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24Y1 - 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 Google Patents
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624Y1 KR200485624Y1 KR2020160006825U KR20160006825U KR200485624Y1 KR 200485624 Y1 KR200485624 Y1 KR 200485624Y1 KR 2020160006825 U KR2020160006825 U KR 2020160006825U KR 20160006825 U KR20160006825 U KR 20160006825U KR 200485624 Y1 KR200485624 Y1 KR 20048562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handle
- inner frame
- smart under
- outer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이 개시된다. 테이블 상판(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테두리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턱(110)을 구비한 스마트언더렌지(100)에 있어서, 상기 턱(110)의 하측면과 접합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내부프레임(200), 상측에 다수의 나사공(310)이 형성되고 일측에 다수의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이격되도록 상측이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외부프레임(300), 상기 외부프레임(300)과 상기 내부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50), 상기 탄성부재(350)를 관통하고, 상기 내부프레임(200) 일측에 상기 외부프레임(300)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부프레임(30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일측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프레임(362)의 타측이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고정부재(240),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파지프레임(361)을 포함하며,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손잡이부(360) 및 상기 손잡이부(360)의 양단부에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어 타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에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력과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프레임(3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을 이용할 경우에는 테이블 상판(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마트언더렌지(100)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여 외력에 의한 스마트언더렌지(100)의 낙하에 의한 파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일측에 탄성부재와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언더렌지(100)의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Disclosed is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The smart under station (100)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smart under station (100)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table top plate (120) A plurality of screw holes 31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frame 200 and a plurality of outer frame through holes 320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An outer frame 300 having an upper side project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200; at least one elastic member 350 provided between the outer frame 300 and the inner frame 200; The elastic member 350 extends through the elastic member 350 and protrudes toward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frame 300 so as to penetrate the outer frame 300 when the inner frame 200 slides. A plurality of inner frame fixing members 230, A handle fixing member 240 protruding from one end of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and provided to allow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frame 362 to be drawn in, A handle 360 including a handle holding frame 361 and having both ends protrud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handle 360 fix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360 such that both ends thereof protrude in the other direction, And a handle frame 362 which is provided to be able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frame 200 and is configured to slide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350.
Therefore, when the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having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the fixing of the smart under stand 10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ble top plate 120 is made firm,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of the stove 100 and to provide an advantage that the smart under station 10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providing the elastic member and the handle portion on one side.
Description
본 고안은 테이블과 같은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마트언더렌지를 탈부착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언더렌지 테두리의 양측에 구비된 턱을 고정하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에는 LNG, LPG등의 가스나 전기히터를 이용해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열효율이 낮고, 연기가 발생되며, 화재나 폭발 등 사고 위험이 있어 최근에는 인덕션렌지(Induction range)와 같이 유도전류를 이용한 가열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it has been common to heat cooking vessels using gas such as LNG or LPG or electric heaters. However, there is a risk of accident such as fire or explosion due to low thermal efficiency, smoke generation, Heating devices using current are widely used.
상기와 같은 인덕션렌지는 연료의 연소에 의한 불꽃 등에 의해 조리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고, 조리시에도 인덕션렌지의 표면이 뜨겁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induction cooking stove is not cooked by flame or the like due to combustion of fuel, there is no danger of explosion or fire, and the surface of the induction cooking stove is not hot even during cooking, so that it can be used safely.
또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없으며, 열효율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가스레인지나 전기렌지와 같은 가전레인지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조리기구로서 각광받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generation of carbon dioxide, and since it has a very high thermal efficiency, it is being watched as a next-generation cooking appliance that can replace a gas range or an electric appliance range such as an electric range.
상기 인덕션렌지는 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이 상판위에 놓인 조리용기의 바닥을 통과시에 조리용기의 재질에 포함된 저항성분(철성분)에 의해서 맴돌이전류(Eddy current)를 생성하고, 이러한 맴돌이전류가 조리용기 자체만을 발열시켜서 조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조리기기이다.The induction range generates an eddy current by a resistance component (iron component) included in the material of the cooking container when the magnetic force lines generated in the coil pass through the bottom of the cooking container placed on the upper plate, So that only the container itself is heated to perform the cooking.
즉, 상기 맴돌이전류는 도체의 내부에서 국부적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닫힌 통로를 흐르는 전류로서 도체 내부를 지나는 자기력선속(磁氣力線束)의 변화로 인하여 생성되므로, 상기 인덕션렌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도체류 물질을 포함하는 조리용기를 이용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eddy current is generated due to a change in the magnetic force line flux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nductor as a current flowing through a closed passage in a spiral shape locally inside the conductor, in order to use the induction range, And the like.
