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05Y1 - Large Capacity Ball Pen - Google Patents
Large Capacity Ball P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5605Y1 KR200485605Y1 KR2020160005777U KR20160005777U KR200485605Y1 KR 200485605 Y1 KR200485605 Y1 KR 200485605Y1 KR 2020160005777 U KR2020160005777 U KR 2020160005777U KR 20160005777 U KR20160005777 U KR 20160005777U KR 200485605 Y1 KR200485605 Y1 KR 20048560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case
- ballpoint pen
- pen core
- core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preading spr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43K27/12—Combinations of pens of ball-point p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대용량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볼펜심부재; 상기 볼펜심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볼펜심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노브; 상기 볼펜심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할구;를 포함하고, 상기 볼펜심부재는 다량의 용액이 충진되도록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볼펜심부재의 파이프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원형의 파이프에 비하여 2~3배 이상의 용액을 충진할 수 있게 되고, 다량의 용액이 채워짐에 따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용액의 양에 관계없이 필기구를 오래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부족한 용액에 의해 필기구를 수시로 교체 또는 교환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comprising: a case detachably coupled; A plurality of ballpoint pen core members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case; A kno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such that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protrudes and retracts to one side of the case; Wherein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fill a large amount of solution so that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has an elliptical shape, The user can fill the solution by 2 to 3 times or more, and as the solution is filled, the user can use the writing instru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the solution.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or replace the battery pack frequently.
Description
본 고안은 대용량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펜심에 다량의 볼펜액이 수용되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대용량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a ball-point pen in a ballpoint pen and being usable for a long period of time.
일반적으로 볼펜 등의 필기구는 중공식 원통형 구조를 갖는 볼펜심 내부에 잉크액이 수용되고, 잉크액은 표면장력에 의하여 적당한 점도로 잉크액이 회전되는 볼펜촉의 볼을 통하여 회전하면서 만유인력에 의하여 볼에 묻어지는 잉크액이 배출된다.In general, a writing instrument such as a ball-point pen receives ink liquid inside a ball-point pen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and the ink liquid rotates through the ball of the ball nib which the ink liquid is rotated at an appropriate viscosity by surface tension, The ink liquid on the ball is discharged.
그런데 이러한 모든 종류의 볼펜들의 공통된 점은 중공의 긴 원통형의 볼펜심 용기가 소용량으로 이루어져 사용 기간이 짧고 내부 잉크액이 소모되면 볼펜 외부 케이스도 함께 버리는 경우가 많다.However, the common point of all these types of ballpoint pens is that a hollow long cylindrical ballpoint pen container is small in capacity, and when the internal ink liquid is consumed, the ball pen outer case is often discarded.
특히 볼펜심은 상면이 개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유지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 넣어진 잉크액이 홀러 나와 번지게 되고, 또한 외부 케이스와 볼펜심과의 공간은 상당히 넓지만 볼펜심은 가늘어 공간은 여유가 많아 볼펜심과 케이스와의 공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ballpoint padding has a top opened structure. When the ink padded upside down is maintained, the ink liquid injected into the container is blown out,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ase and the ballpoint pen is wid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between the ballpoint pen core and the case is wasted.
이러한 볼펜 등의 필기구는 소용량의 소용량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 수명이 짧아 낭비가 심하고, 볼펜심을 교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여려 번 구입해야 되는 불편이 따르고, 유통이나 생산 관리에도 많은 수를 취급하여야 되며 포장 케이스도 추가적으로 낭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Such writing instruments such as ballpoint pens have a small capacity and a small capacity so that they are wasted because they have a short service life. In order to use the ballpoint pens, it is necessary to purchase them many times, Is also wasted.
특히 볼펜심을 구입하여 볼펜심만 교체하여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케이스까지도 1회용으로 사용되어 버려짐으로써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Particularly, even if the ballpoint pen core is purchased and the ballpoint pen core is not used for replacement, the case is also used for one time and waste is generated.
