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7388Y1 - 달걀 보관함 - Google Patents

달걀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88Y1
KR200487388Y1 KR2020160007363U KR20160007363U KR200487388Y1 KR 200487388 Y1 KR200487388 Y1 KR 200487388Y1 KR 2020160007363 U KR2020160007363 U KR 2020160007363U KR 20160007363 U KR20160007363 U KR 20160007363U KR 200487388 Y1 KR200487388 Y1 KR 200487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roove
protrusion
lid
egg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920U (ko
Inventor
손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싸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싸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싸이텍
Priority to KR2020160007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8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88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4Containers with compartments made of pres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달걀 보관함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달걀 보관함은 달걀이 수납되고, 일측에 내부가 중공이며 상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삽입홈부가 구비되는 수납본체부와, 삽입홈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수납본체부를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삽입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삽입홈부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달걀 보관함{EGG PACKAGING CONTAINER}
본 고안은 달걀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본체부와 덮개부가 일체로 결합되고 포장이 용이한 달걀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걀은 단백질이 풍부하고, 나트륨이 적으며, 비타민과 무기질 등 우리 몸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 남녀노소 모두에게 질 좋은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식품이다. 이러한 달걀은 작은 충격에도 깨질 수 있으므로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포장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달걀 보관함의 경우 유통 중에 달걀의 표면에 맺힌 물이 바닥에 가라앉아 달걀의 하부가 물에 잠겨 달걀이 쉽게 상하는 문제가 있으며, 달걀을 덮는 덮개부분이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면 내부에 보관되는 달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이에 의해 포장된 달걀의 경우 소비자에게 불신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달걀 보관함의 본체와 덮개가 분리되어 있어 달걀을 포장할 때 일일이 덮개를 덮어야 하므로 포장에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0263호(1996.07.26 등록, 발명의 명칭: 계란 포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되는 달걀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수납본체부와 덮개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포장이 용이한 달걀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은: 달걀이 수납되며, 수납되는 달걀에서 흐르는 수분이 흡수되는 펄프(PULP)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납본체부; 상기 수납본체부를 커버하며, 수납본체부에 보관되는 달걀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 상기 수납본체부와 상기 덮개부가 일체를 이루며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본체부의 일측에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부; 상기 삽입홈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삽입홈부에 형성되는 결합홀부; 및 상기 결합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달걀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부 및 상기 돌기부는 억지 끼움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의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홀부에 걸쳐지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부는, 열 압입 방식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본체부의 외곽 측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에 돌출부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수납본체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삽입홈부의 내측의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은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본체부에는, 상기 수납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고, 상기 걸이부가 결착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이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수납본체부는, 상기 삽입홈부가 형성되는 수납본체; 및 상기 삽임홈부에 대향되는 일측에서 상기 수납본체와 결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에는 포장 시 대면되는 상기 덮개부의 내면부를 향해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결착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은, 수납본체부와 덮개부가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도록 하여 달걀의 포장 시 분리된 덮개부를 찾아 수납본체부에 덮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어 포장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삽입홈부가 수납본체부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여 달걀이 수납본체부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삽입홈부의 내측의 제1면과 외측 제2면이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달걀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달걀 보관함의 이동 시 달걀에 가해지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한다.
또한, 돌기부가 결합홀부를 관통하여 수납본체부 및 덮개부가 일체로 결합되며, 결합홀부 및 돌기부가 억지 끼움 결합되어 달걀 보관함의 결합 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턱부로 인하여 덮개부가 수납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덮개부에 형성되는 걸이부가 수납본체부에 형성되는 걸이홈부에 결착되도록 하여 포장된 달걀 보관함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납본체에 결합되는 날개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여 포장된 달걀 보관함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에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달걀 보관함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1)은 수납본체부(100), 덮개부(200)를 포함한다.
수납본체부(100)는 달걀이 수납되는 것으로, 수납본체부(100)는 달걀에서 흐르는 수분이 흡수되는 재질, 구체적으로 펄프(PULP)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본체부(100)를 제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펄프와 사이징제 및 방수액을 포함하는 성형재료를 물에 혼합하여 혼합액을 메쉬와 다수개의 돌기부(215)를 갖는 성형몰드에 투입한 다음, 성형몰드를 가압하여 예비 성형물을 만든다.
이러한 예비 성형물을 다른 몰드에 넣은 후 다시 가압하여 예비 성형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며, 수분이 제거된 성형물을 다시 건조용 몰드에 넣은 후 가압 및 가열하여 건조시켜 수납본체부(100)를 제작한다.
