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665Y1 - Digital score board - Google Patents
Digital score 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665Y1 KR200483665Y1 KR2020150001953U KR20150001953U KR200483665Y1 KR 200483665 Y1 KR200483665 Y1 KR 200483665Y1 KR 2020150001953 U KR2020150001953 U KR 2020150001953U KR 20150001953 U KR20150001953 U KR 20150001953U KR 200483665 Y1 KR200483665 Y1 KR 20048366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am
- score
- unit
- housing
-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점수판을 조작하는 별도의 담당자가 필요 없이 선수가 직접 점수판을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하게 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점수판이 개시된다. 개시된 디지털 점수판은, 하우징(housing), 제1 팀의 점수를 하우징의 정면(正面) 및 배면(背面)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1 팀 점수 표시부, 및 제2 팀의 점수를 하우징의 정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2 팀 점수 표시부를 구비하는 시각적 출력 유닛, 하우징에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 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를 가압하면 제1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제1 레버(lever), 및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 측의 반대 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를 가압하면 제2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제2 레버를 구비하는 입력 유닛을 구비한다. A digital scoreboard is disclosed in which a score can be easily entered so that a player can directly manipulate the scoreboard without the need of a separate person to operate the scoreboard. The disclosed digital score board includes a housing, a first team sco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cores of the first team on at least one of a front side and a back sid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the first team score display unit. The visual output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in a limited angular range and extends to one side, And a second lever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extend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and when the end of the second lever is pressed, the score of the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 is added by a unit score, And an input unit having a lever.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스포츠 경기 중에 점수를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디지털 점수판에 관한 것으로, 점수판을 조작하는 별도의 담당자가 필요 없이 선수가 직접 점수판을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용이하게 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점수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coreboard that displays scores in real time during various sporting events. It allows a player to input scores easily enough to manipulate the scoreboard without the need of a separate person to manipulate the scoreboard Digital scoreboard.
현대는 건강과 여가 생활에 대한 관심 증대에 힘입어 아마추어(amateur) 동호인 스포츠가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동호인간 스포츠 경기에는 지원 부족과 비용 문제로 인해 점수판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관중들의 흥미와 호응을 유도하기 어렵고, 점수에 대한 분쟁도 발생할 수 있다.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nd leisure, modern amateur sports are becoming active. However, most of the human sports games do not use scoreboards due to lack of support and cost problem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ttract the audience's interest and response, and disputes about scores can occur.
한편, 동호인 스포츠에서 점수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점수가 인쇄된 복수 장의 카드를 한 장씩 넘기는 달력(calendar) 형태의 점수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순한 달력 형태의 점수판인 경우이건 다른 형태의 점수판인 경우이건 심판이나 별도의 점수 기록자가 경기를 지켜보며 점수판 조작을 전담하여야만 했다. 그 이유는 경기에 임하는 선수들이 점수가 바뀔 때마다 점수판을 직접 조작하기에 너무 번거로워서 원활한 경기의 진행이 방해되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scoreboard in the sports of the community, a scoreboard in the form of a calendar, in which a plurality of cards on which scores are printed are passed one by one is mainly used. In the case of the score plate of the simple calendar type, in the case of the score plate of another form, the judge or the separate score recorder must observe the game and handle the score plate entirely. The reason is that the players who play in the game are too busy to manipulate the scoreboards whenever the scores change, which hinders the smooth progress of the game.
점수판 사용이 요구되는 경기는 탁구, 당구, 테니스, 농구, 배구, 축구, 배드민턴, 레슬링, 유도, 태권도 등 1점씩 혹은 2 내지 3점씩 득점되는 모든 사회체육이 해당될 수 있다. A game that requires the use of scoreboards may be all sports such as table tennis, billiards, tennis, basketball, volleyball, soccer, badminton, wrestling, judo, taekwondo, etc. scored by 1 point or 2 or 3 points.
본 고안은, 점수판 조작을 전담하는 담당자가 없이 경기에 참여하는 선수가 득점될 때마다 점수판을 직접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쉽고 빠르게 조작할 수 있는 디지털 점수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scoreboard that can be manipulated easily and quickly enough so that a player participating in the competition can directly manipulate the scoreboard without having a dedicated person to handle the scoreboard manipulation.