한편 다심펜은 서로 다른 색을 구성하는 두 개 이상의 펜심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 개의 개구부를 통해 펜심이 교대로 나오게 하여 필기할 수 있도록 각각의 펜심의 누름부를 눌러 필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purpose pen is formed of two or more pieces of a pen core constituting different colors. The multi-center pen is formed by pressing the pushing portions of the respective pen shims so that the pen shims can be written out alternately through one opening portion.
아울러 다심펜의 케이스의 일부를 회전하여 교대로 펜심이 나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등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ases are formed in which a part of the case of the multi-purpose pen is rotated to alternately form the pen core.
예를 들면, 검정색 펜과 빨간색 펜과 파란색 펜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심 펜은 여러 가지의 필기구를 휴대하지 않아도 하나의 다심펜으로 여러 가지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심 펜의 형태 및 구성이 다양해지고 있다.For example, a multi-purpose pen composed of a black pen, a red pen, and a blue pen may have a multi-purpose pen shape and configuration such as a multi-purpose pen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without having to carry a plurality of writing instruments It is becoming diverse.
이와 같은 다심펜을 사용하는 경우, 노트 필기에 있어서 검정색 펜으로 필기하다가 중요한 부분을 표시하는데 통상적으로 빨간색 또는 파란색 펜을 사용한다. When using such a multi-purpose pen, a red or blue pen is usually used to mark an important part while writing with a black pen for note taking.
하지만 펜심이 돌출되는 개구부가 한 개만 형성되어 빨간색 또는 파란색 펜의 누름부를 눌러 빨간색 또는 파란색 펜이 개구부를 통해 나오도록 한 후 중요한 부분을 표시하고 다시 검정색 펜의 누름부를 눌러 검정색 펜을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되고 있다.However, there is only one opening where the pendulum protrudes, so that a red or blue pen is pres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red or blue pen and then the black part is protruded by pushing the pressing part of the black pen again have.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회전 인출식 필기구가 구비된 다심 필기구 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below discloses a multi-refill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a rotary drawing type writing instrument.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회전 인출식 필기구가 구비된 다심 필기구는 작동공간을 갖는 몸통 내부에 복수의 필기체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작동공간에는 상기 필기체가 지지되도록 걸림유닛을 마련하여, 상기 몸통의 하부에 마련되는 인출구를 통해 상기 필기체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인출하여 필기한 후 복귀시키는 필기구로서, 상기 몸통의 상면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유닛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과 상기 관통공을 연결하며 내부에 나선홈이 형성된 필관이 설치하되, 상기 필관에는 상기 나선홈에 안내되도록 나선돌조를 갖으며 필심이 체결된 필심이동구가 설치되고, 상기 필관의 상부에는 상기 필심이동구를 회전,이동시키는 필심회동구가 구비된 손잡이가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필심이동구가 이동하여 필심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게 하고 있다.A multi-refill writing instrument provided with a rotary pull-out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writing bodies are movab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body having a working space, and a latching unit is provided in the operating space to support the writing bodies A writing hole for drawing one end of the writing body through a take-out opening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writing and returning the writing body, wherein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upper face portion of the body,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astening unit, And a piercing hole is formed in the piercing hole so as to guide the piercing hole in the piercing groove, and the piercing hole is formed in the piercing hole, A handle provided with a pivot shaft for rotating and moving the pin shaft is provided, and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The group field core gu move and be drawn out through the peel the core outlet.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볼펜심의 잉크액 용기가 다용기 구조로 되어진 볼펜심이 개시되어 있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ballpoint pen having a multi-container structure of an ink liquid container of a ballpoint pen core.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볼펜심의 잉크 액 용기가 다용기 구조로 되어진 볼펜심은 원통형에 전체 길이가 중공식 구조로 단면 모양은 정원형 모양 4개가 동서남북 대칭으로 관통되고 원통형 볼펜심 다용기 구조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되어 단이진 촉의 상부 구조 내부에 볼펜심의 원통형 구조 다용기 심이 끼워져 결합된다.The ball-point pen having the multi-container structure of the ink-liquid container of the ball-point pen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 total length of hollow structure, four cross- And the cylindrical structure multi-container core of the ballpoint pen core is inserted and coupled into the inside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single knife.
