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88Y1 - Multi-Consent easing Terminal Connection - Google Patents
Multi-Consent easing Terminal Conn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888Y1 KR200485888Y1 KR2020160002255U KR20160002255U KR200485888Y1 KR 200485888 Y1 KR200485888 Y1 KR 200485888Y1 KR 2020160002255 U KR2020160002255 U KR 2020160002255U KR 20160002255 U KR20160002255 U KR 20160002255U KR 200485888 Y1 KR200485888 Y1 KR 2004858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k
- terminal
- hooking
- ground
- hook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가 삽입되는 다수의 콘센트 및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스위치박스가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와 스위치박스를 연결하는 플러그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에 설치되어 플러그와 접촉되는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접지연결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접지단자는 한 쌍의 걸리고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연결단자는 상기 접지단자의 바디에 접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밀어서 삽입된 후 벌어져 걸림고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후크로 구성되어, 단자간 연결을 아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outlets into which plugs are inserted and a switch box for regulating current flow and current interruption in the housing and a plug output terminal for connecting the outlet to the switch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ocket recepta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socket receptacle including a ground connection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Configured; The groun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body contacting the body of the ground terminal, and a hook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body and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hooks and then flar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Can be made very easy.
Description
본 고안은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 제품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멀티콘센트에서 단자 구조를 개선하여 단자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recepta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receptacle in which terminals are easily connected by improving the terminal structure in a multi-receptacle used for connecting electronic products.
일반적으로 멀티콘센트(또는 멀티탭)는 전자기기 도는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수용하는 콘센트를 복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multi-outlet (or a multi-tap)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ptacles for receiving electronic apparatuses or plugs of electrical apparatuses, and supplies power to each apparatus.
이러한 멀티콘센트는 단순히 2개 내지 6개 정도의 콘센트만 구비한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ON/OFF 스위치 기능을 갖는 스위치박스를 구비하여 이것의 조작으로 전기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는 멀티콘센트 등이 제시되고 있다.Such a multi-outlet is mainly composed of only two to six outlets, but in recent years, a multi-outlet has been provided with a switch box having an ON / OFF switch function and can supply / .
한편, 상기와 같은 멀티콘센트는 내부에 여러 개의 단자들이 구비되어 있고, 이 단자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야만 소정의 기능을 할 수 있는데, 종래의 멀티콘센트는 등록실용신안 20-0468003에 제시되어 있는 것처럼 연결하려는 단자들을 서로 접촉시킨 다음 어느 하나의 단자를 접어서 접촉된 단자들을 서로 결합하는 방식을 취한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multi-outlet,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provided therein, and these terminals can function only when they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ventional multi-receptacle can be used as shown in the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8003 The terminals to be connecte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one of the terminals is folded to connect the terminals to each other.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자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접어야 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에 멀티콘센트를 제조하는 공정이 그만큼 더 복잡해지고, 더불어 단자들 사이에 유격을 발생시키기 쉬어서 스파크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렇게 스파크가 일어나면 화재발생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is method requires a further step to be folded in order to connect the terminals,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multi-receptacle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the possibility of sparking due to the occurrence of clearance between the terminals is increased. When the spark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k of fire is increased.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자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된 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socket type socket which facilitates connection between terminals and prevents generation of a gap between terminals to be connec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다수의 콘센트 및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스위치박스가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와 스위치박스를 연결하는 플러그 출력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에 설치되어 플러그와 접촉되는 접지단자에 연결되는 접지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지단자는 한 쌍의 걸리고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연결단자는 상기 접지단자의 바디에 접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 사이에 밀어서 삽입된 후 벌어져 걸림고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후크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receptacle having a plurality of receptacles into which plugs are inserted and a switch box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current interruption, And a grou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socket-outlet a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plug; Wherein the ground terminal comprises a body having a pair of jaws and a contact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plug; The ground connection terminal includes a body contacting the body of the ground terminal, and a hook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body and slidably inserted between the hooks and flar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ok.
