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4251Y1 - 이동수단용 핸들 - Google Patents

이동수단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251Y1
KR200484251Y1 KR2020150000857U KR20150000857U KR200484251Y1 KR 200484251 Y1 KR200484251 Y1 KR 200484251Y1 KR 2020150000857 U KR2020150000857 U KR 2020150000857U KR 20150000857 U KR20150000857 U KR 20150000857U KR 200484251 Y1 KR200484251 Y1 KR 200484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bar
moving means
handle
elastic member
imp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831U (ko
Inventor
박천수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0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25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25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수단용 핸들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수단용 핸들은, 이동수단의 핸들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며 탄성을 갖는 충격 흡수 바(10),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탄성 부재(20), 상기 탄성 부재(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2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30), 및 상기 충격 흡수 바(10), 상기 탄성 부재(20),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30)를 차폐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드 그립(40) 을 포함 이에, 이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탑승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이동수단의 충격이 신체에 전달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수단용 핸들{Handle for bicycle}
본 고안은 핸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요즘과 같은 고유가 시대에 자동차를 대체할 만한 이동수단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레저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근력 및 지구력 강화를 위한 운동 또는 레저 목적으로 자전거, 오토바이, 이륜차, 삼륜차, 또는 스쿠터와 같은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이동수단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포장이 잘 되어있는 이동수단 전용도로 또는 시멘트 도로 등에서 이동수단을 주행할 때에는 운전자는 지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이 없기 때문에 피로감 없이 손쉽게 주행할 수 있다. 하지만, 비포장 도로나 산악과 같이 요철부가 많은 곳에서 주행하는 경우, 도로 여건상 많은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1551(이하에서는 '선행특허'라 칭함)에는 자전거의 활용 목적이나 탑승자의 자세에 따라 핸드그립의 위치 및 기능을 가변시킬 수 있는 핸들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은 탑승자손목의 피로를 덜어주기 위해 핸들바(10)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의 경우 움직이는 자전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이동수단 핸들을 통해 탑승자의 신체에 전달된다. 이는 탑승자에게 많은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심할 경우 손목 터널 증후근과 같은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탑승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이동수단의 충격이 신체에 전달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이동수단용 핸들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이동수단용 핸들을 제공한다. 상기 이동수단용 핸들은, 이동수단의 핸들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며 탄성을 갖는 충격 흡수 바(10),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탄성 부재(20), 상기 탄성 부재(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2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30), 및 상기 충격 흡수 바(10), 상기 탄성 부재(20),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30)를 차폐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드 그립(40) 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20)는, 상기 핸들 파이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 상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30)는 기설정된 곡률로 굴곡되어 그 일면이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드 그립(40)은, 그 외면에 형성되는 손목꺾임 방지 돌출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 그립(40)은, 탑승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가락 홈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따르면 이동수단용 핸들이 충격 흡수 바 및 탄성 부재를 포함하에 따라, 이동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탑승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이동수단의 충격이 신체에 전달됨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용 핸들의 투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용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용 핸들의 투영 상부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용 핸들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용 핸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용 핸들의 투영 상부 도면이다.
도 1,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용 핸들은, 이동수단의 핸들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며 탄성을 갖는 충격 흡수 바(10),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탄성 부재(20), 상기 탄성 부재(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20)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30), 및 상기 충격 흡수 바(10), 상기 탄성 부재(20),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30)를 차폐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드 그립(40) 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충격 흡수 바(10)는 상기 이동수단 핸들 파이프를 둘러싸고 장착됨에 따라 이동수단 핸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격 흡수 바(10)는, 탄성을 가진다. 탄성을 갖기 위해 알맞은 재료로 고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성 부재(20)는 이동수단 핸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충격 흡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20)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 부재(20)의 중심 축이 상기 충격 흡수 바(1)의 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 1과 같이, 상기 탄성 부재(20)는 상기 핸들 파이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 상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이동수단 핸들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또는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잔여 충격이 균일하게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부(30)는 상기 탄성 부재(20)의 타단과 결합되어 상기 탄성 부재(20)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20)가 상기 충격 흡수 바(10)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부(30)는 기설정된 곡률로 굴곡되어 그 일면이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충격 흡수 바(10)에 남아있는 잔여 충격을 더욱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핸드 그립(40)은 상기 충격 흡수 바(10), 상기 탄성 부재(20),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30)를 차폐하며, 탑승자가 이동수단 운행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핸드 그립(40)은, 그 외면에 형성되는 손목꺾임 방지 돌출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목꺾임 방지 돌출부(41)는 상기 핸드 그립(40)에서 탑승자의 손목이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손목꺽임 방지 돌출부(41)를 더 포함함에 따라, 탑승자의 손목꺾임 현상을 방지하여 손목 터널 증후군과 같은 관절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 그립(40)은, 탑승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가락 홈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탑승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준다. 그리고, 이동수단 운행 시 이동수단 핸들로부터 탑승자의 손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충격 흡수 바 20 : 탄성 부재
30 : 스프링 지지부 40 : 핸드 그립
41 : 손목꺾임 방지 돌출부 42 : 손가락 홈부