또한 볼펜심의 촉의 모양과 구조는 상부가 큰 원통형으로 되고 하부는 작은 원통형 중공식 구조로 일체형으로 되며, 상부의 내부는 비워지고 상면부는 개구되어 볼펜심의 다용기가 끼워져 결합되며 그 끼워지는 내부 그 중심부에는 작은 관통된 원형 구멍이 상부 구조의 내부 바닥면에서 하부 중공식 원통형관의 내부 구조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en tip of the ballpoint pen core are made into a large cylindrical shape with a large upper part and a hollow cylindrical hollow structure with a lower part. The inside of the upper part is empty and the upper surface part is opened. A small perforated circular hole is formed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upper structure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lower hollow cylindrical tube.
또 최하부에는 볼 베어링이 끼워져 결합되며 볼펜심 촉의 상부 구조의 내부의 바닥면 중심부에서 외부 둘레막으로 수직으로 되어진 원통면에서 내면 쪽으로 각이진 원뿔형으로 되어 연결부의 끝단부 일부가 수평으로 단이진 구조로 되고, 결합된 볼펜촉과 원통형 다용기 심은 볼펜의 외부 상하 결합 케이스 내부로 결합되고 원형의 압축 코일 스프링은 볼펜심의 촉의 외부 단이진 아래 부분인 하부 구조 외부 둘레로 끼워져 볼펜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서 결합된다.In addition, a ball bearing is insert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ballpoint pen, and the ballpoint pen core is formed into an angular conical shape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The combined ball pen tip and the cylindrical multi-container stem are coupled into the outer upper and lower coupling case of the ballpoint pen, and the circular compression coil spring is inserted in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structure which is the outer bottom end of the ballpoint pen tip.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필기구는 원형의 볼펜심 내부에 잉크액이 내장되므로 볼펜심 내부에 채워지는 잉크액의 용량이 소량으로 채워지게 되고, 소량의 잉크액으로 인하여 필기구를 장기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the ink liquid is embedded in the circular ballpoint pen core, the ink liquid filled in the ball pen core is filled with a small amount, and the writing implement can not be us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small amount of ink liquid there was.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펜심에 다량의 잉크액을 충진할 수 있는 대용량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capable of filling a large amount of ink liquid on a ballpoint pen co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볼펜심부재; 상기 볼펜심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볼펜심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노브; 상기 볼펜심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할구;를 포함하고, 상기 볼펜심부재는 다량의 용액이 충진되도록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a case; A plurality of ballpoint pen core members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case; A kno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such that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protrudes and retracts to one side of the case; And a dividing hole provided inside the case to guide movement of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wherein the ballpoint pen point pen member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so as to fill a large amount of solution.
상기 볼펜심부재는 다량의 용액이 충진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상기 파이프에 수용된 용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일단에 결합되는 아답터; 상기 파이프에 수용된 용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아답터의 일단에 결합되는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allpoint pen core material has an ellipti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fill a large amount of solution; An adapter coupled to one end of the pipe to discharge the solution contained in the pipe; And a tip coupled to one end of the adapter to discharge the solution contained in the pipe.
상기 아답터는 상기 파이프에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팁에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apter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o be coupled to the pip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in a circular shape to be coupled to the tip.
상기 분할구는 일정 길이를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격벽; 상기 볼펜심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격벽에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divider has a cylindric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partition wall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n engaging hol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in an elliptical shape so that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is engaged.
상기 노브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볼펜심부재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knob includes a butt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se; And a fitting portion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button portion and being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o be inserted into and engaged with the ballpoint pen body member.
