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598Y1 - Bench guide fram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Bench guide frame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598Y1 KR200483598Y1 KR2020150003759U KR20150003759U KR200483598Y1 KR 200483598 Y1 KR200483598 Y1 KR 200483598Y1 KR 2020150003759 U KR2020150003759 U KR 2020150003759U KR 20150003759 U KR20150003759 U KR 20150003759U KR 200483598 Y1 KR200483598 Y1 KR 2004835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vertical frame
- vehicle
- automobile
- vert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1244708 Moroccan pepper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1—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non-load transporting vehicles, i.e. family cars including v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화물적재공간에 설치되며, 평상이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에 있어서, 자동차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대칭으로 화물적재공간의 바닥면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단에 자동차의 측면 벽 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평상이 지지되는 지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frame which is installed in a cargo loading space of an automobile and which is supported on a flat surface by a pair of vertical frames which are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loading spac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 A transverse frame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to the side wall of the automobile; And a support jig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plain surface is supported.
Description
본 고안은 밴형 자동차의 평상 설치를 위한 가이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frame for flat mounting of a van-type vehicle.
더욱 상세하게는, 밴형 자동차의 화물적재공간에 평상 설치를 위한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승객탑승공간에 구비되는 뒷좌석 시트의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평상을 지지함으로써, 뒷좌석 시트와 평상에 의해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침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a guide frame for a flat mounting on a cargo loading space of a van-type automobile, a backrest of a rear seat provided in a passenger compartment is backwardly supported and a flat surface is supported on the guide frame, To an ordinary flat guide frame for an automobile which can be utilized as a bed that can be laid by a person.
근래에는 자동차다 단순히 이동을 위한 수단 이외에 여행, 캠핑 및 레저 등 많은 여가시간을 보내기 위해 짐을 운반하고, 다수의 인원 탑승을 가능하게 하며, 심지어 휴식 및 숙박을 위한 보조수단으로 활용됨으로써, 이용률 또한 증대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utomobiles have been used not only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but also as a means of transporting luggage for a lot of leisure time, such as travel, camping and leisure, enabling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
특히 밴(Ban) 및 MPV(Multi-purpose vehicle) 등과 같은 자동차는 승객탑승공간 이외에 별도의 화물적재공간이 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뛰어난 이점이 있다.Particularly, automobiles such as a Ban and an MPV (Multi-purpose vehicle) have a wide space for loading cargo space besides a passenger boarding space, which is very advantageous in utilization.
이러한 밴 및 MPV 등과 같은 자동차는 최소한의 좌석 구성으로 운선석과 보조석 및 뒷좌석 시트가 구비되는 승객탑승공간과 화물적재공간이 별도로 나뉘는데, 이때, 화물적재공간은 화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누워서 쉴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se cars, such as vans and MPVs, are divided into a passenger boarding space and a cargo loading space with a minimum seat configuration and a linerboard, an auxiliary seat and a rear seat. In this case, the cargo loading space can be freely stacked, And provide a space that can be used to make it.
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활용도가 매우 다양해지면서 화물적재공간을 활용하여 여가 생활을 보조할 수 있는 침대자동차가 개발되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utilization of automobiles becomes very diverse, bed cars capable of assisting leisure life by utilizing cargo loading space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침대자동차 중 하나로, 공개특허번호 제10-1998-049495호에 텐트장착 침대자동차가 개시되었다.
As one of such bed cars, a tent bed motor vehicle is disclosed in Laid-open Patent No. 10-1998-049495.
