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7753Y1 -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 Google Patents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753Y1
KR200487753Y1 KR2020160006308U KR20160006308U KR200487753Y1 KR 200487753 Y1 KR200487753 Y1 KR 200487753Y1 KR 2020160006308 U KR2020160006308 U KR 2020160006308U KR 20160006308 U KR20160006308 U KR 20160006308U KR 200487753 Y1 KR200487753 Y1 KR 2004877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ard
pressing
reader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341U (ko
Inventor
오재필
윤상진
이새종
이태훈
임영하
최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75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753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the housing being a portable ca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reading head of the connector being removably attached to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신용 카드 업무를 수행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가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리더기는,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리더기 본체의 개구에 삽입된 외부 장치에 압착되거나 해제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압착 또는 압착 해제에 따라 외부 장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CARD READER INCLUDING MOUNTING AND SEPARATING DEVICE}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탈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 탈부착되어 신용 카드 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카드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카드 리더기는 온/오프 전용라인을 통하여 중계 서버 또는 VAN사 서버와 연결되어 신용 카드 결제 업무가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신용 카드는 카드에 정보를 수록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자기띠 방식을 이용하는 마그네틱 카드와, 직접회로(Integrated Circuit; IC)칩을 내장하는 스마트 카드라고 불리는 IC 카드가 있다.
상기 IC카드는 사용 방법에 따라서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카드 정면에 금속 패턴이 있는 것이 접촉식 IC카드로, 가장 일반적인 IC카드의 형태이다. 또한, 비접촉식 IC카드는 카드 안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module : 기능부) 및 안테나를 내장한 것이다.
삭제
삭제
이러한 상기 신용 카드 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카드 리더기는 리더기 본체와, 상기 리더기 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키입력부가 구비되며,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프린터 출력부 및 커터부가 구비되고,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는 카드를 삽입하는 카드 삽입구가 구비된다.
삭제
최근에는, 접촉식 카드 및 비접촉식 카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 리더기는 외부 장치와 탈부착하기 위해 커넥터를 사용하였고, 다시 말해 별도로 탈부착 장비가 없는 구조이므로, 커넥터에 의해 외부 장치와 결합시 고정력이 약하여 쉽게 분리되어 외부 장치와 카드 리더기의 전기적 접촉 불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카드 리더기를 결합시키나 부착시키는 장치가 별도로 없고, 단지 외부 장치와 카드 리더기를 커넥터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구조이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에 카드 리더기를 고정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카드 리더기에 일체로 외부 장치에서 탈부착시키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할 실정이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카드 리더기에 외부 장치로부터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하여, 압착에 의해 외부 장치에 압착 또는 압착해제되는 탈부착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외부 장치와 카드 리더기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고정력도 증가시켜 카드 리더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드 리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리더기는,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리더기 본체의 개구에 삽입된 외부 장치에 압착되거나 해제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압착 또는 압착 해제에 따라 외부 장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리더기는,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구비되며, 압착에 의해 외부 장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일부분이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 상기 개구의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장치에 압착되거나 해제되는 압착부; 및 상기 리더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압착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를 상기 외부 장치에 압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더기 본체에 외부 장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하여, 외부 장치에 압착 또는 압착 해제되는 압착부를 포함하는 탈부착 장치를 구성하여, 외부 장치와 카드 리더기의 결합 및 분리를 간편하게 할뿐만 아니라 결합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부착 장치는 회전부에 의한 회전에 따라, 외부 장치에 압착부를 압착하거나 압착 해제함에 따라, 외부 장치와 결합 및 분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탈부착 장치가 카드 리더기와 함께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탈부착 장치의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카드 리더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의 내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의 구성 중 탈부착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에 외부 카드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가 외부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가 외부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드 리더기(100: 도 1에 도시됨)는 신용카드 결제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신용 카드는 비접촉식 카드 및 접촉식 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00; 도 1에 도시됨)는 비접촉식 카드(미도시 됨) 및 접촉식 카드(미도시 됨)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접촉식 카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 및 안테나를 내장한 IC 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식 카드는 마그네틱 카드와 금속 패턴이 있는 IC 카드를 포함할 있다. 즉, 상기 IC 카드는 사용 방법에 따라서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나누고, 상기 접촉식 IC 카드는 카드 정면에 금속 패턴이 있는 카드이고, 상기 비접촉식 IC카드는 카드 안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module : 기능부) 및 안테나를 내장하는 카드이다.