본 고안은, 서로 대결하는 제1 팀(team)과 제2 팀의 점수를 표시해주는 것으로, 하우징(housing), 상기 제1 팀의 점수를 상기 하우징의 정면(正面) 및 배면(背面)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1 팀 점수 표시부, 및 상기 제2 팀의 점수를 상기 하우징의 정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2 팀 점수 표시부를 구비하는 시각적 출력 유닛,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 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제1 레버(lever),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 측의 반대 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2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제2 레버를 구비하는 입력 유닛을 구비하는 디지털 점수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ore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scores of a first team and a second team that face each other and includes a housing, a score of the first team, a score of at least one of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ore of the second team on at least one of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the housing; A first lever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side of the housing and extends to one side and the score of the first team score display unit is summed by a unit score when the end is pressed and a second le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an input unit having a second lever for which the score of the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 is added by a unit score when the end is pressed.
상기 입력 유닛은, 눌려지면 상기 제1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를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도록 하는 제1 팀 점수 버튼, 및 눌려지면 상기 제2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를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도록 하는 제2 팀 점수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의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팀 점수 버튼이 눌려지고, 상기 제2 레버의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2 팀 점수 버튼이 눌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first team score button for causing the score of the first team score display unit to be added up by a unit score when pressed, and a second team score button for clicking the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team score button is pressed when the end of the first lever is pressed and the second team score button is pressed when the end of the second lever is pressed.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may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housing.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의 단부에는,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At the ends of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a first cushioning member and a second cushioning member may be attached to mitigate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상기 입력 유닛은, 눌려지면 상기 제1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차감되는 제1 팀 점수 정정 버튼, 및 눌려지면 상기 제2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차감되는 제2 팀 점수 정정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 first team score correction button, in which a score of the first team score display unit is subtracted by a unit score when pressed, and a second team score correction button, Button.
상기 시각적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팀의 세트 점수(set score)를 상기 하우징의 정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1 팀 세트 점수 표시부, 및 상기 제2 팀의 세트 점수를 상기 하우징의 정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2 팀 세트 점수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 유닛은, 눌려지면 상기 제1 팀 세트 점수 표시부의 세트 점수가 하나씩 증가되는 제1 팀 세트 점수 입력 버튼, 및 눌려지면 상기 제2 팀 세트 점수 표시부의 세트 점수가 하나씩 증가되는 제2 팀 세트 점수 입력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Wherein the visual output unit includes a first team set sco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t score of the first team on at least one of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the housing and a second team set sco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et score of the second team And a second team set sco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the first team set score display unit when the first team set score display unit is depressed, And a second team set score input button in which the set score of the second team set score display unit is incremented by one when pressed.
상기 시각적 출력 유닛은, 상기 제1 팀이 서브(serve) 공격권을 가지고 있음을 상기 하우징의 정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 및 상기 제2 팀이 서브(serve) 공격권을 가지고 있음을 상기 하우징의 정면 및 배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표시하는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의 단부가 가압되면 상기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가 표시되고 상기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는 표시되지 않고, 상기 제2 레버의 단부가 가압되면 상기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가 표시되고 상기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는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visual output unit displays a first team sub attacking ticket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the housing that the first team has a serve attack right, And a second team sub attacking authority display unit displaying at least one of a front face and a back face of the housing having an attack right, and when the end of the first lever is pressed, the first team sub attacking authority display unit is displayed, The second team sub attacking authority display unit is not displayed and when the end of the second lever is pressed, the second team sub attacking authority display unit is displayed and the first team sub attacking authority display unit is not displayed.
상기 입력 유닛은, 눌려지면 상기 시각적 출력 유닛에 구비된 모든 표시부가 초기화되는 리셋 버튼(reset button)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set button for initializing all the display units provided in the visual output unit when pressed.
본 고안의 디지털 점수판은, 상기 제1 레버의 단부 또는 상기 제2 레버의 단부가 가압되면 청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효과음을 출력하는 청각적 출력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sco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uditory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audible perceptible sound when the end of the first lever or the end of the second lever is pressed.
본 고안의 디지털 점수판은, 상기 하우징을 들어 올릴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손잡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sco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coupled to the housing to lift the housing.
