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7663Y1 -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 Google Patents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663Y1
KR200487663Y1 KR2020170001321U KR20170001321U KR200487663Y1 KR 200487663 Y1 KR200487663 Y1 KR 200487663Y1 KR 2020170001321 U KR2020170001321 U KR 2020170001321U KR 20170001321 U KR20170001321 U KR 20170001321U KR 200487663 Y1 KR200487663 Y1 KR 200487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water bottle
tea bag
capsule
t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805U (ko
Inventor
차원성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천삼다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천삼다초(주)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천삼다초(주)
Priority to KR2020170001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66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8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8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663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B65D2081/0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은 신축성 있는 연질성분으로 마련되어 생수병 입구를 통과할 때 수축하여 통과하고 통과한 이후 생수병 내에서 원상태로 복구되며, 내부에 수용된 차(茶)가 물에 의해 우러나올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마련된다.

Description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Capsule tea bag for natural water bottle}
본 고안은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차를 넣어 캡슐형태로 조립한 후 생수병에 넣어 간편한 방법으로 차를 음용할 수 있는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수병은 보통 300ml~2리터 등의 페트병에 담겨 출시되고 있으며, 병의 입구 내외경 사이즈가 규격화되어 동일하게 제작되고, 이에 맞게 뚜껑(마개)이 나사체결 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통상적으로는 상기 생수 이외에 차 종류를 가공하여 시판되고 있는 제품도 별도로 판매되고 있지만, 자신이 선호하는 녹차, 홍차, 커피 등의 티백을 생수병, 전용 물병 내에 직접 집어넣고 내용물을 우려내어 마시기도 한다. 대부분 가정이나 사무실이 아닌 야외에서는 쉽게 구할 수 있는 생수병에 상술한 바와 같이 티백을 넣어 우려내어 마시는 편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티백은 부직포 원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티백을 생수병이 넣고 장시간 음용하면 티백이 물에 불어 찢어져 내용물이 생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티백 내부에는 차가 잘 우러나도록 내용물이 잘게 분쇄되어 있어 생수병에 넣고 장시간 음용할 때 과도하게 차가 마시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통상적인 티백은 사각형태로 규격화되어 있어 생수병이 넣을 때 손으로 티백을 접어서 넣을 수밖에 없어 비위생적일 수 있으며, 연결끈이 매달린 형태로서 티백을 생수병에 넣고 연결끈을 밖으로 인출한 상태에서는 병뚜껑을 닫기 어렵고, 닫는다 하더라도 연결끈으로 인해 티백이 생수에 닫지 않고 생수병 중간에 떠있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32812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0782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수병에 용이하게 넣어 장시간 차를 음용할 수 있고 연결끈이 없어 생수병 뚜껑을 닫아 보관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캡슐형 티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축성 있는 연질성분으로 마련되어 생수병 입구를 통과할 때 수축하여 통과하고 통과한 이후 생수병 내에서 원상태로 복구되며, 내부에 수용된 차(茶)가 물에 의해 우러나올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마련된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이 제공된다.
상기 캡슐형 티백은 생수병 입구보다 큰 직경의 구형(球形) 또는 타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형 티백은 생수병 입구보다 작은 직경의 제1망체와 제2망체의 결합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망체와 상기 제2망체에는 생수병 입구에 걸릴 수 있는 크기의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형 티백의 적어도 일 단부에 캡슐형 티백을 생수병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인출꼭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은 생수병 입구보다 큰 크기의 탄성을 갖는 그물망 구조의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압축된 상태로 생수병에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생수병 내에서 원상복구되어 생수 음용시 생수병 입구를 막지 않는다.
또한, 망 눈의 크기가 큰 그물망 구조로 마련되고 분쇄하지 않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차(茶)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어, 생수병에 넣고 음용하여도 티백이 물 흐름을 막아 음용을 방해하는 않고 시간이 지나도 차가 과도하게 우러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무독성 합성수지계열인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PET로 제작되어 생수병 내에서 물에 떠 있으며, 차 내용물의 일부만 물에 잠기게 되어 시간이 지나도 차가 과도하게 우러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의 결합구조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의 결합구조도이다.
