 결합부(121), 절곡부(122) 및 경사부(123)가 대략 '∩'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 부위에서 일정한 탄성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실수로 헤드셋(H)을 거치판(12)으로부터 인출할 때 하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인출하더라도 결합부(121), 절곡부(122) 및 경사부(123)에 의해 형성된 탄성으로 인해 거치부(124)가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져 보다 편리하게 헤드셋(H)을 인출할 수 있다. The
이탈방지부(125)는 도 2와 같이, 헤드셋(H)을 간편하게 인출하기 위해 거치부(124)의 종단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울기(θ)를 갖도록 절곡된다. 이때, 이탈방지부(125)의 기울기(θ)는 도 2와 같이, 헤드셋(1)이 거치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경우 거치부(124)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거치된 헤드셋(H)을 인출할 때에는 보다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대략 10°내지 45°범위 내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도 3과 같이, 지지판(11)과 거치판(12)의 결합부(111, 121)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체결공(111a, 12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판(11)과 거치판(12)의 결합부(111, 121)는 체결공(111a, 121a)을 관통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는 서로 암수 결합되는 수부재(b)와 암부재(n)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지지판(11)과 거치판(12)의 결합부(111, 121)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11a, 121a)이 서로 정렬되도록 거치판(12)의 결합부(121)를 지지판(11)의 결합부(111)의 배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이들을 상호 결합한다. 이때, 지지판(11)과 거치판(12)의 결합부(111, 121)를 상호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하부 2곳에서 지지판(11)과 거치판(12)의 결합부(111, 121)를 상호 결합한다. The
한편, 헤드셋 거치대(10)은 거치판(12)의 결합부(121)와 경사부(123) 사이에 용접 처리된 탄성부재(미도시), 예를 들면 용수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부(121)와 경사부(123) 사이에 탄성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헤드셋(H)을 거치판(12)으로부터 인출할 때 거치부(124)가 하부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결합부(121)와 경사부(123)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으로 인해 거치부(124)가 원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거치부(124)가 휘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셋 거치대(10)를 모니터(M)의 후면부에 설치함으로써 헤드셋 거치대(10)가 상기 책상의 상부에 놓여져 방치되거나, 혹은 측부에 구비된 고리에 거치되는 구조에 비해 상기 책상의 공간을 축소시키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헤드셋 거치대(10)에 거치시켜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또한, 본 고안은 헤드셋 거치대(1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비교적 중량의 헤드셋(H)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헤드셋(H)의 중량이 헤드셋 거치대(10)의 하부 양측부로 분산되어 헤드셋(H)의 중량이 지지판(11)에 집중되어 지지판(11)이 휘어지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the
또한, 본 고안은 헤드셋 거치대(10)가 지지판(11)과 거치판(12)으로 이분할되고, 이들의 결합부(111, 121)에 각각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체결공(111a, 121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시켜 고정함으로써 도 5와 같이, 헤드셋 거치대(10)가 설치되는 모니터(M)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모니터(M)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eadset cradl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20)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셋 거치대(10)와 달리 지지판(11)과 거치판(12)이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6, the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eadset crad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30)는 헤드셋을 거치하는 지지판(31)과, 승강수단(32)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판(3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1에 따른 헤드셋 거치대(10)의 지지판(11)과 거치판(12)이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지지판(31)은 실시예1에 따른 거치판(1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Referring to Fig. 7, the headset rest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승강수단(32)은 도 7과 같이, 상기 책상에 설치된 스위치(325) 또는 키보드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본체(PC)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321)와, 제어부(321)에 의해 제어되어 거치판(31)을 승강시키는 승강부(322)를 포함한다. 7, the elevating means 32 includes a
승강부(322)는 모니터(M)의 후면부에 체결되거나, 혹은 모니터 벽 거치형 브라켓(미도시)에 체결되어 제어부(321)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지지판(31)을 승강시킨다. 이때, 승강부(322)는 일례로 실린더 또는 리니어 전동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The elevating
일례로, 사용자가 책상에 구비된 스위치(325)를 턴-온시키거나, 혹은 키보드의 특정 키, 예를 들면 'Enter 키'를 누르면, 제어부(321)는 승강부(322)의 승강로드를 신장시켜 승강로드의 상부에 결합된 거치판(31)을 상부로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판(31)에 거치된 헤드셋(H)은 상부로 상승되어 모니터(M)의 상부로 노출된다. 이때, 스피커(323)를 통해 헤드셋(H)이 상승되는 것을 알리는 알림음이 출력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turns on the
이후, 제어부(321)는 헤드셋(H)이 거치된 지지판(31)이 상승된 후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거나, 혹은 승강부(322)의 승강로드에 걸리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324)를 통해 지지판(31)에 걸리는 중량이 헤드셋(H)이 거치된 상태의 중량을 기준으로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면, 승강부(322)의 승강로드를 하강시켜 지지판(31)을 하강시킨다.