본 고안의 디지털 점수판은,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를 입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유선 연결되는 유선 연결 입력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선 연결 입력기는, 일 측 단부를 중심으로 제한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타 측 단부가 가압되면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레버(lever)를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scor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wired connection input device detachably wired to the housing for inputting a score of one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A lever that is rotatable within a limited angular range about an end and that when the other end is pressed, a score of a team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is added by a unit score.
본 고안의 디지털 점수판은,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를 입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유선 연결되는 유선 연결 입력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선 연결 입력기는, 발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압력 센싱면(pressure sensing face), 또는 눌려지면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푸쉬 버튼(push button)을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scor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wire connection input device detachably wired to the housing to input a score of one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A pressure sensing face on which the score of one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is summed by a unit score i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are pressed, And a push button that is added up by a unit score can be provided.
본 고안의 디지털 점수판은, 데이터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송신하는 무선 연결 입력기가 송신한,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digital scor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corresponding to a score of a team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transmitted by a wireless connection inputting unit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can do.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는 위로 갈수록 양 자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될 수 있다.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may be inclined upwardly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such that a gap between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is increased toward the upper side.
본 고안에 의하면, 길게 연장된 레버를 가볍게 치는 쉬운 조작 방식으로 점수판을 조작할 수 있어 점수판 조작을 전담하는 담당자 없이 선수가 경기 중에 직접 점수판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인력 비용의 부담 없이 점수판 적용을 대중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core plate with an easy operation method in which the long extended lever is lightly knocked, so that the player can manipulate the score plate directly during the competition without a person dedic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core pl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opularize the application of the scoreboard without burdening the additional personnel costs.
또한, 경기중인 선수가 점수판을 직접 조작하는 경우에도 경기에 대한 집중이 방해되지 않고, 점수판을 사용함으로써 경기에 대한 호응과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athlete manipulates the scoreboard directly, the concentration on the match is not hindered, and the scoreboard can be used to enhance the response and interest in the game.
또한, 예컨대, 동호인 경기와 같은 소규모의 경기에서 체육관의 큰 점수판을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점수판의 휴대가 용이하다.Also,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ave costs and to carry the scoreboard more easily than to use a large scoreboard of a gymnasium in a small game such as a game of a club.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점수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점수판 본체의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점수판 본체에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연결 입력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점수판 본체에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연결 입력기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scor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5 are a front view, a rear view, a right side view, and a left side view of the score plate main body of Fig. 1;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d connection input device connectable to the score plate main body of Figs. 2 to 5. Fig.
