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5387Y1 -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 Google Patents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387Y1
KR200485387Y1 KR2020150004357U KR20150004357U KR200485387Y1 KR 200485387 Y1 KR200485387 Y1 KR 200485387Y1 KR 2020150004357 U KR2020150004357 U KR 2020150004357U KR 20150004357 U KR20150004357 U KR 20150004357U KR 200485387 Y1 KR200485387 Y1 KR 200485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instream
lid
outer circumferential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098U (ko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김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석 filed Critical 김현석
Priority to KR2020150004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38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3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의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부착되는 뚜껑(11)을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12)의 외주면을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세로띠가 타고내려와 본체(12)의 밑면에서 교차하여 다시 외주면을 타고 올라가 두개의 세로띠의 끝단 4개가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4개의 끝단이 사각형을 형성할때 상기 세로띠의 끝단중 각각 2개의 끝단에 2개의 제1손잡이가 마주보며 형성되고 뚜껑(11)의 안쪽면과 본체(12)의 바닥면에는 냉매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2)와 뚜껑(11)의 결합부는 지퍼가 형성되어 잠글 수 있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덧감(15)이 씌워져 냉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TOOLS FOR TRANSPORTING BEER AND WINE}
본 고안은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에 관한 것이다. 통상 주류 운반은 금속으로 되고 단열재질로된 타원형의 통속에 넣어서 운반하게 되며 이 통을 냉장상태에서 저장을 하다가 옮길 때에도 냉장시설이 되어 있는 차량에 넣어서 옮기게 된다.
그런데 냉장 탑차로 불리는 냉장차량은 냉장시설이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구입, 유지, 운영비가 많이 들 수밖에 없다. 특히 최근에 많이 판매되고 있는 사제맥주나 와인 같은 경우는 대량생산되는 맥주에 비교할 때 온도에 더 민감하고 섭씨 4도이하에서 보관되어야 하기 때문에 운반에 있어서도 꼭 냉장차량을 이용하여야만 하는데 이러한 맥주들은 많이 생산되지 않아 적은 수량을 운반할 때에도 냉장차량을 이용하여야만 해서 유통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1999-0043644 '배달용 간이 맥주통'의 경우 운반하기 용이한 크기 및 모양의 맥주통을 단열처리 하여 생맥주를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시원한 생맥주를 모임등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이것은 야외에서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냉장장치 없이 운반이 가능하도록 한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맥주나 주류를 적절한 온도에서 보관 운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을 제공하는데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의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부착되는 뚜껑(11)을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12)의 외주면을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세로띠가 타고 내려와 본체(12)의 밑면에서 교차하여 다시 외주면을 타고 올라가 두개의 세로띠의 끝단 4개가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4개의 끝단이 사각형을 형성할때 상기 세로띠의 끝단 중 각각 2개의 끝단에 2개의 제1손잡이가 마주보며 형성되고 뚜껑(11)의 안쪽면과 본체(12)의 바닥면에는 냉매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2)와 뚜껑(11)의 결합부는 지퍼가 형성되어 잠글 수 있게 형성되고 그 외주 면을 따라 덧감(15)이 씌워져 냉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 제1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제2손잡이가 형성이 되고 제2손잡이와 마주보고 있는 쪽으로 본체(12)의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평면형상으로 된 뒷판(19)이 형성되어 벽에 기대어 세우기 쉽고 뒷판(19)을 따라 접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의 정면 하단에는 발로 밟을 수 있는 발받침(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띠의 끝단은 가로띠에 의해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12)는 벨크로에의 해서 탈부착이 가능한 외벽과 내벽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안에 의하여 냉장탑차 없이도 적절한 온도에서 주류를 운반가능한 주류운반수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1내지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한 고안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류운반수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주류운반수단은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의 원기둥 모양인데 상단에는 뚜껑(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에는 본체(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옆면으로는 제1손잡이(13)와 제2손잡이(14)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11)과 본체(12)가 만나는 부분에는 덧감(15)이 형성되어 만나는 부분을 덮는 역할을 하며 본체(12)의 하단에는 발받침(16)이 형성된다.
도2는 주류운반수단을 아래쪽에서 본 모습인데 제1손잡이는 두개의 세로띠(17)가 본체(12)의 옆면을 타고 내려와 본체(12)의 바닥면에서 교차하고 다시 옆면을 타고 올라가도록 되어 있는데 두개의 세로띠(17)는 본체와 뚜껑이 만나는 부분 바로 아래쪽에서 가로띠(18)와 만나는데 가로띠(18)는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고정되도록 하고 가로띠(18)가 두개의 세로띠의 끝단 4개를 모두 본체(12)의 외주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두개의 세로띠의 끝단 4개는 모두 본체(12)의 상단부에서 가로띠와 만나게 되는데 각각의 세로띠의 끝단 한개 씩을 선택해 제1손잡이를 연결하게 되며 이렇게 제1손잡이(13)는 2개가 마주보게 되도록 형성한다.
