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529Y1 - Tool for supporting top plate of work table - Google Patents
Tool for supporting top plate of work t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529Y1 KR200486529Y1 KR2020170005479U KR20170005479U KR200486529Y1 KR 200486529 Y1 KR200486529 Y1 KR 200486529Y1 KR 2020170005479 U KR2020170005479 U KR 2020170005479U KR 20170005479 U KR20170005479 U KR 20170005479U KR 200486529 Y1 KR200486529 Y1 KR 2004865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plate
- pair
- plate
- bolts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3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25H1/0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체 크기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보관이 용이한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개시하며,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는, 작업대의 상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로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가장자리 하면에 결합된 수직 고정판,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 및 수직 고정판의 전면에 상호 간 이격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각각 중공을 갖는 한 쌍의 연장목 결합구,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받침목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움부재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able 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to support a top plate of a work table, A base plate, a vertical fix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plate, a pair of extension neck coupl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fixing plate, And a pair of shim member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him can be inserted and fix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크기가 작아서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보관이 용이한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able top supporting mechanism which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and is easy to store.
통상적으로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 작업시에는 상면이 편평한 작업대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작업대에 전기톱 등을 설치하여 합판 및 목재의 재단을 진행함은 물론 재단된 합판 및 목재 표면에 대한 연마작업 등을 진행한다. Typically, during the interior work of the building, a flat work surface is used. The work table is provided with electric saws to cut the plywood and wood, as well as to carry out the polishing work on the cut plywood and wood surface. do.
일반적인 작업대는 상판 및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기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의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A typical workbench can be composed of a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workbench upper plate support mechanism i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10)는 일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목들(2)과 이러한 지지목들(2)에 연결되는 받침목(4)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여기서, 각 지지목(2)은 한 쌍의 수직목(2-1)과 수직목들(2-1)을 연결하는 고정목(2-2)을 포함하며, 한 쌍의 수직목들(2-1)은 그들의 상단부에 받침목(4)이 끼워질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하부 쪽으로 갈수록 상호간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고정목들(2-2)은 수직목들(2-1)의 상측에서 수직목들(2-1) 사이에 받침목(3)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수직목들(2-1)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Each
그리고 받침목(4)은 이격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목들(2)에서 고정목(2-2)의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호 이격되어 있는 수직목들(2-1) 사이에 끼워짐은 물론 못 등에 의해 수직목들(2-1)에 고정된다.The
한편,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가 일 방향과 직교하는 타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되며, 이렇게 이격 배치된 지지기구들(10)에서의 받침목들(4) 상에 상판(20)이 놓여져 작업대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지지기구(10) 및 상판(20)은 작업대 구성에 필요한 수량만큼이 마련된다.2, at least two of the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other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ne direction, and the spaced- The
그러나 종래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10)는 한 쌍의 지지목들(2)에 하나의 받침목(4)이 연결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이 이루어지므로, 그 크기가 커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기구(10)를 세운 상태로 겹쳐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보관 과정에서 지지기구들(10)의 쓰러짐이 일어나 원치 않는 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지지기구(10)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다수의 지지기구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소의 마련 또한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since the plurality of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크기가 크지 않아서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한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ork table top supporting mechanism which is not only small in size but also easy to carry and is easy to stor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또한, 크기가 크지 않아서 보관장소의 마련이 쉬운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table top plate supporting mechanism which is not large in size and easy to sto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는, 작업대의 상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로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가장자리 하면에 결합된 수직 고정판;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 및 수직 고정판의 전면에 상호 간 이격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각각 중공을 갖는 한 쌍의 연장목 결합구;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받침목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ork table top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a top plate of a work table, comprising: a base plate; A vertical fixing plat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plate; A pair of elongated neck joint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elongated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having a hollow; And a pair of fitting member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the supporting members are inserted and fixed.