상기 케이스는 상기 노브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구멍과 타측에 제1 체결부가 형성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상기 볼펜심부재가 출몰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includes a first case having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first engaging part at the other side so that the knob protrudes outward; A second fastening portion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second case having a through-hol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all-point pen-shaped member can be projected and retrac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에 의하면, 볼펜심부재의 파이프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원형의 파이프에 비하여 2~3배 이상의 용액을 충진할 수 있게 되고, 다량의 용액이 채워짐에 따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용액의 양에 관계없이 필기구를 오래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부족한 용액에 의해 필기구를 수시로 교체 또는 교환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arge-capacity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has an elliptical shape, so that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can be filled with a solution two to three times larger than a circular pipe.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writing instru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irrespective of the amount of the solution, and the writing instrument is not replaced or replaced frequently by the insufficient solution.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볼펜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펜심부재의 아답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노브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노브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분할구를 도시한 입체도,
도 10은 도 9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llpoint pen core member of a large-capacity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adapter of a ballpoint pen core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knob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knob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vided portion of a large-capacity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ectional view of Fig. 9,
11 is a side view of Fig. 9,
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pring of a large-capacity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이고, 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showing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볼펜심부재(30), 상기 볼펜심부재(30)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상기 볼펜심부재(30)의 일측에 설치되는 노브(50), 상기 볼펜심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할구(60)를 포함한다.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는 다색 볼펜에 관한 것으로, 볼펜심부재(30)의 파이프(31)를 직경이 큰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31) 내부에 용액을 다량으로 채워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olor ballpoint pen. By forming th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5)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상기 제1 케이스(11)에는 일측에 다수의 결합구멍(12)이 형성되고, 필기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클립(13)이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멍(12)은 좌우 대칭되는 방향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11)의 타측에는 제1 체결부(14)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상기 제2 케이스(15)의 일측에는 제1 체결부(14)에 대응되는 제2 체결부(16)가 형성되고, 제2 케이스(15)의 타측에는 볼펜심부재(30)가 출몰되는 관통구멍(17)이 형성된다.A
아울러 제2 케이스(15)에는 외면에 다수의 고정홈부(18)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부(18)에는 파지 시 미끄럼 방지 및 부드럽게 파지할 수 있도록 고무링(19)이 결합된다.A plurality of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볼펜심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펜심부재의 아답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llpoint pen core member of a large-capacity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dapter of a ballpoint pen core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볼펜심부재(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볼펜심부재(30)는 필기가 이루어지도록 용액이 채워지며, 필기 시 용액은 볼펜심부재(3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a ballpoint
상기 볼펜심부재(30)는 다량의 용액이 충진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타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31), 상기 파이프(31)에 수용된 용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파이프(31) 일단에 결합되는 아답터(32), 상기 파이프(31)에 수용된 용액이 배출되도록 상기 아답터(32)의 일단에 결합되는 팁(33)을 포함한다.The ballpoint
상기 파이프(31)는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는데, 그 내부에 채워지는 용액이 다량으로 충진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즉, 파이프(31)는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파이프(31) 내부에 다량의 용액이 충진되게 한다.The
즉, 파이프(31)는 타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원형의 파이프에 비하여 그 내부공간이 대략 3배 이상의 충진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파이프(31)에 채워지는 용액은 통상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에 비하여 다량으로 채워지게 된다.That is, the
상기 파이프(31)는 양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는 용액이 공급되도록 아답터(32)가 결합된다.The
상기 아답터(32)는 상기 파이프(31)에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부(33), 상기 팁(35)에 결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부(34)를 포함한다.The
상기 아답터(32)는 파이프(31)에 채워진 용액이 공급되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며, 아답터(32)의 일측에는 파이프(31)에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제1 결합부(33)가 형성된다.The
또한 아답터(32)의 타측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34)가 형성되고, 제2 결합부(34)에는 파이프(31)의 용액을 일정하게 배출시키는 팁(35)이 결합된다.A
상기 팁(35)은 일단에 볼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파이프(31) 내부에 채워진 용액은 볼의 회전에 의해 일정하게 배출되면서 필기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이러한 팁(35)은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노브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노브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nob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ront view showing a knob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볼펜심부재(30)의 일단에는 볼펜심부재(30)을 출몰시키기 위한 노브(5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50)는 케이스(10)의 결합구멍(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펜심부재(30)를 관통구멍(17)으로 출몰시키게 된다.4, 7 and 8, the
상기 노브(50)는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버튼부(51), 상기 버튼부(51)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볼펜심부재(30)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끼움부(52)를 포함한다.The
상기 노브(50)에는 일단에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결합구멍(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버튼부(51)가 형성되고, 타단에 볼펜심부재(30)에 결합되는 끼움부(52)가 형성된다.The
이러한 끼움부(52)는 파이프(31)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파이프(31)와 동일한 타원형으로 형성된다.Since the
아울러 끼움부(52)의 일측에는 노브(50)가 케이스(10)의 결합구멍(12)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53)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53)는 결합구멍(12)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노브(5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The engaging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분할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측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vided portion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FIG. 9,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FIG.