다시 말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듈(module : 기능부) 및 안테나를 내장한 IC 카드(미 도시됨)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접촉식 카드(미도시 됨)는 마그네틱 카드와 금속 패턴이 있는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00)내에는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 및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이 구비되고,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 및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부(미도시 됨)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 됨)은 상기 비접촉식 카드내에 구비된 IC칩(미도시 됨)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 리더부(미도시 됨)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접촉식 IC 카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비접촉식 IC 카드가 상기 리더부와 비접촉될 수 있는 카드의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은 상기 접촉식 카드에 구비된 자기 띠(미도시 됨)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도록 MSR(Magnetic Strip Reader)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자기 헤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접촉식 카드가 상기 카드 리더기에 형성된 카드 삽입구(115; 도 1에 도시됨)를 통과시 상기 접촉식 카드의 자기띠(미도시 됨)가 상기 자기 헤드부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자기 헤드부는 상기 접촉식 카드의 자기띠 데이터를 감지하여 읽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식 카드는 상기 마그네틱 카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접촉식 카드는 상기 자기 헤드부(미도시 됨)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자기 헤드부에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카드의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실시예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접촉식 카드는 금속 패턴이 있는 IC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접촉식 카드 및 상기 비접촉식 카드를 모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드 리더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카드 리더기(100: 도 1에 도시됨)는 외부 장치(10; 도 6에 도시 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되는 전자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100; 도 1에 도시됨)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이 내장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된 또 다른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 됨)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카드 리더기(100; 도 1에 도시됨)는 근거리 통신 모듈로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10; 도 6에 도시됨)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1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100)는 리더기 본체(101) 및 탈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 본체(110)에는 카드 삽입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부는 개구(102), 압착부(108) 및 회전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102)는 상기 리더기 본체(10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02)에는 외부 장치(10, 도 10)의 일부분이 삽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08)는 상기 개구(102)의 내벽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구(102)의 내벽에는 상기 압착부(108)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108)의 일부분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08)의 다른 부분은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개구(102)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4)는 상기 리더기 본체(101) 내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리더기 본체(10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더기 본체(101)의 일면에는 조작홀(113)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104)의 일부분이 리더기 본체(10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4)는 압착부(108)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4)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압착부(108)의 일부분을 상기 개구(102)를 향해 돌출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회전부(104)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압착부(108)의 다른 부분을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리더기 본체(101)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의 내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카드 리더기의 탈부착 장치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압착부(108)는 상기 리더기 본체(101)의 수용홈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08)는 상기 회전부(104)의 일부분(후술할 회전축(141))를 수용하는 홈(1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의 홈(181)의 내벽에는 제1 나사산(18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104)에는 상기 제1 나사산(182)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1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나사산(182)은 상기 제2 나사산(148)와 맞물리게 됨에 따라, 상기 압착부(108)는 상기 회전부(104)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04)는 제2 나사산(141)이 형성된 회전축(141), 연결부(142) 및 조작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2)는 상기 회전축(141)과 동일한 축을 가지면서 상기 리더기 본체(101)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43)는 상기 리더기 본체(101)에 구비되면서 상기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43)가 상기 회전부(141)와 함께 상기 연결부(14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142)는 상기 조작부(143)가 상기 리더기 본체(101)의 내부와 간섭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104)가 상기 연결부(142)를 반드시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조작부(143)가 상기 리더기 본체(101) 내에서 회전 될 수 있다면, 상기 회전부(104)는 상기 연결부(14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108)는 상기 리더기 본체(101)의 수용홈의 내측단(111)에 걸리는 이탈 방지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184)는 수용홈의 내측단(111)에 걸리게 됨에 따라, 상기 압착부(108)가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가 회전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104)는 상기 압착부(108)와 나사결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전부(104)의 