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꺽쇠 모양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상기 수직부들이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부들이 바깥쪽에 위치하는 형태로 용접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판 상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e worktable upper plate suppor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has a crest shape including a horizontal par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vertical part vertically exten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art And may be coupled on the base plate in a manner such that the vertical portions are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horizontal portions are located on the outer side on the base plat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꺽쇠 모양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상기 수직부들이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부들이 바깥쪽에 위치하는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들이 설치됨과 아울러 각 볼트들에 대응하는 베이스판 부분들에 볼트 삽입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들이 상기 볼트 삽입 홀들에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볼트 삽입 홀들에 끼워진 볼트들에 너트들을 조이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 상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ork top plate suppor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may include a bracket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vertical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is disposed on the base plate such that the vertical portions are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horizontal portions are located on the outer side, at least two bolts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A bolt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base plat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bolts so that the bolt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s and the bolts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s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are screwed And can be fixed on the base plate.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 삽입 홀은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들의 볼트들에 대응하는 베이스판 부분마다 각각 도트형, 슬릿형 및 도트형과 슬릿형의 혼합형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끼움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한 한 쌍의 끼움부재들의 볼트들 모두가 삽입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bolt insertion hole may be provided in a dot shape, a slit shape, a dot shape, and a slit shape for each base plat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s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in the form of a slot in which all of the bolts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located on the same line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tting member are inserted.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대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구를 공사 현장에서 조립 가능한 연결목 및 받침목을 제외하고 금속재질로 종래 대비 크기를 작게 하여 제작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work top plate is manufactur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metal structure from the conventional structure except for the connection neck and the support frame which can be assembled at the construction site.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는 그 크기가 작아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며, 아울러, 크기가 크지 않아서 보관장소의 마련 또한 쉽다. Accordingly, the work bench top suppor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carry, as well as easy to store, and in addition, its size is not so large, and it is easy to arrange a storage place.
도 1은 종래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와 상판을 포함하는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에 연결목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에 받침목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ork table top plate supporting mechanism.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table including a conventional work table top plate supporting mechanism and a top plat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problem;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table upper plate suppor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neck is inserted into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upport is inserted into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상의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를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is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And when it is mentioned herein that an element is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where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아울러, 제1구성요소가 제2구성요소 상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다. 즉,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의미한다.Further, when it is mentioned that the first component is operated or executed on the second component, the first component may be operated or execute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econd component is operated or executed, or may be directly or indirect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operated or executed through interaction. Furthermore,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forms in this specification may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text. That is,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 that the stated elemen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부가해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두께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과 강조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본 고안과 크게 관련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혼돈을 주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hapes and thicknesses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emphasis, and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in describing the design and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sig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explaining the desig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40)는 작업대 상판의 하부에서 상판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판(42), 수직 고정판(44), 한 쌍의 연장목 결합구(46) 및 한 쌍의 끼움부재(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40)는, 즉, 베이스판(42), 수직 고정판(44), 연장목 결합구(46) 및 끼움부재(48)는 목재, 강화플라스틱, 또는, 금속, 바람직하게,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베이스판(42)은 결합구(46) 및 끼움부재(48)의 설치를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각 플레이트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베이스판(42)의 모양은 사각 모양 이외에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 가능하다. The
