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6964Y1 -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64Y1
KR200486964Y1 KR2020160006162U KR20160006162U KR200486964Y1 KR 200486964 Y1 KR200486964 Y1 KR 200486964Y1 KR 2020160006162 U KR2020160006162 U KR 2020160006162U KR 20160006162 U KR20160006162 U KR 20160006162U KR 200486964 Y1 KR200486964 Y1 KR 200486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idewall
block body
side wall
component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248U (ko
Inventor
박희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64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64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이다. 본 고안에서 블럭몸체(10)의 일부영역을 차폐하는 커버(32)는 체결구(34)에 의해 블럭몸체(10)에 체결된다. 상기 커버(32)는 커버상판(36)의 가장자리를 둘러 제1측벽(38), 제2측벽(40) 그리고 제3측벽(42)이 있다. 상기 제1측벽(38)은 상기 블럭몸체(10)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측벽(40)의 선단부는 블럭몸체(10)의 표면(12')에 안착되면서 블럭몸체(10)에 형성된 제1부품장착부(16)의 구획펜스(17)에 밀착된다. 상기 제1측벽(38)의 선단부는 커버(32)에 의해 차폐되는 제1단자체결부(24)의 서로 직교하는 외면에 있는 지지걸이(28)에 의해 걸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커버(32)의 내부에는 구획리브(53)에 의해 구획된 부품장착부공간(54) 내에 블럭몸체(10)의 제2부품장착부(20)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32)가 블럭몸체(10)에 보다 견고하게 가조립되고 전동공구 등의 외력에 의해 커버(32)가 회전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Cover apparatus for block of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블럭의 특정 부분을 외부에 대해 차폐하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블럭은 자동차 내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외관 구성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용 블럭에 장착되는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외부로 모든 부품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최근에 전기자동차 등에서는 고전압이 사용되므로 자동차용 블럭에서 일부의 부품들이 노출되더라도 최소한 고전압 단자가 연결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별도의 커버장치를 사용하는데, 커버를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블럭몸체에 체결하여 커버가 고정되도록 하면서 필요한 부품들을 외부와 차폐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버장치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블럭몸체의 외면 일부 영역을 덮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커버가 블럭몸체에 가조립되지 않고 체결구를 사용하여 체결하여야만 체결상태가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커버에서는 커버의 끝부분이 블럭몸체와 소정 간격만큼 떨어진 상태로 위치되어 있어 자동차의 주행중에 블럭몸체와 커버 사이에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573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50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255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조립상태로 커버가 블럭몸체에 유지될 수 있는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버의 측벽중에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자유단부가 블럭몸체와의 사이에서 틈새없이 설치되는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동공구의 토크에 의해 커버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블럭몸체 표면의 소정 영역을 차폐하는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에 구비되는 제1단자체결부와 제2단자체결부를 차폐하도록 커버상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제1측벽, 제2측벽 그리고 제3측벽이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체결구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은 상기 블럭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단자체결부의 서로 직교하는 외면에 각각 형성된 지지걸이에 걸어지고, 상기 제2측벽은 블럭몸체의 표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제1부품장착부의 구획펜스에 밀착되고, 상기 제1단자체결부에 체결되는 외부단자의 와이어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제1경로를 따라 제1입출구를 통해 내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단자체결부에 체결되는 외부단자의 와이어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제2경로를 따라 제2입출구를 통해 내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은 상기 커버상판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일단부는 커버상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3측벽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타단부는 서로 연결된다.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구획리브에 의해 부품장착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공간에는 상기 블럭몸체에 있는 제2부품장착부가 삽입된다.
삭제
상기 제1경로에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1곡선리브가 있고, 상기 제2경로에도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2곡선리브가 있다.