여기서, 상기 접지단자의 바디는 다른 곳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오목부의 양단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다.Here, the body of the ground terminal is formed at one side with a concave portion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 The latching ring is formed by being bent in a "? 'Shape at both ends of the concave portion.
그리고, 상기 접지단자의 바디는 다른 곳보다 폭이 크고 2개의 관통홀이 이격되게 형성된 볼록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관통홀의 바깥쪽 측면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다.The body of the ground terminal is formed at one side with a convex portion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oth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two through holes; The latching ring is formed by being bent in an 'a' shape at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서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 사이로 삽입되어 벌어지는 삽입부;로 구성된다.Further, the hook may include an engag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And an insertion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V' at th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upling rings.
또한, 상기 후크의 삽입부는 상기 걸림고리 사이로 진입하는 끝단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의 사이에 진입금지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진입금지턱에 이격되게 이탈방지턱이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ook is formed such that an outer end surface of the end entering into the engagement ring is inclined, a prohibition jaw protrudes from the engaging portion, and a separation preventing jaw is protruded from the entrance prohibition jaw.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몸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ok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od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는 후크를 걸림고리 사이에 밀어 넣으면 접지단자와 접지연결단자가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단자간 연결을 아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hook is inserted between the hooks, the ground terminal and the ground connection terminal ar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can be easily made.
또한, 걸림고리 사이에 후크를 밀어 넣고 나면 후크의 삽입부가 탄성에 의해 걸림고리 사이에서 벌어지므로 접지단자와 접지연결단자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이렇게 유격이 발생되지 않으면 스파크 발생이 억제되어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urther, after the hook is pushed between the engaging hooks,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hook is opened between the engaging hooks due to elasticity, so no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grounding terminal and the ground connecting terminal.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접지단자와 접지연결단자의 연결관계를 보인 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접지단자와 접지연결단자의 연결관계를 보인 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receptacle in which terminals are easi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outlet shown in Fig.
FIGS. 3A to 3C are diagrams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ground terminal and a grou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multi-outlet shown in FIG. 1;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ulti-receptacle in which terminals are easi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outlet shown in Fig.
6A to 6C are diagrams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ground terminal and a grou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multi-outlet shown in FIG.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접지단자와 접지연결단자의 연결관계를 보인 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ulti-receptacle in which terminals are easi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receptacle shown in FIG. 1,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ground terminal and a ground connection terminal of a socket outlet.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도 4에 도시된 멀티콘센트의 접지단자와 접지연결단자의 연결관계를 보인 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receptacle shown in FIG. 4, and FIGS.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ulti-receptacle shown in FIG. And the grou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multi-socket outlet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terminal.
