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6222Y1 - 음료 용기용 커버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22Y1
KR200486222Y1 KR2020160004424U KR20160004424U KR200486222Y1 KR 200486222 Y1 KR200486222 Y1 KR 200486222Y1 KR 2020160004424 U KR2020160004424 U KR 2020160004424U KR 20160004424 U KR20160004424 U KR 20160004424U KR 200486222 Y1 KR200486222 Y1 KR 200486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ver
container
beverag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396U (ko
Inventor
유훈
Original Assignee
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훈 filed Critical 유훈
Priority to KR2020160004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2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22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단에 음료 용기의 상단 엣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잡아당기면 띠 형상이 되는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를 길게 늘려 음료 용기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 상기 바디의 내면 전체가 탄성에 의해 음료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어, 용기의 종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음료를 담는 모든 용기의 외면에 길게 늘린 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홀더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필요시 바디 내부에 냉각부재를 수용하거나 또는 조명모듈을 설치하여 아이스팩 또는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커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용 커버{Cover for drink container}
본 고안은 음료 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종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음료를 담는 모든 용기의 외면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홀더(holder)로서의 역할을 하되 필요시 아이스팩 또는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료수 또는 맥주 등의 음료를 차갑게 마시기 위해서는 얼음을 넣거나 냉장고에 보관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얼음을 넣어서 마시면 시간이 지나면서 얼음이 녹아 물로 변하기 때문에 기존 음료에 물이 첨가되므로 음료 본연의 맛이 변하게 된다.
또한, 맥주와 같은 알코올 성분을 갖는 음료는 얼음을 사용하지 않고 냉장고 등에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는 양은 한정되기 때문에 만약 냉장고에 보관된 맥주가 없는 경우 상온 보관된 맥주를 신속하게 냉장할 수 있는 방법이 마땅치 않고, 냉장고에 보관한다 하더라도 냉장되는 온도가 제한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드라이아이스가 내장된 냉각 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냉각 컵은 강화플라스틱으로 된 몸체 내부에 일정량의 드라이아이스가 충진된 밀폐공간이 구비된 형태로서, 냉동실에 보관하여 드라이아이스가 결빙되도록 한 후 필요시 냉각 컵 내에 물, 맥주 또는 음료 등을 담아 사용함으로써, 결빙된 드라이아이스의 온도에 의해 음료 등이 냉각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음료를 시원한 상태로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냉각 컵을 맥주 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냉각 컵을 보관하기 위한 냉동고가 별도로 필요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맥주의 경우 별도의 맥주 컵을 사용해야 하고, 물이나 기타 음료의 경우는 맥주 컵을 사용하는 것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음료 전용 컵을 만들어 필요에 따라 이를 선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컵을 내측에 장착하여 냉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냉각 홀더 또는 스테인레스 아이스 봉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냉각 홀더는 병이나 용기와 닿는 내면의 형상이 미리 정해져 제작되므로 해당 크기와 형상을 갖는 용기의 사용만이 가능하고 특히 외면이 굴곡진 형태의 특이한 디자인을 갖는 용기는 사용이 곤란하므로, 용기마다 홀더를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비 등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인레스 아이스 봉은 병목에 꽂아서 사용하는 형태인데, 이에 목이 좁게 형성된 병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상단 개방부가 넓은 컵과 같은 용기에는 사용이 불가하였다.