FIG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a wired connection input device connectable to the score plate main body of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점수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digital scor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or operator or custom in the field to which the desig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점수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점수판 본체의 정면도, 배면도, 우측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점수판(10)은 예컨대, 배드민턴, 탁구와 같은 스포츠 경기에서 서로 대결하는 제1 팀(team)과 제2 팀의 점수를 표시해주는 기기이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제1 팀은 홈팀(home team)이고, 제2 팀은 원정팀(guest team)일 수 있다. 디지털 점수판(10)은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유선 연결되는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를 구비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score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5 are a front view, a rear view, a right side view, and a left side view of the score board main body of FIG. 1 to 5 together, the
디지털 점수판(10)의 본체(11)는 제어 유닛(20), 시각적 출력 유닛(60), 입력 유닛(30), 청각적 출력 유닛(80), 무선 통신 유닛(85), 및 전력 공급 유닛(25)을 구비한다. 제어 유닛(20)은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housing)(12) 내부에 CPU(central processing unit)을 포함하는 회로기판(circuit board)의 형태로 마련된다. 제어 유닛(20)은 입력 유닛(30),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 또는 무선 연결 입력기(1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시각적 출력 유닛(60)을 통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현되도록 하고, 청각적 출력 유닛(80)을 통해 청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현되도록 한다. The
하우징(12)은 편평한 면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바닥면의 넓이가 상측면의 넓이보다 넓다. 본체(11)에는 디지털 점수판(10)의 사용자가 하우징(12)을 포함하는 본체(11)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게 하우징(12)의 상측 단부에 연결된 손잡이(13)가 더 구비된다.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시각적 출력 유닛(60)은 하우징(12)의 전면(前面)과 배면(背面)을 통해 경기 관련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는 것으로, 점수 표시부(61, 62, 71, 72), 세트 점수 표시부(63, 64, 73, 74),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67, 76, 77), 및 시각(時刻) 표시부(68, 78)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점수 표시부(61, 62, 71, 72)는 제1 팀, 즉 홈팀의 점수를 표시하는 제1 팀 점수 표시부(61, 71)와, 제2 팀, 즉 원정팀의 점수를 표시하는 제2 팀 점수 표시부(62, 72)로 구분된다. 제1 팀 점수 표시부(61, 71)는 하우징(2) 전면과 배면의 'HOME' 문자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팀 점수 표시부(62, 72)는 하우징(2) 전면과 배면의 'GUEST' 문자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점수 표시부(61, 62, 71, 72)는 예컨대, LCD 패널, OLED 패널, LED 어레이, 또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세트 점수 표시부(63, 64, 73, 74)는 제1 팀, 즉 홈팀의 세트 점수를 표시하는 제1 팀 세트 점수 표시부(63, 73)와, 제2 팀, 즉 원정팀의 세트 점수를 표시하는 제2 팀 세트 점수 표시부(64, 74)로 구분된다. 제1 팀 세트 점수 표시부(63, 73)는 하우징(2) 전면과 배면의 'HOME' 문자와 제1 팀 점수 표시부(61, 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팀 세트 점수 표시부(64, 74)는 하우징(2) 전면과 배면의 'GUEST' 문자와 제2 팀 점수 표시부(62, 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트 점수 표시부(63, 64, 73, 74)는 예컨대, LCD 패널, OLED 패널, LED 어레이, 또는 FN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제1 팀 세트 점수 표시부(63, 73)와 제2 팀 세트 점수 표시부(64, 74)에서 검정색 원은 화소 또는 LED에서 빛을 발(發)하는 모습을 도면상에 표현한 것이고, 일점 쇄선의 원은 화소 또는 LED에서 빛을 발(發)하지 않는 모습을 도면상에 표현한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세트 점수 표시부(63, 64, 73, 74)는 세트 점수를 도트(dot)의 개수로 표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트 점수를 아라비아 숫자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et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67, 76, 77)은 제1 팀, 즉 홈팀이 제2 팀, 즉 원정팀에게 서브 공격할 상황임을 표시하는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76)와, 제2 팀, 즉 원정팀이 제1 팀, 즉 홈팀에게 서브 공격할 상황임을 표시하는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7, 77)로 구분된다.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76), 및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7, 77)는 하우징(2) 전면과 배면의 제1 팀 점수 표시부(61, 71)와 제2 팀 점수 표시부(62, 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76), 및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7, 77)는 동시에 표시될 수 없는 것이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이나 화살표 형상으로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67, 76, 77)는 예컨대, LCD 패널, OLED 패널, 또는 LED 어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67, 76, 77)에서 검정색 실선은 화소 또는 LED에서 빛을 발(發)하는 모습을 도면상에 표현한 것이고, 일점 쇄선은 화소 또는 LED에서 빛을 발(發)하지 않는 모습을 도면상에 표현한 것이다.The sub attack