수직 고정판(44)은 베이스판(42)의 일측 가장자리 하면에 상기 베이스판(42)과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고정판(44)은 사각 플레이트 모양을 갖도록 마련되되 베이스판(42)과 접촉하는 면이 베이스판(42)과 동일 또는 짧은 길이를 갖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고정판(44)은 베이스판(42)과 접촉하는 면이 베이스판(42)의 일측 가장자리 하면과 접하거나, 또는, 일측 가장자리가 베이스판(42)의 일측 가장자리 면과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수직 고정판(44)의 베이스판(42)과의 결합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연장목 결합구(4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 및 길이를 갖는 연장목(50)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각각 중공을 갖는 한 쌍이 베이스판(42)의 하면 및 수직 고정판(44)의 전면 측에 상호 간 이격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연장목 결합구(46)는 단면상으로 사각 모양의 중공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수직 고정판(44)의 수직 방향의 길이와 동일 또는 짧은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연장목 결합구(46)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베이스판(42)의 하면 및 수직 고정판(44)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연장목 결합구(46)는 상호 간에 이격하도록 결합되되 구조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하부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 즉, 하부 간격이 상부 간격보다 넓도록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elongated
아울러, 연장목 결합구(46)들 각각은 삽입된 연장목(50)의 고정을 위해 수직 고정판(44)과 접하는 면 이외의 다른 면들 중 어느 한 면 이상에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두 개의 홀(h1)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홀들(h1) 각각에 고정용 볼트(52)를 각각 스크류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연장목 결합구(46)에 삽입된 연장목(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연장목(50)의 길이는 소망하는 작업대 상판 높이에 맞추어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연장목 결합구(46)가 사각 모양의 중공을 갖도록 마련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원 또는 삼각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연장목(50)은 연장목 결합구(46)의 단면 모양에 대응하는 단면 모양을 갖도록 마련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ongated neck coupling (46) is provided to have a square hollow, bu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ircular or triangular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elongated neck (50) 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ongated
계속해서, 끼움부재(48)는 작업대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목의 양측 단부들 각각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베이스판(42)의 상면에 상호 간 이격 배치되게 한 쌍이 마련된다. Subsequently, the
실시 예에서, 끼움부재(48)는 베이스판(42)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48-1)와 수평부(48-1)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부(48-2)를 포함하는 꺽쇠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끼움부재(48)는 베이스판(42) 상에서 그들의 수평부들(48-1)이 바깥쪽에 배치되고, 반면, 수직부들(48-2)은 안쪽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끼움부재(48)는 그들의 수평부들(48-1)이 베이스판(42) 상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여기서, 수직부(48-2)의 높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목(60)의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즉, 받침목(6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것은 상판이 놓여지는 받침목(60)의 위쪽으로 끼움부재(48)의 수직부(48-2)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6, the height of the vertical portion 48-2 is set to be no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또한, 끼움부재들(48) 사이의 간격, 다시 말해, 수평부들(48-1)을 포함한 수평직들(48-2)의 간격은 받침목(6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하되 수직부재들(48-2) 사이에 받침목(60)이 억지 끼움 방식에 따라 끼워진 후, 받침목(60)이 좌우로 유격되지 않도록 하는 간격을 갖도록 한다.The spacing between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40)는 연결목 결합구들(46) 각각에 연결목들(50)이 끼워져 고정된 한 쌍이 받침목(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받침목(60)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에 배치되고, 각 지지기구(40)의 끼움부재들(48) 사이에 받침목(60)이 끼워지는 것에 의해 작업대 상판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40)는 받침목(60)이 끼워진 두 개가 상기 받침목(6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두 쌍 이상이 이격 배치되어 작업대 상판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는 연결목 결합구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목과 끼움부재들 사이에 끼워지는 받침목을 제외하면, 그 크기가 종래 대비 작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 또한 매우 용이하다. 아울러, 본 고안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는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 여러 개를 쌓을 수 있어서 보관장소의 마련 또한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파손의 위험이 적다. The worktable upper plate suppor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carry because the size of the worktable upper plate supporting mechanism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art, except for the connecting neck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neck coupling, Storage is also very easy.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ing mechanism of the upp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it is possible to stack several small spaces, thus making it easy to arrange a storage place. In addition, since the worktable support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risk of breakage is small.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며, 또한, 동일한 부분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70)는 끼움부재(48)가 용접 방식이 아니라 볼트 조임 방식으로 베이스판(42) 상에 고정된다.As shown, the
이를 위해, 끼움부재(48)의 수평부(48-1) 하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48-3)가 수평부(48-1)의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는 베이스판(42) 부분들에는 도트형(dot type)의 볼트 삽입 홀들(h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끼움부재(48)는 그들의 볼트(48-3)가 베이스판(42) 상에 각각 대응하는 볼트 삽입 홀(h2)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후, 베이스판(42)의 하면으로 돌출된 볼트(48-3) 부분에 조임용 너트(48-4)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at least two bolts 48-3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48-1 of the