국내등록실용신안 20-0367373 국내등록실용신안 20-0472890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용기의 종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음료를 담는 모든 용기의 외면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홀더로서의 역할을 하되 필요시 아이스팩 또는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커버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단에 음료 용기의 상단 엣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잡아당기면 띠 형상이 되는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를 길게 늘려 음료 용기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 상기 바디의 내면 전체가 탄성에 의해 음료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 내부에 냉각부재가 수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 내부에 조명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상단에 상기 조명모듈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냉각부재는 아이스 젤과 형광물질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외면과 상단이 특정 디자인을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의 하단과 하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서로 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는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및 홈-돌기구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음료 용기와 직접 닿는 내측 부분이 평평한 면을 가지며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디가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용기의 종류, 크기 및 형상에 상관없이 음료를 담는 모든 용기의 외면에 길게 늘린 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홀더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필요시 바디 내부에 냉각부재를 수용하거나 또는 조명모듈을 설치하여 아이스팩 또는 조명기구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제품의 전략적인 마케팅 및 판매로 수출 및 고용을 창출하고, 새로운 주류 및 음료 시장을 개척하여 차별화된 문화를 형성하려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커버를 길게 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를 나선형으로 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커버에서 바디 상단의 형상을 다르게 구성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커버에서 바디 상단의 형상을 또 다르게 구성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커버를 맥주잔에 장착하고 조명모듈을 작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버가 컵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커버가 맥주잔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표시된 컵의 개구된 쪽을 상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커버(100)는 상단에 끼움홈(24)이 형성되는 바디(1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료 용기용 커버(100)는 기본적으로 홀더로서의 기능을 하며 외부충격으로부터 음료 용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디(1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서 예컨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는 평소엔 나선형으로 말려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가 길게 잡아당기면 늘어나서 띠 형상이 된다. 이에, 굴곡진 원형의 용기 등에 장착하거나 제거할시 길게 잡아당겨 늘린 후 작업을 하면 걸림 없이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용기의 종류, 크기 및 형상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며 그 외면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커버 별로 별도의 전용 잔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음료 용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음료 용기용 커버(100)를 차갑거나 뜨거운 음료가 담긴 굴곡진 용기의 외부를 감싸며 밀착되도록 설치하면, 음료 용기와 외부와의 열 교환을 차단시켜 음료의 온도를 오랜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겹쳐지거나 접을 수 있으므로 냉동고에 넣거나 별도로 보관할 때 부피를 최소화시켜 많은 양을 한번에 보관 또는 냉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디(10)는 외면이 수려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바디(10)의 외면은 예컨대 용의 비늘(10a)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로서 촛농이 흘러내린 등한 형태, 용이 또아리를 튼 것과 같은 형태 등의 다양한 디자인 중 하나를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24)은 바디(10)의 상단(20)에 형성되며, 음료 용기의 상단 엣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끼움홈(24)은 대체로 바디(10)의 상단(20)을 갈고리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디(10)의 상단(20)은 특정 디자인을 표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10) 상단(20)에는 틈새(23)를 가지도록 양쪽으로 갈라진 한 쌍의 고정부(21, 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부(21, 22)의 끝단은 바디(10)의 내면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음료 용기의 엣지가 끼움홈(24)에 삽입 될 때 이 고정부(21, 22)의 끝단이 음료 용기의 상측 내면을 눌러줌으로써 음료 용기의 엣지가 끼움홈(24)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디(10)의 상단(20)은 상기 형상 이외에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 머리 형상(51), 월드컵 우승 트로피 형상(52) 또는 소녀 형상(미도시)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커버(100)는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바디(10)의 상단(20)에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하기 용이하며, 이렇게 특정 디자인을 표현하게 되면 제품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기념품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주류회사나 프랜차이츠 회사의 홍보용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디(10)는 내부에 아이스 젤과 같은 냉각부재(13)가 수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10)를 음료 용기의 외면에 밀착시켰을 때 음료 또는 주류가 담긴 용기의 열을 흡수하여 음료 또는 주류의 온도를 낮추고 장시간 저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냉각부재(13)의 외부는 EVA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냉각부재(13)는 바디(10)의 길이를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는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음료 용기의 외면과 직접 닿는 내측의 제1 바디부(12)는 평평한 면을 가지며 그 두께(t2)가 바깥쪽의 제2 바디부(11)의 두께(t1)에 비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디(10) 내부에 구비된 냉각부재(13)의 냉기가 제2 바디부(11) 보다는 제1 바디부(12)를 통해 더 많이 배출되므로, 음료 용기 및 내부에 담긴 음료의 냉각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부(11)는 '⌒'와 같이 볼록한 형태로서 용기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므로 평평한 형태에 비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용기를 보호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바디(10) 내부에는 조명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재는 LED와 같은 조명모듈(14)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조명모듈(14)을 사용하면 용기에 담긴 주류 및 음료가 더 시원하고 맛있게 보이는 효과가 있으며, 조명기능으로 인해 실내 조명이 밝지 않은 카페와 같은 사업장 등에서 사용시 인테리어 상승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때, 조명모듈(14)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40)는 바디(10)의 상단(20)에 마련될 수 있다. 