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08Y1 - Band for carrying for - Google Patents
Band for carrying f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4108Y1 KR200484108Y1 KR2020150008214U KR20150008214U KR200484108Y1 KR 200484108 Y1 KR200484108 Y1 KR 200484108Y1 KR 2020150008214 U KR2020150008214 U KR 2020150008214U KR 20150008214 U KR20150008214 U KR 20150008214U KR 200484108 Y1 KR200484108 Y1 KR 2004841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p
- baby
- baby band
- fastening holes
- buck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면서도 착용 방법에 따라 유아를 다양한 자세로 안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아기띠는, 끈; 두 개의 체결공을 가지는 '日'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끈의 중간부분이 상기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지나도록 배치되는 조절부재; 하나의 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끈의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제1버클부재; 및 상기 끈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클부재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끈의 일단은 조절부재의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끈의 타단부에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excellent portability and can hold a baby in various postures according to a wearing method.
The baby band includes a strap; An adjusting member having a 'sun' shape having two fastening holes, the adjusting member being disposed such th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tring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in turn; A first buckle member having one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strap being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buckle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ap and coupled to the first buckle member, wherein one end of the strap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adjustment member in order to form a loop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
Description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성이 우수하면서도 아기를 다양한 자세로 안는 것이 가능한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band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xcellent in portability and capable of holding a baby in various postures.
아기띠는 보호자가 유아를 안은 채로 돌아다닐 필요가 있을 때 유아를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The baby strap is used to keep the infant safely and easily when the caregiver needs to move around with the infant.
이러한 아기띠에 관한 종래기술 중 하나로서, 등록번호 10-1453460의 '힙시트로 변형 가능한 아기띠'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아기띠는 유아의 엉덩이를 포함한 몸의 대부분을 감싸며 사용되므로 유아를 안전하게 안을 수 있다.As one of the prior arts related to such a baby band, there is a "baby band that can be deformed into a hip sheet" of Registration No. 10-1453460. Since 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used to wrap most of the body including the baby's hips, I can hold it safely.
그러나 보호자들은 유모차로 유아를 데리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잠깐씩 안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아기띠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aregivers take the infant with the baby carriage and hold it for a while as needed. In such a case, the baby band as i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본 고안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우수한 휴대성을 가지는 아기띠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baby band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having excellent portability.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끈; 두 개의 체결공을 가지는 '日'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끈의 중간부분이 상기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지나도록 배치되는 조절부재; 하나의 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끈의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제1버클부재; 및 상기 끈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클부재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끈의 일단은 조절부재의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끈의 타단부에 고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adjusting member having a 'sun' shape having two fastening holes, the adjusting member being disposed such th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string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in turn; A first buckle member having one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strap being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 second buckle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ap and coupled to the first buckle member, wherein one end of the strap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adjustment member in order to form a loop at the other end of the strap A baby band is provided.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끈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끈에서 조절부재와 제2버클부재가 배치된 위치의 사이에는 쿠션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by band characterized in that a cushion member is formed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adjustment member and the second buckle member are arranged on the strap.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리에는 카라비너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by band characterized in that a carabiner is fastened to the ring.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는 단순한 끈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작게 접어둘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간편하며, 유아를 다양한 자세로 안을 수 있도록 해준다.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ing shape, so it can be folded down when not in us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it can hold the baby in various postures.
상기 아기띠의 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 아기띠를 보호자의 신체 치수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string length of the baby band is adjustable, the baby band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body of the guardian.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상기 아기띠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baby band.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고안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휴대성이 우수하면서도 착용 방법에 따라 유아를 다양한 자세로 안을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band,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excellent portability and can hold a baby in various postures according to a wearing method.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1)는, 끈(10), 조절부재(20), 제1·2버클부재(30, 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끈(1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긴 부재로,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의 몸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보호자의 어깨 등에 걸쳐졌을 때 집중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조절부재(20)는 두 개의 체결공을 가지는 '日'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끈(10)의 중간부분이 상기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지나도록 배치되어 조절부재(20)는 끈(1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끈(10)의 중간부분에 조절부재(20)가 위치하지만, 끈(10)과 조절부재(20)를 결합시킬 때에는 끈(10)의 일단부에서부터 체결공에 삽입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The
상기 조절부재(20)가 끈(10)의 중간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끈(10)의 일단은 조절부재(20)의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통과하며, 이에 따라 끈(10)의 타단부에는 고리(L)가 형성되게 된다.One end of the
상기 제1버클부재(30)는 하나의 통과공을 가지며, 끈(10)의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제1버클부재(30)는 끈(10)의 일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버클부재(40)는 끈(10)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버클부재(30)와 체결될 수 있어, 제1·2버클부재(30, 40)가 서로 체결되었을 때에는 아기띠(1)의 전체적인 형상이 링형이 되고 제1·2버클부재(30, 40)가 서로 체결되지 않았을 때에는 아기띠(1)의 전체적인 형상이 선분형상이 된다.The
참고로, 도 1에서는 아기띠의 제1·2버클부재(30, 40)가 체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1, the first and
이처럼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는 단순한 끈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작게 접어둘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ing shape and can be folded small when not in use, so that it can be carried easily.
