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10Y1 - Bracket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device using same - Google Patents
Bracket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device us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910Y1 KR200483910Y1 KR2020150005316U KR20150005316U KR200483910Y1 KR 200483910 Y1 KR200483910 Y1 KR 200483910Y1 KR 2020150005316 U KR2020150005316 U KR 2020150005316U KR 20150005316 U KR20150005316 U KR 20150005316U KR 200483910 Y1 KR200483910 Y1 KR 2004839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pair
- insertion port
- bracket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7—Devices for fastening household utensils, or the like, to tables, wall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설치 구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에 부착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벽에 부착되고, 기결정된 장치의 일부가 상기 벽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그 내부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벽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이 제공된다.A bracket and a device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cket for attaching to a wall, comprising: a body attached to the wall, the body having an insertion port formed therein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wall; And at least a pair of elastic members form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and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wall.
Descrip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bracket and a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비디오폰과 같은 제품은, 벽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디오폰을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에 직접 나사 등을 통해 연결하거나, 벽에 설치용 패널을 설치한 후에 패널과 비디오폰 간을 결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Products such as video phones are typically installed on the wall so that they can be used while standing by the user. When the video phone is installed on the wall, it is mainly used to connect the panel directly to the wall through a screw or the like, or to install the panel on the wall and then to connect the panel and the videophone.
벽에 설치용 패널을 부착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패널을 나사 등을 통해 벽에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벽에 비디오폰을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도 비디오폰을 벽에 설치하기 위하여 나사를 이용하던지 홈-돌기 구조를 통하여 끼움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번거롭다.In the case of attaching the installation panel to the wall, since the panel is fixed to the wall through screws or the like, the installation cost is increased and installation work is troublesome. Also, when the video phone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wall, the video phone needs to be fitted to the wall by using a screw or through a groove-projection structure, so that installation work is troublesome.
또한, 종래의 설치 방식에 의하면, 비디오폰에 설치상 필요한 여유 공간이 요구되어서 비디오폰이 소정의 두께 이상이 되어야 설치가 가능한 경우가 있어서, 얇은 제품의 경우에는 설치가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method, a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in a video phone is required, so that installation can be performed only when a video phone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In the case of a thin product, installation is not possible.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설치가 용이한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설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bracket that is easy to install and a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고정용 스크류 등을 사용하지 않아서 얇은 제품을 설치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는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장치 설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bracket that can be used to install a thin product without using a fixing screw or the like, and a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그러나,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matter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에 부착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벽에 부착되고, 기결정된 장치의 일부가 상기 벽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그 내부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벽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acket for attaching to a wall, comprising: a body attached to the wall, the body having an insertion port formed therein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apparatus is inserted into the wall; And at least a pair of elastic members form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and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wall.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은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may have a curved portion.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urv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안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urv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to support 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상기 각각의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삽입될 수 있다.One end of each elastic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내측 방향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may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장치 설치 구조에 있어서, 벽에 부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는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장치부의 일부가 상기 벽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그 내부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벽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의 상기 일부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가 형성되는, 장치 설치 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mounting structure comprising: a bracket attached to a wall; And a device installed in the bracket, wherein the bracket is attached to the wall, and a mouth is formed in the bracket so that a part of the device is inserted into the wall; And at least a pair of elastic members form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and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wall, wherein at least a pair of elastic members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And a 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은 곡면부를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may have a curved portion.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 각각은 상기 곡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ortions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surface portion.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urv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ortions may have a convex shape.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안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urv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 각각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ortions may have a concave shape.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to support 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상기 각각의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삽입될 수 있다.One end of each elastic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내측 방향의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may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브라켓에 형성된 탄성 부재가 벌어졌다가 탄성력에 의해 내측으로 미는 힘에 의해서 장치부를 고정하는 구조에 의하여, 장치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astic member formed on the bracket is opened and the device unit is fixed by the force of pushing inward by the elastic force, the device un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installation time can be shortened.