시각(時刻) 표시부(68, 78)는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표시부이며, 하우징(12) 전면 및 배면의 아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시각 표시부(68, 78)는 예컨대, LCD 패널, OLED 패널, LED 어레이, 또는 FND(Flexible Numeric Display)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각 표시부(68, 78)는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디지털 시계로서의 기능, 예를 들어, 타이머(timer) 기능, 스톱 와치(stop watch) 기능 등도 표시될 수 있다. The
한편, 도 2 및 도 3의 디지털 점수판(10)에는 각 표시부 별로 LCD 패널, OLED 패널, LED 어레이, FND가 분리되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12)의 전면과 배면에 한 장씩의 LCD 패널이 탑재되고, 이를 통해 모든 경기 점수와 관련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2 내지 도 5의 디지털 점수판 본체(11)의 하우징(12)은 편평하여, 정면의 점수 표시부(61, 62)는 하우징(12)의 정면에서, 배면의 점수 표시부(71, 72)는 하우징(12)의 배면에서 양호한 가시성을 갖는다. 그러나, 본 고안의 하우징(12)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우징(12)의 정면과 배면이 곡면형으로 굽어져 있거나, 각을 이루게 절곡되어(이른바, 다이아몬드형) 정면과 배면뿐만 아니라, 옆에서도 양호한 가시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CD panel, the OLED panel, the LED array, and the FND are separately arranged in the
입력 유닛(30)은 제1 및 제2 레버(lever)(33, 43), 제1 팀 및 제2 팀 점수 버튼(32, 42), 제1 팀 및 제2 팀 점수 정정 버튼(51, 52), 제1 팀 및 제2 팀 세트 점수 입력 버튼(53, 54), 및 리셋 버튼(reset button)(56)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레버(33, 43)는 하우징(12)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우측 및 좌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제1 및 제2 레버(33, 43)의 길이가 길수록 선수들이 경기 중에 디지털 점수판(10)에 점수를 입력하기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최소화하여 경기 지연 없이 빠르게 점수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레버(33, 43)의 길이는 구조적인 안정이 유지되는 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1 및 제2 레버(33, 43)는 하우징(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하우징(12)에 체결되는 제1 및 제2 레버(33, 43)의 단부는 일 부분이 개방된 고리(35, 45)를 구비하여, 하우징(12)에 체결된 원통형의 핀(pin)(37, 47)에 대해 상기 고리(35, 45)의 개방된 부분이 벌어지도록 고리(35, 45)를 밀어 넣어 핀(37, 47)에 제1 및 제2 레버(33, 43)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반대로 핀(37, 47)에 결합된 고리(35, 45)를 상기 개방된 부분이 벌어지도록 잡아 빼 핀(37, 47)에서 제1 및 제2 레버(33, 43)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레버(33, 43)가 하우징(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구성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레버(33, 43) 말단에 폐쇄형의 고리를 구비하여 핀(37, 3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고리를 접촉시켜 밀어넣어 체결하는 방식의 구성(이른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도 가능하다. The first and second levers (33, 43)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2). 2 and 3,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제1 레버(33)의 말단이 아래로 가압되면 제1 팀의 점수가 입력되고, 제2 레버(43)의 말단이 아래로 가압되면 제2 팀의 점수가 입력된다. 경기 중에 점수를 입력할 때 손이나 라켓과 같은 경기 도구를 이용하여 급하게 제1 레버(33) 또는 제2 레버(43)를 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레버(33, 43)가 손상되거나, 손 또는 경기 도구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레버(33, 43)의 말단에는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하는 제1 및 제2 완충 부재(39, 49)가 부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완충 부재(39, 49)는 예컨대, 우레탄, 스폰지, 고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the distal end of the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제1 및 제2 레버(33, 43)는 하우징(12)의 정면에서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로 갈수록 제1 및 제2 레버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좌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상향 연장될 수도 있다(이른바, 더듬이 형태). 2 and 3, the first and
제1 팀 점수 버튼(32)과 제2 팀 점수 버튼(42)은 탄성 복원 가능하게 상향 돌출된 푸쉬 버튼(push button)으로, 각각 하우징(12)의 상단 제1 레버(33)와 제2 레버(43)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1 팀 점수 버튼(32)이 눌려지면 제1 팀 점수 표시부(61, 71)의 점수를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도록 하고, 제2 팀 점수 버튼(32)이 눌려지면 제2 팀 점수 표시부(62, 72)의 점수를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도록 한다. 여기서, 단위 점수란 통상적으로 1점이나, 농구와 같은 경기에서는 2점일 수 있다. The first