삽입홈부(110)는 수납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기되는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돌출부(210)가 삽입되도록 상측(도 4 기준)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홈부(110)는 돌출부(210)의 형상에 대응된다.
삽입홈부(110)는 수납본체부(100)의 일측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삽입홈부(110)는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삽입홈부(110)는 수납본체부(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납본체부(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홈부(110)의 제1면(111), 수납본체부(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부(110)의 제2면(113)에서, 제1면(111)에서 제2면(113)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한다.
삽입홈부(110)의 제1면(111)과 제2면(113)은 라운드지게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수납본체부(100)에 수납되는 달걀이 삽입홈부(110)의 외측면에 밀착하여 안착된다.
결합홀부(115)는 삽입홈부(110)에 형성되고, 돌기부(215)가 관통하여 수납본체부(100)와 덮개부(2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결합홀부(115)는 삽입홈부(110)의 저면(도 2 기준 상면)에 형성된다.
결합홀부(115)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원형홀부 형상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홀부 형상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걸이홈부(140)는 수납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고, 걸이부(240)가 결착되도록 상측(도 2 기준)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걸이홈부(140)는 걸이부(240)의 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수납본체부(100) 및 덮개부(200)가 결합 시 걸이홈부(140)의 외측 단부는 걸이부(240)의 단부보다 하측(도 6 기준)에 위치된다.
덮개부(200)는 삽입홈부(110)에 삽입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수납본체부(100)를 커버하는 것으로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200)는 투명한 합성 수지 필름으로 만들어져 수납본체부(100)에 보관되는 달걀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덮개부(200)는 돌기부(215)가 삽입홈부(110)에 끼움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덮개부(200)가 수납본체부(100)에 대하여 접힘이 가능하여 커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돌출부(210)는 삽입홈부(110)에 삽입되도록 덮개부(200)에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210)는 상측(도 2 기준)으로 돌출되며, 삽입홈부(110)에 안착되도록 삽입홈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10)는 삽입홈부(110)에 끼움 결합되어 수납본체부(100)와 덮개부(200)가 결합되어 일체루 이루도록 한다. 돌출부(210)는 삽입홈부(110)의 너비와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끼움 결합 후 덮개부(200)가 수납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215)는 돌출부(210)의 축방향(도 3 기준 상측)으로 연장되고, 결합홀부(115)를 관통하여 삽입홈부(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홀부(115)와 억지 끼움 결합된다. 돌기부(215)의 직경은 결합홀부(115)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0) 및 돌기부(215)는 덮개부(2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한 합성 수지 필름으로 만들어져 열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결합홀부(115)에 삽입된 후 경화되어 덮개부(200) 및 수납본체부(10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걸림턱부(217)는 돌기부(215)가 결합홀부(115)를 관통하고, 결합홀부(115)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턱부(217)는 돌기부(215)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너비를 가진다.
걸림턱부(217) 열 압입 방식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걸림턱부(217)는 돌기부(215)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홀부(115)에 걸쳐진다. 걸림턱부(217)는 합성 수지 필름으로 만들어져 열에 의해 쉽게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걸림턱부(217)는 결합홀부(115)보다 상대적으로 큰 너비를 가지고 결합홀부(115)를 통과하여 결합홀부(115)의 상측(도 4 기준)에 위치하여 삽입홈부(110)에 걸쳐진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부(217) 결합홀부(115)의 둘레를 따라 결합 모든 구간에서 삽입홈부(110)에 걸쳐지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측, 구체적으로 돌기부(215)의 단부에서 좌측(도 5 기준)으로 연장 형성되어 삽입홈부(110)에 걸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삽입홈부(110)에 돌출부(210)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도 5 기준 하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턱부(217)는 수납본체부(100)의 외곽 측을 향하도록 돌기부(215)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수납본체부(100) 및 덮개부(200)가 결합 후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부(217)와 삽입홈부(110)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걸이부(240)는 덮개부(200)에서 돌출부(210)가 형성되는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덮개부(2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걸이부(240)는 복수 개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고, 걸이부(240)의 단부가 상측(도 4 기준)을 향하여 꺾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240)의 단부는 걸이홈부(140)의 단부보다 상측(도 4 기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걸이부(240)가 걸이홈부(140)에 걸려 덮개부(200) 및 수납본체부(100)의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1)은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돌출부(210)가 수납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삽입홈부(11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부와 일체를 이루며 달걀의 포장 시 분리된 덮개부(200)를 찾아 수납본체부(100)에 덮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고 포장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수납본체부(100)는 펄프로 만들어져 계란에서 흐르는 수분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며, 유통과정에서 달걀의 표면에 흐르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덮개부(200)는 투명한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포장을 뜯지 않고도 수납본체부(100)에 보관되는 달걀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삽입홈부(110)는 상대적으로 수납본체부(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면에서 