종전에는 인덕션렌지와 금속용기와의 거리가 1cm이상 떨어지면, 자기장의 세기가 급격히 줄어 용기가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인덕션렌지 위에 금속용기를 올려놓고 사용해 왔다. In the pas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induction range and the metal container was less than 1 cm, the metal container was placed on the induction range becaus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wa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container was not heated.
최근에는 인덕션렌지의 가열 유효거리를 5~6.5cm까지 늘린, 이른바 '스마트언더렌지'라고 불리는 히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기존에는 인덕션렌지의 가열유효거리가 짧아 인덕션렌지를 탁자 위에 놓고 사용하거나, 탁자에 매립된 형태로 사용하기도 했으나, 스마트언더렌지에 의해 가열 유효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자력선이 나무, 유리, 대리석,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열의 손실 없이 통과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스마트언더렌지를 테이블 상판의 하측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스마트언더렌지를 착탈할 경우, 안전사고 없이 테이블 상판의 하측에 견고하게 착탈하기 위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a so-called "smart under-range" heater, which increases the heating effective distance of the induction range from 5 to 6.5 cm, has been developed and popularized. In the past, the heating effective distance of the induction range was short, and the induction range was used on the table or embedded in the table. However, as the heating effective distance is increased by the smart under-range, the magnetic lines are made of wood, , Plastic, etc. without the loss of heat, the smart under-range is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so that the technology can be easily used. Therefore, in the cas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mart under st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mart under station to firmly attach and detach it to the lower side of the table top without a safety accident.
종래의 고안에 대해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79757호 "인덕션 히터 탈부착용 거치대"에서는, 스마트언더렌지를 탁자 밑에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거치대로써, 스마트언더렌지 테두리 상부에 형성된 턱 또는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한 쌍의 세로대와 한 개의 가로대가 'ㄷ'자 형상으로 연결되고, 세로대와 가로대를 관통하는 다수의 나사공이 기초프레임을 형성하며, 세로대와 가로대가 연결되는 모서리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후방받침편, 외측이 원호상 또는 'ㄴ'자 형성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전방받침편이 형성되어 한 쌍의 세로대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0003] As for a conventional design, in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9757 entitled " Induction Heater Detachable Cradle ", a smart underhood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table. A plurality of screw holes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bar and the cross bar form a base frame and protrude inward at a corner lower end portion where the vertical bar and the cross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ir of rear support pieces formed on an outer side thereof and formed in an arc shape or a '?' Shape, and a front support piece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like.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안은 'ㄷ'자 형상으로 고안되어 있어 스마트언더렌지의 다양한 크기에 맞도록 성형이 용이하지 않고, 스마트언더렌지를 고정해야 할 경우 또는 상기 후방받침편과 크기가 맞지 않거나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스마트언더렌지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떨어지게 되면, 스마터언더렌지가 파손될 수 있으며,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design is devised as a 'C' shape, it is not easy to mold to fit various sizes of the smart under-range, and when the smart under-range is to be fixed or the size of the back- If this happens, if the Smart Under Range is not firmly fixed, the Smart Under Underrange may be damaged and a safety accident may occur.
또한, 정확히 고정이 되지 않을 경우, 스마트언더렌지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열의 투과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열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Also, if it is not correctly fixed, the smart under-range may not work and thermal efficiency may decrease as the heat transmission distance increases.
더욱이, 받침대의 크기가 스마트언더렌지와 맞지 않아 상기 스마트언더렌지가 고장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 size of the pedestal does not match with the smart under range,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mart under range can fai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블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마트언더렌지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여 외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astening frame having a handle so as to firmly fix the smart under-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측에 탄성부재와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언더렌지의 착탈이 용이하고, 조작이 간단하도록 고안된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having an elastic member and a handle at one side and having a handle designed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removal of the smart under-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테이블 상판(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테두리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턱(110)을 구비한 스마트언더렌지(100)용 탈부착고정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턱(110)의 하측면과 접합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내부프레임(200), 상측에 다수의 나사공(310)이 형성되고 일측에 다수의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이격되도록 상측이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외부프레임(300), 상기 외부프레임(300)과 상기 내부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50), 상기 탄성부재(350)를 관통하고, 상기 내부프레임(200) 일측에 상기 외부프레임(300)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부프레임(30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일측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프레임(362)의 타측이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고정부재(240),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파지프레임(361)을 포함하며,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손잡이부(360) 및 상기 손잡이부(360)의 양단부에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어 타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에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력과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프레임(3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tachable fixing frame for a smart under station (100) having a jaw (110) installed on a lower side of a table top plate (120) and protruding outward on both sides of a rim An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사이에 구비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고정프레임(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 fixing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고정프레임을 이용할 경우에는 테이블 상판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마트언더렌지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여 외력에 의한 스마트언더렌지의 낙하에 의한 파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일측에 탄성부재와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언더렌지의 착탈이 용이하고, 조작이 간단하도록 고안된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When the smart under stationary stationary frame having the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the fixation of the smart under station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ble top plate is made firm, so that the damage due to the falling of the smart under- And a handle tha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mart under station detachable fixing frame. The smart under station detachable fixing frame is provided with a handle designed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smart under station and to simplify the operation.
