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7595Y1 -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595Y1
KR200487595Y1 KR2020170001587U KR20170001587U KR200487595Y1 KR 200487595 Y1 KR200487595 Y1 KR 200487595Y1 KR 2020170001587 U KR2020170001587 U KR 2020170001587U KR 20170001587 U KR20170001587 U KR 20170001587U KR 200487595 Y1 KR200487595 Y1 KR 200487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uide
vertical
upper portion
multipurp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기
Original Assignee
이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기 filed Critical 이한기
Priority to KR2020170001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595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7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both air an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1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for use in baking ovens or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2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with various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난로의 난방용도, 테이블용도, 가습기용도, 보일러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조리장치용도 및 온수매트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등 다용도로 폭넓게 사용가능하여 구매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A multipurpose combustion device and a furnace, a table, a humidifier, a boiler, a cooking device and a hot water mat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난로의 난방용도, 테이블용도, 가습기용도, 보일러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조리장치용도 및 온수매트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등 다용도로 폭넓게 사용가능하여 구매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 또는 공장 등의 넓은 실내공간을 난방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석유 및 가스의 소모양이 적지 않아 고가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었다.
게다가, 오늘날 유가상승으로 인한 연료비 부담까지 겹쳐져 농가 또는 공장에서는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그리고 공공 기관에서는 난방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비교적 연료비가 저렴한 연탄, 석탄, 갈탄 등의 고체연료용 난방기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효율적인 연소, 온수 공급이 가능한 고체연료용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난방기구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3163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31636호의 경우,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는 난방기능, 온수, 온풍을 공급하는 기능 이외의 다른 기능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31636호
본 고안은 난로의 난방용도, 테이블용도, 가습기용도, 보일러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조리장치용도 및 온수매트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등 다용도로 폭넓게 사용가능하여 구매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연소물이 구비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물이 연소될 경우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연소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를 상기 배출부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소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는 복수의 안내관체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안내관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연소가스를 상기 배출부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안내하는 안내구가 각각 번갈아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안내부는 일측수직안내관체 및 타측수직안내관체와;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 및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의 상부 사이에 수평형성되는 수평안내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구는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와 상부 및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예로, 상기 안내부는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 후측에서 내부 전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제 1수직구획판과, 상기 제 1수직구획판과 교차하면서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제 2수직구획판으로 구성되는 구획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몸체의 전측면 하부 타측, 상기 제 1수직구획판의 전측 상부, 상기 제 2수직구획판의 일측 하부, 상기 제 1수직구획판의 후측 상부 및 상기 안내몸체의 타측면 후측 하부에 각각 상기 연소가스를 상기 배출부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안내하는 안내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의 외측면에 상기 안내부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안내하는 안내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연소부는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에 수평형성되는 수평몸체와; 상기 수평몸체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져 내부에 구비된 상기 연소물을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소부의 외측에 내부에 연소물이 구비되는 보조연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의 측면에 상기 보조연소부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부의 내부로 안내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소부의 측면에 상기 연소부의 슬릿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상기 수용부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또는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평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상기 조리기구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상기 이탈방지부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또는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평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는 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열교환되는 열매체가 내부를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는 난로의 난방용도, 테이블용도, 가습기용도, 보일러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조리장치용도 및 온수매트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등 다용도로 폭넓게 사용가능하여 구매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안내부에 의해 연소가스가 지그재그식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6은 연소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다른예의 안내부에 의해 연소가스가 지그재그식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고,
도 11은 연소부의 보조연소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연소부의 슬릿을 개폐부재가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5는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수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다용도 연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연소부(10), 배출부(20) 및 안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연소부(10)는 크게, 일예로, 수평몸체(110)와 수직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1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내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공망, 타공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지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부재(111)는 상기 수평몸체(111)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120)는 상기 수평몸체(110)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수평몸체(110)의 지지부재(11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몸체(110)의 후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부(10)의 수직몸체(120)의 내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량의 연소물(3)이 구비된다.