제1 레버(33)와 제2 레버(43)가 하우징(12)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제1 레버(33)의 말단(39)을 아래로 가압하면 제1 팀 점수 버튼(32)이 눌려져 제1 팀의 점수가 입력되고 제2 레버(43)의 말단(49)을 아래로 가압하면 제2 팀 점수 버튼(42)이 눌려져 제2 팀의 접수가 입력된다. 제1 레버(33) 및 제2 레버(43)가 아래로 가압될 때 제1 팀 점수 버튼(32)과 제2 팀 점수 버튼(42)이 정확히 눌려지도록 제1 레버(33) 및 제2 레버(43)에는 아래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1 푸셔(pusher)(38)와 제2 푸셔(48)가 형성된다. 한편, 제1 레버(33)와 제2 레버(43)가 하우징(12)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제1 팀 점수 버튼(32)과 제2 팀 점수 버튼(42)을 직접 눌러 제1 팀과 제2 팀의 점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팀 및 제2 팀 점수 버튼(32, 42)의 크기와 형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클 수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When the
한편, 제1 레버(33)가 가압되어 제1 팀 점수 버튼(32)이 눌려지면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76)가 표시되고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7, 77)는 표시되지 않는다. 반대로, 제2 레버(43)가 가압되어 제2 팀 점수 버튼(42)이 눌려지면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7, 77)가 표시되고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76)는 표시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제1 팀 및 제2 팀 점수 정정 버튼(51, 52)은 탄성 복원 가능하게 돌출된 푸쉬 버튼으로, 하우징(12)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배치된다. 제1 팀 점수 정정 버튼(51)이 눌려지면 제1 팀 점수 표시부(61, 71)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차감된다. 제2 팀 점수 정정 버튼(52)이 눌려지면 제2 팀 점수 표시부(62, 72)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차감된다. 제1 팀 및 제2 팀 점수 정정 버튼(51, 52)은 점수 표시의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정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team and second team
제1 팀 및 제2 팀 세트 점수 입력 버튼(53, 54)은 탄성 복원 가능하게 돌출된 푸쉬 버튼으로, 하우징(12)의 우측면 및 좌측면에 배치된다. 제1 팀 세트 점수 입력 버튼(53)이 눌려지면 제1 팀 세트 점수 표시부(63, 73)의 세트 점수가 하나씩 증가된다. 제2 팀 세트 점수 입력 버튼(54)이 눌려지면 제2 팀 세트 점수 표시부(64, 74)의 세트 점수가 하나씩 증가된다. The first team and second team set
리셋 버튼(56)은 탄성 복원 가능하게 돌출된 푸쉬 버튼으로, 본 고안의 디지털 점수판(10)에서는 하우징(12)의 우측면에 배치되나, 하우징(12)의 좌측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리셋 버튼(56)이 눌려지면 시각적 출력 유닛(60)에 구비된 점수 표시부(61, 61, 71, 72), 세트 점수 표시부(63, 64, 73, 74), 및 서브 공격권 표시부(66, 67, 76, 77)가 초기화된다. 리셋 버튼(56)이 이전 경기를 완료하거나 중단하고 새로운 경기를 시작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다. The
청각적 출력 유닛(80)은 제1 레버(33)가 가압되어 제1 팀 점수 버튼(32)이 눌려지거나, 제2 레버(43)가 가압되어 제2 팀 점수 버튼(42)이 눌려지면 청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효과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우징(12) 우측면 및 좌측면에 제1 및 제2 스피커(81, 82)를 구비한다. 제1 팀의 점수가 입력될 때와 제2 팀의 점수가 입력될 때의 효과음이 서로 구별되게 설정되어 있으면 점수 입력 누락 또는 점수 입력 에러를 즉시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The
무선 통신 유닛(85)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무선 연결 입력기(120)가 송신한, 제1 팀 및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닛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본체(11)로부터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 연결 입력기(120)를 이용하여 송신한 점수 데이터를 무선 통신 유닛(85)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점수 데이터는 제어 유닛(20)에 의해 처리되어 점수 표시부(61, 62, 71, 7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TE 방식 등 원거리에서 무선 연결 입력기(120)를 이용하여 점수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 연결 입력기(12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도 있고, 손목에 시계처럼 찰 수 있는 소위 스마트 와치(smart watch)일 수도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의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와 유사하나 유선 연결 단자 대신에 무선 데이터 송신기와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 연결 입력기일 수도 있다. The
전력 공급 유닛(25)은 본체(11) 내의 각 유닛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닛으로, 전력 공급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우징(12)의 우측면에 마련된 전원 입력 포트(14),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터리(battery)를 탑재하도록 마련된 배터리 탑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의 우측면에는 사용자가 디지털 점수판(10)을 사용할 때 켜고, 사용하지 않을 때 끌 수 있게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26)가 마련된다. The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점수판 본체에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연결 입력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5의 점수판 본체에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연결 입력기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디지털 점수판(10)의 사용자는 본체(11)에 구비된 제1 및 제2 레버(33, 43) 또는 제1 팀 및 제2 팀 점수 버튼(32, 42)을 이용하여 점수를 입력하는 방법 대신에,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를 연결하고, 제1 팀 또는 제2 팀의 점수를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의 유선 연결 단자(103, 109, 115)를 하우징(12) 우측면 하단부의 제1 팀 점수 유선 입력 포트(port)(16)에 끼워 연결하고 점수를 입력하면 제1 팀의 점수가 입력되고, 반대로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의 유선 연결 단자(103, 109, 115)를 하우징(12) 좌측면 하단부의 제2 팀 점수 유선 입력 포트(port)(17)에 끼워 연결하고 점수를 입력하면 제2 팀의 점수가 입력된다.