상기한 것과 같은 아기띠(1)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와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The
유아를 보호자의 앞으로 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아기띠(1)의 제1·2버클부재(30, 40)를 체결하여 아기띠(1)를 보호자의 한쪽 어깨에 걸고 아기띠가 걸쳐진 반대쪽 손으로 고리(L)는 잡는다. 이렇게 하면 고리(L)를 잡은 쪽의 아래팔 위에 유아를 앉혔을 때 고리(L)를 잡은 손에 의해 유아를 안은 아래팔 및 어깨에 큰 힘을 주지 않고도 유아의 몸무게를 안정적을 지지해줄 수 있다. 그리고 아기띠가 걸쳐진 쪽의 팔로는 유아의 등을 받쳐줄 수 있다.2, the first and
유아를 보호자의 뒤로 안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아기띠(1)를 보호자의 허리에 매어 끈(10)의 중간에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도록 한다.In the case of holding the infant behind the caregiver, the infant's hips are straddled in the middle of the
상기 끈(10)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보호자의 신체 치수에 따라 유아를 안정적으로 안을 수 있는 아기띠의 길이는 상이한데, 끈(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 보호자의 신체 치수에 관계없이 유아를 안정적으로 안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body size of the protector, the length of the baby band which can stably hold the infant is different. If the length of the strap (10) can be adjusted, it is possible to stably hold the infant regardless of the body size of the protector.
끈(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은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길이 상에서 분할되어 제1·2끈(11, 12)으로 형성되는 끈(10)과 상기 제1·2끈(11, 12)을 연결하는 제2조절부재(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조절부재(70)는 2개 또는 3개의 체결공을 가지는 '日' 또는 '目'형으로 형성되며, 제2끈(12)의 일단부가 제2조절부재(70)의 두 체결공을 지나도록 배치되고 제1끈(11)의 일단부가 제2조절부재(70)에 연결되어 제1·2끈(11, 12)은 제2조절부재(70)에 의해 하나의 끈(10)을 이루게 된다. 제2조절부재(70)가 제2끈(12)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끈(10)의 길이는 조절되게 된다.The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상기 끈(10)에서 조절부재(20)와 제2버클부재(40)가 배치된 위치의 사이에는 쿠션부재(50)가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쿠션부재(50)는 끈(10)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푹신하게 형성되는 부재로, 유아를 보호자의 앞으로 안을 때에는 보호자의 어깨 부분에 위치하게 하여 어깨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고, 유아를 보호자의 뒤로 안을 때에는 보호자의 등 부분에 위치하게 하여 유아의 엉덩이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The cushion member (50) is a member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strap (10) and is formed in a fluffy manner. When the infant is placed in front of the protector, the infant is placed 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protector to disperse the load applied to the shoulder, It is placed on the back of the caregiver so as to stably support the baby's buttocks.
상기 쿠션부재(5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끈(10)의 일부 구간을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끈(10)을 감싸며 형성되어 끈(10)의 길이상에서 위치가 조절될 수도 있다.The
상기 고리(L)에는 카리비너(60)가 체결될 수 있다.The ringer (60) can be fastened to the ring (L).