본 고안에 의한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는 일 구성부품인 접지단자(500)와 접지연결단자(600)를 용이하게 연결시키면서, 동시에 연결된 접지단자(500)와 접지연결단자(600)가 안정적으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멀티콘센트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다수의 콘센트(100) 및 전류의 통전과 단전을 조절하는 스위치박스(200)를 하우징(300)에 구비하고, 상기 콘센트(100)와 스위치박스(200)를 연결하는 플러그 출력단자(400)를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100)에 설치되어 플러그와 접촉되는 접지단자(500)에 연결되는 접지연결단자(600)를 포함한다.The multi-socket receptacle easily connects the
상기 접지단자(500)는 바디(510)와, 상기 바디(5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부(520)로 구성된다.The
상기 바디(510)에는 한 쌍의 걸림고리(513)가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바디(510)는 도 1 내도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에 오목부(5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오목부(511)는 바디(510)의 다른 곳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511)의 양단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한 쌍의 걸림고리(513)가 형성된다.The
상기 걸림고리(513)는 상기 오목부(511)의 양단에서 상기 접촉부(520)의 반대쪽으로 직립하여 일체로 형성된 수직부(513a)와, 상기 수직부(513a)의 끝단에서 바디(510)의 오목부(511)의 안쪽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수평부(513b)로 구성된다. 따라서, 걸림고리(513)의 수평부(513b)와 바디(510)의 오목부(511)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후술할 접지연결단자(600)의 후크(6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상기 접촉부(520)는 상기 바디(5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100)에 삽입된 플러그에 접촉된다. 즉, 상기 접촉부(520)는 상기 하우징(300)의 콘센트(100) 부분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이 상태에서 콘센트(100)에 플러그가 삽입되면 플러그의 외측면을 가압한다.The
한편, 상기한 것처럼 상기 바디(510)는 도 1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에 오목부(51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11)에 걸림고리(513)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4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에 볼록부(512)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512)에 걸림고리(514)를 형성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4 내지 도 6c에 도시된 접지단자(500)는 볼록부(512)가 일측에 형성된 바디(510)와, 상기 바디(51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100)에 삽입된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520)로 구성된다.The
부연하면, 상기 바디(510)는 도 4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에 볼록부(5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볼록부(512)는 바디(510)의 다른 곳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고, 2개의 직사각형 형태 관통홀(512a)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렇게 볼록부(512)에 형성된 관통홀(512a)의 바깥쪽 측면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한 쌍의 걸림고리(514)가 형성된다.4 to 6C, a
상기 볼록부(512)에 형성된 걸림고리(514)는 상기 오목부(511)에 형성된 걸림고리(513)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부(514a)와, 상기 수직부(514a)에 일체로 형성된 수평부(514b)로 구성된다.The
상기 수직부(514a)는 상기 관통홀(512a)의 바깥쪽 측면에서 상기 접촉부(520)의 반대방향으로 직립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514b)는 상기 수직부(514a)의 끝단에서 바디(510)의 볼록부(512) 안쪽을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걸림고리(514)의 수평부(514b)와 바디(510)의 볼록부(512)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후술할 접지연결단자(600)의 후크(6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상기 접지연결단자(600)는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에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후크(620)로 구성된다.The
상기 몸체(610)는 상기 접지단자(500)의 바디(510)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The
상기 후크(620)는 상기 몸체(6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610)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고리(513,514) 사이에 밀어서 삽입된 후 벌어져 걸림고리(513,514)의 내측면에 밀착된다.The
상기와 같은 후크(620)는 결합부(621)와, 상기 결합부(621)에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622)로 구성된다.The
상기 결합부(621)는 상기 몸체(610)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하우징(300)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핀홀 등이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삽입부(622)는 상기 결합부(621)의 끝단에서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513,514) 사이로 삽입되어 벌어진다. 즉 삽입부(622)는 일정한 자체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걸림고리(513,514) 사이에 밀어 넣을 때는 걸림고리(513,514)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오므라든다. 그런 다음 삽입부(622)가 걸림고리(513,514)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된 다음에는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벌어져서 삽입부(622)의 외측면이 걸림고리(513,514)의 수직부(513a,514a) 내측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걸림고리(513,514)와 후크(620)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The