외측에 배치되면 면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여 달걀이 수납본체부(100)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삽입홈부(110)의 내측의 제1면(111)과 외측 제2면(113)이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제1면(111)과 제2면(113)이 직선으로 연결되는 것에 비하여 삽입홈부(110)와 달걀의 접촉면적을 넓게하여 달걀 보관함(1)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력이 달걀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돌출부(210)가 삽입홈부(110)에 끼움 결합되어 수납본체부(100)와 덮개부(200)가 일체를 이루며, 돌출부(210)에는 돌출부(21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215)가 형성되며, 돌기부(215)는 삽입홈부(110)의 저면(도 2 기준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15)를 관통하며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21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결합홀부(115) 및 돌기부(215)가 억지 끼움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돌출부(210)가 삽입홈부(110)에 결합되고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돌기부(215)의 단부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부(217)가 결합홀부(115)를 통과하여 삽입홈부(110)에 걸쳐지도록 하여 결합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덮개부(200)가 수납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걸림턱부(217)는 결합홀부(11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수납본체부(100)의 외곽 측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돌출부(210)가 삽입홈부(110)에서 하측(도 2 기준)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턱부(217)는 열 압입 방식에 의해 형성되고, 열 압입 방식에 의해 걸림턱부(217)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며 덮개부(200)가 수납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속력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걸이부(240)가 덮개부(200)의 둘레를 따라 내측을 향하며 형성되고 수납본체부(100)에 형성되는 걸이홈부(140)에 걸림으로써 덮개부(200)를 접어 수납본체부(100)를 커버하고 수납본체부(100)로부터 덮개부(2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에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납본체부(100)는 수납본체(101), 날개부(103)를 포함한다.
수납본체(101)는 달걀이 안착되며 삽입홈부(110)가 형성되는 것이고, 날개부(103)는 삽입홈부(110)에 대향되는 일측에서 수납본체(101)와 결합되는 것으로 접이식으로 형성되며, 덮개부(200)가 수납본체부(100)와 결합 시 수납본체부(100)의 내측을 향해 접히며 덮개부(200)의 내측에 배치된다.
걸림돌기(105)는 달걀 보관함(1)의 포장 시 덮개부(200)의 내면부를 향해 돌출되며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걸림부(205)에 결착된다. 걸림돌기(105)는 걸림부(205)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205)는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홀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수납본체(101)에 결합되는 날개부(103)로 인하여 걸이부(240)가 걸이홈부(140)에 결착되어 1차적으로 수납본체부(100)와 덮개부(200)의 분리를 방지함에 더하여, 날개부(10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05)가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걸림부(205)에 걸림으로써 포장 후 달걀 보관함(1)의 분리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날개부(103), 걸림돌기(105), 걸림부(205) 외 다른 구성 및 효과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달걀 보관함(1)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달걀 보관함 100: 수납본체부
101: 수납본체 103: 날개부
105: 걸림돌기 110: 삽입홈부
115: 결합홀부 111: 제1면
113: 제2면 140: 걸이홈부
200: 덮개부 205: 걸림부
210: 돌출부 215: 돌기부
217: 걸림턱부 240: 걸이부

Claims (10)

  1. 달걀이 수납되며, 수납되는 달걀에서 흐르는 수분이 흡수되는 펄프(PULP) 재질로 이루어지는 수납본체부(100);
    상기 수납본체부(100)를 커버하며, 수납본체부(100)에 보관되는 달걀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200);
    상기 수납본체부(100)와 상기 덮개부(200)가 일체를 이루며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본체부(100)의 일측에 내부가 중공이고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홈부(110);
    상기 삽입홈부(110)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삽입홈부(110)와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덮개부(200)에 형성되는 돌출부(210);
    상기 삽입홈부(110)에 형성되는 결합홀부(115); 및
    상기 결합홀부(115)를 관통하여 상기 삽입홈부(110)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출부(21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215);를 포함하는 달걀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부(115) 및 상기 돌기부(215)는 억지 끼움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215)의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결합홀부(115)에 걸쳐지도록 걸림턱부(217)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부(217)는, 열 압입 방식에 의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납본체부(100)의 외곽 측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부(110)에 돌출부(210)가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110)는 상기 수납본체부(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부(110)의 내측의 제1면(111)과 마주보는 제2면(113)은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보관함.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0)에는,
    상기 돌출부(210)가 형성되는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이부가(240) 형성되고,
    상기 수납본체부(100)에는,
    상기 수납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고, 상기 걸이부(240)가 결착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이홈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보관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부(100)는,
    상기 삽입홈부(110)가 형성되는 수납본체(101); 및
    상기 삽임홈부(110)에 대향되는 일측에서 상기 수납본체(101)와 결합되는 날개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03)에는 포장 시 대면되는 상기 덮개부(200)의 내면부를 향해 걸림돌기(10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200)에는 상기 걸림돌기(105)가 결착되도록 걸림부(20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보관함.