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wired connection input device connectable to the score plate main body of FIGS. 2 to 5, and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a wired connection input devic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8 together, the user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선 연결 입력기(91)는 하우징(92) 내부에 하단부가 힌지(hinge) 결합되어 상향 돌출된 레버(96)를 구비한다. 레버(96)는 하우징(92)에 형성된 그루브(groove)(94)를 통해 상향 돌출되고, 상단부에는 충격 완화를 위한 완충 부재(98)가 부착된다. 그루브(94)의 일 단에는 레버(96)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95)가 형성되고, 하우징(92) 내부에는 레버(96)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 돌출된 푸쉬 버튼(101)이 구비된다. 따라서, 레버(96) 상단부의 완충 부재(98)가 가압되어 레버(9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푸쉬 버튼(101)이 눌려져 본체(11)에 단위 점수가 입력된다. 레버(9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푸쉬 버튼(101)이 정확히 눌려지도록 레버(96)에는 푸쉬 버튼(101)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푸셔(pusher)(97)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wired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선 연결 입력기(105)는 편평한 압력 센싱면(pressure sensing face)(106)을 구비한다. 상기 압력 센싱면(106)을 발로 밟아 가압할 때마다 본체(11)에 단위 점수가 입력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선 연결 입력기(110)는 하우징(111)에 지지되고 누를 수 있게 노출되고 탄성 복원 가능하게 상향 돌출된 푸쉬 버튼(113)을 구비한다. 상기 푸쉬 버튼(113)을 손가락으로 누를 때마다 본체(11)에 단위 점수가 입력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wired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는 제1 팀 및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나, 두 팀의 점수를 모두 입력할 수 있는 유선 연결 입력기가 디지털 점수판 본체(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선 연결 입력기(91, 105, 110) 한 쌍이 결합된 형태의 유선 연결 입력기 본체를 구비하고, 유선 연결 단자는 하나로 통합되며, 하우징(12)에도 하나의 유선 연결 단자를 끼워 연결할 수 있는 유선 입력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ired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디지털 점수판 12: 하우징
13: 손잡이 20: 제어 유닛
30: 입력 유닛 32,42: 점수 버튼
33,43: 레버 60: 시각적 출력 유닛
61,62,71,72: 점수 표시부 63,64,73,74: 세트 점수 표시부
66,67,76,77: 서브 공격권 표시부 80: 청각적 출력 유닛10: digital score plate 12: housing
13: handle 20: control unit
30:
33, 43: lever 60: visual output unit
61, 62, 71, 72:
66, 67, 76, 77: Sub attacking ticket display unit 80: Auditory output unit
Claims (4)
하우징(housing);
상기 제1 팀의 점수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표시하는 제1 팀 점수 표시부와, 상기 제2 팀의 점수를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표시하는 제2 팀 점수 표시부와, 제1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와, 제2 팀 서브 공격권 표시부를 구비하는 시각적 출력 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 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1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제1 레버(lever); 및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 측의 반대 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를 가압하면 상기 제2 팀 점수 표시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제2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레버의 단부가 가압되면 제1 팀 점수 표시부가 표시되고, 상기 제2 레버의 단부가 가압되면 제2 팀 점수 표시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점수판. It shows the scores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that face each other,
A housing;
A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ore of the second team on one side of the housing; a first team attacking authority display unit; A visual output unit having a second team sub-attack right display unit; And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scores of the first and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s,
Said input unit comprising:
A first le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extends to one side and, when the end portion is pushed, a score of the first team score display unit is added by a unit score; And
And a second lever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and exte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and the score of the second team score display unit being added by a unit score when the end is pressed,
Wherein the first team score display portion is displayed when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lever is pressed and the second team score display portion is displayed when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lever is pressed.
