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4558Y1 - 회전놀이 완력기 - Google Patents

회전놀이 완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58Y1
KR200484558Y1 KR2020170004421U KR20170004421U KR200484558Y1 KR 200484558 Y1 KR200484558 Y1 KR 200484558Y1 KR 2020170004421 U KR2020170004421 U KR 2020170004421U KR 20170004421 U KR20170004421 U KR 20170004421U KR 200484558 Y1 KR200484558 Y1 KR 200484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tring
disc
double
port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경관
Original Assignee
강경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관 filed Critical 강경관
Priority to KR2020170004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58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22Resisting devices with rotary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적인 회전놀이를 악력강화운동을 지지하는 완력기에 접목시킨 것으로,
반복적인 누름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실리콘 타원형 튜브로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타원형 튜브 내측에 형성된 원반부와
상기 원반부의 두 개의 고정홀에 중앙이 고정되고 좌우측 끝단이 상기 누름부의 내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복선 스트링부로 이루어진 회전놀이 완력기로서 놀이와 운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놀이 완력기{Gripping and rotating exerciser}
본 고안은 원반형 단추의 두 개의 구멍에 복선으로 스트링을 삽입하여 상기 복선 스트링의 꼬임과 풀림으로 상기 단추를 고속회전 시키는 전통적인 회전놀이를 악력강화운동을 지지하는 완력기에 접목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반복적인 누름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실리콘 타원형 튜브로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타원형 튜브 내측에 형성된 원반부와
상기 원반부의 두 개의 고정홀에 중앙이 고정되고 좌우측 끝단이 상기 누름부의 내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복선 스트링부로 이루어진 회전놀이 완력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본인이 출원한 실용신안 출원번호 20-2017-0003344의 누름부와 탄성덮개부와 원반부와 스트링부로 이루어진 회전놀이 완력기에서 탄성덮개부를 제거하여 훨씬 간단한 구성으로 동일한 효과를 내고 있다.
본 고안은 전통적인 회전놀이를 악력강화운동을 지지하는 완력기에 접목시킨 것으로,
반복적인 누름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실리콘 타원형 튜브로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타원형 튜브 내측에 형성된 원반부와
상기 원반부의 두 개의 고정홀에 중앙이 고정되고 좌우측 끝단이 상기 누름부의 내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복선 스트링부로 이루어진 회전놀이 완력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회전놀이 완력기는 반복적인 누름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실리콘 타원형 튜브로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타원형 튜브 내측에 형성된 원반부와 상기 원반부의 두 개의 고정홀에 중앙이 고정되고 좌우측 끝단이 상기 누름부의 내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복선 스트링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선 스트링부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반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꼬임과 풀림이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부에 단수 또는 복수의 누름홈 또는 누름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부를 대신하는 두 개의 손잡이부가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부착고정된 탄성 스프링에 의해 U 모양으로 연결된 두 개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원반부와 스트링부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 단수 또는 복수의 누름홈 또는 누름돌기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전통적인 회전놀이를 악력강화운동을 지지하는 완력기에 접목시킨 것으로,
반복적인 누름운동을 지지하는 탄성 실리콘 타원형 튜브로 형성된 누름부와
상기 타원형 튜브 내측에 형성된 원반부와
상기 원반부의 두 개의 고정홀에 중앙이 고정되고 좌우측 끝단이 상기 누름부의 내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복선 스트링부로 이루어진 회전놀이 완력기로서 놀이와 운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리콘완력기에서 복선 스트링이 풀린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리콘완력기에서 누름부를 누를 때 스트링부가 꼬이고 원반부가 회전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탄성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회전놀이부를 부착시킨 스프링완력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리콘완력기에서 복선 스트링이 풀린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리콘완력기에서 누름부를 누를 때 스트링부가 꼬이고 원반부가 회전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완력기(100)는 탄성 실리콘 타원형 튜브로 형성된 누름부(30)와 상기 타원형 튜브 내측에 형성된 원반부(10)와 복선 스트링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원형 튜브 누름부(30)를 좌우측에서 누르면 상기 타원형 튜브는 중앙으로 수축되었다가 상기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되도록 실리콘 등과 같이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반부(10)가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복선 스트링부(20)는 꼬이기 시작하고 그 꼬임에 맞춰 상기 좌우측 누름부(30)를 눌러 상기 타원형 튜브를 중앙 방향으로 수축시키면 상기 좌우측 누름부 사이의 간격은 좁아진다.
이어서, 꼬임이 절정에 달한 상기 복선 스트링부(20)는 꼬임이 풀리기 시작하며 이 순간부터 상기 원반부(10)는 상기 복선 스트링부가 꼬일 때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상기 복선 스트링부가 완전히 풀려 초기 상태가 되었다가 관성에 의해 다시 반대방향으로 꼬이기 시작하며 그 순간을 잘 포착하여 상기 좌우측 누름부(30)를 다시 눌러 상기 꼬임에 의한 상기 원반의 회전이 연속적으로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회전놀이는 상기의 과정의 반복이며 그 과정에서 상기 좌우측 누름부(30)를 반복적으로 누르는 동작이 필요한데 그 동작이 완력기로 악력강화운동을 하는 동작과 흡사하기 때문에 회전놀이를 즐기면서 악력강화운동을 할 수 있는 이중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원반부(1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 부근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복선 스트링부(20)가 각각 관통고정되는 두 개의 고정홀(11)이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고정홀(11) 사이의 간격은 상기 복선 스트링부(2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멀어지고 짧아질수록 가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반부(10)에 색을 입혀 회전할 때 무지개 등의 형상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고 형광물질을 첨가하여 야광현상을 일으키게 할 수 있으며 그밖에 사용자의 기호에 맞춰 다양한 형상을 연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선 스트링부(20)는 중앙이 상기 원반부(10)의 중앙 부근 두 개의 고정홀에 관통고정되고 좌우 끝단이 상기 좌우측 누름부(30) 내면의 고정링(40)에 각각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복선 스트링부(20)는 회전놀이에서 발생하는 상기의 반복적인 꼬임과 풀림이 원활하게 수행되고 그로인한 마찰과 마모를 잘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누름부(30)의 양측 외면에 단수 또는 복수의 누름홈(31) 또는 누름돌기(32)를 형성시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편하고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부(30)의 내외면에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색채와 문양을 추가할 수 있다.
도 3은 탄성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회전놀이부를 부착시킨 스프링완력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완력기(200)는 도 1과 도 2의 타원형 튜브 형상의 누름부(30)를 대신하는 두 개의 손잡이부(70)가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부착고정된 탄성 스프링(60)에 의해 U 모양으로 연결된 두 개의 지지부(50)로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의 원반부(10)와 스트링부(20)로 이루어진 회전놀이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지지부(50) 사이에 고정결합되고 그 기능과 작동원리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하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지지부(50) 양측 내면에 상기 복선 스트링부(20)의 양 끝단이 고정결합되는 고정링(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30)를 대신하는 두 개의 손잡이부(70)에 각각 단수 또는 복수의 누름홈(31) 또는 누름돌기(32)를 형성시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바닥이 편하고 자연스럽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100; 실리콘완력기 200; 스프링완력기
10; 원반부 11; 고정홀
20; 스트링부 30; 누름부
31; 누름홈 32; 누름돌기
40; 고정링 50; 지지부
60; 스프링 70; 손잡이부