상기 수평몸체(110)의 지지부재(111)의 상부에 상기 연소물(3)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연소물(3)로서 화목, 숯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산화탄소나 먼지 등과 같은 유독가스의 양이 적게 발생하는 자연친화적인 펠릿을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연소물(3)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부(20)는 크게, 수평배출몸체(210)와 수직배출몸체(220)로 구성되어 상기 연소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물(3)이 연소될 경우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수평배출몸체(2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상부에 상기 수직배출몸체(220)가 상기 수평배출몸체(210)와 연통되도록 수직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부(30)는 상기 연소부(10)와 상기 배출부(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연소부(1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를 상기 배출부(20)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30)는 복수의 안내관체(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안내관체(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안내관체(3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안내구(301)가 번갈아가며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예의 안내부에 의해 연소가스가 지그재그식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일예로, 상기 안내부(30)를 이루는 복수의 상기 안내관체(310)는 일측수직안내관체(311), 타측수직안내관체(312) 및 수평안내관체(3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전측 하부에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전측이 기밀하게 일체형으로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313)의 전측 하부에 상기 배출부(20)의 수평배출몸체(210)의 전측이 기밀하게 일체형으로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안내관체(313)는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 및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312)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312)의 상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기밀하게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구(30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전측 하부와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상부 및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312)의 일측 상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소부(10)와 상기 배출부(20)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연소부(1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안내구(301)를 통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30)를 이루는 상기 안내관체(310)의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유독가스 중독방지 및 상기 연소물(3)의 연소시 발생되는 재를 상기 연소부(10)의 외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소부(10) 전체 또는 상기 연소부(10)의 수직몸체(120) 및 상기 배출부(20)의 상부는 실외로 노출되고, 상기 안내부(30)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연소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내부 하측으로 상기 연소물(3)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한 상태로 연소시키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소부(10)는 다른예로, 크게, 상기 수평몸체(110)와 경사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몸체(130)는 상기 수평몸체(1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경사몸체(130)는 상기 경사몸체(13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연소물(3)을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311)의 내측 하부에 상기 지지부재(111)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다른예의 안내부에 의해 연소가스가 지그재그식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다용도 연소장치는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소부(10), 상기 배출부(20) 및 상기 안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부(30)의 내부에 고온의 연소가스가 보다 오랜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른예로, 상기 안내부(3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안내몸체(320)와 구획판(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전측은 상기 안내몸체(320)의 전측면 하부 타측에 기밀하게 일체형으로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20)는 수직배출몸체(220)로 수성될 수 있고, 상기 수직배출몸체(220)의 하부는 상기 안내몸체(320)의 타측면 후측 하부에 기밀하게 일체형으로 연통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내몸체(320)의 내측에 상기 구획판(330)이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330)은 제 1수직구획판(331)과 제 2수직구획판(3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330)은 제 1수직구획판(331)은 상기 안내몸체(320)의 내부 후측에서 내부 전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몸체(320)의 내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직구획판(332)은 상기 제 1수직구획판(331)과 직교상태로 교차하면서 상기 안내몸체(320)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몸체(320)의 내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구(301)는 상기 안내몸체(320)의 전측면 하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구(301)는 상기 제 1수직구획판(331)의 전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구(301)는 상기 제 2수직구획판(332)의 일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구(301)는 상기 제 1수직구획판(331)의 후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구(301)는 상기 안내몸체(320)의 타측면 후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도 6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연소물(3)의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를 상기 안내부(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슬릿(300)이 상기 안내부(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슬릿(300)은 상기 안내부(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연소부의 보조연소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연소부의 슬릿을 개폐부재가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외측에는 보조연소부(9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소부(9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보조연소부(90)의 내부에는 상기 연소물(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소부(90)의 상부에는 돌판, 불판, 석쇠 등의 구이판이 안착될 수 있고, 숯불구이를 위해 상기 연소물(3)로서 숯을 사용함과 더불어 상기 구이판에 올려진 고기 등의 구이대상물이 올려질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110)의 측면에는 도 13에서 보는 상기 보조연소부(9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대류현상을 통해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내부로 안내하는 슬릿(112)이 상기 수평몸체(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소부(9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내부로 상기 슬릿(112)을 통해 안내됨에 따라 상기 보조연소부(90)의 상부방향으로 연기 등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측면에는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슬릿(112)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릿(112)의 상부와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의 내측면에는 단면형상이 '┓'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가이드판(114)이 상하대칭된 상태로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113)는 상기 연소부(10)의 수평몸체(11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판(114)을 따라 상기 수평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슬릿(112)을 개방 및 상기 수평몸체(110)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슬릿(112)을 폐쇄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는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는 식사, 응접 등에 사용되는 테이블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또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는 가습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2)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수용부(2)의 내부에는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 내부의 연소가스의 고온의 열에 의해 가열되는 물 등의 열매체(5)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5는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이탈방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수용부(2)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상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40)는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또는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고정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절곡된 상태로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탈방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부(2)의 하부 면적크기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부(40)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에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부재(50)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이탈방지부(40)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판(410)과 이동판(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판(410)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또는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평으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410)의 중간부에는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에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4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420)은 상기 고정판(410)의 상부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에서 상기 고정판(4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420)의 외측단부는 상기 고정판(4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일 수직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420)의 중간부에는 상기 고정판(410)의 가이드슬릿(411)과 연통되는 고정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50)는 상기 고정판(410)의 가이드슬릿(411)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이동판(420)의 고정공(42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은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1)와 보일러(8)의 연계사용이 가능하도록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1)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스,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급라인(7)을 통해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 내부의 고온의 연소가스를 상기 보일러(8)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7)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와 상기 보일러(8)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1)는 조리장치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의 상부에 고기 등의 육규 등의 조리대상물을 올려 상기 조리대상물을 구우면서 조리할 수도 있다.