또한, 다양한 폭의 스마트언더렌지에 호환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높은 투과율을 유지하도록 고안된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having a handle designed to be compatible with various types of smart under ranges and maintaining a high transmittan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의 착탈과정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의 착탈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and fixed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의 착탈과정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의 착탈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detachment process of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ed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은, 테이블 상판(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테두리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턱(110)을 구비한 스마트언더렌지(100)에 있어서, 상기 턱(110)의 하측면과 접합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내부프레임(200), 상측에 다수의 나사공(310)이 형성되고 일측에 다수의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이격되도록 상측이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외부프레임(300), 상기 외부프레임(300)과 상기 내부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50), 상기 탄성부재(350)를 관통하고, 상기 내부프레임(200) 일측에 상기 외부프레임(3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부프레임(30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일측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프레임(362)의 타측이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고정부재(240),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파지프레임(361)을 포함하며,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손잡이부(360) 및 상기 손잡이부(360)의 양단부에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어 타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에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력과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프레임(3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attached drawings, a smart under stand detachable fixing frame provided with a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under stand provided with a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테이블 상판(1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테두리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턱(110)을 구비한 스마트언더렌지(100)에 있어서, 상기 턱(110)의 하측면과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하측면 내측이 접합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하측면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A low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와 손잡이고정부재(24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는 후술할 상기 탄성부재(350)를 관통하하므로써 상기 탄성부재(350)가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inner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200)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력 또는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도1 및 도2에 의하면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의 모양을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1 and 2, the shape of the inner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는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일측 전면과 후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손잡이부파지프레임(361)의 타측이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슬라이딩에 의해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이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의 내측 하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고정부재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었을 때, 후술할 손잡이부(360)와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도1 및 도2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의 모양을 육면체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1 and 2, the shape of the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지지할 수 있는 소재로 금속,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The
그러나 제조시 사출성형에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to facilitate injection molding at the time of production.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300)은 다수의 나사공(310)과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외부프레임(300) 상측면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 상판(120)의 저면과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상측면의 상면이 접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id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상면이 상기 테이블 상판(120)의 저면에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프레임(300) 상면에 다수의 나사공(310)이 포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은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면에 내부프레임고정부재관통공(321)과 손잡이고정부재관통공(322)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프레임(200)에 구비된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와 손잡이고정부재(240)가 슬라이딩에 의해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frame through hole 320 includes an inner frame fixing member through
다시 말하면,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가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때,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관통공(321)을 통해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inner
도 1 및 도2에 의하면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관통공(321)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의 단면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and 2, the inner frame fixing member through-
더욱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가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관통공(322)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도 1 및 도2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관통공(322)을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의 단면에 의해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and 2, the handle fixing member through-
또한,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소재로 금속,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그러나 제조시 사출성형에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to facilitate injection molding at the time of production.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프레임(300)은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고정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Optionally, the
이는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고정프레임(330)은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의 이탈을 견고히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의 양측면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또한,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가 이탈되지 않고 수평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Further, the inner
상기 탄성부재(350)는 상기 외부프레임(300)과 상기 내부프레임(200) 사이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따라서 외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50)이 외측방향으로 수축하게 되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분리하거나 고정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반대로,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가 고정되었을 때, 외력에 의한 상기 테이블 상판(120)의 흔들림 발생시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낙하에 의한 파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smart under-
상기 손잡이부(360)는 손잡이부프레임(362)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상기 손잡이부(360)는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부파지프레임(361)을 포함하며,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손잡이부프레임(362)은 상기 손잡이부(360)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되어 타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에 인입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력과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이 때, 상기 손잡이부프레임(362)의 타측면은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손잡이부프레임돌기(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켰을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 내측 하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고정부재돌기(미도시)와 맞물리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360)와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360)에 의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상기 외부프레임(300)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조작이 간단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또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일자형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다양한 폭에 호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높은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360)의 소재로 금속, 합성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Further, metal, synthetic resin,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그러나 제조시 사출성형에 용이하도록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synthetic resin to facilitate injection molding at the time of production.