상기 제1측벽, 제2측벽 그리고 제3측벽의 외면에는 외부리브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되고 내면에는 내부리브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중 상기 구획펜스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상기 외부리브가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2측벽중 구획펜스에 밀착되는 부분과 상기 제1측벽이 블럭몸체의 2개의 지지걸이에 걸어지는 부분은 커버를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에 있고, 이들 부분은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제2측벽보다 상기 커버상판에서 더 연장되고 상기 제3측벽은 상기 제2측벽보다 덜 연장된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커버를 형성하는 제1측벽을 블럭몸체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제1측벽을 블럭몸체에 있는 지지걸이로 걸어주고 상기 제1측벽의 반대쪽에 있는 제2측벽을 블럭몸체의 표면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부품장착부의 구획펜스에 밀착시키면서 체결구를 사용하여 블럭몸체에 커버를 체결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체결구를 체결하기 전에도 상기 제1측벽, 제2측벽, 부품장착부의 구획펜스 및 지지걸이에 의해 커버가 블럭몸체에 어느 정도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커버의 장착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제1측벽의 내면은 블럭몸체의 측면에 밀착되고 제2측벽의 선단은 블럭몸체의 표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제2측벽의 외면이 부품장착부의 구획펜스에 밀착되도록 하였다. 즉, 커버의 측벽들중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된 자유단부를 블럭몸체에 밀착되도록 하였으므로 자동차의 주행중에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특히 커버를 블럭몸체에 장착할 때, 부품장착부공간에 제2부품장착부가 삽입되어 위치되면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체결구를 체결하더라도 커버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는 커넥터부가 커버 내부에 위치함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하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차용 블럭(1)에 본 고안에 의한 커버장치(30)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되어 있다. 자동차용 블럭(1)의 골격과 외관을 블럭몸체(10)가 구성한다. 상기 블럭몸체(10)는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협력하여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1케이스(11)와 제2케이스(12)가 협력하여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회로를 형성하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버스바, 단자, 와이어, 기판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12)의 표면(12') 하단 양측에서 연장되어 장착브라켓(14)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4)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블럭몸체(10)를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14)에는 방진구(15)가 설치되어 고정부와 블럭몸체(10) 사이에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방진구(15)는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단에도 있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방진구(15)는 블럭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2케이스(12)의 표면(12')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부품장착부(16)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16)에는 각각 제1부품(16')이 장착된다. 상기 제1부품(16')의 예로서 릴레이가 있다. 상기 제1부품장착부(16)는 구획펜스(17)에 의해 외부와 구획된다.
한편, 상기 제2케이스(12)의 표면(12')중 일측 가장자리에는 커넥터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부(18)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부(18)가 있는 제2케이스(12)의 표면(12')에 인접하여 있는 가장자리 근처에는 제2부품장착부(20)가 있다. 상기 제2부품장착부(20)에는 제2부품(20')이 장착된다. 상기 제2부품(20')은 외부 환경과 격리되는 것이 필요한 부품이다. 상기 제2부품(20')의 예로서 퓨즈가 있다.
상기 제2부품장착부(20)에 인접하여서는 체결구결합부(22)가 있다. 상기 체결구결합부(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34)가 커버(32)의 체결관통부(37)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일측 가장자리, 즉 상기 체결구결합부(22)에 인접한 위치에는 제1단자체결부(24)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단자체결부(24)는 상기 제1케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단자체결부(24)를 상기 제2케이스(12)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에 인접하여서 제2단자체결부(26)가 있다. 상기 제2단자체결부(26)는 상기 제2케이스(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와 제2단자체결부(26)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구결합부(22)가 있다.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와 제2단자체결부(26)에는 각각 외부에서 온 단자가 체결된다. 일반적으로 링단자가 와이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와 제2단자체결부(26)에 있는 각각의 단자에 체결된다.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의 외면에는 지지걸이(28)가 있다. 상기 지지걸이(28)는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의 외면중 서로 직교하도록 인접한 2개의 외면에는 각각 상기 지지걸이(28)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걸이(28)는 그 횡단면 형상이 'ㄴ'자로 된다.