좀 더 부연하면, 상기 후크(620)의 삽입부(622)는 상기 걸림고리(513,514) 사이로 진입하는 끝단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삽입부(622)의 외측 끝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걸림고리(513,514)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후크(620)의 삽입부(622)는 상기 결합부(621)와의 사이에 진입금지턱(623)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진입금지턱(623)은 상기 후크(620)가 상기 걸림고리(513,514) 사이로 더 이상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즉 후크(620)를 걸림고리(513,514) 사이로 밀어 넣을 때 상기 진입금지턱(623)은 걸림고리(513,514)의 입구쪽에 있는 수직부(513a,514a)의 끝부분에 걸림되어 후크(620)가 더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후크(620)의 삽입부(622)는 상기 진입금지턱(623)과 이격되게 이탈방지턱(624)이 돌출 형성된다. 즉 후크(620)를 걸림고리(513,514) 안쪽으로 쭉 밀어 넣으면 그 위치에서 더 이상 후크(620)가 빠져나오지 않아야 하는데, 바로 이러한 역할을 이탈방지턱(624)이 한다. 다시 설명하면 후크(620)를 걸림고리(513,514) 안쪽으로 밀면 후크(620) 삽입부(622)의 경사진 부분에 형성된 이탈방지턱(624)이 걸림고리(513,514)의 출구쪽에 있는 수직부(513a,514a)의 끝부분에 걸린되어 후크(620)가 걸림고리(513,514)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Further, the
100: 콘센트 200: 스위치박스
300: 하우징 400: 플러그 출력단자
500: 접지단자 510: 바디
511: 오목부 512: 볼록부
512a: 관통홀 513: 걸림고리
513a: 수직부 513b: 수평부
514: 걸림고리 514a: 수직부
514b: 수평부 520: 접촉부
600: 접지연결단자 610: 몸체
620: 후크 621: 결합부
622: 삽입부 623: 진입금지턱
624: 이탈방지턱100: Outlet 200: Switch box
300: housing 400: plug output terminal
500: ground terminal 510: body
511: concave portion 512: convex portion
512a: Through hole 513: Clasp ring
513a:
514: Retaining
514b: horizontal portion 520: contact portion
600: ground connection terminal 610: body
620: Hook 621:
622: insertion portion 623: entry prohibition jaw
624:
Claims (6)
상기 접지단자(500)는 한 쌍의 걸림고리(513,514)가 형성된 바디(510)와, 상기 바디(51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에 접촉되는 접촉부(520)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연결단자(600)는 상기 접지단자(500)의 바디(510)에 접촉되는 몸체(610)와, 상기 몸체(61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몸체(610)에 대하여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513,514) 사이에 밀어서 삽입된 후 벌어져 걸림고리(513,514)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후크(620)로 구성되며,
상기 후크(620)는 상기 몸체(6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621)와, 상기 결합부(621)의 끝단에서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513,514) 사이로 삽입되어 벌어지는 삽입부(622);로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622)는 상기 걸림고리(513,514) 사이로 진입하는 끝단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21)와의 사이에 진입금지턱(623)이 돌출 형성되어 후크(620)가 더 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상기 진입금지턱(623)에 이격되게 이탈방지턱(624)이 돌출 형성되어 후크(620)가 걸림고리(513,514)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
A plurality of receptacles 100 into which the plugs are inserted and a switch box 200 for regulating current flow and disconnection are provided in the housing 300 and a plug output terminal for connecting the receptacle 100 and the switch box 200 And a ground connection terminal 600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500 provided in the socket 100 and contacting the plug.
The ground terminal 500 includes a body 510 having a pair of latching rings 513 and 514 and a contact portion 520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510 to be in contact with the plug,
The ground connection terminal 600 includes a body 6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dy 510 of the ground terminal 500 and a ground electrode 610 tha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body 610, And hooks 620 which are inserted into the hooking rings 513 and 514 to be pushed into the hooking holes 513 and then flar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hooking hooks 513 and 514,
The hook 6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610 and a V shape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621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hooking hooks 513 and 514, And an inserting portion 622,
The insertion portion 622 is formed such that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insertion end that enters into the interlocking rings 513 and 514 is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entrance prohibition protrusion 623 is formed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622 and the engaging portion 621, And prevents the hook 6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oking hooks 513 and 514 by protruding from the hooking protrusion 623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ntry prohibition hook 623. [ consent.
상기 접지단자(500)의 바디(510)는 다른 곳보다 폭이 작은 오목부(51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513)는 상기 오목부(511)의 양단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510 of the ground terminal 500 has a recess 5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body,
Wherein the retaining ring (513) is formed by being bent in a shape of 'A' at both ends of the recess (511).