도 1은 종래 텐트장착 침대자동차에서 펼쳐져 있는 후방시트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차량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루프지지대(3)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차량의 상부커버를 형성하는 루프(1)의 후방부 가장자리에 가동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후방도어(6)의 내측벽 가장자리 부분에 접혀져 있는 텐트(8)가 상기 후방도어(6)의 개방시 펼쳐져 상기 차량의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다수회 접혀져 형성되어 있는 후방시트(11a, 11b, 11c)가 상기 후방도어(6)의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텐트(8)가 형성하는 상기 실내공간 측으로 펼쳐져서 텐트(8)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13a, 13b)에 의해 바닥면에 대해 지지되어 간이 침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 1 is a side view of a rear seat deployed in a conventional tent-fitted bed vehicle, the structure of which is supported by a roof support 3 forming a frame of the vehicle, A tent 8 folded at the inner wall edge portion of the rear door 6 rotatably fixed to the rear edge of the rear door 6 by the movable hinge is opened when the rear door 6 is opened to form an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The
이러한 텐트장착 침대자동차는 다수회 접혀져 형성되어 있는 후방시트(11a, 11b, 11c)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간이 침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In such a tent-equipped bed car, the
그러나 종래 텐트장착 침대자동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시트(11a, 11b, 11c)를 이용하여 간이 침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점은 긍정적이나, 상기와 같이 후방시트(11a, 11b, 11c)를 펼치고 접혀지도록 하는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후방시트 (11a, 11b, 11c) 자체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tent-equipped bed automobile is advantageous in that a simple bed is formed by using the
또한 후방시트(11a, 11b, 11c)는 보다 넓은 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2중의 힌지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후방시트(11a, 11b, 11c)가 접히는 경우, 후방시트(11a, 11b, 11c)의 등받이(도면부호 : 11b, 11c) 기능을 하는 부분이 두꺼워져, 부피를 많이 차지하며, 그만큼 승객탑승공간과 화물적재공간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The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밴형 자동차의 화물적재공간에 평상 설치를 위한 가이드프레임을 별도로 설치하고, 승객탑승공간에 구비되는 뒷좌석 시트의 등받이를 뒤로 젖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평상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를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뒷좌석 시트와 상기 평상을 이용하여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침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frame for a flat installation in a cargo loading space of a van type vehicle, It is not necessary to newly install a rear seat of an automobil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use a rear seat and an automobile Thereby providing a normal guide frame.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은 자동차의 화물적재공간에 설치되며, 평상이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에 있어서, 자동차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대칭으로 화물적재공간의 바닥면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 세로프레임의 상단에 자동차의 측면 벽 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이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평상이 지지되는 지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guide fram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rgo loading space of an automobile, and a guide frame is supported on a flat surface. A pair of vertical frames vertically installed; A lateral fram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each extending in a side wall side of the vehicle; And a support jaw which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is supported on the flat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rdinary guide frame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밴형 자동차의 화물적재공간에 평상 설치를 위한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승객탑승공간에 구비되는 뒷좌석 시트의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평상을 지지함으로써, 뒷좌석 시트와 평상에 의해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침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guide frame for a flat installation in a cargo loading space of a van type vehicle, so that a backrest of a rear seat provided in a passenger boarding space is pushed back and a flat surface is supported on the guide fram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bed that can be laid down.
도 1은 종래 텐트장착 침대자동차에서 펼쳐져 있는 후방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에 평상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된 평상과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가 젖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에서 푸쉬플레이트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에서 다리의 길이가 가변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에서 서랍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rear seat deployed in a conventional tent-fitted bed vehicl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vehicle normal guide frame is provided on a flat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otive ordinary guid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seat and the rear seat installed on the vehicle normal guid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tilt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push plate in the vehicle normal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ength of a leg is varied in a normal guid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rawer is installed in an ordinary guid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고안은 밴형 자동차의 화물적재공간에 평상 설치를 위한 가이드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승객탑승공간에 구비되는 뒷좌석 시트의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평상을 