상기 블럭몸체(10)의 일부 영역, 즉 상기 커넥터부(18), 제1 및 제2 단자체결부(24,26), 제2부품장착부(2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체결부(24,26)를 커버장치(30)가 차폐한다. 상기 커버장치(30)는 커버(32)와 체결구(34)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32)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커버(32)의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32)는 커버상판(36)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측벽(38), 제2측벽(40) 그리고 제3측벽(42)이 연장되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상판(36)에는 체결관통부(37)가 있다. 상기 체결관통부(37)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상기 커버(32)의 내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1측벽(38)은 제2측벽(40)이나 제3측벽(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제1측벽(38)은 상기 커버상판(36)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측벽(40)은 대략 상기 제1측벽(38)과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측벽(40)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일단부에서 상기 제1측벽(38)과 제3측벽(4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제2측벽(40)은 타단부에서는 상기 제1측벽(38)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제1측벽(38)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커버상판(36)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벽(40)보다는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3측벽(42)은 상기 제2측벽(40)보다 커버상판(36)에서 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측벽(38)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는 제1입출구(4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입출구(44)는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에 연결되는 외부단자에 연결된 와이어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입출구(44)는 상기 제1측벽(38)이 2부분으로 나누어진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측벽(42)의 끝부분과 양측의 제1측벽(38)의 측단부 및 제2측벽(40)의 측단부가 협력하여 제2입출구(46)를 형성한다. 상기 제2입출구(46)는 제2단자체결부(26)에 연결되는 외부단자에 연결된 와이어가 통과한다.
상기 제1측벽(38), 제2측벽(40) 및 제3측벽(42)의 외관에는 외부리브(4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외부리브(48)는 각각의 측벽(38,40,42)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게 다수개가 형성되고 각각의 측벽(38,40,42)의 선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측벽(40)중에서 상기 구획펜스(17)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외부리브(48)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제2측벽(40)이 구획펜스(17)에 전체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획펜스(17)에 밀착되는 제2측벽(40)의 부분은 상기 커버(32)의 상기 체결관통부(37)를 기준으로 상기 지지걸이(28)가 있는 부분의 반대쪽이다. 특히 2개의 지지걸이(28)와 상기 구획펜스(17)에 밀착되는 제2측벽(40)의 부분은 대략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면서 커버(32)를 블럭몸체(10)에 견고하게 가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리브(48)중 상기 제1측벽(38)의 선단부에 형성된 것에는 걸이안착부(48')가 있다. 상기 걸이안착부(48')는 상기 외부리브(48)의 일부가 제거된 것으로, 상기 지지걸이(28)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벽(38), 제2측벽(40) 및 제3측벽(42)의 내면에는 내부리브(4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리브(49)는 이들 측벽(38,40,42)들의 연장방향으로 다수개가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1입출구(44)를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커버(32)의 내면에는 제1경로(50)가 형성된다.(화살표 표시) 상기 제1경로(50)는 상기 제1단자체결부(24)의 위치와 제1입출구(44)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1경로(50)에서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해 제1곡선리브(50')가 있다.
상기 제2입출구(46)를 통해 연장되는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커버(32)의 내면에는 제2경로(52)가 형성된다.(화살표 표시) 상기 제2경로(52)는 상기 제2단자체결부(24)의 위치와 제2입출구(46)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2경로(52)에서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해 제2곡선리브(52')가 있다.
상기 커버(32)의 일측에는 구획리브(53)에 의해 커버(32)의 내부를 구획하여 별도의 부품장착부공간(54)이 형성된다. 상기 부품장착부공간(54)은 상기 제2부품장착부(20)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부품장착부공간(54)에 상기 제2부품장착부(20)가 삽입됨에 의해 상기 제2부품(20')이 외부와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커버(32)는 상기 커넥터부(18), 제2부품장착부(20), 제1단자체결부(24), 제2단자체결부(26)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32)의 제1측벽(38)의 선단부를 제1단자체결부(24)의 서로 직교하는 외면에 있는 지지걸이(28)에 걸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2측벽(40)의 선단부는 상기 제2케이스(12)의 표면(12')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제2측벽(40)중에서 외부리브(48)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구획펜스(17)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품장착부공간(54)에 상기 제2부품장착부(20)가 삽입되어 있게 됨에 의해 상기 커버(32)는 거의 유동하지 않게 된다.