즉, 세로띠를 아랫면에서 십자가 되도록 겹쳐서 다시 위쪽에서 만나게 했기 때문에 상단부에는 세로띠와 가로띠가 만나는 부분이 4군데가 생기가 제1손잡이(13)가 서로 마주보게 2개 형성되는데 이중 뒷판(19)이 형성된 부분의 맞은편에 제2손잡이(14)를 형성한다.
통상의 주류저장통은 길쭉한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주류운반수단은 길쭉한 형상을 하도록 하는데 주류저장통을 주류운반수단의 내부에 넣고 빼기 위해서는 주류 운반수단을 꽉잡은 상태에서 넣고 뺄 수 있도록 하고 운반할때에도 주류운반수단 전체에 힘이 가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과 같이 가로띠(18)와 세로띠(17)를 이용하여 아래쪽에서부터 주류저장통을 들어올릴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지 않고 주류운반수단의 외주면에 손잡이를 만들고 이것을 이용하여 운반하게 되면 손잡이가 쉽게 이탈하거나 외주면이 찢어지게 되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면과 같이 가로띠와 세로띠를 이용하여 전체를 잡아주고 제1,2,손잡이를 형성한다.
발받침(16)은 주류 저장수단의 내부에 있는 주류저장통을 빼거나 넣을 때 주류저장수단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오도록 형성하고 발받침(16)을 밟아서 주류저장수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주류저장통을 빼거나 넣게 된다.
도3은 주류운반수단을 약간 옆쪽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는데 주류운반수단의 뒤쪽부분(제2손잡이가 형성된부분과 마주보는 부분)은 깍은 듯한 면이 형성되는데,즉 본체의 외주면은 둥근형상인데 뒷판(19)은 외주면을 깍은것처럼 형성하는데 이것은 주류운반수단을 여러개 저장할 때 벽에 붙여서 저장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전체의 단면이 둥근 형상이면 벽에 붙은 면적이 작아져 여러개를 쌓았을때 쉽게 무너질 수 있는데 평평한 뒷판(19)을 형성하여 붙이면 쉽게 무너지지 않게 된다.
또한 뒷판을 형성하는 이유중의 하나는 뒷판(19)의 세로선을 따라서 접으면 접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체(12)의 단면이 완전히 원형인 경우 접는다고 하더라도 접을때마다 접히는 위치가 다르게 되기 쉬운데 뒷판(19)을 형성하면 뒷판의 양끝단부분에서 접으면 되기 때문에 접는 선이 항상 일정하여 사용하지 않을때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뚜껑(11)의 안쪽과 바닥에는 냉매팩이 들어가도록 하여 냉매팩의 냉기가 주류운반수단의 내부에 있도록 하여 주류운반수단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뚜껑(11)과 본체(12)의 접합부분은 본체(12)의 다소 위쪽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냉기는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접합부분을 위쪽에 두어 냉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뚜껑(11)과 본체(12)의 접합부분에는 덧감(15)을 두어 덧감(15)이 접합부분을 가로로 감싸도록 하고 덧감(15)이 붙는 뚜껑(11)과 본체(12)의 외주면과 덧감(15)의 안쪽은 벨크로재질을 이용하여 밀접하게 달라붙도록 한다.
도4는 본체(12)의 안쪽을 도시하는데 본체(12)는 2중으로 벽을 형성하는데 내벽(32)과 외벽(31)은 벨크로 등으로 결합하도록 한다. 단일벽을 형성하는것보다 이중벽을 형성하였을때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외벽(31)바깥쪽에형성되는 외피는 외벽(31)과 일체로 형성되지만 외벽(31)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기타 다른 부착물을 형성하기 쉽게 한다.
또한 벨크로를 이용하여 외벽의 안쪽에 내벽을 붙여 내벽을 언제든지 떼어낼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한다.
내피와 외피는 알루미늄 재질의 단열재로 사용되는 원단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단열재 역할을 하는 원단은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2)의 바닥면 안쪽에도 냉매가 들어가며 바닥면의 바깥쪽에는 고무판을 적용하여 충격이 적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제작된 주류운반수단에 주류저장통을 넣어 운반하게 되면 냉장탑차가 아닌 일반 차량으로도 운반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냉장탑차를 반드시 운영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최근 많이 유통되는 수제맥주나 와인등은 수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몇개의 주류운반수단만 갖추면 요구 온도를 맞추면서도 배달이 아주 용이하게 된다.
