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460Y1 - Garment combined bag - Google Patents
Garment combined ba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460Y1 KR200486460Y1 KR2020170004072U KR20170004072U KR200486460Y1 KR 200486460 Y1 KR200486460 Y1 KR 200486460Y1 KR 2020170004072 U KR2020170004072 U KR 2020170004072U KR 20170004072 U KR20170004072 U KR 20170004072U KR 200486460 Y1 KR200486460 Y1 KR 20048646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rment
- bag
- present
- converti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 간편한 방식으로 가방 또는 의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는, 양측이 연결된 전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양측이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결합되며, 하측이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포켓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파지하거나 어깨에 걸치게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ag, and aims to convert the garment into a bag or a garment in a simple manner.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connected to both sides,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 pocket portion coupled to the rear portion to form a storage space in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d being disposed on the shoulder.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방겸용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또는 가방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for 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men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garment or bag.
통상의 의류는 간단한 소지품을 수납할 수 있는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머니는 크거나 무거운 소지품을 수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에는 크고 무거운 소지품 수납을 위한 별도의 가방을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Conventional garments have pockets that can hold simple belongings. However, these pockets were limited in accommodating large or heavy items. That is,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separate bag for accommodating large and heavy belonging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류의 일측에 가방이 부착된 의류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garment having a bag attached to one side of the garment has been developed.
즉, 종래에는 의류의 일측에 직물을 덧대어 수납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의류와 가방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였다.That is, conventionally, a garment and a bag function are realized simultaneously by providing a storage space by attaching a fabric to one side of the garment.
그러나 상기한 가방이 부착된 의류는,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납공간에 소지품을 수납하는 구조로서, 가방만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bag-attached gar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elongings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n the state of wearing the clothes, and the bag can not be used only by the bag.
따라서, 가방 또는 의류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develop a product that can be clearly classified into bags or clothes.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한 방식으로 가방 또는 의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ment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ag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bag or a garment in a simple manner.
그리고, 의류로 사용시에도 다양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rmen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bag that can store various articles even when used as clothes.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는, 양측이 연결된 전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양측이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결합되며, 하측이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포켓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파지하거나 어깨에 걸치게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connected to both sides,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nd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 pocket portion coupled to the rear portion to form a storage space in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and being disposed on the shoulder.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Further,
상기 전면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상기 후면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한다.A pair of first connection members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formed in an area wher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포켓부의 외부 노출 여부에 따라 의류 또는 가방으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garment or a bag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ocke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사이에 포켓부가 개재될 시 상의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면부와 포켓부의 사이에 후면부가 개재되도록 뒤집을 시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can be used as a visual phase in which a pocket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the rear part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pocket part.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는, 간편한 방식으로 가방 또는 의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garmen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converted into a bag or a garment in a simple manner and used.
그리고, 의류로 사용시에도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됨으로, 의류로 변환하여 착용한 상태에서도 다양한 물품 수납하여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even when used as clothes, a storage space is provided inside, so that it is possible to store and store various articles even when they are converted into clothes and worn.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상의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상의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를 상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가방으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가방으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topshee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a topshee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pper body.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bag;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bag; Fig.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상의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상의로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를 상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가방으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가 가방으로 변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rment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top,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ba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bag,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arment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verted into a bag; Fig.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는, 의류 또는 가방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clothes (1) convertible into ba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rted into clothes or bags for use.
즉,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는 상의에 착용할 수 있는 용도 및 가방 기능을 겸한다.That is, the clothing 1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serves as an application which can be worn on the top and a bag function.
이러한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는 본체(10), 포켓부(20), 연결부(30)를 포함한다.The garment 1 convertible into such a bag includes a