다른예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의 상부에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불판, 프라이팬, 냄비 등의 조리기구(9)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기구(9)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상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이탈방지부(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수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1)는 온수매트(11)와도 연계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내라인(60), 열매체저장통(70) 및 열매체순환라인(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60)은 호스, 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60)의 상부는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의 내부로 일정길이로 인입되어 고온의 연소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1)의 안내부(30) 주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내부에는 물 등의 열매체(5)가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60)의 전측 하부는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열매체(5)에 침지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안내라인(60)의 후측 하부는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열매체(5)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내부 하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60)의 상부와 상기 안내라인(60)의 하부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5)는 상기 안내라인(60)의 후측 하부 내부, 상기 안내라인(60)의 상부, 상기 안내라인(60)의 전측 하부 내부로 반복적으로 순환이동하면서 고온의 연소가스와 열교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내부의 열매체(5)의 온도가 고온으로 점차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순환라인(80)의 전측은 온수매트(11)에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온수매트(11)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열매체순환라인(80)의 후측 상부와 후측 하부는 각각 각각 상기 열매체 저장통(70)의 전측 상부와 전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하부와 상부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열매체저장통(70)의 내부에 저장된 열매체(5)는 상기 열매체순환라인(80)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순환이동하며 흐르면서 상기 온수매트(11)로 고온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안내라인(60)내의 열매체(5)와 상기 열매체순환라인(80)내의 열매체는 대류현상에 의해 무동력으로 순환이동할 수 있겠으나, 상기 안내라인(60)과 상기 열매체순환라인(80)에 각각 구비되는 펌프(미도시) 등에 의해 강제순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다용도 연소장치(1)는 난로의 난방용도, 테이블용도, 가습기용도, 보일러(8)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조리장치용도 및 온수매트(11)와 연계사용 가능한 용도 등 다용도로 폭넓게 사용가능하여 구매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연소부, 20; 배출부,
30; 안내부.

Claims (18)

  1. 내부에 연소물이 구비되고, 유독가스 중독방지 및 상기 연소물의 연소시 발생되는 재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실외로 노출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물이 연소될 경우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기 위해 실외에 노출되는 배출부와;
    일측수직안내관체 및 타측수직안내관체와,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 및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상부와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의 상부 사이에 수평형성되는 수평안내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연소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와 상부 및 상기 타측수직안내관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를 상기 배출부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안내하는 안내구가 각각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소장치.