또한, 브라켓에 형성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장치부를 고정함으로써, 스크류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치부가 얇은 경우에도 벽에 설치할 수 있는 설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device is fix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ormed on the bracket, a screw or the like is not u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unting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wall even when the device is thi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부의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장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scope of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의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bracket of FIG. 1.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벽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벽에 부착되는 부분인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00)은 기결정된 장치를 벽에 설치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결정된 장치란, 비디오폰, 인터폰 및 도어폰을 포함하는 모든 전기적인 수단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벽에 설치될 수 있는 모든 수단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결정된 장치는 장치부(200)로 칭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브라켓(100)의 바디(110)는 그 내부에 장치부(200)의 일부가 벽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110a)는 상기 장치부(200)의 일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바디(110)의 삽입구(110a)의 적어도 양측에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진 판상의 금속일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지면의 하측이 벽의 내측에 해당한다. 따라서,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120)는 설치되는 벽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air of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120)는 곡면부(120a)를 가질 수 있다. 곡면부(120a)는 이하에서 설명할 장치부(200)의 탄성 부재 대응부(도 3에서 220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부(120a)가 삽입구(110a)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탄성 부재 대응부(220a)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곡면부(120a)의 내에 탄성 부재 대응부(220a)가 삽입되어 탄성 부재(120)와 탄성 부재 대응부(220a)간이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20)는 바디(110)에 형성된 삽입구(110a)의 내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치부(200)가 삽입구(110a)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서로 마주보는 탄성 부재(120)는 잠시 벌어졌다가 장치부(200)의 삽입이 완료되면, 장치부(20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본 실시예에서는, 곡면부(120a)가 삽입구(110a)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곡면부(120a)가 삽입구(110a)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장치부(200)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대응부(220a)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브라켓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a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120')의 곡면부(120a')가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바꿔 말하자면 외측에서 볼 때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탄성 부재(120')의 곡면부(120a')의 형태에 대응하여 장치부(200)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대응부(220a)의 형태도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바디(110)에 형성된 삽입구(110a)의 적어도 양측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20)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 부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30)는 그 내부에 탄성 부재(120)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다. A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부(200)의 일부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장치부(200)는 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노출부(210) 및 벽의 내측에 매립되는 매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노출부(210)는 예를 들어, 인터폰 또는 도어폰의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매립부(220)의 외측에는 앞서 설명한 브라켓(100)의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120)에 대응하는 탄성 부재 대응부(220a)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대응부(220a)는 탄성 부재(12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 대응부(220a)는 예를 들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브라켓(100)의 탄성 부재(120)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만약 브라켓(100)의 탄성 부재(120)의 형태가 삽입구(110a)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상이라면, 매립부(220)의 외측에 형성되는 탄성 부재 대응부(220a)는 오목하게 패이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장치부(200)는 브라켓(100)을 통해 벽에 설치될 수 있다. The
삭제delete
우선, 벽에 매립 공간을 형성한 후에 그 위에 브라켓(100)을 덮고 나사 등의 결합 수단을 통해 브라켓(100)을 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장치부(200)의 매립부(220)가 매립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장치부(200)를 브라켓(100)과 결합시킴으로써, 장치부(200)를 벽 상에 설치할 수 있다.First, after the buried space is formed on the wall, the
장치부(200)의 매립부(220)는 브라켓(100)의 삽입구(110a)를 통해 벽의 내부에 형성된 매립 공간 내로 매립될 수 있다. 매립부(220)가 벽의 내부로 매립됨으로써, 장치부(200)에서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있는 외부 노출부(210)만이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장치부(200)가 벽에 설치되었을 때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매립부(220)에 의해 장치부(200)의 설치를 견고하게 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가 장치부(200)를 브라켓(100)의 삽입구(110a) 내로 밀어 넣는 것만으로도, 매립부(220)에 형성된 탄성 부재 대응부(220a)가 브라켓(100)의 탄성 부재(120)와 결합하게 되어 장치부(200)와 브라켓(10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벽에 장치부(2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장치부(200)의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The buried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시예를 중심을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또한, 본 고안에서 보이는 구성요소들을 공지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술요소로 치환하거나 변형하는 것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bstitutions or changes in the components shown in this specification with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의 청구범위에서 보이는 사상 및 그 균등범위까지 미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extends to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00 : 브라켓
110 : 바디
110a : 삽입구
120, 120' : 탄성 부재
120a, 120a' : 곡면부
130 : 지지 부재
200 : 장치부
210 : 외부 노출부
220 : 매립부
220a : 탄성 부재 대응부100: Bracket
110: Body
110a:
120, 120 ': elastic member
120a, 120a ': curved portion
130: Support member
200:
210: Exposed portion
220:
220a: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art
Claims (17)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기결정된 장치의 일부가 상기 벽의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그 내부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벽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브라켓.
A bracket to be attached to a wall having a space in which a part of a predetermined device is inserted,
A body attached to the wall and having an insertion port formed therein to allow a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device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wall; And
And at least a pair of elastic members dispos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and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wall.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은 곡면부를 가지는,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said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having a curved portion.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안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convexly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for suppor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상기 각각의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삽입되는,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5,
And one end of each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내측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has an elastic force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
벽에 부착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설치되고, 그 일부가 상기 벽에 형성된 공간 내에 삽입되는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벽에 부착되고, 상기 장치부의 일부가 상기 벽의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그 내부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 상에 배치되며, 상기 벽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부의 상기 일부 상에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가 형성되는, 장치 설치 구조.