도 4는 차 내용물이 담긴 본 고안의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을 생수병에 밀어넣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의 결합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의 결합구조도이고, 도 4는 차 내용물이 담긴 본 고안의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을 생수병에 밀어넣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10)은 신축성 있는 연질성분으로 마련되어 생수병(10) 입구를 통과할 때 수축하여 통과하고 통과한 이후 생수병(10) 내에서 원상태로 복구되며, 내부에 수용된 차(茶)가 물에 의해 우러나올 수 있도록 망 구조로 마련된다.
신축성 있는 연질성분은 무독성 합성수지계열인 폴리프로필렌수지 또는 생수병(10)과 같은 재질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사용할 수 있다. 물보다 가벼운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캡슐형 티백이 생수병(10) 내의 음용수에 잠기지 않고 떠 있을 수 있고 티백에 수용된 차(茶) 내용물이 일부만 음용수에 잠기게 된다.
종래 부직포형 티백을 생수병(10)에 넣으면 수분을 흡수하여 물에 잠기게 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茶)가 과도하게 우러나와 음용하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본 고안의 캡슐형 티백은 물에 떠 있는 소재로 마련되어 생수병(10)에 넣어도 차(茶) 내용물이 일부만 생수에 잠기게 되어 짧은 시간에 차(茶)가 과도하게 우러나오지 않는다.
본 고안의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10)은 타원형 또는 구형 구조로 마련된다. 또한, 캡슐형 티백 내의 차(茶) 내용물이 생수에 의해 용이하게 우러나올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로 마련된다.
종래, 부직포형 티백을 생수병(10)에 넣고 물을 마시기 위해 생수병(10)을 기울이면 물에 젖은 티백이 생수병(10) 입구를 막아 차(茶)가 잘 흘러나오지 않거나 음용하는 사람의 입에 걸리어 차(茶) 음용을 방해하게 된다.
본 고안의 캡슐형 티백(10)은 그물망의 눈 크기가 3~10mm로 마련된다. 내부의 수용되는 차(茶) 내용물은 종래와 같이 분쇄된 형태가 아닌 그물망 눈 크기보다 큰 크기로 절단된 형태의 차(茶) 내용물이 담겨진다. 따라서 생수병(10)을 기울여 음용할 때 차(茶) 내용물과 그물망 사이로 물이 흐를 수 있어 캡슐형 티백(10)으로 인해 생수의 음용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차(茶) 내용물의 크기가 크면 짧은 시간에 차(茶)가 과도하게 우러나오지 않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캡슐형 티백은 체결부에 의해 일측이 분리되어 열리는 구조 또는 완전히 두 부분으로 분리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부(13)에 의해 일측만 분리되어 열리는 구조는 제1망체(11)에 후크(13a)를 마련하고 제2망체(12)에 고리(13b)를 마련하여 스냅인(snap-in) 체결 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3)의 반대측에는 제1망체(11)와 제2망체(12)가 회동가능하도록 망체(11. 12)와 동일한 재질로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체결부(14)에 의해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체결되는 방식은 제1망체(11)에 홈(14a)을 형성시키고 제2망체(12)에 돌기(14b)를 마련하여 형상맞춤에 의한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상의 두 가지 체결방식은 제1망체(11)와 제2망체(12)의 체결방식을 예시로 든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10)의 양 단부에는 생수병(10)으로부터 손으로 잡고 빼낼 수 있도록 인출꼭지(15)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10)을 넣어 생수를 모두 음용한 후 생수병(10)을 분리수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생수병(10)을 기울이고 인출꼭지(15) 부분을 잡고 캡슐형 티백(10)을 생수병(20)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10)을 생수병에 밀어넣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캡슐형 티백(10)은 탄성재질로 마련되어 생수병에 밀어 넣을 때 압축되며 들어간다. 제1망체(11)와 제2망체(12)의 크기는 두 가지 형태로 가능하다.
먼저, 제1망체(11)와 제2망체(12)는 생수병 입구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고, 최외각의 체결부(13, 14)는 생수병(10) 입구보다 크게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생수병(10)에 밀어 넣을 때 체결부(13, 14)와 함께 주변의 제1망체(11)와 제2망체(12)가 압축되며 생수병(10)으로 들어가고 생수병(10) 내에서 원상태로 복구된다. 캡슐형 티백(10)이 생수병(10)으로 들어간 뒤에는 생수병(10)을 기울여도 체결부(13, 14)가 생수병(10) 입구에 걸려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또 다른 형태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망체(11)와 제2망체(12)를 생수병(20) 입구보다 약간 큰 직경의 크기로 마련하고, 체결부(13, 14)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생수병(20)에 밀어 넣을 때 제1망체(11)와 제2망체(12) 자체가 압축되며 생수병(20)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생수병(20)에 들어간 후에는 원상태로 복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10)은 생수병(20) 입구보다 큰 크기의 탄성을 갖는 그물망 구조의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압축된 상태로 생수병(20)에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고, 삽입된 후에는 생수병(20) 내에서 원상복구되어 생수 음용시 생수병(20) 입구를 막지 않는다.
또한, 그물망 눈의 크기가 큰 구조로 마련되어 분쇄하지 않고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차(茶)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어 생수병(20)에 넣고 음용하여도 티백이 물 흐름을 막아 음용을 방해하는 않고 시간이 지나도 차가 과도하게 우러나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캡슐형 티백 11: 제1망체
12: 제2망체 13, 14: 체결부