Claims (5)

  1. 이동수단의 핸들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장착되며 탄성을 갖는 충격 흡수 바(10);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으로부터 그 내주면이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 지지부(30);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30)의 내주면에 그 타단이 결합되며, 상기 충격 흡수 바(10) 및 스프링 지지부(30)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개의 탄성 부재(20);
    상기 충격 흡수 바(10), 상기 탄성 부재(20)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30)가 그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프링 지지부(3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핸드 그립(40); 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3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20)는, 상기 핸들 파이프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바(10)의 외주면 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핸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그립(40)은, 그 외면에 형성되는 손목꺾임 방지 돌출부(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핸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그립(40)은, 탑승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손가락 홈부(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용 핸들.
KR2020150000857U 2015-02-06 2015-02-06 이동수단용 핸들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57U KR200484251Y1 (ko) 2015-02-06 2015-02-06 이동수단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857U KR200484251Y1 (ko) 2015-02-06 2015-02-06 이동수단용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31U KR20160002831U (ko) 2016-08-17
KR200484251Y1 true KR200484251Y1 (ko) 2017-08-17

Family

ID=5685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85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251Y1 (ko) 2015-02-06 2015-02-06 이동수단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2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4113B1 (en) 2015-01-15 2016-04-19 Lisbeth Hals Lehan Child carrier having adjustable seat coupl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460A (en) 1999-04-19 2000-08-22 Li; Cheng-Tao Handgrip adapted to be sleeved on a tubular end of a handlebar of a bicycle
JP2013039856A (ja) 2011-08-12 2013-02-28 Panasonic Corp 自転車用のグ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191A (ko) * 2011-04-14 2012-10-24 장완순 충격 흡수 기능을 갖춘 자전거 손잡이
KR20130028029A (ko) * 2012-11-16 2013-03-18 손영석 업그레이드된 손잡이가 설치된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5460A (en) 1999-04-19 2000-08-22 Li; Cheng-Tao Handgrip adapted to be sleeved on a tubular end of a handlebar of a bicycle
JP2013039856A (ja) 2011-08-12 2013-02-28 Panasonic Corp 自転車用のグ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831U (ko)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37086T3 (es) Guardamanos para manillar de motocicleta.
EP2162345A1 (en) Handlebar with elastic hinges
KR20150102886A (ko) 이륜차 완충식 바퀴 구조체
KR200484251Y1 (ko) 이동수단용 핸들
KR101932615B1 (ko) 자전거 안장
US12275484B2 (en) Impact dampening grips
US9505262B2 (en) Wheels and vehicles comprising the same
CN205837101U (zh) 减震器
KR20150102887A (ko) 이륜차 완충식 바퀴 구조체
US9039024B1 (en) Bicycle seatpost
US9573647B2 (en) Shock-absorbing handguards for handle bars
TWM568812U (zh) 自行車把手避震裝置
KR200440704Y1 (ko) 자전거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KR20120085689A (ko) 자전거 바퀴
KR100990281B1 (ko) 자전거의 핸들 프레임 회동 장치
TWM507892U (zh) 車用吸震體改良
KR20110086456A (ko) 자전거 바퀴
US20190092420A1 (en) Bicycle control device
CN204507139U (zh) 把手架避震结构
US20240239435A1 (en) Handlebar stabilizer
JP5808228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このチャイルドシートの自転車への取り付け装置
KR100822349B1 (ko) 이륜차용 완충장치
ES1225295U (es) Manillar antivibraciones para bicicletas y vehiculos similares
CN201703498U (zh) 一种防震童车
US2347135A (en) Device for steering automotiv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2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72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1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8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3052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