만약 바디(10) 하측에 스위치(40)가 설치되면 용기를 따라 흐르는 물 중 일부가 스위치(40)가 설치된 틈새를 통해 유입될 수 있는데, 바디(10) 상단(20)에 스위치(40)를 설치하면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조명모듈(14)의 색상은 특정한 색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연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음료 용기용 커버(100)는 바디(10) 내부에 앞서 서술한 냉각부재(13) 또는 조명모듈(14) 중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필요시 두 가지 모두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부재의 다른 예로서, 제2 바디부(11)의 표면에 야광물질로 된 형광층(13)을 배치하여 조명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형광층(13)은 외부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바디부(11)의 내측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명부재의 또 다른 예로서, 냉각부재(13)를 이루는 아이스 젤에 형광물질을 혼합하여 냉각기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발광 또는 조명 효과를 구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형광물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광물질을 사용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고안의 커버(100)는 음료 용기에 사용하는 것이므로 상기 형광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디(10)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31, 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1)는 바디(10)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2 고정부재(32)는 제1 고정부재(31)로부터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제1 고정부재(31)와 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고정부재(31, 32)는 끼움홈(124)에 용기의 상단 엣지가 걸림된 상태에서 바디(10)가 용기의 외면을 감싸면서 하부로 내려왔을 때 바디(10)의 하단부가 용기를 감은 상태에서 하단부가 음료 용기로부터 떨어지는 현상을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고정부재(31, 32)는 예컨대 벨크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일정 수준의 결합력을 제공하면서도 서로 부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제1 및 제2 고정부재(31, 32)가 벨크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단추, 똑딱이단추 및 홈-돌기구조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료 용기용 커버(100)는 고객/개인 사용자, 사업주에게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며, 고객/개인 사용자는 음료를 지속적으로 시원하게 마시면서 다양한 제품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업주는 매장 인테리어 상승효과 및 제품의 차별화된 서비스로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음료 용기용 커버(100)가 고가의 컵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기존 고유의 컵 및 병의 디자인 손상을 줄이면서 주류회사 및 프렌차이즈 등의 다양한 홍보용 제작 및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팩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부피가 작아 한번에 많은 양을 냉동고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구성된 음료 용기용 커버(100)는, 음료 용기(1)에 담긴 음료를 냉각하고 할 때, 먼저 바디(10)를 길게 늘려 띠 형상으로 한 후 음료 용기(1)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한다. 이때, 음료 용기(1)의 상단 엣지가 끼움홈(2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필요시 제1 및 제2 고정부재(31, 32)는 바디(10)의 하단부가 음료 용기(1)의 하측 외면을 감싼 채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용기에 따라 늘리거나 줄이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굴곡진 원형 용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종류,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용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용기(1)에 본 실시 예의 커버(100)를 설치하더라도 용기(1)의 기본 형상은 표현이 되므로 용기(1) 고유의 디자인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10)가 굴곡진 음료 용기(1)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설치하면, 바디(10)의 탄성에 의해 바디(10)의 내면 전체가 음료 용기(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굴곡진 원형의 용기에 경우 종래의 홀더는 미리 크기나 형태가 맞게 제작된 경우가 아니면 적용이 곤란하였는데,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커버는 이러한 굴곡진 원형 용기에도 크기나 형태에 상관 없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용기로서 상단 직경이 하단 보다 큰 컵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음료 용기용 커버는 원통형은 물론 원추형의 컵에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어 잔이나 소주잔 등 다양한 종류의 용기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음료가 상온에 노출되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바디(10) 내부에 냉각부재(13)를 수용하여 음료 용기(1)와의 열 교환을 위한 밀착 면적을 최대화시킴으로써 음료 용기(1) 및 내부에 담긴 음료의 냉각 효과를 최대화시키며 음료가 오랜 시간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료 본연의 맛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커버에 냉각부재를 수용한 경우 냉각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실내 온도 30℃에서 최초 4℃의 맥주를 500cc 비어(beer) 잔에 담은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맥주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비교 예는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커버가 미장착된 비어 잔에 맥주를 담은 것이고,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음료 용기용 커버를 비어 잔 외면에 설치한 후 맥주를 담은 것이다. 실시 예는 내부의 냉각부재로 아이스 젤을 사용하였다. 또한, 바디의 크기는 가로 70cm, 두께 0.5~3cm로 제작하였다.