또한, 본 고안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100) 탈부착고정프레임은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일측에 하나가 구비될 경우,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 타측에 상측면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하측면은 내측방향으로 돌출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타측을 지지하고, 상측면에 다수의 나사공(310)이 형성된 스마트언더렌지고정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unde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100) 탈부착고정프레임의 구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crete operation method of the smart under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상기 테이블 상판(120)에 고정시킬 경우,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상기 내부프레임(200)에 고정시 상기 손잡이부파지프레임(361)을 파지하여 상기 손잡이부(360)를 외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 및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가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관통공(321) 및 상기 손잡이고정부재관통공(322)을 관통할 수 있도록 당긴다.When the smart under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360)에 의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상기 외부프레임(300) 사이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350)가 수축될 수 있다.The
다음으로는,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에 구비된 상기 턱(110)의 하측면이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접합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360)를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350)를 이완시킨다.The lower surface of the
이 때,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하측을 받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operation of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smart under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상기 테이블 상판(120)과 분리할 경우,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상기 테이블 상판(120)에 고정시키는 과정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The smart under
이 때,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상기 턱(110)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하측면이 분리됨으로써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일측 또는 타측이 낙하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고장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분리시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외측으로 슬라이딩하기 전에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의 하측을 받친 상태에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ide of the smart under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re will be.
100: 스마트언더렌지 110: 턱
120: 테이블 상판 200: 내부프레임
230: 내부프레임고정부재 240: 손잡이고정부재
300: 외부프레임 310: 나사공
320: 외부프레임관통공 321: 내부프레임고정부재관통공
322: 손잡이고정부재관통공 330: 고정부재고정프레임
350: 탄성부재 360: 손잡이부
361: 손잡이부파지프레임 362: 손잡이부프레임
400: 스마트언더렌지고정부재100: Smart Under Range 110: Chin
120: table top plate 200: inner frame
230: inner frame fixing member 240: grip fixing member
300: outer frame 310:
320: outer frame through hole 321: inner frame fixing member through hole
322: Handle fixing member through-hole 330: Fixing member fixing frame
350: elastic member 360: handle portion
361: Handle holding frame 362: Handle frame
400: Smart under-stay fixing member
Claims (2)
상기 턱(110)의 하측면과 접합하여 상기 스마트언더렌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측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내부프레임(200);
상측에 다수의 나사공(310)이 형성되고 일측에 다수의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200)과 이격되도록 상측이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외부프레임(300);
상기 외부프레임(300)과 상기 내부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50);
상기 탄성부재(350)를 관통하고, 상기 내부프레임(200) 일측에 상기 외부프레임(300)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외부프레임(300)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일측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프레임(362)의 타측이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고정부재(240);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부파지프레임(361)을 포함하며,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된 손잡이부(360); 및
상기 손잡이부(360)의 양단부에 타측방향으로 양단부가 돌출되어 타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40)에 인입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외력과 상기 탄성부재(350)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프레임(36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
A detachable fixing frame for a smart under station (100), comprising: a table (120); and a jaw (110) provided on both sides of a rim and protruding outward,
An inner frame 200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jaw 110 so as to protrude inwardly on a lower side so as to support the smart underwear 100;
An outer frame 300 having a plurality of screw holes 310 formed on its upper side and a plurality of outer frame through holes 32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n upper sid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rame 200, ;
At least one elastic member (350) provided between the outer frame (300) and the inner frame (200);
The elastic member 350 extends through the elastic member 350 and protrudes toward the outer frame 300 at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so as to penetrate the outer frame 300 when the inner frame 200 is slid. A plurality of inner frame fixing members 230;
A handle fixing member 240 protruding from one end of one side of the inner frame 200 and provided to allow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frame 362 to be drawn in;
A grip portion 360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frame 300 and including a grip holding frame 361 so as to be gripped and having both ends protruded in the other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handle 360 are protrud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360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le fixing member 240. This allows the inner frame 200 to be pressed against the external force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350 A handle frame 362 formed to be slidable by the handle frame 362;
Wherein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handle.