상기 본체(10)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를 상의 또는 가방으로 사용할 경우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의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상체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부(11) 및 상기 전면부(11)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상체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는 양측이 재봉 방식,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양측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상측과 하측에는 사용자의 얼굴, 상체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사이에는 상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As the front and
이러한 본체(10)는 유아용, 어른용 등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Such a
아울러, 직물 재질, 방수재질 기타 의류로 활용되는 모든 소재가 본체(10)의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all the materials used as the fabric material, the waterproof material and other clothes can be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그리고,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색상, 무늬 등은 패션 디자인의 관점에서 보다 다채로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The colors, patterns, etc. of the
상기 포켓부(20)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를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사이에 개재된다.The
즉,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는 상기 전면부(11)와 포켓부(20) 및 후면부(12)가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garment 1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포켓부(20)는 가방으로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와 동일한 형상과 재질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포켓부(20)는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그 양측이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의 양측에 재봉 결합된다.The
아울러, 상기 포켓부(20)의 하측은 상기 전면부(11)의 하측 또는 후면부(12)의 하측에 재봉 결합된다.In addition, the lower side of the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포켓부(20)의 하측이 전면부(11)의 하측에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포켓부(20)의 상측을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면이 상기 전면부(11) 및 후면부(12)에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포켓부(20)의 상측과 전면부(11)의 상측 사이에는 지갑, 휴대기기 등 다양한 물품을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켓부(20)와 전면부(11)의 사이에는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The
상기 연결부(30)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를 상의로 사용할 시 사용자의 양 어깨에 걸어 사용하고, 가방으로 변환하여 사용시 파지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제1연결부재(31), 제2연결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상기 제1연결부재(3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부(11)의 상부 양측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ing
상기 제2연결부재(3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면부(1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31)와 마주한다.The second connecting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재(31)의 상측과 상기 제2연결부재(32)의 상측은 묶음 결합되어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2)를 연결한다.1,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ing
상기 제1연결부재(31) 및 제2연결부재(32)는 사용자의 상체 사이즈에 맞게 결합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즉, 본체(10)를 어른용 상의로 사용하고자 할 시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의 끝 부분을 묶어 결합하면 되고, 유아용 상의로 사용하고자 할 시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의 중앙 부분 정도를 묶어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31) 및 제2연결부재(32)의 형상은 직사각형 띠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의 디자인을 아름답게 연출할 수 있도록 물결 형상이나 톱니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함을 밝힌다.The shape of the first linking
부가적으로, 상기 포켓부(20)에는 상기 포켓부(20)를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연결부(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보조 연결부(2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31) 및 제2연결부재(3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보조 연결부(21)는 상기 제1연결부재(31) 및 제2연결부재(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보조 연결부(21)는 상기 제1연결부재(31) 및 제2연결부재(32)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이 상기 제2연결부재(32)에 재봉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auxiliary connecting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는 상기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를 원 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가 접하는 영역에 착탈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The garment 1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connecting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의 일측에 서로 부착되는 밸크로드 테이프를 각각 재봉으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detachable portion may be formed by sewing together a pair of belt rod tape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단추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단추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개의 구멍을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 하므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detachable portion may have one or more buttons formed on one of the first connecting
특히, 상기 착탈부를 단추 및 구멍으로 구성할 시, 상기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의 결합안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제1연결부재(31)와 제2연결부재(32)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 없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detachable portion is constituted by a button and a hole, stability of engagement between the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의 작동 및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garment 1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nique effects appearing i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를 상의로 사용할 경우, 포켓부(20)는 착용자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First, as shown in Fig. 4, when the garment 1 convertible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top, the
그러나, 상기 전면부(11)와 포켓부(20)의 사이에는 수납공간이 마련됨으로,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를 상의로 사용할 경우에도 별도로 가방을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However, since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그리고, 상의에서 가방으로 변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에 손을 넣어 전면부(11) 및 포켓부(20)의 하측 접하는 부분을 동시에 파지한 다음, 해당 부분을 당겨 전면부(11)와 후면부(12)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뒤집으면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의 내면과 포켓부(2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양측 및 저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구된 가방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convert from a top to a bag, a hand is put in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물론 상기에서는 가방으로 변환되는 과정만을 설명하였지만, 그 역순에 따라 가방 상태에서 상의로 변환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Of course, 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process of converting into the bag has been described, but it is natural that the bag can be converted into the top according to the reverse ord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는 상기와 같은 간편한 방식으로 상의 또는 의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상치 않게 물품을 수납하여 이동해야 할 상황이 발생되면 상의를 가방으로 변환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arment 1 which can be converted into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rted into a top or a garment in the simple manner as described above. If a situation is required to store the article unexpected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onverted and used.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1)는 여행시에는 의류로 사용하고, 이동시에는 가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종 여행용품을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thes 1 convertible into ba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clothes for traveling, and can be used as bags for travel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tore various travel goods.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1 :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 10 : 본체