시간(분) 비교 예의
맥주 온도(℃)
실시 예의
맥주 온도(℃)
온도 차(℃)
3 6 4 2
5 8 4 4
10 10 5 5
15 12 5.5 6.5
20 14 6 8
25 16 7 9
30 18 8 10
표 1을 참조하면, 최초 3분 경과 후 실시 예와 비교 예의 맥주 온도 차는 2℃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시간이 경과하여 30분이 지난 후 실시 예의 맥주 온도는 8℃였고, 비교 예의 맥주 온도는 18℃로 10℃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맥주가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 온도는 3~6℃로 알려져 있다. 비교 예의 경우 5분 후 맥주 온도가 8℃로 상기 바람직한 온도 6℃를 초과한 반면, 실시 예의 경우 25분이 지나서야 맥주 온도가 7℃로 상기 바람직한 온도 6℃를 초과하였다. 즉, 커버 없이 맥주를 마시게 되면 맥주를 주문한 후 5분이 넘어가자마자 맥주의 맛이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 온도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커버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빠른 시간 안에 맥주의 청량감과 맛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본 고안의 커버를 사용한 실시 예의 경우 이러한 맥주가 가장 맛있게 느껴지는 온도를 20분 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업주 및 고객 모두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용기
10: 바디
24: 끼움홈
31, 32: 제1 및 제2 고정부재
100: 음료 용기용 커버

Claims (7)

  1. 상단에 음료 용기의 상단 엣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잡아당기면 띠 형상이 되는 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를 길게 늘려 음료 용기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면, 상기 바디의 내면 전체가 탄성에 의해 음료 용기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 냉각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 조명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의 상단에 상기 조명모듈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아이스 젤과 형광물질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면과 상단이 특정 디자인을 표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단과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서로 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가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및 홈-돌기구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음료 용기와 직접 닿는 내측 부분이 평평한 면을 가지며 다른 부분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커버.
KR2020160004424U 2016-08-01 2016-08-01 음료 용기용 커버 Expired - Fee Related KR200486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24U KR200486222Y1 (ko) 2016-08-01 2016-08-01 음료 용기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424U KR200486222Y1 (ko) 2016-08-01 2016-08-01 음료 용기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96U KR20180000396U (ko) 2018-02-09
KR200486222Y1 true KR200486222Y1 (ko) 2018-04-17

Family

ID=6128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42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6222Y1 (ko) 2016-08-01 2016-08-01 음료 용기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3982A1 (en) 2001-08-10 2003-02-20 Kalal Richard K Collapsible insulated container
WO2005048786A1 (en) 2003-11-21 2005-06-02 Phillip Donnelly Insulating sleeve for a glass
US20150297010A1 (en) 2014-04-22 2015-10-22 Chris Gantz Weighted Cup Holder and Identification Medall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9485U (ja) * 1998-11-30 1999-07-09 孝之 三宅 フリ―サイズ・カップホルダ―
KR100516937B1 (ko) 2003-02-11 2005-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과 그 제조방법
KR200367373Y1 (ko) 2004-08-20 2004-11-10 강용주 음료 용기용 아이스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13982A1 (en) 2001-08-10 2003-02-20 Kalal Richard K Collapsible insulated container
WO2005048786A1 (en) 2003-11-21 2005-06-02 Phillip Donnelly Insulating sleeve for a glass
US20150297010A1 (en) 2014-04-22 2015-10-22 Chris Gantz Weighted Cup Holder and Identification Medall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396U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113B2 (en) Container jacket for a beverage glass
US7118005B2 (en) Individual bottle coolers
US4036392A (en)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cover element carrying folded drinking straw
AU2003100960B4 (en) Insulating Sleeve for a Glass
US20080128378A1 (en) Beverage bottle with storage compartment
JP2009537413A (ja) ディスペンサ
US20120228166A1 (en) Single Serve Combination Wine Bottle and Wine Glass
JP2004500198A (ja) クーラー
KR200486222Y1 (ko) 음료 용기용 커버
US20050029299A1 (en) Insulating liner for drink container
CN201136659Y (zh) 一种带吸管的饮料瓶
US20070277286A1 (en) Insulated beverage holder
US20140367281A1 (en) Beverage bottle wrap
KR200355748Y1 (ko) 주류 용기 커버
US20130270144A1 (en) Beverage bottle with resealable storage compartment
US20110226784A1 (en) Covered cooler assembly
US20120175274A1 (en) Beverage bottle with a resealable storage compartment
WO2013142925A2 (en) Beverage container with a cup
KR200356838Y1 (ko) 주류 냉각 용기
US20040200739A1 (en) Accessory for drinking glasses
US20040172921A1 (en) Method of promoting bottled beverage products using individual bottle coolers
KR200396326Y1 (ko) 복합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커버
KR200340429Y1 (ko) 보온 보냉이 가능한 이중용기
ES1070527U (es) Vaso-envase protector para conservacion de temperatura en bebidas y refrescos.
WO2007040311A1 (en) Separable double drink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80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10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4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2012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