The
H : 헤드셋 M : 모니터
10, 20, 30 : 헤드셋 거치대 11, 31 : 지지판
111 : 결합부 112, 113 : 확장 다리부
12 : 거치판 121 : 결합부
122 : 절곡부 123 : 경사부
124 : 거치부 125 : 이탈방지부
32 : 승강수단 321 : 제어부
322 : 승강부 323 : 스피커
324 : 중량센서 325 : 스위치 H: Headset M: Monitor
10, 20, 30:
111: engaging
12: mounting plate 121: engaging portion
122: bent portion 123: inclined portion
124: mounting part 125:
32: elevating means 321:
322: elevating part 323: speaker
324: Weight sensor 325: Switch
Claims (7)
하부가 상기 지지판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지지되되,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판을 경계로 높이가 가변되고, 상단부가 전방측으로 탄성 절곡되어 헤드셋이 거치되는 거치판; 및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은 책상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키보드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컴퓨터 본체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지판이 상승된 후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거나, 상기 승강부의 승강로드에 걸리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통해 상기 거치판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헤드셋이 제거되어 상기 지지판에 걸리는 중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승강부의 승강로드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거치대.
A support plate having a lower portion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monitor; And
And the lower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on the rear portion of the monitor. The height of the support plate is varied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plate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Mounting plate; And
A lifting means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monitor to lift up the support plate; / RTI >
The elevator includes a control unit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computer main body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switch or a keyboard installed on a desk, and a lift unit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elevate the support plate,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weight of the lifting rod of the lifting unit through the weight sensor by removing the headset mounted on the upper plate of the lifting unit, The elevating rod of the elevating part is lowered to lower the supporting plate,
Wherein the headrest rests on the headrest base.
상기 지지판은,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되, 하부는 인체의 어깨와 같이 양측부로 확장되어 상기 모니터의 후면부에 체결 고정된 확장 다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late
A coupl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extension le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art and having an increased width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the lower part being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art like a shoulder of the human body and fastened and fixed to the rear part of the monitor;
Wherein the headrest rests on the headrest rest.
상기 확장 다리부 사이에는 상기 모니터를 지지하는 모니터 다리의 상단부가 인입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오목한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recessed recess is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legs to allow the upper end of the monitor leg supporting the monitor to be pulled in.
상기 거치판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판의 결합부와 상호 결합되도록 상기 지지판의 결합부의 체결공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거치판의 결합부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절곡된 절곡부;
상기 절곡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고 상기 헤드셋이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종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되 전방측으로 경사진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ationary plate,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up-and-down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of the fastening holes of the support plate to be coupled with the fastening holes of the support plate by the fastening members;
A bent portion bent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An inclined portion that is bent downward in the bent portion and is bent obliquely toward the front side;
A mounting portion which is horizontally bent forward at the inclined portion and on which the headset is mounted; And
A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that is bent at an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n an upward direction and inclined forward;
Wherein the headrest rests on the headrest rest.
