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6203Y1 - 발가락 스타킹 - Google Patents

발가락 스타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203Y1
KR200486203Y1 KR2020160004686U KR20160004686U KR200486203Y1 KR 200486203 Y1 KR200486203 Y1 KR 200486203Y1 KR 2020160004686 U KR2020160004686 U KR 2020160004686U KR 20160004686 U KR20160004686 U KR 20160004686U KR 200486203 Y1 KR200486203 Y1 KR 2004862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ain body
foot
surface member
to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506U (ko
Inventor
김종대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종대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대, 김영훈 filed Critical 김종대
Priority to KR2020160004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203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2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203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8Stockings without foo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20Inserts
    • A41B2300/22Elastic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측으로 사용자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의 일부만을 덮는 상태로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 본체의 선단에는 사용자의 각 발가락이 본체 외부로 노출되게, 사용자의 발가락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발가락삽입부,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향되는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하는 발가락 스타킹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발가락 스타킹은, 본체를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 일부를 덮도록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가락은 발가락삽입부를 통해 본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구두를 신을 경우에 본체 부분의 노출이 거의 없게 되어 미관상으로 어색함을 주지 않게 됨과 더불어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된 충격흡수패드가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마찰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게 한다.

Description

발가락 스타킹{The toe stockings}
본 고안은 발가락 부분에 착용한 상태로 스타킹이나 양말 안에 신는 발가락 스타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정장 혹은 평상복 차림에 다리의 유연성이나 탄력성과 같은 기능 부여나 각선미의 향상을 위해 스타킹을 착용한다. 최근에는 팬티스타킹 및 밴드스타킹, 판타롱스타킹 등의 종류가 많아 복장에 맞추어 착용한다.
하지만, 스타킹들은 땀의 흡수를 제대로 하지 못함과 더불어 통풍성이 떨어져 여름철에는 사용을 거의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여름에는 맨발로 구두를 신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맨발로 구두를 신을 경우, 땀으로 인해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사용자의 하중이 발가락으로 집중되면서 피로감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에는 버선이나 발가락 양말을 착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버선이나 발가락 양말의 경우 외관상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많음으로 인해 미관상 보기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발가락 양말 및 발가락 덧버선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57호(2013.10.08.),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449호(2006.01.24.)에 제시된다.
삭제
본 고안은, 사용자로 하여금 구두를 신은 상태에서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면서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미관상으로도 노출이 적은 발가락 스타킹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내측으로 사용자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의 일부만을 덮는 상태로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각 발가락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발가락삽입부,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하는 발가락 스타킹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부재 및 바닥면을 구성하는 하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재 후단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면부재의 후단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상면부재의 테두리 부분 및 상기 하면부재의 테두리 부분은 재봉되고, 상기 하면부재는 상호 대향되는 면이 부착 결합된 한 쌍의 부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상면의 후단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사용자의 발에 조임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탄성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발가락 스타킹은, 본체를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 일부를 덮도록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가락은 발가락삽입부를 통해 본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구두를 신을 경우에 본체 부분의 노출이 거의 없게 되어 미관상으로 어색함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된 충격흡수패드가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마찰을 흡수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스타킹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착용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가락 스타킹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착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발가락 스타킹은, 본체(100), 발가락삽입부(200), 충격흡수패드(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의 발에 삽입 설치되는 부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0)는 내측으로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의 일부를 덮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 즉 사용자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01)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상면부재(110) 및 하면부재(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면부재(110)는 상기 본체(100) 상면을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등 일부를 덮게 되며, 상기 하면부재(120)는 상기 본체(100) 바닥면을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바닥 일부를 덮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부재(110) 후단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면부재(120)의 후단 테두리 부분을 제어한 나머지 상기 상면부재(110)의 테두리 부분 및 상기 하면부재(120)의 테두리 부분을 재봉으로 상호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면부재(110)의 후단 및 상기 하면부재(120)의 후단 사이로 상기 사용자의 발을 삽입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100) 상면의 후단 테두리 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면부재(110)의 후단 테두리 부분으로는 탄성밴드(4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밴드(400)는 상기 상면부재(110)의 후단 테두리 부분을 상기 사용자의 발등 부분에 밀착되게 하여, 상기 본체(100)가 상기 사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에서 조임상태로 고정되게 하면서 안정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밴드(400)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면부재(120)는 상호 대향되는 면을 부착 결합시키는 한 쌍의 부착부재(120a,120b)로 구성됨으로써, 이후 설명될 충격흡수패드(300)를 상기 한 쌍의 부착부재(120a,120b) 사이에 삽입 배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면부재(110) 및 상기 하면부재(120)는 합성섬유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가락삽입부(200)는 상기 본체(100)를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에 삽입 설치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발가락삽입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선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면부재(110)의 선단에 상기 사용자의 각 발가락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발가락삽입부(200)는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5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발가락삽입부(200)가 형성된 상기 상면부재(110)의 테두리 부분에는 보강밴드(도면미도시)를 추가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상기 발가락삽입부(200)가 형성된 상기 상면부재(110) 부분에서의 찢어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의 일부만을 덮도록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발가락삽입부(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 부분이 노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두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0)의 노출부분이 거의 없게 되어 미관상으로 어색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충격흡수패드(300)는 상기 본체(100)를 사용자가 발에 삽입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바닥 부분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패드(300)는 힐과 같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구두를 신을 경우,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바닥 부분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되게 함과 더불어 마찰을 줄여 상기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되게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상기 충격흡수패드(300)는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충격흡수패드(3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면부재(120)에 결합 설치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면부재(120)의 부착부재(120a,120b) 사이에 삽입 상태로 결합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충격흡수패드(300)는 고무재질이나 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기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발가락 스타킹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사용자의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 일부를 덮도록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은 상기 발가락삽입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100)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구두를 신을 경우에 상기 본체(100) 부분의 노출이 거의 없게 되어 미관상으로 어색함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결합된 충격흡수패드(300)가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마찰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게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01: 수용공간
110: 상면부재 120: 하면부재
200: 발가락삽입부 300: 충격흡수패드
400: 탄성밴드

