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48Y1 -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Google Patents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4348Y1 KR200484348Y1 KR2020150007867U KR20150007867U KR200484348Y1 KR 200484348 Y1 KR200484348 Y1 KR 200484348Y1 KR 2020150007867 U KR2020150007867 U KR 2020150007867U KR 20150007867 U KR20150007867 U KR 20150007867U KR 200484348 Y1 KR200484348 Y1 KR 2004843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ick
- stick portion
- pedestal
- food
- e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이러한 본 고안은 취식도구에 있어서, 돌기가 형성된 제1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 돌기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2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 제1스틱부의 일단부와 제2스틱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제1스틱부와 제2스틱부가 만날 때, 돌기가 요홈에 삽입되면서 제1스틱부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제1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과 제2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음식물걸림부는, 제1스틱부 및 제2스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이고,
제1스틱부에는, 제1받침대와 연결부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제2스틱부에는, 제2받침대와 연결부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가 형성되되,
제1거치돌기와 제2거치돌기는 서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며, 제1거치돌기와 제2거치돌기는, 제1받침대와 제2받침대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어, 취식도구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놓인 경우, 제1스틱부와 제2스틱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돌기가 적용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라 장식용 덮개를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라 헤드부가 장착된 사시도.
11: 제1스틱부
11a: 제1받침대
11b: 돌기
11c: 제1거치돌기
11d: 음식물걸림홈
11e: 음식물걸림돌기
12: 제2스틱부
12a: 제2받침대
12b: 요홈
12c: 제2거치돌기
12d: 음식물걸림홈
12e: 음식물걸림돌기
20: 연결부
30: 장식용 덮개
40: 헤드부
100: 다용도 취식도구
Claims (9)
- 취식도구에 있어서,
돌기(11b)가 형성된 제1받침대(11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11);
상기 돌기(11b)에 대응되는 요홈(12b)이 형성된 제2받침대(12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12); 및
상기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가 만날 때, 상기 돌기(11b)가 상기 요홈(12b)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11) 및 상기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이고,
상기 제1스틱부(11)에는, 상기 제1받침대(11a)와 상기 연결부(20)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11c)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틱부(12)에는, 상기 제2받침대(12a)와 상기 연결부(20)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12c)가 형성되되,
상기 제1거치돌기(11c)와 상기 제2거치돌기(12c)는 서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거치돌기(11c)와 상기 제2거치돌기(12c)는,
상기 제1받침대(11a)와 상기 제2받침대(12a)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어, 상기 취식도구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놓인 경우,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11) 및 상기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 상기 제2스틱부(12) 및 상기 연결부(20)는,
일체로 성형되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20)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젓가락 또는 집게 또는 뒤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에는,
장식용 덮개(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ko) | 2015-12-02 | 2015-12-02 |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CN201611064098.2A CN106820872A (zh) | 2015-12-02 | 2016-11-28 | 卫生性和易用性兼备的多功能取食用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ko) | 2015-12-02 | 2015-12-02 |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041U KR20170002041U (ko) | 2017-06-12 |
KR200484348Y1 true KR200484348Y1 (ko) | 2017-08-28 |
Family
ID=5909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786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348Y1 (ko) | 2015-12-02 | 2015-12-02 |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348Y1 (ko) |
CN (1) | CN106820872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207Y1 (ko) * | 1999-05-25 | 2000-05-15 | 김광석 | 위생수저 |
KR200377102Y1 (ko) * | 2004-11-30 | 2005-03-08 | 윤석수 | 집게형 젓가락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58714A (ja) * | 2000-03-16 | 2001-09-25 | Hidenori Ichinokawa | 足上げ箸 |
KR200380042Y1 (ko) * | 2004-11-18 | 2005-03-28 | 윤석수 | 음식물 협지구 |
CN201542318U (zh) * | 2009-11-23 | 2010-08-11 | 内蒙古科技大学 | 休闲食品卫生夹具 |
KR20110136010A (ko) * | 2010-06-14 | 2011-12-21 | 강성남 | 취식구 |
KR101227783B1 (ko) | 2012-08-27 | 2013-01-29 | 문영민 |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
CN204445207U (zh) * | 2015-03-18 | 2015-07-08 | 潘琴丽 | 一种防滑筷子 |
CN204600092U (zh) * | 2015-04-29 | 2015-09-02 | 陈灏 | 一种改进的筷子 |
-
2015
- 2015-12-02 KR KR2020150007867U patent/KR200484348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
- 2016-11-28 CN CN201611064098.2A patent/CN10682087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1207Y1 (ko) * | 1999-05-25 | 2000-05-15 | 김광석 | 위생수저 |
KR200377102Y1 (ko) * | 2004-11-30 | 2005-03-08 | 윤석수 | 집게형 젓가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041U (ko) | 2017-06-12 |
CN106820872A (zh) | 2017-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82907B2 (en) |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 |
USD531860S1 (en) | Spoon | |
US20190208940A1 (en) | Elevated utensil | |
KR200484348Y1 (ko) |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
US20070131697A1 (en) | Plate with utensil pocket | |
KR102181150B1 (ko) |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 |
KR200449275Y1 (ko) |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 |
JP2007014714A (ja) |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 |
KR101537546B1 (ko) | 수저 받침대가 구비된 냄비 받침대 | |
KR101311373B1 (ko) |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 |
KR20130011009A (ko) | 수저 좌대그릇 | |
KR102783241B1 (ko) | 식사 도구 받침을 겸한 접시 | |
KR200322251Y1 (ko) |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 |
KR102223747B1 (ko) | 헤드업 위생 젓가락 | |
KR200242082Y1 (ko) | 식사도구용 손잡이 | |
KR200245989Y1 (ko) | 위생 수저 받침대 | |
KR20140002574A (ko) |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 |
KR20190139100A (ko) | 탈착 가능한 받침대가 결합된 일체형 숟가락 | |
KR200378909Y1 (ko) |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 |
KR200287246Y1 (ko) | 위생 수저 받침대 | |
KR20180000188U (ko) | 숟가락 | |
KR20250039347A (ko) | 식사 도구 받침을 겸한 접시 | |
KR200488061Y1 (ko) | 냄비 손잡이 겸용 수저받이 | |
KR20170071201A (ko) | 유아용 식사도구 | |
AU2015255653B2 (en) |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20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82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106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