참고로, 도 4를 보면, 상기 커버(32)가 지지걸이(28)에 제1측벽(38)이 걸어진 상태에서 구획펜스(17)에 제2측벽(40)이 밀착됨에 의해서, 커버(32)가 블럭몸체(10)에 대해서 상부로 빠지는 것을 제외한 어느 방향으로의 이동도 차단된다. 이에 더해, 제2부품장착부(20)가 부품장착부공간(54)에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부(18)가 커버(32)의 내측에 위치되면 커버(32)는 블럭몸체(10)에 견고하게 가조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체결구(34)를 상기 체결관통부(37)를 관통하여 블럭몸체(10)의 체결구결합부(22)에 체결하면 커버(32)는 블럭몸체(1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상기 체결구(34)를 블럭몸체(10)의 체결구결합부(22)에 체결할 때,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를 사용한다. 전동공구에서 제공되는 회전토크는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블럭몸체(10)에 대해서 커버(32)가 회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커버(32)가 블럭몸체(10)에 견고하게 가조립되어 있고, 특히 부품장착부공간(54)에 제2부품장착부(20)가 삽입되어 있어 전동공구에 의한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커버(32)가 블럭몸체(10)에 장착되고 체결구(34)에 의해 체결되었을 대, 상기 커버(32)의 제1측벽(38)은 상기 블럭몸체(10)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고, 상기 제2측벽(40)의 선단부는 상기 블럭몸체(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12)의 표면(12')에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32)와 블럭몸체(1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제3측벽(42)의 선단부와 블럭몸체(10)의 사이에 틈새가 있으나, 상기 제3측벽(42)은 제1측벽(38)과 제2측벽(40)보다 덜 돌출되어 있어, 여기서는 진동이 발생할 수 없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커버(32)가 제1단자체결부(24), 제2단자체결부(26) 외에 제2부품장착부(20)와 커넥터부(18)도 차폐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커버(32)는 기본적으로 제1단자체결부(24)와 제2단자체결부(26)를 차폐하는 것이다.
1: 자동차용 블럭 10: 블럭몸체
11: 제1케이스 12: 제2케이스
12': 표면 14: 장착브라켓
15: 방진구 16: 제1부품장착부
16': 제1부품 17: 구획펜스
18: 커넥터부 20: 제2부품장착부
20': 제2부품 22: 체결구결합부
24: 제1단자체결부 26: 제2단자체결부
28: 지지걸이 30: 커버장치
32: 커버 34: 체결구
36: 커버상판 37: 체결관통부
38: 제1측벽 40: 제2측벽
42: 제3측벽 44: 제1입출구
46: 제2입출구 48: 외부리브
48': 걸이안착부 49: 내부리브
50: 제1경로 50': 제1곡선리브
52: 제2경로 52': 제2곡선리브
53: 구획리브 54: 부품장착부공간

Claims (8)

  1. 블럭몸체 표면의 소정 영역을 차폐하는 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럭몸체에 구비되는 제1단자체결부와 제2단자체결부를 차폐하도록 커버상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제1측벽, 제2측벽 그리고 제3측벽이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체결구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은 상기 블럭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단자체결부의 서로 직교하는 외면에 각각 형성된 지지걸이에 걸어지고, 상기 제2측벽은 블럭몸체의 표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블럭몸체에 형성된 제1부품장착부의 구획펜스에 밀착되고,
    상기 제1단자체결부에 체결되는 외부단자의 와이어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제1경로를 따라 제1입출구를 통해 내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2단자체결부에 체결되는 외부단자의 와이어는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된 제2경로를 따라 제2입출구를 통해 내외부로 연장되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은 상기 커버상판의 서로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일단부는 커버상판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 제3측벽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제1측벽 및 제2측벽의 타단부는 서로 연결되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구획리브에 의해 부품장착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부품장착부공간에는 상기 블럭몸체에 있는 제2부품장착부가 삽입되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에는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1곡선리브가 있고, 상기 제2경로에도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2곡선리브가 있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 제2측벽 그리고 제3측벽의 외면에는 외부리브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되고 내면에는 내부리브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2측벽중 상기 구획펜스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상기 외부리브가 형성되지 않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중 구획펜스에 밀착되는 부분과 상기 제1측벽이 블럭몸체의 2개의 지지걸이에 걸어지는 부분은 커버를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쪽에 있고, 이들 부분은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제2측벽보다 상기 커버상판에서 더 연장되고 상기 제3측벽은 상기 제2측벽보다 덜 연장되는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KR2020160006162U 2016-10-24 2016-10-24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86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62U KR200486964Y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162U KR200486964Y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48U KR20180001248U (ko) 2018-05-03