그 밖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이전 실시 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이전 실시 예들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며, 또한, 동일한 부분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80)는 한 쌍의 끼움부재(48)가 베이스판(42) 상에서 상호 간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즉, 본 실시 예에서, 끼움부재(48)는 그의 수평부(48-1) 하면에 상호 이격하여 배치되면서 수평부(48-1)의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48-3)를 구비하며, 베이스판(42)에는 볼트 삽입 홀들(h3)이 마련되되 볼트 삽입 홀들(h3)이 도트형(dot type)이 아닌 슬릿형(slit type)으로 마련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에 따라, 한 쌍의 끼움부재(48)는 그들의 볼트(48-3)가 베이스판(42) 상에 슬릿형 볼트 삽입 홀(h3)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 후, 받침목의 폭에 맞추어 상호 간 간격을 조절하고, 그리고 나서, 베이스판(42)의 하면으로 돌출된 볼트(48-3) 부분에 조임용 너트(48-4)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us, the pair of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80)는 끼움부재들(48)의 간격 조절을 통해 다양한 폭의 받침목들을 끼울 수 있으므로 받침목 폭의 선택 범위를 넓힐 수 있다. Accordingly, the
그 밖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이전 실시 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판에 마련되는 볼트 삽입 홀들은 도트형과 슬릿형이 혼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끼움부재들에 대응하여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 홀은 도트형으로 마련되고,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 홀은 끼움부재들간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릿형으로 마련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bolt insertion holes provided in the base plate may be formed by mixing a dot type and a slit type. For example, the bolt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corresponding to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rovided in a dot shape, and the bolt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other one are provided with slits .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이전 실시 예들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며, 또한, 동일한 부분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to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will be omitted.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90)는 한 쌍의 끼움부재(48)가 베이스판(42) 상에서 상호간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베이스판(42)에 마련되는 볼트 삽입 홀들(h4)이 양측 끼움부재들(48)의 볼트들(48-3)에 각각 대응하는 수만큼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끼움부재(48)의 이동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한 양측 끼움부재들(48)의 볼트들(48-3) 모두가 함께 삽입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끼움부재(48)가 베이스판(42) 상에 함께 좌우 이동됨은 물론 받침목의 폭에 맞추어 상호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90)는 끼움부재들(48)의 위치를 다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좀 더 높일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ir of
그 밖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이전 실시 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는 끼움부재에 스프링 조인트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받침목이 끼움부재들 사이에 손쉽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 조인트의 구성은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table upper plate support mechanism can be easily fixed between the shim members with various widths by providing a spring joint to the shim member. Here, the structure of the spring joint is widely used in various technical field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여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at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40,70,80,90: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 42: 베이스판
44: 수직 고정판 46: 연결목 결합구
48: 끼움부재 50: 연결목
60: 받침목40, 70, 80, 90: work table upper plate supporting mechanism 42: base plate
44: vertical fixing plate 46: coupling neck coupling member
48: seam member 50:
60: Support
Claims (4)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가장자리 하면에 결합된 수직 고정판;
상기 베이스판의 하면 및 수직 고정판의 전면에 상호 간 이격 배치되도록 결합되며, 각각 중공을 갖는 한 쌍의 연장목 결합구; 및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배치되며, 받침목이 삽입 고정되도록 상호간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끼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접촉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꺽쇠 모양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판 상에서 상기 수직부들이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수평부들이 바깥쪽에 위치하는 형태로 배치되되, 상기 수평부의 하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볼트들이 설치됨과 아울러 각 볼트들에 대응하는 베이스판 부분들에 볼트 삽입 홀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들이 상기 볼트 삽입 홀들에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로부터 상기 볼트 삽입 홀들에 끼워진 볼트들에 너트들을 조이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
A work table top support mechanism provided to support an upper plate of a work table,
Base plate;
A vertical fixing plate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one side of the base plate;
A pair of elongated neck joint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vertical elongated plat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having a hollow; And
A pair of fitting member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ing members are inserted and fixed; Lt; / RTI >
Wherein each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has a crest shape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vertical portion vertically exten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Wherein each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is disposed on the base plate such that the vertical portions are located on the inner side and the horizontal portions are located on the outer side. At least two bolts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Wherein the bolts are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s, and the bolts are inserted into the bolt insertion holes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to fasten the bolts to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fixed on the upper plate.
