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5913Y1 - 조립형 육상 요트 - Google Patents

조립형 육상 요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13Y1
KR200485913Y1 KR2020160006909U KR20160006909U KR200485913Y1 KR 200485913 Y1 KR200485913 Y1 KR 200485913Y1 KR 2020160006909 U KR2020160006909 U KR 2020160006909U KR 20160006909 U KR20160006909 U KR 20160006909U KR 200485913 Y1 KR200485913 Y1 KR 200485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sail
assembled
wi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칠
Original Assignee
김석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칠 filed Critical 김석칠
Priority to KR2020160006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13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5/00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 B62B15/001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propelled by sails
    • B62B15/004Other sledges; Ice boats or sailing sledges propelled by sails ha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7/00Accessories or details of sledges
    • B62B17/06Superstructures; Attachments therefor
    • B62B17/063Seats or other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육상 요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바람의 힘으로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이동장치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차량으로 운반이 가능하며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기 위한 조립형 육상 요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는 바람의 힘에 의해서 움직이고, 좌판, 등받이 및 손잡이로 구성된 좌석부에 착석할 수 있고 상기 좌석부와 앞바퀴를 중앙프레임으로 연결하며 상기 좌석부와 좌우의 뒷바퀴를 뒤축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앙프레임 중앙에서 상향으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프레임 선단에서 상기 지지대를 가로 질러 핸들(handle)부가 형성되는 카트(cart)부와, 돛대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에 삽입되고 상기 돛대에서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의 활대가 연결되며 상기 돛대 및 복수 개의 활대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이 고정되고 상기 돛은 하부에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활대와 나란하게 형성된 조절대에 고정끈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절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르래가 조절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돛을 조정할 수 있는 세일(sail)부를 포함한다.
또한, 좌판 및 등받이는 경첩으로 상호 연결되어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좌판 측면에 구비된 각도부 및 상기 등받이 후면에 장착된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좌판과 등받이가 이루는 각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좌판과 힌지(hinge) 연결되어 상기 좌판 상측으로 접혀질 수 있고, 상기 뒤축프레임은 단추스프링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신축(伸縮) 가능하며, 상기 중앙프레임은 큐알(Quick Release)레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육상 요트{Assembled type Land Yacht}
본 고안은 조립형 육상 요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바람의 힘으로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이동장치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차량으로 운반이 가능하며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기 위한 조립형 육상 요트에 관한 것이다.
육상 요트에 대해서 위키피디아(Wikipedia)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모래 요트' 또는 '육상 요트'라고도 하는 육상 세일링(Land sailing)은 돛을 통해 바람에 의해 움직이는 바퀴가 달린 차량의 육지를 가로 질러 움직이는 행위이다.
이 용어는 수상 항해와 유사하다. 역사적으로, 육상 세일링은 교통수단 또는 레크리에이션의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 이래로, 육상 세일링은 주로 경주용 스포츠로 진화해왔다.
세일링(sailing)에 사용되는 차량은 돛 마차(sail wagon), 모래 요트 또는 육상 요트로 알려져있다.
세일링(sailing)에 사용되는 차량은 일반적으로 3개(때로는 4개)의 바퀴를 가지고 있으며, 앉아 있거나 누워있는 자세에서 작동하고 페달이나 손잡이로 조종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범선과 매우 유사하다.
육상 세일링은 바람이 부는 평지에서 가장 잘 작동하고, 경주는 종종 사막 지역의 해변, 비행장 및 마른 호수에서 이루어지며, 바람의 돌풍은 유리한 바람 급변보다 육상 항해 경주에서 더 유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종래의 요트(Yach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은 물(water)이라고 하는 한정된 영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일정시간 동안 전문 강사에게 안전교육과 조종방법을 이수하고 나서야 비로소 사용이 가능하며, 접할 기회도 적을 뿐만 아니라 배우기 어렵고 가격 또한 너무 비싸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웠으며, 바람받이용 돛의 크기와 무게로 버팀목도 크고 무겁고 어려워 전문가와 동승하여 연습을 해야만 했다.