상기 접지단자(500)의 바디(510)는 다른 곳보다 폭이 크고 2개의 관통홀(512a)이 이격되게 형성된 볼록부(51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514)는 상기 관통홀(512a)의 바깥쪽 측면에서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연결이 용이한 멀티콘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510 of the ground terminal 500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512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two through holes 512a,
Wherein the latching ring (514) is formed by being bent in the shape of a letter 'A' at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512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255U KR200485888Y1 (en) | 2016-04-26 | 2016-04-26 | Multi-Consent easing Terminal Conn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255U KR200485888Y1 (en) | 2016-04-26 | 2016-04-26 | Multi-Consent easing Terminal Conne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789U KR20170003789U (en) | 2017-11-03 |
KR200485888Y1 true KR200485888Y1 (en) | 2018-03-09 |
Family
ID=6040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255U Active KR200485888Y1 (en) | 2016-04-26 | 2016-04-26 | Multi-Consent easing Terminal Conn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888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69394A (en) * | 2020-07-18 | 2020-10-13 | 深圳市鑫德胜电子科技有限公司 | Type-c sock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KR102256729B1 (en) | 2019-12-19 | 2021-05-27 | 한을수 | Multi-socketed outlet with incision divice of wire |
KR20220030754A (en) | 2020-09-03 | 2022-03-11 | 정종환 | multi-tap with individual switc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217576A1 (en) * | 2017-12-22 | 2019-06-27 | Chang-yong Kwak | Socket with safety cov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79288A2 (en) | 2006-12-20 | 2008-07-03 | Amphenol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CN103427187A (en) * | 2012-05-17 | 2013-12-04 |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Electric plug wire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8003Y1 (en) | 2011-12-16 | 2013-07-22 | 김성철 | A package clamp type electric terminal |
-
2016
- 2016-04-26 KR KR2020160002255U patent/KR200485888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8079288A2 (en) | 2006-12-20 | 2008-07-03 | Amphenol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CN103427187A (en) * | 2012-05-17 | 2013-12-04 |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Electric plug wire connect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6729B1 (en) | 2019-12-19 | 2021-05-27 | 한을수 | Multi-socketed outlet with incision divice of wire |
CN111769394A (en) * | 2020-07-18 | 2020-10-13 | 深圳市鑫德胜电子科技有限公司 | Type-c sock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
KR20220030754A (en) | 2020-09-03 | 2022-03-11 | 정종환 | multi-tap with individual swi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789U (en) | 2017-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85626B2 (en) |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it | |
US10014614B2 (en) |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ors | |
US9692163B1 (en) | Crush rib housing for postive lock receptacle | |
US3745515A (en) | Tee connector for wiring harnesses | |
KR200485888Y1 (en) | Multi-Consent easing Terminal Connection | |
US3128138A (en) | Connector | |
US8512069B2 (en) |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 |
US683507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orting member | |
US20190123467A1 (en) | Female Cabling Connector | |
CA2959481A1 (en) |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ors | |
US3551879A (en) | Nonloosening electrical connector | |
US3112977A (en) | Coaxial cable connector | |
US20070059973A1 (en) | Hot plug wire contact and connector assembly | |
US11296449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electrical connectors | |
US20200099158A1 (en) |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 |
US3360763A (en) | Plug and receptacle for use in hazardous locations | |
US2771590A (en) | Interlocking electrical plug assembly | |
US20040224575A1 (en) |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socket contact | |
US6270370B1 (en) | Anti-loose midway electric receptacle | |
CN212626146U (en) | Connector | |
US4360242A (en) | Self-fastening electrical connector | |
US2015021466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a conductive band inside an electrical contact | |
KR200183094Y1 (en) | Electric concentric plug | |
CN119447880A (en) | Connector with removable inlet protection element | |
WO2019235978A3 (en) | Current-dependent electrical outl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4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61206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2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03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3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