상기 볼트 삽입 홀은 상기 한 쌍의 끼움부재들의 볼트들에 대응하는 베이스판 부분마다 각각 도트형, 슬릿형 및 도트형과 슬릿형의 혼합형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끼움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위치한 한 쌍의 끼움부재들의 볼트들 모두가 삽입되는 장공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상판 지지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lt insertion hol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ot, a slit, a dot, and a slit for each of the base plat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bolts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Wherein the bolt is provided in a slot shape in which all the bolts of the pair of fitting members located on the line are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5479U KR200486529Y1 (en) | 2017-10-24 | 2017-10-24 | Tool for supporting top plate of work t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5479U KR200486529Y1 (en) | 2017-10-24 | 2017-10-24 | Tool for supporting top plate of work tab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529Y1 true KR200486529Y1 (en) | 2018-06-01 |
Family
ID=6259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5479U Active KR200486529Y1 (en) | 2017-10-24 | 2017-10-24 | Tool for supporting top plate of work t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529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24211A (en) * | 2019-09-05 | 2019-12-03 | 福建意格机械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adjustable mounting plate of the width of radiator core assembling machine |
CN113601463A (en) * | 2021-09-03 | 2021-11-05 | 四川华构建筑工程有限公司 | Skylight frame assembling tool tabl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61370A (en) * | 1983-07-11 | 1984-07-24 | Action Group, Inc. | Collapsible sawhorse bracket |
KR200146731Y1 (en) | 1996-12-17 | 1999-06-15 | 홍길선 | The support for the garland of flowers |
US5913381A (en) * | 1997-04-07 | 1999-06-22 | D'armond, Jr.; S. Adrian | Friction sawhorse bracket |
KR20040067593A (en) | 2003-01-24 | 2004-07-30 | 주식회사 에이스크레디트 | Cigarette case for no smoking |
US6810996B2 (en) * | 2001-05-04 | 2004-11-02 | Brian D. Rump | Bracket for a sawhorse and other multiple piece stands |
US8807498B1 (en) * | 2009-06-02 | 2014-08-19 | Harold A. McCoy | Sawhorse bracket |
-
2017
- 2017-10-24 KR KR2020170005479U patent/KR200486529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61370A (en) * | 1983-07-11 | 1984-07-24 | Action Group, Inc. | Collapsible sawhorse bracket |
KR200146731Y1 (en) | 1996-12-17 | 1999-06-15 | 홍길선 | The support for the garland of flowers |
US5913381A (en) * | 1997-04-07 | 1999-06-22 | D'armond, Jr.; S. Adrian | Friction sawhorse bracket |
US6810996B2 (en) * | 2001-05-04 | 2004-11-02 | Brian D. Rump | Bracket for a sawhorse and other multiple piece stands |
KR20040067593A (en) | 2003-01-24 | 2004-07-30 | 주식회사 에이스크레디트 | Cigarette case for no smoking |
US8807498B1 (en) * | 2009-06-02 | 2014-08-19 | Harold A. McCoy | Sawhorse bracke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524211A (en) * | 2019-09-05 | 2019-12-03 | 福建意格机械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adjustable mounting plate of the width of radiator core assembling machine |
CN110524211B (en) * | 2019-09-05 | 2024-05-10 | 福建意格机械设备有限公司 | Width-adjustable assembly platform of radiator core assembly machine |
CN113601463A (en) * | 2021-09-03 | 2021-11-05 | 四川华构建筑工程有限公司 | Skylight frame assembling tool table |
CN113601463B (en) * | 2021-09-03 | 2023-12-29 | 四川华构建筑工程有限公司 | Skylight frame assembling tool ta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6965B1 (en) | Assembly Systems of a laboratory table | |
JP6024934B2 (en) | Adjustable assembly pallet | |
KR200486529Y1 (en) | Tool for supporting top plate of work table | |
WO2013011690A1 (en) | Earthquake-resistant partitioning structure, and light gauge mounting fixture and vibration stopper holding fixture used in earthquake-resistant partitioning structure | |
KR101224244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frame for table | |
KR101531812B1 (en) | Assembly type table | |
JP2017225276A (en) | Fixture for photovoltaic panel | |
KR101936335B1 (en) | Connector for concrete mold | |
JP6915998B2 (en) | Wall lumber fixtures, wall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fixtures | |
JP2015017413A (en) | Vibration control structure | |
KR101704590B1 (en) | Supporting apparatus with vertical penetration type connector and assemblying method by the same | |
JP5929650B2 (en) | Earthquake-resistant partition panel | |
KR101440044B1 (en) | Furniture underframe | |
KR20130006528U (en) | Jig for side panel manufacturing of wooden box | |
KR101440045B1 (en) | Furniture underframe | |
JP2017008520A (en) | Solar panel fixture | |
CN217965481U (en) | Auxiliary processing device for corrugated board water tank | |
KR100583995B1 (en) | Header and beam assembly workbench for steel house | |
KR20150058855A (en) | Timber base plate metal connectors for footing-column connecting | |
JP7110523B2 (en) | furniture with top plate | |
KR20200001740U (en) | assembled multilayer shelf | |
KR101440043B1 (en) | Furniture underframe | |
KR102398781B1 (en) | Table frame apparatus | |
KR101440041B1 (en) | Furniture underframe | |
CN216101125U (en) | Combined base structure of digital print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10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1227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80117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05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5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