지지함으로써, 뒷좌석 시트와 평상에 의해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침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guide frame for a flat installation in a cargo loading space of a van type vehicle, so that a backrest of a rear seat provided in a passenger boarding space is pushed back and a flat surface is supported on the guide fram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needle bed that can be laid down on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가능한 자동차용 화물 칸막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eparable cargo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에 평상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의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vehicle normal guide frame is provided on a flat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otive ordinary guid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은 밴형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설치되되, 승객탑승공간에 구비되는 뒷좌석 시트(110)를 젖힌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평상(300)을 설치하면 보다 넓은 침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hicle normal guid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argo loading space of the van-
가이드프레임(200)은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설치되어 평상(300)을 지지하는 것으로, 세로프레임(210), 가로프레임(220) 및 지지턱(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러한 가이드프레임(200)은 그 단면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200) 상측에 평상(300)이 설치되도록 한다.The
여기에서, 평상(300)은 후술되는 지지턱(230)에 지지되어 가이드프레임(200)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가이드프레임(200)의 상측 일부분, 즉 후술되는 지지턱(230)에 평상(300)의 양측단 일부분이 지지되어 설치된다.Here, the
설계조건에 따라, 평상(300)은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바닥기능을 하는 상측 부분은 솜 또는 라텍스 등의 부드러운 촉감을 주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측은 가이드프레임(200)의 지지턱(230)에 걸림되어 평상(300)의 지지력 향상 및 평상(300)의 상측에 놓여지는 사람 또는 물건 등의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격자형 프레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the
나아가, 평상(300)의 상측 부분에 구비되는 소재는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측에 구비되는 프레임과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aterial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예를 들어, 평상(300)의 상측 부분에 구비되는 소재와 하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사이에 벨크로 타입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using a Velcro type between the material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세로프레임(210)은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설치되되, 자동차(1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고, 화물적재공간의 바닥면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푸쉬플레이트(211) 및 탄성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때, 세로프레임(210)은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의 바닥면에 볼트 너트결합 또는 피스결합 등에 의해 경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푸쉬플레이트(211)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10) 측면 각각에 구비되는 것으로, 세로프레임(210) 설치시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구비되는 뒷바퀴 하우징(12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한편, 세로프레임(210) 및 가로프레임(220)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프레임(200)을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설치시 세로프레임(210)의 하측은 화물적재공간의 바닥면에 고정하고, 가로프레임(220)의 외측은 화물적재공간의 벽면에 고정하여 설치되는데, 이때,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구비되는 뒷바퀴 하우징(120)에 세로프레임(210)이 걸리게 되어 가로프레임(220)의 외측이 화물적재공간의 벽면과 이격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즉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뒷바퀴 하우징(120)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프레임(200)이 간섭되어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푸쉬플레이트(211)의 구성을 필요로 한다.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이에,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프레임(200)의 세로프레임(210)에 상기 세로프레임(210) 내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푸쉬플레이트(211)를 구비함으로써, 뒷바퀴 하우징(12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가이드프레임(200) 설치시 후술되는 가로프레임(220)과 화물적재공간의 측면 벽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이러한 푸쉬플레이트(2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 하우징(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세로프레임(210)의 외측단에서 내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세로프레임(210) 내부측에 푸쉬플레이트(211)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다수 개의 탄성부재(212)가 구비된다.5, the
이때, 탄성부재(212)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세로프레임(210)의 세로방향으로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가이드프레임(200)의 설치전에는 푸쉬플레이트(211)의 외측면은 세로프레임(210)의 외측면과 일치되어 미려한 면을 형성하고, 가이드프레임(200) 설치시 뒷바퀴 하우징(120)과 면접촉되어 세로프레임(210) 내부측으로 슬라이드이동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가로프레임(22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로프레임(210) 상단 각각에 자동차(100)의 측면 벽 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이러한 가로프레임(220)의 상단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평상(300) 이외에, 상기 평상(3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보조평상(도면부호 미표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이에, 평상(300)과 보조평상의 바닥면 높이를 일치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침상을 제공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more efficient bedding by matching the height of the