뚜껑의 상면에는 어떤 맥주인지 확인할 수 있는 네임카드를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정면에는 광고판이 들어갈 수 있다.
도5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원형이 아닌 사각형의 형태를 도시한다.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에도 원형인 경우와 구성을 동일하며 쌓기가 좋아 여러개를 세워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도6은 단면이 원형인 예를 도시한다
11: 뚜껑 12: 본체
13: 제1손잡이 14: 제2손잡이
15: 덧감 16: 발받침
17: 세로띠 18: 가로띠
19: 뒷판 31: 외벽
32: 내벽

Claims (5)

  1.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으로서,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의 본체(12)와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부착되는 뚜껑(11)을 포함하는데
    상기 본체(12)의 외주면을 길이방향으로 두개의 세로띠가 타고내려와 본체(12)의 밑면에서 교차하여 다시 외주면을 타고 올라가 두개의 세로띠의 끝단 4개가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4개의 끝단이 사각형을 형성할때 상기 세로띠의 끝단중 각각 2개의 끝단에 2개의 제1손잡이가 마주보며 형성되고
    뚜껑(11)의 안쪽면과 본체(12)의 바닥면에는 냉매를 저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2)와 뚜껑(11)의 결합부는 지퍼가 형성되어 잠글 수 있게 형성되고 그 외주면을 따라 덧감(15)이 씌워져 냉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며
    제1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은 쪽으로 제2손잡이가 형성이 되고 제2손잡이와 마주보고 있는 쪽으로 본체(12)의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평면형상으로 된 뒷판(19)이 형성되어 벽에 기대어 세우기 쉽고 뒷판(19)을 따라 접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본체(12)의 정면 하단에는 발로 밟을 수 있는 발받침(16)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띠의 끝단은 가로띠에 의해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2)는 벨크로에의 해서 탈부착이 가능한 외벽과 내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KR2020150004357U 2015-06-29 2015-06-29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Expired - Lifetime KR200485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57U KR200485387Y1 (ko) 2015-06-29 2015-06-29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357U KR200485387Y1 (ko) 2015-06-29 2015-06-29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98U KR20170000098U (ko) 2017-01-06
KR200485387Y1 true KR200485387Y1 (ko) 2017-12-29

Family

ID=5779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357U Expired - Lifetime KR200485387Y1 (ko) 2015-06-29 2015-06-29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38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34Y1 (ko) * 2001-10-27 2002-02-19 장이석 배달용 냉장 보관 음료 보관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2480A (ja) * 1992-10-12 1994-05-06 User Kk 簡易クーラボックス
JP3140337U (ja) * 2008-01-10 2008-03-21 ユーカリ商事株式会社 結束紐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34Y1 (ko) * 2001-10-27 2002-02-19 장이석 배달용 냉장 보관 음료 보관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098U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673B1 (en) Beach cooler system
US6357253B1 (en) Wine bottle cooling device
US8733577B2 (en) Presentation cooler
US9095201B2 (en) Expandable insulated boxed wine carrier
US11085687B2 (en) Flexible tray and method of transporting and storing manufactured ice shapes
US7464567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dispensing wine
AU784857B2 (en) Por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ed or frozen goods
US6336342B1 (en) Collapsible cooling pack
US20170166385A1 (en) Insulating Container for a Beverage Bottle
WO2011093911A1 (en) Cooler box
US10760847B2 (en) Combination liquid and dry cooler assembly
US9050852B1 (en) Paint container and lid construction
US20170043906A1 (en) Dual-compartment cooler
US20150014336A1 (en) Ice chest insert and apparatus
US20190178571A1 (en) Cooling pack
KR101486018B1 (ko) 보냉 보온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US20160264331A1 (en) Bundle of containers, in particular bottles, cans or the like
US20160038959A1 (en) Dual Compartment Dispensing Device
US7484383B1 (en) Cooling pitcher
KR200485387Y1 (ko) 주류를 냉장상태로 보관 운반이 가능한 주류운반수단
US9353982B2 (en) Portable food and beverage storage and dispensing cooler
US5858263A (en) Ice puck mold and storage system
KR20200000823U (ko) 보온 및 보냉이 가능한 포장박스
US20130055680A1 (en) Water Balloon Packaging Unit and Methods
DE10030547A1 (de) Tragbarer Kühlbehälter und Transportanordnung mit einem sol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6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902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2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12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