상기 제1 레버 및 상기 제2 레버는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단부는 일 부분이 개방된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원통형의 핀(pin)을 구비하여서,
상기 핀에 대해 상기 고리의 개방된 부분이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점수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ever and the second lever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Wherein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rs are provided with a ring having a portion thereof opened,
Wherein the housing has a cylindrical pi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ng,
And an open portion of the ring is fitted to the pin and rotatably engaged with the pin.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를 입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유선 연결되는 유선 연결 입력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선 연결 입력기는, 발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압력 센싱면(pressure sensing face), 또는 눌려지면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가 단위 점수만큼 합산되는 푸쉬 버튼(push button)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점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d connection input unit that is detachably wired to the housing to input a score of one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The wired connection input device includes a pressure sensing face on which a score of a team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is added by a unit score when pressed by a foot, And a push button to which a score of one of the two teams is added by a unit score.
데이터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송신하는 외부의 무선 연결 입력기가 송신한, 상기 제1 팀 및 상기 제2 팀 중 한 팀의 점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무선 연결 입력기를 이용하여 송신한 점수 데이터를 무선 통신 유닛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점수 데이터는 제어 유닛에 의해 처리되어 상기 시각적 출력 유닛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점수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data corresponding to a score of a team of the first team and the second team transmitted by an external wireless connection input unit transmitting data in a Bluetooth manner,
Where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receives score data transmitted using the wireless connection input unit, and the received score data is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and displayed on the visual output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953U KR200483665Y1 (en) | 2015-03-27 | 2015-03-27 | Digital score 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1953U KR200483665Y1 (en) | 2015-03-27 | 2015-03-27 | Digital score board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1010 Division | 2014-08-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754U KR20160000754U (en) | 2016-03-07 |
KR200483665Y1 true KR200483665Y1 (en) | 2017-06-20 |
Family
ID=5553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19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3665Y1 (en) | 2015-03-27 | 2015-03-27 | Digital score 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665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3700B1 (en) | 2023-04-03 | 2023-11-17 | 이성빈 | Motion-Sensing Moving Scoreboard and Driving Method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89979A (en) * | 1990-04-04 | 1991-12-19 | Iwaki Tatsukiyuu:Kk | Scoring device |
KR20010087903A (en) * | 2000-03-09 | 2001-09-26 | 임동현 | Electronic portable cordless score board |
US6796865B2 (en) | 2001-12-06 | 2004-09-28 | Ingo Raithel | Inflatable insulation incorporating pressure relief means |
-
2015
- 2015-03-27 KR KR2020150001953U patent/KR200483665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3700B1 (en) | 2023-04-03 | 2023-11-17 | 이성빈 | Motion-Sensing Moving Scoreboard and Driv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0754U (en) | 2016-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69662B2 (en) | Training device body,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system | |
US8894490B2 (en) | Interactive sports gaming device | |
US20050096761A1 (en) | Golf score and information device and system | |
US6401254B1 (en) | Device for wearing on a hand and counting and displaying golf strokes taken per hole per game | |
KR101418461B1 (en) | Electronic scoreboard for tennis game | |
KR20110105603A (en) | Electronic scoreboard | |
US20140163990A1 (en) | Tennis umpire | |
US4879651A (en) | Game point scoring and analyzing device | |
US20170074623A1 (en) | Electronic dartboard with scoreboard interfac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200483665Y1 (en) | Digital score board | |
KR20130004860U (en) | Electronic scoreboard | |
KR102087996B1 (en) | Scoring equipment for ball game | |
US20140342851A1 (en) | Automated Tennis Stroke Counter and Analyzer | |
JP6431178B2 (en) | Portable self-scoring device for racket sports | |
WO2007070945A1 (en) | Handheld device for counting technical actions of individual players in sport games involving balls | |
CN114288630A (en) | System for scoring in a sporting contest | |
TWM500600U (en) | Racket with a scoring remote control device | |
JP2008188388A (en) | Score counter watch | |
JP5316978B2 (en) | Display device | |
ES1222954U (en) | DEVICE AND SYSTEM FOR REGISTERING SPORTS MARKERS SUITABLE FOR USE IN DOUBLE PART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
KR101565096B1 (en) | Game score board system | |
US20130303246A1 (en) | Handheld electronic sporting device | |
TWI653079B (en) | Multi-channel wearable remote control scorer | |
JP5536732B2 (en) | Score display device, score display system, score display method, and score display program | |
KR200192183Y1 (en) | Electron dancing game machine combine with boxing prict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U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306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60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