  2. 내부에 연소물이 구비되고, 유독가스 중독방지 및 상기 연소물의 연소시 발생되는 재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실외로 노출되는 연소부와;
    상기 연소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물이 연소될 경우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실외에 노출되는 배출부와;
    안내몸체와,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 후측에서 내부 전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제 1수직구획판과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 일측에서 내부 타측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제 1수직구획판과 교차하면서 상기 안내몸체의 내부에 수직형성되는 제 2수직구획판으로 구성되어 고온의 연소가스가 내부에 오랜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구획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소부와 상기 배출부 사이에 구비된 상태로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안내몸체의 전측면 하부 타측, 상기 제 1수직구획판의 전측 상부, 상기 제 2수직구획판의 일측 하부, 상기 제 1수직구획판의 후측 상부 및 상기 안내몸체의 타측면 후측 하부에 각각 상기 연소가스를 상기 배출부로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식으로 안내하는 안내구가 형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외측면에 상기 연소물의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를 상기 안내부의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소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외측면에 상기 연소물의 연소에 필요한 외부공기를 상기 안내부의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에 수평형성되는 수평몸체와;
    상기 수평몸체의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와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져 내부에 구비된 상기 연소물을 상기 일측수직안내관체의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경사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의 외측에 내부에 연소물이 구비되고, 상부에 구이판이 안착되는 보조연소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연소부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연소부의 내부로 안내하는 슬릿과, 상기 연소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슬릿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연소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용도 연소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로.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용도 연소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용도 연소장치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또는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평고정되고 중간부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고 중간부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이동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고정판의 가이드슬릿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이동판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12.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용도 연소장치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 또는 상부 전측과 상부 후측에 각각 수평고정되고 중간부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외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며 중간부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이동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리기구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상기 다용도 연소장치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의 고정판의 가이드슬릿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이동판의 고정공에 나사결합되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용도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와 열교환되는 열매체가 내부를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2020170001587U 2017-03-30 2017-03-30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Active KR200487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87U KR200487595Y1 (ko) 2017-03-30 2017-03-30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587U KR200487595Y1 (ko) 2017-03-30 2017-03-30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595Y1 true KR200487595Y1 (ko) 2018-10-10

Family

ID=6386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587U Active KR200487595Y1 (ko) 2017-03-30 2017-03-30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5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75U (ko) * 2019-05-20 2020-11-30 최태성 야외용 스토브
KR20240117732A (ko) * 2023-01-26 2024-08-02 이태곤 화목난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310U (ja) * 1983-02-02 1984-08-14 増谷 襄二 二次燃焼器
KR20100009497U (ko) * 2009-03-19 2010-09-29 전덕영 보일러
KR20100131636A (ko) 2009-06-08 2010-12-16 이강용 고체연료용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난방기구
KR20120085443A (ko) * 2011-01-24 2012-08-01 최진민 화목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310U (ja) * 1983-02-02 1984-08-14 増谷 襄二 二次燃焼器
KR20100009497U (ko) * 2009-03-19 2010-09-29 전덕영 보일러
KR20100131636A (ko) 2009-06-08 2010-12-16 이강용 고체연료용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난방기구
KR20120085443A (ko) * 2011-01-24 2012-08-01 최진민 화목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75U (ko) * 2019-05-20 2020-11-30 최태성 야외용 스토브
KR200493324Y1 (ko) * 2019-05-20 2021-03-10 최태성 야외용 스토브
KR20240117732A (ko) * 2023-01-26 2024-08-02 이태곤 화목난로
KR102806821B1 (ko) 2023-01-26 2025-05-16 이태곤 화목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1567B (zh) 户外炊具和烟熏器及用于其的燃料燃烧器
US9200809B2 (en) Barbeque oven
US3841211A (en) Pit barbecue apparatus
KR20170131815A (ko) 온열 캐비닛이 달린 굽는 장치
WO2020205679A1 (en) Fluid optimization mechanisms for cooking devices
US20130029024A1 (en) Barbeque stove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200487595Y1 (ko) 다용도 연소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난로, 테이블, 가습기, 보일러, 조리장치 및 온수매트
KR101377217B1 (ko) 대류형 화목 난로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US2877759A (en) Portable stove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US4719899A (en) Depot for granular carbonaceous fuel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to provide high efficiency fires for charbroiling and the like
JP2020085294A (ja) 調理用加熱器具
CN215112746U (zh) 一种兼容两种不同燃料的底座及烤炉
KR20190043287A (ko) 난방 겸용 화로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KR20160060300A (ko) 난로 장치
KR102356371B1 (ko) 보일러 겸용 고기구이장치
ES2356577T3 (es) Aparato de calentamiento de iniciación fácil en cualquier intento sin necesidad de fluido inflamable y soplado.
KR102837871B1 (ko) 난방효율이 개선된 난로
JP3492575B2 (ja) グリル
KR102703117B1 (ko) 스토브
KR101785087B1 (ko) 스토브 겸용 구이기
CN220675838U (zh) 一种燃烧木柴的烧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3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3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10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