또한 요트(Yacht)와 윈드서핑(Windsurfing)은 전문교육을 받은 사람만 이용할 수 있고, 동력만을 이용한 엔진카트(Kart)는 일정한 트랙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쉽게 접해볼 수 없어 짜릿한 스릴을 즐기고 싶어하는 많은 사람들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번호 제10-0980208호이고 발명의 명칭이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등록일자 2010.08.30.)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기술은 조립이 부분적으로 용이하지 못하거나 차량으로 운반하기 간단하게 그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탑승하는 부분에서 앞바퀴 및 뒷바퀴 사이 거리나 양측 뒷바퀴 사이의 폭이나 높이 등을 줄여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부분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한 구조가 절실히 필요하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80208호, 발명의 명칭이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등록일자 2010.08.30.)
본 고안은 상기한 필요에 의해서 창출된 것으로, 바람의 힘으로 육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무동력 이동장치이고 조립이 용이하여 차량으로 운반이 가능하며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하기 위한 조립형 육상 요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는 바람의 힘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으로, 좌판, 등받이 및 손잡이로 구성된 좌석부에 착석할 수 있고 상기 좌석부와 앞바퀴를 중앙프레임으로 연결하며 상기 좌석부와 좌우의 뒷바퀴를 뒤축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앙프레임 중앙에서 상향으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프레임 선단에서 상기 지지대를 가로 질러 핸들(handle)부가 구비되는 카트(cart)부와, 돛대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에 삽입되고 상기 돛대에서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의 활대가 연결되며 상기 돛대 및 복수 개의 활대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이 고정되고 상기 돛은 하부에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활대와 나란하게 형성된 조절대에 고정끈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절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르래가 조절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돛을 조정할 수 있는 세일(sail)부를 포함한다.
또한, 좌판 및 등받이는 경첩으로 상호 연결되어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좌판 측면에 구비된 각도부 및 상기 등받이 후면에 장착된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좌판과 등받이가 이루는 각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좌판과 힌지(hinge) 연결되어 상기 좌판 상측으로 접혀질 수 있고, 상기 뒤축프레임은 단추스프링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신축(伸縮) 가능하며, 상기 중앙프레임은 큐알(Quick Release)레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요트(Yacht), 카트(Kart) 및 윈드서핑(Windsurfing)을 결합하여 바람의 힘으로 움직여서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트부 및 세일부를 분리하여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운반이 간편하여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좌석부를 자동으로 접게 하여 탑승시에는 충격을 방지하고 조립시에는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요트를 배우는 초보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팔로만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전면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후면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한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손잡이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발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중앙프레임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뒤축프레임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극히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형태 변형도 포함한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전면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후면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카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한 다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6의 A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한 또 다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손잡이를 설명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발판을 설명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중앙프레임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에서 뒤축프레임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10)는 바람의 힘에 의해서 움직이는 것으로, 좌판(111), 등받이(113) 및 손잡이(115)로 구성된 좌석부(110)에 착석할 수 있고 상기 좌석부(110)와 앞바퀴(161)를 중앙프레임(120)으로 연결하며 상기 좌석부(110)와 좌우의 뒷바퀴(163)를 뒤축프레임(130)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앙프레임(120) 중앙에서 상향으로 지지대(140)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프레임(120) 선단에서 상기 지지대(140)를 가로 질러 핸들(handle)부(150)가 구비되는 카트(cart)부(100)와, 돛대(210)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140)에 삽입되고 상기 돛대(210)에서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의 활대(220)가 연결되며 상기 돛대(210) 및 복수 개의 활대(220)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230)이 고정되고 상기 돛(230)은 하부에 고정고리(231)가 형성되어 상기 활대(220)와 나란하게 형성된 조절대(240)에 고정끈(233)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절대(240)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르래(250)가 조절끈(251)으로 연결되어 상기 돛을 조정할 수 있는 세일(sail)부(200)를 포함한다.
또한, 돛(230)의 재질은 섬유류 또는 섬유류를 포함한 비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므로, 조립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1) 및 등받이(113)는 경첩(112)으로 상호 연결되어 접혀질 수 있고 상기 좌판(111)의 측면에 구비된 각도부(114) 및 상기 등받이(113) 후면에 장착된 각도조절부재(116)에 의해 상기 좌판(111)과 등받이(113)가 이루는 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5)는 좌판(111)과 힌지(hinge) 연결되어 좌판(111) 상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120) 일측에 발을 착지시킬 수 있는 발판(123)이 구비될 수 있고, 발판(123)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120)은 큐알(Quick Release)레버(12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축프레임(130)은 단추스프링(131)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신축(伸縮) 가능하다.