Claims (3)

  1. 내측으로 사용자 발 선단의 발등 일부 및 발바닥의 일부만을 덮는 상태로 수용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선단에는 상기 사용자의 각 발가락이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사용자의 발가락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발가락삽입부; 및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로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부재 및 바닥면을 구성하는 하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면부재 후단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면부재의 후단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상면부재의 테두리 부분 및 상기 하면부재의 테두리 부분은 재봉되고,
    상기 하면부재는 상호 대향되는 면이 부착 결합된 한 쌍의 부착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충격흡수패드는 상기 부착부재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발가락 스타킹.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면의 후단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사용자의 발에 조임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탄성밴드를 더 구비하는 발가락 스타킹.


KR2020160004686U 2016-08-12 2016-08-12 발가락 스타킹 Expired - Fee Related KR2004862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86U KR200486203Y1 (ko) 2016-08-12 2016-08-12 발가락 스타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686U KR200486203Y1 (ko) 2016-08-12 2016-08-12 발가락 스타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06U KR20180000506U (ko) 2018-02-21
KR200486203Y1 true KR200486203Y1 (ko) 2018-04-13

Family

ID=6138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6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6203Y1 (ko) 2016-08-12 2016-08-12 발가락 스타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203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039A (ja) 2000-08-08 2002-02-19 Kooma Kk 足指装着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25148Y1 (ko) 2003-05-09 2003-09-02 김동겸 무좀방지용 양말 보조착용물
JP2004270122A (ja) 2003-02-18 2004-09-30 Yuka Uemoto インナーソックス
KR100460684B1 (ko) 2004-06-11 2004-12-09 서상벽 하이힐 또는 구두용 양말
KR200395509Y1 (ko) 2005-06-16 2005-09-13 유교상 발가락양말
JP2009100883A (ja) 2007-10-22 2009-05-14 Wacoal Corp 足裏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431U (ja) * 1994-02-25 1994-08-30 矢島 康博 足先部カバー
KR960006817U (ko) * 1994-08-06 1996-03-13 이태주 발가락 부분이 갈라진 짧은 양말
JP3108730U (ja) * 2004-11-12 2005-04-28 文杰 ▲せん▼ 足先用靴下の改良構造
JP3131614U (ja) * 2007-02-26 2007-05-17 有限会社日研セラミックス販売 足指サポー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039A (ja) 2000-08-08 2002-02-19 Kooma Kk 足指装着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70122A (ja) 2003-02-18 2004-09-30 Yuka Uemoto インナーソックス
KR200325148Y1 (ko) 2003-05-09 2003-09-02 김동겸 무좀방지용 양말 보조착용물
KR100460684B1 (ko) 2004-06-11 2004-12-09 서상벽 하이힐 또는 구두용 양말
KR200395509Y1 (ko) 2005-06-16 2005-09-13 유교상 발가락양말
JP2009100883A (ja) 2007-10-22 2009-05-14 Wacoal Corp 足裏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06U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154B1 (ko) 신발
US12239564B2 (en) Leg protector
KR101166572B1 (ko) 신발창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200486203Y1 (ko) 발가락 스타킹
KR20110026863A (ko) 쿠션 슬리퍼
US20160183634A1 (en) SockTips
KR200418532Y1 (ko) 신발 안창
KR101226345B1 (ko) 기능성 신발창
KR20120018842A (ko) 신발뒤꿈치
KR102768878B1 (ko) 기능성 양말
KR20010000357U (ko) 맨발패션을 위한 다기능 양말
KR101047067B1 (ko) 충격흡수용 구두 뒷굽의 제조방법
KR20120042491A (ko) 좌우대칭 신발
KR200497722Y1 (ko) 신발 및 수면양말용 인솔
CN209732711U (zh) 一种具有透气减震功能的儿童鞋
KR200430722Y1 (ko) 쪼리슬리퍼용 발띠
KR200439708Y1 (ko) 신발
KR200487758Y1 (ko) 구두 뒷굽 보호구
KR20130005929U (ko) 인솔이 장착되는 아쿠아 슈즈
KR20160001178U (ko) 전면부 내측에 실리콘 패드를 갖는 양말
KR20210118725A (ko) 기능성 슬리퍼
KR200430732Y1 (ko) 미끄럼방지용 발띠
KR20120072272A (ko) 습기 흡수기능을 가진 발뒤꿈치 보호대
KR20100012196U (ko) 키높이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8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81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4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2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1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1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