상기 카리비너(60)는 본 고안에 의한 아기띠를 사용하지 않을 때, 아기띠를 보호자의 허리띠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아기띠를 분실할 가능성을 줄여준다.When the baby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he carribean (60) can fix the baby band to the protector's waistban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losing the baby band.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에 따라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And is therefo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 아기띠 10 : 끈
20 : 조절부재 30 : 제1버클부재
40 : 제2버클부재 50 : 쿠션부재
60 : 카라비너
L : 고리1: baby band 10: string
20: regulating member 30: first buckle member
40: second buckle member 50: cushion member
60: Carabiner
L: Ring
Claims (4)
두 개의 체결공을 가지는 '日'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끈(10)의 중간부분이 상기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지나도록 배치되는 조절부재(20);
하나의 통과공을 가지며, 상기 끈(10)의 일단부가 상기 통과공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제1버클부재(30); 및
상기 끈(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버클부재(30)와 체결되는 제2버클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끈(10)의 일단은 조절부재(20)의 체결공들을 차례대로 통과하여 끈(10)의 타단부에 고리(L)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L)에는 카리비너(60)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A strap 10;
An adjusting member 20 having a 'sun' shape having two fastening holes, the adjusting member 20 being disposed such that a middle portion of the string 10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in turn;
A first buckle member (30) having one through hole and one end of the strap (10) arranged so as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And a second buckle member (4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rap (10) and fastened to the first buckle member (30)
One end of the string 1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adjustment member 20 to form a loop L at the other end of the string 10,
And the carribean (60) is fastened to the ring (L).
상기 끈(10)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ap (10) is form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상기 끈(10)에서 조절부재(20)와 제2버클부재(40)가 배치된 위치의 사이에는 쿠션부재(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cushion member (50) is formed between the position where the adjusting member (20) and the second buckle member (40) are arranged in the strap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8214U KR200484108Y1 (en) | 2015-12-15 | 2015-12-15 | Band for carrying 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8214U KR200484108Y1 (en) | 2015-12-15 | 2015-12-15 | Band for carrying f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235U KR20170002235U (en) | 2017-06-26 |
KR200484108Y1 true KR200484108Y1 (en) | 2017-08-02 |
Family
ID=5924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821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4108Y1 (en) | 2015-12-15 | 2015-12-15 | Band for carrying f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4108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5805B1 (en) * | 2018-10-12 | 2020-05-27 | 제병곤 | Armrest baby ban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1080A (en) * | 2006-03-07 | 2006-12-21 | Shu Nakamura | Aid for holding infant (baby carri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2494U (en) * | 2010-06-24 | 2010-09-02 | 憲二 佐藤 | A baby string for infants. |
KR101453460B1 (en) | 2014-03-19 | 2014-10-22 | (주)케리비 | Baby carrying-strap convertible into a hip seat |
-
2015
- 2015-12-15 KR KR2020150008214U patent/KR20048410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1080A (en) * | 2006-03-07 | 2006-12-21 | Shu Nakamura | Aid for holding infant (baby carr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2235U (en) | 2017-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45634B2 (en) |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 |
US9949575B2 (en) | Child carrier | |
US9545159B2 (en) | Apparatus for a baby carrier | |
TWI867707B (en) | Baby carrier | |
US9380886B2 (en) | Wearable carrier | |
US20190350379A1 (en) | Adjustable child carrier | |
US9895254B2 (en) | Limb support | |
US20190269257A1 (en) | Hybrid baby wrap and carrier | |
EP4241624A3 (en) | Child carrier | |
DE602006001132D1 (en) | Child carrier with adjustable belt system. | |
EP3755183B1 (en) | Baby carrier | |
KR101518174B1 (en) | Suspender position adjustment apparatus having backpack and backpack | |
US6398088B1 (en) | Baby holding and feeding apparatus | |
KR200473475Y1 (en) | Baby hip seat carrier | |
US9192242B1 (en) | Portable child safety restraint | |
CN101652087A (en) | Carrying harness for children | |
US7669743B2 (en) | Adjustable infant carrier | |
KR200484108Y1 (en) | Band for carrying for | |
US20050189386A1 (en) | Front mounted baby carrier | |
KR20110001488U (en) | Portable baby carrying bend | |
US9113722B1 (en) | Waist-mounted baby harness | |
US20130299532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Young Humans | |
CN114504221A (en) | Baby carrier | |
CN104970624B (en) | A kind of Baby carriers | |
KR200482847Y1 (en) | Band for carrying bab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21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7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7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2305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