상기 분할구(60)는 일정 길이를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61), 상기 본체(61)의 내부 중앙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62), 상기 볼펜심부재(30)가 삽입되도록 상기 격벽(62) 양측에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63)을 포함한다.The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분할구(60)는 볼펜심부재(30)가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본체(6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본체(61)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격벽(62)이 형성된다.2 through 4, the
아울러 격벽(62)에는 볼펜심부재(30)의 파이프(31)가 결합되도록 결합구멍(63)이 형성되며, 결합구멍(63)은 파이프(31)와 동일하게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pring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5)은 파이프(31)의 외측에 설치되므로, 파이프(31)와 동일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55)은 노브(50)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력을 갖도록 노브(50)와 분할구(60) 사이에 설치된다.12, since the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The following is a description o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는 케이스(10) 내부에 볼펜심부재(30)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볼펜심부재(30)는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노브(50)에 의해 이동하고, 케이스(10) 내부에는 볼펜심부재(30)가 안정되게 왕복 이동하도록 분할구(60)를 설치한다.1 to 4, a large-capacity writing imp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케이스(10)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5)로 이루어지고, 제1 케이스(11)의 결합구멍(12)에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볼펜심부재(30)를 왕복 이동시키는 노브(50)를 설치한다.The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펜심부재(30)는 일정 이를 갖는 타원형의 파이프(31) 일측에 아답터(32)를 결합한다. 상기 아답터(32)는 파이프(31)에 채워진 용액이 흐르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아답터(32)의 일측에는 파이프(31)에 결합되도록 파이프(31)와 동일한 타원형상으로 제1 결합부(33)를 형성하고, 아답터(32)의 타측에는 팁(35)이 결합되도록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 결합부(34)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2 to 8, the ballpoint
즉, 상기 제1 결합부(33)에는 파이프(31)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2 결합부(34)에는 팁(35)을 결합한다. 상기 볼펜심부재(30)는 파이프(31), 아답터(32) 및 팁(35)이 일직선으로 결합한다.That is, one end of the
아울러 볼펜심부재(30)의 파이프(31) 타측에는 노브(50)를 결합하며, 노브(50)의 버튼부(51)는 케이스(10)의 결합구멍(12)에 노출되게 결합하고, 노브(50)의 끼움부(52)는 파이프(31)에 끼워 결합한다.The
도 2 내지 도 4,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볼펜심부재(30)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분할구(60)를 설치한다.As shown in FIGS. 2 to 4 and 9 to 12, a
이러한 분할구(6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61)에 결합구멍(63)을 형성하며, 결합구멍(63)에는 파이프(31)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아울러 노브(50)와 분할구(60) 사이에는 스프링(55)을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55)은 노브(50)가 원위치로 리턴되는 탄성력을 갖는다.A
다음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operating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대용량 필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필기하기 위하여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노브(50)를 조작하게 되며, 볼펜심부재(30)의 팁(35)은 노브(50)의 조작에 따라 케이스(10)의 관통구멍(17)의 외측으로 노출된다.A user using a large-capacity writing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이렇게 볼펜심부재(30)의 팁(35)은 케이스(10)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필기하게 됨에 따라 파이프(31) 내부에 충진된 용액이 배출된다.As the
즉, 팁(35)에 결합된 볼은 필기 동작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되며, 파이프(31) 내부에 채워진 용액은 아답터(32)를 통해 팁(35)으로 공급된다.That is, the ball coupled to the
이러한 필기 동작에 따라 파이프(31) 내부에 채워진 용액은 지속적으로 배출되면서 필기가 이루어지게 된다.In accordance with such a writing operation, the solution filled in the
상기 파이프(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형에 비하여 대략 3배의 용적율을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5, since the
상기 파이프(31)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므로, 타원의 단축에 형성되는 원형에 비하여 2~3배 정도로 더 큰 용적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파이프(31)에는 종래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파이프에 비하여 대략 2~3배의 용액이 채워지게 된다.Since the
이와 같이 볼펜심부재(30)의 파이프(31)에는 다량의 용액이 채워지게 되며, 필기에 따라 용액은 소모가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렇게 필기구의 사용 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사용자는 다량의 용액을 이용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writing tool is us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the user can use the solution for a long time by using a large amount of the solution.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케이스 11: 제1 케이스