KR2020160007363U 2016-12-19 2016-12-19 달걀 보관함 Expired - Fee Related KR200487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63U KR200487388Y1 (ko) 2016-12-19 2016-12-19 달걀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63U KR200487388Y1 (ko) 2016-12-19 2016-12-19 달걀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20U KR20180001920U (ko) 2018-06-27
KR200487388Y1 true KR200487388Y1 (ko) 2018-09-10

Family

ID=6274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36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7388Y1 (ko) 2016-12-19 2016-12-19 달걀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38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07B1 (ko) 2019-06-27 2019-11-08 김준영 펄프몰드로 제조된 달걀 지지 트레이
KR102042408B1 (ko) 2019-06-27 2019-11-08 김준영 펄프몰드로 제조된 달걀 지지 트레이
KR20220000194U (ko) 2020-07-14 2022-01-21 (주)오토일렉스 달걀 보관용 트레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6084A (en) 1990-12-28 1992-03-17 Oscar Mayer Foods Corporation Two-piece merchandising container
US5860528A (en) 1997-03-14 1999-01-19 Emery; Roy William Hinged container with separately moulded cover and tray
CN205738850U (zh) * 2016-07-12 2016-11-30 石殿相 一种自动分离蛋盒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2952A (en) * 1986-08-06 1988-05-10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Composite cart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6084A (en) 1990-12-28 1992-03-17 Oscar Mayer Foods Corporation Two-piece merchandising container
US5860528A (en) 1997-03-14 1999-01-19 Emery; Roy William Hinged container with separately moulded cover and tray
CN205738850U (zh) * 2016-07-12 2016-11-30 石殿相 一种自动分离蛋盒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407B1 (ko) 2019-06-27 2019-11-08 김준영 펄프몰드로 제조된 달걀 지지 트레이
KR102042408B1 (ko) 2019-06-27 2019-11-08 김준영 펄프몰드로 제조된 달걀 지지 트레이
KR20220000194U (ko) 2020-07-14 2022-01-21 (주)오토일렉스 달걀 보관용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920U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388Y1 (ko) 달걀 보관함
US5005759A (en) Snap-lock box
US6247605B1 (en) Inner plug and cap for liquid injection containers, and jig used to fix cap to inner plug
CA2041057C (en) Container
US11535434B2 (en) Safety capsule for a container
CN104271459B (zh) 用于包装物的封闭结构
BR112013028512B1 (pt) Envoltório e respectiva embalagem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KR100951526B1 (ko)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KR20180055318A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BR0111304B1 (pt) distribuidor com elemento de fixação com estanqueidade periférica.
KR20220110952A (ko) 컨테이너 백
WO2001044067A2 (fr) Reservoir et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a securite de devissage
CN208086405U (zh) 包装瓶
KR200259200Y1 (ko) 발효 식품 용기
KR840003200A (ko) 개선된 장벽 삽입물을 갖는 분배용기
KR102755253B1 (ko) 일체형 병뚜껑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0219248Y1 (ko) 건조제 용기
KR20180020069A (ko) 투피스 캡에 있어서 차단 기능 강화를 위한 실링부재(링 가스켓)의 효율적 사용 방법
KR200161036Y1 (ko) 마개 결합 용기
KR20250015461A (ko) 내외용기 분리가 용이한 스크류캡 타입 용기
KR200164498Y1 (ko) 안전장치 캡
JPS5827999Y2 (ja) 開口栓付容器の内容液注出口
KR100338864B1 (ko) 위조방지용 합성수지재 용기
KR200487556Y1 (ko) 포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2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10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9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9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61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