그럼,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탑승할 수 있는 카트(cart)부(100)와 바람을 받는 세일(sail)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카트(cart)부(100)는 좌판(111), 등받이(113) 및 손잡이(115)로 구성된 좌석부(110), 상기 좌석부(110)와 앞바퀴(161)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120), 상기 좌석부(110)와 좌우의 뒷바퀴(163)를 연결하는 뒤축프레임(130), 상기 중앙프레임(120) 중앙에서 상향으로 형성된 지지대(140) 및 상기 중앙프레임(120) 선단에서 상기 지지대(140)를 가로지르는 핸들(handle)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세일(sail)부(200)는 지지대(140)에 삽입되는 돛대(210), 상기 돛대(210)에서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활대(220), 상기 돛대(210) 및 복수 개의 활대(220)에 고정되는 돛(230), 상기 활대(220)와 나란하게 형성된 조절대(240) 및 상기 조절대(240)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르래(250)를 포함한다.
좌석부(110)는 사람이 앉아 조정할 수 있는 좌석 또는 의자로,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111),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113) 및 손이나 팔이 잡거나 거치할 수 있는 손잡이(115)로 구성된다.
좌석부(11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1) 및 등받이(113)가 경첩(112)으로 상호 연결되어 90° 이상 회전할 수 있고 반대로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좌판(111) 위에 등받이(113)를 접어 그 부피를 줄여 조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좌판(111) 및 등받이(113)는 좌판(111) 일측에 구비된 각도부(114) 및 등받이(113) 후면에 장착된 각도조절부재(116)에 의해 좌판(111)과 등받이(113)와 이루는 각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적당한 쿠션(cushion)이 작용하여 허리나 등에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손잡이(1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11)과 힌지(hinge) 연결되어 좌판(111) 상측으로 접혀질 수 있어 그 부피를 줄여 조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앙프레임(120)은 좌석부(110)와 앞바퀴(161)를 연결하는 프레임 또는 파이프로, 강도가 높고 무게가 가벼운 카본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중앙프레임(1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발을 착지시킬 수 있는 발판(12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발판(123)은 발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폴리에틸렌(PE)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중앙프레임(1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알(Quick Release)레버(121)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큐알(QR)레버는 공지된 기술로 일반적으로 자전거 휠을 빠르게 조립 체결하는 데도 널리 사용되는 체결레버로 본 고안에 적용하고자 한다.
뒤축프레임(130)은 좌석부(110)와 좌우 한 쌍의 뒷바퀴(163)를 연결하는 프레임 또는 파이프로, 강도가 높고 무게가 가벼운 카본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뒤축프레임(1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추스프링(131)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신축(伸縮) 가능하여, 단추스프링(131)를 눌러 용이하게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뒤축프레임(130)은 단추스프링(131)을 눌러 길이 신축(伸縮)이 가능하므로, 카트(cart)부(100)의 좌우폭을 넓이거나 좁힐 수 있다.
따라서, 랜드 세일링(land sailing)할 때는 뒤축프레임(130)의 길이를 길게 하여 카트(cart)부(100)의 좌우폭을 넓혀 안전하게 운행하고, 운행을 끝내고 운반하고자 할 때는 뒤축프레임(130)의 길이를 짧게 하여 카트(cart)부(100)의 좌우폭을 좁혀 운반하기 용이하게 한다.
지지대(140)는 중앙프레임(120) 중앙에서 상향으로 형성되고, 후술할 돛대(210)가 삽입되는 부재로, 튼튼하고 가벼운 카본 프레임(frame)이 사용될 수 있다.
핸들(handle)부(150)는 중앙프레임(120) 선단에서 지지대(140)로 가로 질러 형성되어 사람의 손으로 운전 가능한 조향장치 기능을 한다.
돛대(210)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대(140)에 삽입되는데, 돛의 기둥 역할을 한다.