In the device installation structure,
A wall-mounted bracket; And
And a device part installed in the bracket and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 space formed in the wall,
The bracket
A body attached to the wall and having an insertion port formed therein to allow a portion of the devic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wall; And
And at least a pair of elastic members dispos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and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wall,
Wherein at least a pair of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arts joined to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is formed on the part of the device part.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은 곡면부를 가지는, 장치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has a curved portion.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 각각은 상기 곡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장치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Each of said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ortions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said curved portion.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장치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toward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 각각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장치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each of said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ortions has a convex shape.
상기 곡면부는 상기 삽입구의 안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장치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convexly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insertion port.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대응부 각각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장치 설치 구조.
14. The method of claim 13,
Each of said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 corresponding portions having a concave shape.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 각각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구의 적어도 양측에 형성된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치 설치 구조.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at least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to support each of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상기 각각의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삽입되는, 장치 설치 구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one end of each elastic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member.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내측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는, 장치 설치 구조.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pair of elastic members has an elastic force in an inward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316U KR200483910Y1 (en) | 2015-08-10 | 2015-08-10 | Bracket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device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316U KR200483910Y1 (en) | 2015-08-10 | 2015-08-10 | Bracket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device us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642U KR20170000642U (en) | 2017-02-21 |
KR200483910Y1 true KR200483910Y1 (en) | 2017-07-10 |
Family
ID=5826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5316U Active KR200483910Y1 (en) | 2015-08-10 | 2015-08-10 | Bracket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device us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91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6457A (en)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코맥스 |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
KR20220050552A (en) | 2020-10-16 | 2022-04-25 | 주식회사 코맥스 | Fixa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7603Y1 (en) | 2004-08-30 | 2004-11-12 | 주식회사 코맥스 | Install Structure for hanging on the wall of electric communication apparatus |
KR200434185Y1 (en) | 2006-09-30 | 2006-12-18 | 코스텔(주) | Built-in TV |
KR200442741Y1 (en) * | 2007-07-11 | 2008-12-05 | 우연춘 | Wall structure of wall moun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9083Y2 (en) * | 1985-08-13 | 1990-05-28 |
-
2015
- 2015-08-10 KR KR2020150005316U patent/KR200483910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7603Y1 (en) | 2004-08-30 | 2004-11-12 | 주식회사 코맥스 | Install Structure for hanging on the wall of electric communication apparatus |
KR200434185Y1 (en) | 2006-09-30 | 2006-12-18 | 코스텔(주) | Built-in TV |
KR200442741Y1 (en) * | 2007-07-11 | 2008-12-05 | 우연춘 | Wall structure of wall moun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26457A (en) | 2019-08-30 | 2021-03-10 | 주식회사 코맥스 | Fixing apparatus for wall pad |
KR20220050552A (en) | 2020-10-16 | 2022-04-25 | 주식회사 코맥스 | Fixa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642U (en) | 2017-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90964B2 (en) | Wall plate having internal nose for electrical cable | |
US11330902B2 (en) | Opening and closing type shelf fixing clamp | |
JP2008069937A5 (en) | ||
EP1732189A3 (en) | Fastening device for a cable | |
US9755412B2 (en) | Grommet for mounting cable gland or the like | |
TW200703832A (en) | Cover plate and group of parts, including such plate, for the wall mounting of an electrical apparatus | |
SE0602301L (en) | Grommet | |
KR200483910Y1 (en) | Bracket and structure for installing device using same | |
JP5212709B2 (en) | Electrical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 |
EP1469400A3 (en) |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for executing only the script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
CN101662130B (en) | Adjustable installing bracket and distribution box with same | |
KR200480539Y1 (en) | Integrated raceway device having wire distribution | |
CN102478146A (en) | Wall hanging device for flat panel televisions | |
JP2007190294A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bathtub joint sealer | |
EP3682777A1 (en) | Shower enclosures | |
JP4626545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relay station device | |
CN104602468A (en) | Control panel, mounting box and mounting method | |
AU2013267081B2 (en) | Insect-proof box | |
JP2010163799A (en) | Curing material for door | |
KR101638934B1 (en) | Fixing Implement for Terminal Box of Apartment House | |
CN103306583B (en) | Top line and corner brace device | |
JP6030499B2 (en) | Box with flange | |
JP5357504B2 (en) | Bathroom counter mounting structure | |
KR200426565Y1 (en) | Side frame for the partition | |
EP1995578A3 (en) | Sensor mounting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81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5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70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