11 : 전면부 12 : 후면부
20 : 포켓부 21 : 보조 연결부
30 : 연결부 31 : 제1연결부재
32 : 제2연결부재1: Clothing convertible into a bag 10: Body
11: front part 12: rear part
20: pocket portion 21: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30: connecting portion 31: first connecting member
32: second connecting member
Claims (4)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양측이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결합되며, 하측이 상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수납공간을 형성시키는 포켓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며, 파지하거나 어깨에 걸치게 배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
A main body includ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A pocket part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nd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both sides and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part or the rear part of the lower part to form a storage space in the body,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being disposed on the shoulder.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면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연결부재,
상기 후면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ortion
A pair of first connection members formed on both sides of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and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상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접하는 영역에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detachable portion formed in an area wher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join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포켓부의 외부 노출 여부에 따라 의류 또는 가방으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가방으로 변환 가능한 의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cket is convertible into a bag configured to be distinguishable from a garment or a bag depending on whether the pocke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072U KR200486460Y1 (en) | 2017-08-02 | 2017-08-02 | Garment combined ba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4072U KR200486460Y1 (en) | 2017-08-02 | 2017-08-02 | Garment combined ba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6460Y1 true KR200486460Y1 (en) | 2018-05-21 |
Family
ID=6229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4072U Active KR200486460Y1 (en) | 2017-08-02 | 2017-08-02 | Garment combined ba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460Y1 (en) |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75619U (en) * | 1978-11-20 | 1980-05-24 | ||
KR20040074326A (en) | 2003-02-17 | 2004-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hip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3132483U (en) * | 2006-11-14 | 2007-06-14 | 赤嶺 義雄 | Back vest or tank top |
EP1961318A2 (en) * | 2007-02-22 | 2008-08-27 | Angela Shields | Convertible Garment |
JP2010013781A (en) * | 2008-07-02 | 2010-01-21 | Eiichi Noda | Garment freely transformable into bag or rucksack |
WO2011039609A1 (en) * | 2009-09-30 | 2011-04-07 | Paula Monet-Lang | Carrying bag or vest |
WO2013117078A1 (en) * | 2012-02-08 | 2013-08-15 | Li Kwok Wa | Clothing capable of being transformed into bag |
KR20140039118A (en) * | 2012-09-22 | 2014-04-01 | 최병선 | Myeonti attached to the bags attached |
US20140090147A1 (en) * | 2012-10-02 | 2014-04-03 | H&K The Poppet Company LLC | Convertible Garment |
KR101524448B1 (en) * | 2014-04-04 | 2015-06-01 | (주)청운통상 | Vest available as bag |
KR20150097919A (en) * | 2014-02-19 | 2015-08-27 | 최인덕 | Jacket of transformative a bag |
KR20150003894U (en) * | 2014-04-16 | 2015-10-26 | 김보라 | Jacket having bag |
US20160192720A1 (en) * | 2014-08-04 | 2016-07-07 | Kaeyos, Inc. | Convertible Garment |
EP3050447A1 (en) * | 2015-02-02 | 2016-08-03 | Baobab Consult | Vest convertible into a bag |
KR101744442B1 (en) * | 2016-06-22 | 2017-06-09 | 박강병 | vest combined with bag |
-
2017
- 2017-08-02 KR KR2020170004072U patent/KR200486460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575619U (en) * | 1978-11-20 | 1980-05-24 | ||
KR20040074326A (en) | 2003-02-17 | 2004-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hip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JP3132483U (en) * | 2006-11-14 | 2007-06-14 | 赤嶺 義雄 | Back vest or tank top |
EP1961318A2 (en) * | 2007-02-22 | 2008-08-27 | Angela Shields | Convertible Garment |
JP2010013781A (en) * | 2008-07-02 | 2010-01-21 | Eiichi Noda | Garment freely transformable into bag or rucksack |
WO2011039609A1 (en) * | 2009-09-30 | 2011-04-07 | Paula Monet-Lang | Carrying bag or vest |
WO2013117078A1 (en) * | 2012-02-08 | 2013-08-15 | Li Kwok Wa | Clothing capable of being transformed into bag |
KR20140039118A (en) * | 2012-09-22 | 2014-04-01 | 최병선 | Myeonti attached to the bags attached |
US20140090147A1 (en) * | 2012-10-02 | 2014-04-03 | H&K The Poppet Company LLC | Convertible Garment |
KR20150097919A (en) * | 2014-02-19 | 2015-08-27 | 최인덕 | Jacket of transformative a bag |
KR101524448B1 (en) * | 2014-04-04 | 2015-06-01 | (주)청운통상 | Vest available as bag |
KR20150003894U (en) * | 2014-04-16 | 2015-10-26 | 김보라 | Jacket having bag |
US20160192720A1 (en) * | 2014-08-04 | 2016-07-07 | Kaeyos, Inc. | Convertible Garment |
EP3050447A1 (en) * | 2015-02-02 | 2016-08-03 | Baobab Consult | Vest convertible into a bag |
KR101744442B1 (en) * | 2016-06-22 | 2017-06-09 | 박강병 | vest combined with ba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710639A (en) | Multipurpose bag | |
US5009319A (en) | Shape giving system for soft purses | |
US5774892A (en) | Convertible clothing | |
US20170280793A1 (en) | Convertible garment bag | |
US2883673A (en) | Change pocket for shirts and the like | |
KR20180101506A (en) | Security pocket | |
US20160192720A1 (en) | Convertible Garment | |
US9788584B2 (en) | Garment convertible to bag | |
KR101609979B1 (en) | Versatile eco bag | |
US2412007A (en) | Combined hand and shopping bag | |
US2007017579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rsonal supplemental storage | |
US20100077530A1 (en) | Detachable travel pocket | |
KR200486460Y1 (en) | Garment combined bag | |
KR200474326Y1 (en) | Switchable Bag | |
JP2009275307A (en) | Jumper convertible into backpack, and backpack converted from jumper | |
KR200462992Y1 (en) | A pants having a bag function | |
US9936779B1 (en) | Garment bag with detachable tote | |
JP2000282309A (en) | Multifunctional shorts and skirts | |
US2860680A (en) | Wallet and detachable pouch combination | |
KR102566536B1 (en) | Apron with bag function | |
KR200498627Y1 (en) | Clothe with self acceptance and keeping function | |
JP3230043U (en) | clothes | |
JP3240578U (en) | Storage bag for rucksack | |
SU1757593A1 (en) | Jacket transformable into a bag | |
CN212911722U (en) | Multifunctional cotton-padded jack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80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5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51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