지지턱(230)은 세로프레임(210)과 가로프레임(220)이 접촉되는 부분, 즉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평상(300)이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설계조건에 따라, 자동차(100)의 길이방향으로 지지턱(230)의 양 끝단 각각에는 지지턱(230)이 형성되는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도면에 미표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protrusions (not show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이에 따라, 지지턱(230)에 평상(300)의 하측 부분이 지지되면, 평상(300)의 좌,우측단은 지지턱(230)에 의해 움직임이 방지되고, 상기 돌기에 의해 자동차(100)의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도 방지됨으로써, 자동차(100) 운행 및 정차시 평상(3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에서 다리의 길이가 가변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ength of a leg is varied in a normal guid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는 다리(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normal guid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이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로프레임(210)의 하측에 한 쌍의 고정홀(213) 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13) 에 끼워지는 고정핀(214) 이 구비된다.6, a pair of fixing
이때, 세로프레임(210)의 내부측은 개구되어 후술되는 다리(240)가 삽입될 수 하측으로 개구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ner side of the
다리(240)는 상기 세로프레임(21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세로프레임(210)의 내부측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 개의 조절고정구(241)가 형성된다.The
이러한 다리(240)는 세로프레임(210)으로부터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이에,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2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평상(300)의 바닥면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240)를 화물적재공간의 바닥면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세로프레임(210)을 다리(240)가 삽입되도록 한 후, 세로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홀(213) 과 조절고정구(241)에 고정핀(214) 을 관통시켜 설치함으로써, 세로프레임(210)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6, the
여기에서, 고정핀(214) 은 볼트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핀 형태로 이루어지되, 세로프레임(210)을 다리(240)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재질 및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xing
이에 따라, 세로프레임(2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 및 설치할 수 있으므로, 평상(300)의 바닥면 높이를 조절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0)에 구비되는 뒷좌석 시트(110)의 등받이 부분을 뒤로 젖혔을 때, 상기 뒷좌석 시트의 등받이 부분 바닥면 높이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프레임(200)의 상측에 설치되는 평상(300)의 바닥면 높이를 일치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게 침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3,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에서 서랍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drawer is installed in an ordinary guide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는 레일(250) 및 서랍(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ehicle normal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세로프레임(210)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면에 세로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레일(25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레일(250)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서랍(260)이 설치된다.7, a
이에 따라,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 등을 서랍(260)에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평상(300) 설치시 서랍(260)을 닫으면 화물 등이 겉에서 보이지 않아, 미려한 효과를 줄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rgo loaded in the cargo loading space of 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은 밴형 자동차(100)의 화물적재공간에 평상(300) 설치를 위한 가이드프레임(200)을 설치함으로써, 승객탑승공간에 구비되는 뒷좌석 시트(110)의 등받이를 뒤로 젖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에 평상(300)을 지지함으로써, 뒷좌석 시트(110)와 평상(300)에 의해 사람이 누울 수 있는 침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vehicle normal guid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modification are possible.
100 : 자동차 110 : 뒷좌석 시트
120 : 뒷바퀴 하우징 200 : 가이드프레임
210 : 세로프레임 211 : 푸쉬플레이트
212 : 탄성부재 213 : 고정홀
214 : 고정핀 220 : 가로프레임
230 : 지지턱 240 : 다리
241 : 조절고정구 250 : 레일
260 : 서랍 300 : 평상100: Car 110: Rear seat
120: Rear wheel housing 200: Guide frame
210: vertical frame 211: push plate
212: elastic member 213: fixing hole
214: fixing pin 220: horizontal frame
230: support jaw 240: leg
241: Adjusting fixture 250: Rail
260: Drawer 300: Plain
Claims (5)
자동차(1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대칭으로 화물적재공간의 바닥면과 수직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210);
상기 세로프레임(210)의 상단에 자동차(100)의 측면 벽 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는 가로프레임(220); 및
상기 세로프레임(210)과 가로프레임(220)이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평상(300)이 지지되는 지지턱(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로프레임(210) 각각은: 측면에 자동차(100)의 뒷바퀴 하우징(120)과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푸쉬플레이트(211); 및, 상기 세로프레임(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푸쉬플레이트(211)를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
In a guide frame (200) installed in a cargo loading space of an automobile (100) and in which a flat surface (300) is supported,
A pair of vertical frames (210)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go loading spac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vehicle (100);
A horizontal frame 220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210 to the side walls of the vehicle 100; And
And a support jaw 230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frame 210 and the horizontal frame 2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pport the flat surface 300,
Each of the vertical frames 210 includes: a push plate 211 which is slidably moved in contact with the rear wheel housing 120 of the automobile 100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n elastic member (212)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frame (210)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push plate (211) outwardly.