Claims (5)

  1. 탄성 실리콘 타원형 튜브로 형성된 누름부(30)와;
    상기 타원형 튜브 내측에 형성된 원반부(10)와;
    상기 원반부의 두 개의 고정홀(11)에 중앙이 고정되고 좌우측 끝단이 상기 누름부의 내측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된 복선 스트링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 완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선 스트링부(20)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반부(10)의 회전운동에 의해 꼬임과 풀림이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 완력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30)에 단수 또는 복수의 누름홈(31) 또는 누름돌기(32)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 완력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30)를 대신하는 두 개의 손잡이부(70)가 양끝단에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 부착고정된 탄성 스프링(60)에 의해 U 모양으로 연결된 두 개의 지지부(50) 사이에 상기 원반부(10)와 스트링부(20)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 완력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70)에 단수 또는 복수의 누름홈(31) 또는 누름돌기(32)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놀이 완력기.
KR2020170004421U 2017-08-22 2017-08-22 회전놀이 완력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21U KR200484558Y1 (ko) 2017-08-22 2017-08-22 회전놀이 완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421U KR200484558Y1 (ko) 2017-08-22 2017-08-22 회전놀이 완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58Y1 true KR200484558Y1 (ko) 2017-09-22

Family

ID=6057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42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558Y1 (ko) 2017-08-22 2017-08-22 회전놀이 완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5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763U (ko) * 1990-06-25 1992-02-28
KR200173462Y1 (ko) * 1998-02-26 2000-05-01 유병혁 관성을 이용한 운동구
KR101707325B1 (ko) * 2015-09-15 2017-02-15 홍성배 탄성을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763U (ko) * 1990-06-25 1992-02-28
KR200173462Y1 (ko) * 1998-02-26 2000-05-01 유병혁 관성을 이용한 운동구
KR101707325B1 (ko) * 2015-09-15 2017-02-15 홍성배 탄성을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43505Y2 (ko)
US1026215A (en) Grip dumb-bell.
US20080300112A1 (en) Finger exerciser
JP2012143540A (ja) 部分的に手触り面を備えた弾性グリ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069454A1 (ja) 顔面筋鍛錬具
US70372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rcising hand
KR200484558Y1 (ko) 회전놀이 완력기
CN106373542B (zh) 支撑组件和键盘设备
KR200485008Y1 (ko) 회전놀이 완력기
US5961366A (en) Yo-yo having clutching device
EP2033565A2 (en) Mop handle and directional head with a mechanism to aid wringing out the mop
US5642551A (en) Twist mop
CN204337269U (zh) 一种按摩槌
TWI324512B (ko)
JP7183103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CN205541875U (zh) 一种防滑性架子鼓鼓槌
CN203829274U (zh) 一种击打力可调节击振器
KR980006729U (ko) 관성을 이용한 운동구
US5147236A (en) Whirligig with articulated frame
CN101653650A (zh) 简式颈肌锻炼环
CN207731632U (zh) 一种鼓乐器锤柄防脱装置
CN220899419U (zh) 一种臂力拉伸锻炼器
CN210205768U (zh) 手指肌肉伸展力量训练器
CN208287411U (zh) 一种健美操力量训练器
CN209752041U (zh) 一种跳绳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708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9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06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