상기 거치판의 결합부와 상기 경사부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이탈방지부는 15°~ 45°의 각도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is bent at an angle of 15 to 45 degre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7314U KR200487876Y1 (en) | 2016-12-15 | 2016-12-15 | Headset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7314U KR200487876Y1 (en) | 2016-12-15 | 2016-12-15 | Headset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896U KR20180001896U (en) | 2018-06-25 |
KR200487876Y1 true KR200487876Y1 (en) | 2018-11-15 |
Family
ID=6274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7314U Active KR200487876Y1 (en) | 2016-12-15 | 2016-12-15 | Headset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876Y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03957A1 (en) | 2003-11-19 | 2005-05-19 | Mei-Li Chang | Support stand assembly for a computer desk |
US20130092805A1 (en) | 2011-10-14 | 2013-04-18 | Joe Funk | Tablet Mounting Arm Systems and Methods |
KR101475490B1 (en) * | 2007-10-05 | 2014-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05360A (en) | 2007-05-30 | 2008-12-04 | 김보미 | Headset stand |
KR20090124031A (en) | 2008-05-29 | 2009-12-03 | 김보미 | Monitor headset holder |
US9008328B2 (en) * | 2011-09-28 | 2015-04-14 | Tdk Corporation | Headphone, headphone stand and headphone system |
KR101308506B1 (en) * | 2012-02-15 | 2013-09-17 | 여영규 | Holder for Portable Data Terminal |
-
2016
- 2016-12-15 KR KR2020160007314U patent/KR200487876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03957A1 (en) | 2003-11-19 | 2005-05-19 | Mei-Li Chang | Support stand assembly for a computer desk |
KR101475490B1 (en) * | 2007-10-05 | 2014-1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
US20130092805A1 (en) | 2011-10-14 | 2013-04-18 | Joe Funk | Tablet Mounting Arm Systems and Methods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인터넷 검색, ‘BenQ Gaming Monitors", https://www.liewcf.combenq-gaming-monitors-9020, (공개일자 2012.09.0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1896U (en) | 2018-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1005499S1 (en) | Occipital support device | |
DE60304864D1 (en) | HEADSET | |
US20130126682A1 (en) | Computer lift | |
WO2008094913A3 (en) | Fishing pole tender system | |
KR101949296B1 (en) | Computer desk | |
KR200487876Y1 (en) | Headset holder | |
US6439522B1 (en) | Mounting device for a florist basket | |
JP2008136744A (en) | Display shelf bracket protector | |
USD1043701S1 (en) | Computer device support stand | |
KR20110050165A (en) | Extendable detachable armrest | |
KR20100110009A (en) | An apparatus for supporting feet | |
JP2013239825A (en) | Rear head mounting head band and rear head mounting head set type microphone | |
JP2005117455A (en) | Speaker system with stand | |
CN215111407U (en) | Rotatable supporting rod device | |
KR101902827B1 (en) | Supporting bracket for non-vesa monitor | |
KR101723302B1 (en) | Fishing support coupling device capable of attaching/detaching to fishing chair and fishing chair including the same | |
CN204948324U (en) | A kind of folding flat panel television display Multifunctional combined loudspeaker system | |
KR101449665B1 (en) | Desk posture correction device | |
JP6031893B2 (en) | L-shaped bracket for mounting electronic equipment | |
KR101033173B1 (en) | Moving Stand for Flat Panel | |
KR101143526B1 (en) | Movable stand for plate displayer | |
CN212995544U (en) | Integrated bending armrest of office chair | |
CN210670503U (en) | A bluetooth headset that prevents slipping | |
KR101000586B1 (en) | Fixture for fishing rod stand | |
KR200471779Y1 (en) | Height Adjustable Waist Supporter for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21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33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11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11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