상기 세로프레임(210)의 하측에 다리(24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세로프레임(210)은 다리(240)에 의해 상,하 설치위치가 변경가능함으로써, 자동차(100)의 뒷좌석 시트(110)를 뒤로 젖혔을 때, 뒷좌석 시트(110)의 바닥면 높이와 평상(300)의 바닥면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eg 24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210,
The vertical frame 210 can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talled by the legs 240 so that when the rear seat 110 of the automobile 100 is pushed back, Wherein a height of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base (300) is constantly adjustable.
상기 세로프레임(210)은
상기 세로프레임(2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홀(213) ; 및
상기 고정홀(213) 에 끼워지는 고정핀(214)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리(240)는
다수 개의 조절고정구(241)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핀(214) 이 고정홀(213) 및 조절고정구(241)에 끼워져 다리(240)에 세로프레임(210)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The vertical frame 210
A pair of fixing holes 213 formed below the vertical frame 210; And
And a fixing pin 214 fitted in the fixing hole 213,
The legs 240
A plurality of adjusting fixtures 241 are formed,
Wherein the fixing pin (214) is fitted in the fixing hole (213) and the adjusting fixture (241) so that the vertical frame (210) is securely installed on the leg (240).
상기 세로프레임(210) 각각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 면에 상기 세로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250); 및
상기 레일(25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랍(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평상 가이드프레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vertical frames 210
A rail (250) formed on a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10) that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d a drawer (260) slidably mounted on the rail (2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759U KR200483598Y1 (en) | 2015-06-10 | 2015-06-10 | Bench guide frame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3759U KR200483598Y1 (en) | 2015-06-10 | 2015-06-10 | Bench guide frame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346U KR20160004346U (en) | 2016-12-20 |
KR200483598Y1 true KR200483598Y1 (en) | 2017-06-01 |
Family
ID=5770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3759U Active KR200483598Y1 (en) | 2015-06-10 | 2015-06-10 | Bench guide frame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598Y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8333A (en) * | 1995-08-21 | 1997-03-04 | Tachiesu Parts:Kk | Structure of on-vehicle camping bed |
KR19980049495A (en) | 1996-12-19 | 1998-09-15 | 양재신 | Tent-mounted bed car |
-
2015
- 2015-06-10 KR KR2020150003759U patent/KR200483598Y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4346U (en) | 2016-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96189C2 (en) | Storage box system (embodiments),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additional storage compartment | |
US9422059B2 (en) | Vehicle seat | |
US10821858B2 (en) | Floor structure for automobile | |
KR20150041010A (en) | Vehicle door armrest | |
US20150175037A1 (en) | Back seat arrangement of a passenger car | |
US10144331B2 (en) | Seat with integrated table | |
KR100569945B1 (en) | Locking mechanism for fixing double folding of car seat | |
US20130038082A1 (en) | Vehicle seat extender | |
KR200483598Y1 (en) | Bench guide frame for vehicle | |
CN103373252A (en) | Automotive seat device | |
JP4556498B2 (en) | Vehicle seat device | |
CN102126452B (en) | The seating systems of vehicle especially self-propelled vehicle | |
US7080870B1 (en) | Collapsible backrest assembly | |
JP3229901U (en) | Car bed | |
JP7580238B2 (en) | Vehicle slide deck | |
JP6569030B1 (en) | Car interior support unit | |
KR200395000Y1 (en) | Rail Structure separable of seat for automobile | |
JP6366446B2 (en) | Seat harness support structure | |
US9272648B1 (en) | Removable backrest for an automobile storage area | |
KR102443869B1 (en) | Vehicle seat fixing device | |
KR102514005B1 (en) | The structure of the bed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bed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 |
KR100384595B1 (en) | struture for mounting rear seat of RV vehicle | |
CN202080154U (en) | Recreation vehicle seat and safety belt device arrangement structure | |
JP2000025494A (en) | Automobile seat device | |
JP2008174041A (en) | Storage part structur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61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60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5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52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