Claims (4)

  1. 생수병 입구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생수병 입구를 통과할 수 있는 타원형 형태로 결합하는 제1망체(11)와 제2망체(12);
    상기 제1망체(11)와 제2망체(12)의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1망체(11)와 제2망체(12)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고, 생수병 입구보다 큰 직경의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생수병 입구를 통과할 때 상기 제1망체(11)와 제2망체(12)가 수축하며 통과하고 통과한 이후 생수병 내에서 원상태로 복구되는 체결부(13, 14); 및
    상기 제1망체(11) 또는 제2망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생수병으로부터 상기 제1망체(11)와 제2망체(12)의 결합체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꼭지(15)를 포함하는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1321U 2017-03-21 2017-03-21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Expired - Fee Related KR200487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21U KR200487663Y1 (ko) 2017-03-21 2017-03-21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21U KR200487663Y1 (ko) 2017-03-21 2017-03-21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05U KR20180002805U (ko) 2018-10-02
KR200487663Y1 true KR200487663Y1 (ko) 2018-10-19

Family

ID=63861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2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7663Y1 (ko) 2017-03-21 2017-03-21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6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46B1 (ko) 2020-09-10 2021-05-18 김범수 생수병 티백 수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470A (ja) * 2005-10-19 2007-05-10 Shien Chin 容器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284U (ko) * 1977-06-08 1979-01-10
JPS5470684U (ko) * 1977-10-24 1979-05-19
JPS62106723A (ja) * 1983-03-11 1987-05-18 中山 市二郎 お茶出し入れ円球あみ
KR100432812B1 (ko) * 2002-03-14 2004-05-31 이은숙 병용 기호음료 백
KR100634164B1 (ko) 2003-03-13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세정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2470A (ja) * 2005-10-19 2007-05-10 Shien Chin 容器の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46B1 (ko) 2020-09-10 2021-05-18 김범수 생수병 티백 수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805U (ko)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6094B2 (en) Infusion package
JP2015120554A (ja) 蓋が一体になったウォーターボトル用のティーバッグ収納具
US20170349370A1 (en) Tea bag configured to be suspended in a water bottle
KR200487663Y1 (ko) 생수병용 캡슐형 티백
WO2009099976A2 (en) Washing-facilitating container
KR20110047715A (ko) 음료용 병의 이중구조 원 터치 뚜껑 및 제조방법
KR20170106729A (ko) 편리한 입구 고정과 확대된 용적을 갖는 비닐봉지 카트리지 및 그것이 내장된 쓰레기통
US20060163194A1 (en) Tube in a bottle
KR200480782Y1 (ko) 생수병용 티백 홀더
KR20080019501A (ko) 압축티슈가 수용된 생수병 마개
KR20150045100A (ko) 생수병용 티백 수납구
KR20140050907A (ko) 클립이 부착된 차 거름 용기
KR200323635Y1 (ko) 페트병 티백
JP3130281U (ja) スティック状ティーバッグ
KR20110005335U (ko)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KR200192656Y1 (ko) 다중 수용부를 갖는 음료용기
KR200383387Y1 (ko) 격벽에 의한 배출로를 갖는 음료용 팩
KR200461046Y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KR20210071441A (ko) 분리 가능한 일회용 빨대 포장
KR100689994B1 (ko) 액체용기
KR20130011057A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WO2007142420A1 (en) Straw with reservoir
KR20250087369A (ko) 차 추출기 결합체
KR101795441B1 (ko) 휴대용 용기 및 용기 제조방법
JP3092958U (ja) 棒ティー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3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10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4072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