12: 결합구멍 13: 클립
14: 제1 체결부 15: 제2 케이스
16: 제2 체결부 17: 관통구멍
18: 고정홈부 19: 고무링
30: 볼펜심부재 31: 파이프
32: 아답터 33: 제1 결합부
34: 제2 결합부 35: 팁
50: 노브 51: 버튼부
52: 끼움부 53: 걸림부
55: 스프링
60: 분할구 61: 본체
62: 격벽 63: 결합구멍10: Case 11: First case
12: engaging hole 13: clip
14: first fastening part 15: second case
16: second fastening part 17: through hole
18: Fixing groove 19: Rubber ring
30: ballpoint pen core member 31: pipe
32: adapter 33: first coupling part
34: second coupling portion 35: tip
50: knob 51: button portion
52: fitting portion 53:
55: spring
60: Split hole 61:
62: partition wall 63: engaging hole
Claims (6)
내부에 다량의 용액이 충진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파이프(31)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31) 내부에 수용된 용액이 배출되도록 파이프(31) 선단에 후단이 결합되도록 타원형으로 제1 결합부(33)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원형으로 제2 결합부(34)가 형성된 아답터(32)가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31)에 수용된 용액이 배출되도록 아답터(32)의 제2 결합부(34) 선단에 결합되는 팁(35)이 구비되어 케이스(10)의 제 1, 2케이스(11, 15)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볼펜심부재(30);
상기 볼펜심부재(30)를 케이스(10)의 관통구멍(17)으로 출몰하도록 일단에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제1 케이스(11)결합구멍(12)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부(51)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51)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고, 볼펜심부재(30)의 파이프(31) 후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파이프(31)와 동일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끼움부(52)가 구비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52)의 일측에는 케이스(10)의 결합구멍(12)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53)가 구비된 노브(50);
상기 볼펜심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케이스(10)의 제1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본체(6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61)의 중앙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62)이 구비되며, 볼펜심부재(30)의 파이프(31)가 삽입되도록 상기 격벽(62)의 양측에 파이프(31)와 동일한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구멍(63)이 구비된 분할구(60)
상기 볼펜심부재(30)의 파이프(31)와 동일한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노브(50)와 분할구(60) 사이 파이프(31)의 외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노브(50)를 원위치시키는 스프링(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필기구.A first case 11 in which a coupling hole 12 is formed in the rear left and right symmetrical directions, a first fastening part 14 is formed in front, and a clip 13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so as to wear the writing instrument A second fastening portion 16 is formed on the rear side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4 and a through hole 17 is formed on the front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 portions 18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 A case (10)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groove part (18) with a second case (15) having a rubber ring (19) engaged to prevent slipping and gentle gripping when gripped;
A pipe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fill a large amount of solution therein and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rear end connected to the tip of the pipe 31 for discharging the solution contained in the pipe 31, A first coupling part 33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adapter 32 and an adapter 32 having a second coupling part 34 formed at the front end thereof. A pair of ballpoint pen body members 30 provided with a tip 35 coupled to the tip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ortions 34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5 of the case 10;
A button 30 protruding outside the engaging hole 12 of the first case 11 of the case 10 so that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30 can be manually pressed at one end so as to protrude and retract into the through hole 17 of the case 10 And is formed in the same elliptical shape as the pipe 3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pipe 31 of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30 and to be engaged with the rear end of the pipe 31 A knob 50 having a latching part 5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tting part 52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12 of the case 10;