회전에 의해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회전부(104)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압착부(108)가 상기 외부 장치에 압착 해제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회전부(104)를 회전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직선 방향으로 외력을 받는 조작부는 상기 압착부(108)와 다양한 구조의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압착부(108)를 직선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의 구성 중 탈부착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외부 장치(10)가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탈부착 장치에 결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회전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 나사산(148, 도 3)은 상기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나사산(181, 도 3)은 상기 제2 나사산(148, 도 3)과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는 상기 제2 나사산(148, 도 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104)은 상기 제1 나사산(181, 도 3)이 상기 제1 나사산(148, 도 3)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용홈에 의해 회전 운동이 제한되면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104)의 회전운동은 상기 압착부(104)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04)는 직선 운동을 하면서 상기 개구(102, 도 2)를 향하는 방향(①)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압착부(108)의 일면은 상기 외부 장치(10)의 일면에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장치(10)의 다른 면은 상기 개구(102, 도 2)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장치(10)는 상기 압착부(108)에 의해 상기 개구(102) 내에서 상기 리더기 본체(101)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회전부(10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압착부(108)를 상기 리더기 본체(101) 내부를 향하는 방향(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압착부(108)를 상기 외부 장치(10)와 압착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장치(10)는 상기 압착부(108)에 의한 압착이 해제되어, 상기 개구(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100)는 상기 압착부(108)를 상기 개구(102) 내에 삽입된 상기 외부 장치(10)에 압착시키거나 압착 해제함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10)와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회전부(104)를 회전시키는 방향을 선택함에 따라, 상기 압착부(108)를 상기 외부 장치(10)에 압착시키거나 압착 해제하는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에 외부 카드를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드 리더기(100)는 신용 카드 중 접촉식 카드(20)를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식 카드(20)는 상기 카드 삽입구(103)에 삽입되면,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이 상기 접촉식 카드(20)의 자기띠 데이터를 감지하여 신용 정보를 읽을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가 외부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가 외부 장치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 장치(10)는 상기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카드 리더기(10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를 포함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더기 본체(101, 도 5)에 형성된 카드 삽입부(103)에 상기 접촉식 카드(20)를 통과시켜, 상기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은 접촉식 카드(20)의 데이터(예: 신용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드 리더기(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접촉식 카드 인식 모듈(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신용 정보를 외부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10)는 상기 송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부 장치(10)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거래 상황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100)는 상기 외부 장치(1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탈부착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외부 장치(10)에 탈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장치(10)와 결합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의 동작 방법(S10)는 외부 장치를 개구에 삽입하는 동작(S11), 회전부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S13),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와 나사결합된 압착부를 외부 장치에 압착하는 동작(S15), 상기 카드 리더기의 카드 삽입구에 카드를 통과시키는 동작(S17), 상기 회전부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S19),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착부를 외부 장치에 압착 해제하는 동작(S21) 및 상기 외부 장치를 개구로부터 분리하는 동작(S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를 개구에 삽입하는 동작(S11)에서는, 상기 외부 장치(10, 도 6)가 상기 리더기 본체(101, 도 1)의 개구(102, 도 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102, 도 1)는, 상기 외부 장치(10, 도 6)가 상기 카드 리더기(100, 도 6)에 결합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S13)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이용하여 회전부(104, 도 1)를 상기 제1 방향(ⓐ, 도 4)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와 나사결합된 압착부를 외부 장치에 압착하는 동작(S15)에서는, 상기 회전부(104, 도 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104, 도 1)와 나사결합된 압착부(108, 도 1)가 상기 개구(102, 도 1)를 향하여 돌출 이동되면서 상기 외부 장치(10, 도 6)의 일면을 압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10, 도 6)는 상기 압착부(108, 도 1)와 상기 개구(102)의 내벽 사이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장치(10, 도 6)는 상기 압착부(108, 도 1)에 의해 상기 개구(102, 도 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의 카드 삽입구에 카드를 통과시키는 동작(S17)에서는, 사용자가 카드(20, 도 5)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카드 삽입구(103, 도 5)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카드 리더기(100)는 상기 압착부(108, 도 1)가 상기 외부 장치(100, 도 6)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카드(20, 도 5)를 상기 카드 삽입구(103, 도 5)에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카드 리더기(100, 도 5)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20, 도 5)의 데이터는 카드 리더기(100, 도 5)에 전달된 후, 상기 카드 리더기(100, 도 