활대(220)는 돛대(210)에서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된다.
돛(230)은 바람을 받을 수 있는 섬유류 또는 섬유류를 포함한 비닐 재질로, 돛대(210) 및 복수 개의 활대(220)에 의해 고정되고, 돛(230) 하부에 고정고리(231)가 형성된다.
조절대(240)는 활대(22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고리(231)에 고정끈(233)으로 연결된다.
도르래(250)는 조절대(240)및 지지대(140)에 복수 개 설치되고 조절끈(251)으로 연결되어 적은 힘으로 돛(230)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 요트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트(Kart)를 바람에 대해 비스듬히 직각으로 놓고 헬멧을 쓰고 좌석부(110)에 앉아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조절끈(251)을 쥐면서 핸들부(150)를 잡는다.
돛(sail)(230)은 바람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세울수록 강한 바람이 미는 힘의 영향으로 전진하게 되는 원리이므로 조절끈(251)을 당기면 바람 방향에 대해 돛(sail)(230)이 직각 쪽으로 오면서 곡률을 이루어 세일링(sailing)이 가능하다.
따라서 직각으로 다가오는 돛(sail)(230)은 풍압을 받으며 형성된 곡률에 의해 전진하는 속도가 결정되게 된다.
조종자는 좌석부(110)에 앉은 다음 핸들부(150)를 잡고 돛(230)을 조정하는 조절끈(251)을 당겨 바람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면 바람의 압력으로 인해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조립형 육상 요트는, 상기와 같이 레저나 스포츠로 즐긴 후에 홈(home)으로 귀가할 때 다음과 같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이동이 간편하도록 한다.
먼저, 카트부(100)에서 세일부(200)를 분리한다.
즉, 카트부(100)의 지지대(140)에서 세일부(200)의 돛대(210)를 분리한다.
다음, 돛대(210) 및 활대(220)를 분리하고 돛(230)을 일정 크기로 접어 운반하기 쉽게 한다.
다음, 좌판(111) 위로 등받이(113)를 접어 포갠 후에 손잡이(115)도 접어 부피를 작게 한다.
다음, 중앙프레임(120)은 큐알(Quick Release)레버(121)를 이용하여 좌석부(110)와 분리시킨다.
다음, 뒤축프레임(130)은 단추스프링(131)을 이용하여 길이를 짧게 줄여 좌석부(110) 폭만큼 작게 축소시킨다.
다음, 중앙프레임(120) 및 뒤축프레임(130)에 장착된 바퀴들을 분리하여 운반용 차량에 탑재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조립형 육상 요트를 최소한 크기로 분리할 수 있고 운반용 차량에 탑재시켜 이동 가능하므로 운반이 용이하고 조립이 간편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육상요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요트(Yacht), 카트(Kart) 및 윈드서핑(Windsurfing)을 결합하여 바람의 힘으로 움직여서 이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트부 및 세일부를 분리하여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운반이 간편하여 이동 및 보관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좌석부를 자동으로 접게 하여 탑승시에는 충격을 방지하고 조립시에는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요트를 배우는 초보자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고, 두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도 팔로만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 고안이 제안하는 조립형 육상 요트
100 : 카트(cart)부 110 : 좌석부
120 : 중앙프레임 130 : 뒤축프레임
140 : 지지대 150 : 핸들(handle)부
200 : 세일(sail)부 210 : 돛대
220 : 활대 230 : 돛
240 : 조절대 250 : 도르래

Claims (4)

  1. 바람의 힘에 의해서 움직이는 조립형 육상 요트에 있어서,
    좌판, 등받이 및 손잡이로 구성된 좌석부에 착석할 수 있고 상기 좌석부와 앞바퀴를 중앙프레임으로 연결하며 상기 좌석부와 좌우의 뒷바퀴를 뒤축프레임으로 연결하고 상기 중앙프레임 중앙에서 상향으로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프레임 선단에서 상기 지지대를 가로 질러 핸들(handle)부가 형성되는 카트(cart)부와,
    돛대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에 삽입되고 상기 돛대에서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의 활대가 연결되며 상기 돛대 및 복수 개의 활대에 바람을 받을 수 있는 돛이 고정되고 상기 돛은 하부에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활대와 나란하게 형성된 조절대에 고정끈으로 연결되며 상기 조절대에 설치된 복수 개의 도르래가 조절끈으로 연결되어 상기 돛을 조정할 수 있는 세일(sail)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좌판 및 등받이는 경첩으로 상호 연결되어 90°이상 회전할 수 있고 반대로 접혀질 수 있으며 상기 좌판 측면에 구비된 각도부 및 상기 등받이 후면에 장착된 각도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좌판과 등받이가 이루는 각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쿠션이 작용하여 허리나 등에 충격을 완화시켜주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좌판과 힌지(hinge) 연결되어 상기 좌판 상측으로 접혀질 수 있고, 상기 뒤축프레임은 단추스프링을 이용하여 길이를 짧게 줄여 상기 좌석부 폭만큼 작게 축소시켜 용이하게 신축(伸縮) 가능하며,