상기 외부프레임(30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고정부재(2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관통공(320)이 사이에 구비되도록 형성된 고정부재고정프레임(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구비된 스마트언더렌지 탈부착고정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member fixing frame 330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outer frame 300 and formed to interpose the outer frame through holes 320 to prevent the inner frame fixing member 230 from being separated Wherein the smart under station detachable fixing frame includes a hand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825U KR200485624Y1 (en) | 2016-11-24 | 2016-11-24 | 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6825U KR200485624Y1 (en) | 2016-11-24 | 2016-11-24 | 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624Y1 true KR200485624Y1 (en) | 2018-02-01 |
Family
ID=6128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6825U Active KR200485624Y1 (en) | 2016-11-24 | 2016-11-24 | 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624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145A (en) | 2018-11-19 | 2020-05-27 | 조상규 | Structure of table for under rage |
KR102644444B1 (en) * | 2023-05-22 | 2024-03-07 | (주)피스월드 | Bracket unit for under induction range and upper plate assembly having the sam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792B2 (en) * | 1991-04-23 | 1996-01-31 | コッパー・リファイナリーズ・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 Edge cover member for cathode plate |
KR20040079757A (en) | 2003-03-10 | 2004-09-1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
KR20130057553A (en) * | 2011-11-24 | 2013-06-03 | 권명숙 | Built-in electric range for table |
KR200475614Y1 (en) * | 2014-04-30 | 2014-12-18 | (주)슈퍼지티코리아 | Induction range |
KR200479457Y1 (en) * | 2015-08-04 | 2016-01-28 |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 A detachable holder of an induction heater |
KR20160012966A (en) * | 2014-07-25 | 2016-02-03 | 김강수 | Safety member of Induction stove |
JP7109792B2 (en) | 2016-07-07 | 2022-08-01 | マイクロノバ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 Distal controlled medical device |
-
2016
- 2016-11-24 KR KR2020160006825U patent/KR200485624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9792B2 (en) * | 1991-04-23 | 1996-01-31 | コッパー・リファイナリーズ・ピーティーワイ・リミテッド | Edge cover member for cathode plate |
KR20040079757A (en) | 2003-03-10 | 2004-09-16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
KR20130057553A (en) * | 2011-11-24 | 2013-06-03 | 권명숙 | Built-in electric range for table |
KR200475614Y1 (en) * | 2014-04-30 | 2014-12-18 | (주)슈퍼지티코리아 | Induction range |
KR20160012966A (en) * | 2014-07-25 | 2016-02-03 | 김강수 | Safety member of Induction stove |
KR200479457Y1 (en) * | 2015-08-04 | 2016-01-28 |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 A detachable holder of an induction heater |
JP7109792B2 (en) | 2016-07-07 | 2022-08-01 | マイクロノバス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 Distal controlled medical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145A (en) | 2018-11-19 | 2020-05-27 | 조상규 | Structure of table for under rage |
KR102644444B1 (en) * | 2023-05-22 | 2024-03-07 | (주)피스월드 | Bracket unit for under induction range and upper plate assembly hav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5624Y1 (en) | The handle is equipped with a smart under stove detachable fixed frame | |
WO2007053277A3 (en) | Induction heatable container with protective end caps | |
KR20150136893A (en) | Induction range | |
KR200479457Y1 (en) | A detachable holder of an induction heater | |
WO2010081261A1 (en) | Pan with quickly detachable handle | |
US10561265B2 (en) | Child cookware safety device | |
KR20130062038A (en) | Induction heater for keeping warmth of food | |
CN109984594B (en) | Electric pressure cooker | |
KR101409536B1 (en) | Electric induction | |
CN107303131B (en) | Cooking utensil | |
CN109124318B (en) | Steamer and cooking utensil | |
CN204306631U (en) | Electric cooking appliance | |
KR102119734B1 (en) | Electric cooking equipment with postural stability of cooking vessel | |
CN218651436U (en) | Pot body mounting structure and cooking equipment | |
CN204669638U (en) | The heater coil fixed mount of Full-automatic frying machine | |
KR101217604B1 (en) | Handle capable of being attached and detached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with thereof | |
CN209214125U (en) | Water heater fixed knot constructs and console mode electric water heater | |
KR101572073B1 (en) | Coil guide and inductive heating cooker comprising the same | |
KR200486456Y1 (en) | Working coil assembly of electric range | |
KR200385021Y1 (en) | Support plate of cooking vessel which is affixed in cooking device | |
WO2015124893A1 (en) | Appliance storage device | |
KR200490332Y1 (en) | Steam outlet device for rice cooker | |
CN208447206U (en) | A kind of cooking apparatus | |
CN206761381U (en) | Cooking utensil | |
CN203898026U (en) | Outer pot assembly used for electric pressure cooker and electric pressure cooker with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1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62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01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12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