6)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10)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S19)에서는, 사용자의 신체를 이용하여 회전부(104, 도 1)를 상기 제2 방향(ⓒ, 도 4)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압착부를 외부 장치에 압착 해제하는 동작(S21)에서는, 상기 회전부(104, 도 1)가 상기 제2 방향(ⓒ, 도 4)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부(104, 도 1)와 나사결합된 압착부(108, 도 1)가 상기 리더기 본체(101, 도 1) 내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외부 장치(10, 도 6)에 압착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장치(10, 도 6)는 상기 개구(102, 도 1) 내에서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를 개구로부터 분리하는 동작(S23)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외부 장치(10, 도 6)를 상기 개구(102, 도 1)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10, 도 6)가 상기 카드 리더기(100, 도 6)와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카드 리더기: 100 리더기 본체: 101
개구: 102 카드 삽입구: 103
회전부: 104 압착부: 108
외부 장치: 10 카드: 20

Claims (9)

  1.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리더기 본체의 개구에 삽입된 외부 장치에 압착되거나 해제되는 압착부를 포함하고, 압착 또는 압착 해제에 따라 외부 장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내벽에는, 상기 압착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단에 걸려, 상기 압착부가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일부분이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 및
    상기 리더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압착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를 상기 외부 장치에 압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3.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에 있어서,
    리더기 본체; 및
    상기 리더기 본체에 구비되며, 압착에 의해 외부 장치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탈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일부분이 삽입되거나 배출되는 개구;
    상기 개구의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외부 장치에 압착되거나 해제되는 압착부; 및
    상기 리더기 본체 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압착부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를 상기 외부 장치에 압착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내벽에는, 상기 압착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측단에 걸려, 상기 압착부가 상기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내벽은, 상기 외부 장치의 일부분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수용홈을 통해 상기 개구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에는, 경사진 제1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압착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는 상기 압착부를 상기 개구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이동시켜, 상기 압착부를 상기 외부 장치에 압착시키고,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는 상기 압착부를 상기 리더기 본체로 이동시켜, 상기 압착부를 상기 외부 장치와 압착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8. 삭제
  9. 삭제
KR2020160006308U 2016-10-28 2016-10-28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Active KR200487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08U KR200487753Y1 (ko) 2016-10-28 2016-10-28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08U KR200487753Y1 (ko) 2016-10-28 2016-10-28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41U KR20180001341U (ko) 2018-05-09
KR200487753Y1 true KR200487753Y1 (ko) 2018-10-30

Family

ID=6216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308U Active KR200487753Y1 (ko) 2016-10-28 2016-10-28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75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17B1 (ko) * 2013-11-29 2015-04-1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317B1 (ko) * 2013-11-29 2015-04-14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리더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EPETRONIX Product Guide, ZEPETRONIX CO. LTD, (https://web.archive.org/web/20161004004126/http://www.zepe.co.kr/new/sub04_02.php)(2016.10.04.)*
휴대용 무선 카드단말기 추천-이지체크(ED-944), [online] (http://blog.naver.com/kimjh0428?Redirect=Log&logNo=220760369952)(2016.07.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41U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5601B2 (en) Watch module connector
US10168736B2 (en) Coupling memb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40379952A1 (en) Tablet electronic device
TWI549023B (zh) 穿戴式電子裝置
US9437085B1 (en) In-basket digital donation system
US120084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near field communications reader device
US20110319132A1 (en) Mobile phone having detachable smart card module
KR200487753Y1 (ko)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TWM494362U (zh) 可攜式支付裝置
KR200487752Y1 (ko)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CN104239941B (zh) 一种识别卡
US20110316781A1 (en) Multi-functional mouse
KR20180001342U (ko) 탈부착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리더기
CN204695324U (zh) 一种接触式读卡器
TWI602354B (zh) 托盤機構及使用此托盤機構電子裝置
JP2012118585A (ja) 通信装置
KR101240230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200490479Y1 (ko) 카드 리더기
KR101240227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6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8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20190081298A (ko) 카드 리더기
KR20120003830A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20120003826A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20120003759A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0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30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10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