    상기 중앙프레임은 큐알(Quick Release)레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중앙프레임 일측에 발을 착지시킬 수 있는 발판이 구비되며, 상기 발판은 폴리에틸렌(PE) 재질이고, 상기 돛의 재질은 섬유류 또는 섬유류를 포함한 비닐로, 조립시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육상 요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6909U 2016-11-28 2016-11-28 조립형 육상 요트 Active KR200485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09U KR200485913Y1 (ko) 2016-11-28 2016-11-28 조립형 육상 요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09U KR200485913Y1 (ko) 2016-11-28 2016-11-28 조립형 육상 요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13Y1 true KR200485913Y1 (ko) 2018-03-09

Family

ID=6164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09U Active KR200485913Y1 (ko) 2016-11-28 2016-11-28 조립형 육상 요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1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0236B2 (en) * 2000-03-06 2006-08-15 Blokart International Limited Mounting system, sail, steering mechanism and frame for a landsailer
WO2008003866A1 (fr) * 2006-07-06 2008-01-10 Latitude 47 Nord Vehicule a voile
KR20100003742A (ko) * 2008-07-02 2010-01-12 이상국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0236B2 (en) * 2000-03-06 2006-08-15 Blokart International Limited Mounting system, sail, steering mechanism and frame for a landsailer
WO2008003866A1 (fr) * 2006-07-06 2008-01-10 Latitude 47 Nord Vehicule a voile
KR20100003742A (ko) * 2008-07-02 2010-01-12 이상국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KR100980208B1 (ko) 2008-07-02 2010-09-03 이상국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142B2 (en) Sports wheelchair
US201601018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wing a load by a person
US9061557B1 (en) Amphibious bicycle float attachment and lift system
EP2165928B1 (en) Small foldable single-seater acquatic pedal-boat, transformable into trolley for transport thereof
US9174714B2 (en) Portable water cycle
WO2019072976A1 (de) Antriebsmodul für einen bootartigen auftriebskörper und damit ausgerüsteter solcher auftriebskörper
WO2014046551A1 (en) A rear steer portable wheelchair
US20170361892A1 (en) Scooter with mechanical assemblies
US11072273B2 (en) All terrain vehicle accessory
US4958843A (en) Multi-purpose speed-away toy coaster vehicle and method therefor
US3479046A (en) All-seasons sled
US3042944A (en) Water sport riding device
AU2004289582B2 (en) Device for activities on snow, water or the like
US9533727B2 (en) Unicycle with inner leg supports
KR200485913Y1 (ko) 조립형 육상 요트
US20060255552A1 (en) Stunt snow sled
US9975611B1 (en) Cockpit assemblies for towables
EP3344512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KR100980208B1 (ko) 바람을 이용한 랜드 요트
KR20230086468A (ko) 수상 휠체어
US6932368B1 (en) Apparatus for harnessing wind to drive a bicycle
US9833687B2 (en) Foot-deck-based vehicle with increased potential energy for ollie-type manoeuvers
KR200484028Y1 (ko) 조립이 용이한 육상용 세일요트
FR2619782A1 (fr) Embarcation de loisir et de sport articulee a deux coques l'une equipee d'une voile manoeuvree par l'utilisateur place sur l'autre coque
EP4480783A1 (en) Hiker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1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7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3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