KR200486964Y1 true KR200486964Y1 (ko) 2018-07-18

Family

ID=6216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16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6964Y1 (ko) 2016-10-24 2016-10-24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64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0082A (ja) * 2001-03-07 2002-09-20 Yazaki Corp 保護カバー及びヒューズボックス
KR200428016Y1 (ko) * 2006-07-06 2006-10-04 티.비텔레콤(주) 시그널 인풋 단자용 커버
KR200441440Y1 (ko) * 2007-06-28 2008-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버장착구조
KR20080004321U (ko) * 2007-03-29 2008-10-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버결합구조
JP2009171791A (ja) * 2008-01-18 2009-07-30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12191711A (ja) * 2011-03-09 2012-10-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15089279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子制御ユニット搭載型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
KR20160066997A (ko) * 2014-12-03 2016-06-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의 개폐커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031B1 (ko) 2006-06-28 2007-09-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KR20100042552A (ko) 2008-10-16 2010-04-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박스
KR101545734B1 (ko) 2014-12-30 2015-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블록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0082A (ja) * 2001-03-07 2002-09-20 Yazaki Corp 保護カバー及びヒューズボックス
KR200428016Y1 (ko) * 2006-07-06 2006-10-04 티.비텔레콤(주) 시그널 인풋 단자용 커버
KR20080004321U (ko) * 2007-03-29 2008-10-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버결합구조
KR200441440Y1 (ko) * 2007-06-28 2008-08-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정션박스의 커버장착구조
JP2009171791A (ja) * 2008-01-18 2009-07-30 Yazaki Corp 電気接続箱
JP2012191711A (ja) * 2011-03-09 2012-10-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JP2015089279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フジクラ 電子制御ユニット搭載型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
KR20160066997A (ko) * 2014-12-03 2016-06-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블럭의 개폐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248U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1806B2 (en) Waterproof box and electric junction box equipped with same
JP5638898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及びシールドカバー
CN103457049B (zh) 端子保护罩以及电气接线箱
US9694763B2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CN112512231A (zh) 电气连接箱以及线束
CN112703640A (zh) 连接器
KR20140087423A (ko) 자동차용 박스
US9148003B2 (en) Housing,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box
KR200486964Y1 (ko) 자동차 블럭용 커버장치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KR20140087422A (ko) 자동차용 박스
JP2020031509A (ja) 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20150092384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561046B1 (ko) 자동차용 블럭
CN104577525B (zh) 屏蔽壳
JP5086112B2 (ja) 防水ケース
KR101862154B1 (ko) 고전압 커넥터
KR101687231B1 (ko) 자동차용 블럭
KR20190069729A (ko) 고전압 커넥터용 쉴드쉘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JP5471793B2 (ja) 電気接続箱
JP2020031510A (ja) ホルダ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707148B1 (ko) 자동차용 블럭의 부품 장착장치
US11967810B2 (en) Wire harness
KR102686455B1 (ko) 자동차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0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7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4042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