A cylindrical body 6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provided inside the first case 11 of the case 10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30, A coupling hole 63 formed in the same elliptical shape as the pipe 31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62 so that the pipe 31 of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30 is inserted, The partitioning tool 60,
Is formed in the same elliptical shape as the pipe 31 of the ballpoint pen core member 30 and is provided outside the pipe 31 between the knob 50 and the divider 60 so that the knob 50 is returned And a spring (5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777U KR200485605Y1 (en) | 2016-10-06 | 2016-10-06 | Large Capacity Ball P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5777U KR200485605Y1 (en) | 2016-10-06 | 2016-10-06 | Large Capacity Ball P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5605Y1 true KR200485605Y1 (en) | 2018-01-30 |
Family
ID=6128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577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5605Y1 (en) | 2016-10-06 | 2016-10-06 | Large Capacity Ball P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5605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104B1 (en) | 2019-11-11 | 2020-08-25 | 어명혁 | Multicolor writing instruments with extended nib length and capacity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5081U (en) * | 1993-11-30 | 1995-06-27 | 三菱鉛筆株式会社 | Ink hold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
JPH10264588A (en) * | 1997-03-25 | 1998-10-06 | Mitsubishi Pencil Co Ltd | Dual type writing implement |
KR20020046252A (en) | 2002-04-27 | 2002-06-20 | 김명원 | a multi-tank style of a ball pen core |
KR20110007725U (en) * | 2010-01-28 | 2011-08-03 | 동아교재 주식회사 | Withdraw Type Solid Maker |
KR20130006363U (en) | 2012-04-25 | 2013-11-04 | (주)길잡이교육 | Multi core writing tool |
-
2016
- 2016-10-06 KR KR2020160005777U patent/KR200485605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5081U (en) * | 1993-11-30 | 1995-06-27 | 三菱鉛筆株式会社 | Ink holding device for writing instruments |
JPH10264588A (en) * | 1997-03-25 | 1998-10-06 | Mitsubishi Pencil Co Ltd | Dual type writing implement |
KR20020046252A (en) | 2002-04-27 | 2002-06-20 | 김명원 | a multi-tank style of a ball pen core |
KR20110007725U (en) * | 2010-01-28 | 2011-08-03 | 동아교재 주식회사 | Withdraw Type Solid Maker |
KR20130006363U (en) | 2012-04-25 | 2013-11-04 | (주)길잡이교육 | Multi core writing too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8104B1 (en) | 2019-11-11 | 2020-08-25 | 어명혁 | Multicolor writing instruments with extended nib length and capac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47392B2 (en) |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 |
CN110303801B (en) | Telescopic pen | |
US5713680A (en) | Combined writing tool | |
CN110370842B (en) | Press flexible pen | |
US10251471B1 (en) | Portable scrubbing and cleaning device with interchangeable brush and cleaning solution cylinder | |
CN104085225B (en) | Off-axis pen for easy grip | |
CN110395067B (en) | Magnetic rotary telescopic pen | |
CN110217018A (en) | A kind of hand-held retractable pen | |
CN105555544B (en) | Compact ball pen | |
US9994066B2 (en) | Erasing implement and writing implement provided with erasing implement | |
KR200485605Y1 (en) | Large Capacity Ball Pen | |
CN110171231B (en) | Twist reverse flexible pen | |
CN211730811U (en) | An oil paintbrush for easy replacement of oilbrush heads | |
RU2350475C2 (en) | Combined typewriter | |
CN210363090U (en) | Hand-held telescopic pen | |
KR101893787B1 (en) | Container For Cosmetics | |
JP6143429B2 (en) | Writing instrument | |
CN212636981U (en) | Rotary movement and pen | |
US20140241781A1 (en) | Liquid applicator | |
KR102091564B1 (en) | Written writing instrument with cutter blade | |
KR101413401B1 (en) | Ink cartridge for writing | |
KR200354527Y1 (en) | Sharp pencil | |
WO2006007775A1 (en) | Marking instrument | |
CN203902029U (en) | Off-axis pen for easy grip | |
CN219183021U (en) | multifunctional lipstick p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00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4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4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801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8012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2110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