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55Y1 - Soil wall without mould - Google Patents
Soil wall without moul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3455Y1 KR200483455Y1 KR2020150005960U KR20150005960U KR200483455Y1 KR 200483455 Y1 KR200483455 Y1 KR 200483455Y1 KR 2020150005960 U KR2020150005960 U KR 2020150005960U KR 20150005960 U KR20150005960 U KR 20150005960U KR 200483455 Y1 KR200483455 Y1 KR 2004834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net
- wall
- wire
- soil
- earth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claims 1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29910001562 pear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0000006394 Sorghum bicolor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82 bottom ash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881 fly ash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5 asbesto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1 glass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95 riebeck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842 sick building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1)에 있어서,
가로선(111)과 세로선(112)이 일정 간격으로 교차하여 연결된 망 형태의 철망(110)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100);와 상기 철망골조(100)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200);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흙반죽(B)을 충진하여 흙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철망(110)은 흙벽 구조체의 전, 후면에 해당되는 철망(110)의 상, 하부 또는 좌, 우측부가 일정 길이 절곡되어 철망골조(100) 형성 시 철망(110)의 수를 감축할 수 있으며, 철망골조(100) 내에는 흙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120); 또는 흙벽의 내구성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중간지지철망(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거적물(200)은 식생매트,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와 같은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고, 흙반죽(B)은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흙반죽(B)과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과 같은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1)의 외면에는 흙반죽(B)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거푸집이 필요없어 공사 시 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생략되므로 전체적인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a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arthen frame structure 1 having no form,
A wire mesh frame 100 in which a plurality of mesh-type wire meshes 110 connected with the horizontal lines 111 and the vertical lines 112 at regular interv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frame of an oblong wall structure; A vegetation mat or foot-shaped float 200 coupled to the wire net framework 100 is connected to each other organically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spaces formed in the wire net framework 100 to form an earth wall .
At this time, the wire net 110 is ben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wire net 110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arthenware structure to reduce the number of the wire net 110 A plurality of auxiliary wire meshes 120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earthen wall; Or an intermediate support wire net 130 to enhance the durability and adiabatic effect of the earthen wall.
In addition, the mugwort 200 is composed of one or more of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vegetation mat, reed, rice straw, bamboo, sorghum and cedar, and the soil dough (B) (B) and lightweight aggregates such as pearlite, fly ash, bottom ash or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or elvan.
The soil dough (B) is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rt wall structure (1) having no dough or finely finish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install with a simple structure, and a mold is not needed, so that installation work and dismantling work of the formwork are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economic cost.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와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을 결합하고 상기 철망골조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흙반죽을 충진하여 그대로 흙벽을 축조하는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centric wall structure having no for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centric wall structure that forms a framework of an eccentric wall structure, a vegetative mat or a foot-shaped resilient material, This is an earthenware structure that does not have a mold for constructing an earthen wall as it is.
흙 건축이란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는 주요부를 흙을 사용하여 축조하는 건축 방식을 의미한다.Soil architecture means the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the main part of the wall of the building using soil.
흙 건축은 자연 그대로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흙이 지니는 성질에 의하여 흙 건축물은 온도 및 습도 조절 능력이 뛰어나며, 외부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단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Soil architecture is not onl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because it uses natural materials,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having excell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bility due to the nature of the soil and having appropriate insul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
또한, 콘크리트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제조과정이나 폐기 시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별도의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월등하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the concret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duced, it is eco-friendly, and it does not pollute the environmen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disposal,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흙을 이용한 축조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다짐 공법 및 흙 벽돌을 이용하는 공법이 있다.Typical methods of construction using soil include compaction method and soil brick construction method.
다짐 공법은 목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거푸집 안에 흙을 채워넣어 공이 등으로 다져서 벽체를 구축하는 방식이다.The compaction method uses a wooden formwork to fill the formwork with soil and build up the wall by the tilting of the ball.
이러한 다짐 공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는 조밀하게 다져질 수 있다면 상당한 강도 및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If the wall constructed by such compaction method can be densely compacted, it can exhibit considerable strength and durability.
그러나, 다짐 공법을 사용하면 벽면 전체에 대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흙을 다지는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이를 다시 해체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따라 공사 기간이 늘어나며 인건비 및 자재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mpaction method is used, it is necessary to dispose the formwork for the entire wall and to remove the soi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due to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formwork, and the labor cost and material cost are further increased have.
한편, 흙 벽돌을 이용한 공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 흙 벽돌을 쌓아 벽체를 축조하는 방식으로서, 흙 벽돌에 의한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흙 벽돌을 제작하는 별도의 단계가 소요되므로 벽체 축조에 있어서 다소 비효율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using the soil brick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ll by stacking the soil bricks made in various ways, and in spite of various advantages by the soil bricks, it takes a separate step of producing the soil bricks, to be.
근래에는 벽체가 형성될 부분에 소정의 간격으로 기둥을 설치하고 기둥과 기둥을 목재 판 등의 연결재로 연결하여 형성된 벽체 틀에 흙을 충전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고정면에 단일의 그물 격자망을 설치하여 그물 격자망에 흙을 도포하여 벽체를 축조하는 방식도 공지되어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used a method in which a column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ortion where a wall is to be formed, and a soil is filled in a wall frame formed by connecting a column and a column wit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wooden plate. It is also known to provide a net lattice net to construct the wall by applying soil to the net lattice ne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흙 벽체를 축조하는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하거나, 별도로 흙 벽돌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공사 기간 및 비용 등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으며, 축조된 흙 벽체는 흙 벽체의 면에 작용하는 응력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for constructing such a conventional earth wall, there is an ineffective aspect such as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since a separate form is installed and dismantled or soil bricks must be separately manufactured. The built- It is vulnerable to stress acting on the surface.
이에,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4276호의 "흙 건조물의 축조방법"은 망체로 이루어진 골격부재에 가설형틀을 설치하고 상기 가설형틀 내로 기계적 압출장치에 의해 흙반죽을 버텀업(Buttom-up) 방식으로 압밀충진한 다음 바로 상기 가설형틀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주택이나 옹벽 등과 같은 흙구조물을 신속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9 (a), as a prior art related to an earthen wall structure having no for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4276 entitled "Method for constructing soil dry matter" And the soil is dumped into the above-mentioned mold by a mechanical extrusion device to fill the soil dough in a butt-up manner, and then the above-mentioned mold is immediately removed and dried. Thus, the soil structure such as a house or a retaining wall can be quickly and easily So that it can be built.
그러나, 선행 기술인 "흙 건조물의 축조방법" 또한, 가설형틀이라는 거푸집을 필요로 하므로 가설형틀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동반되며 이에 공사 비용 및 공사 시간을 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oil-like structure" also requires a form called a hypothetical form, so that it is accompanied with the work of dismantling and installing a hypothetical form, which can not sav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time.
또 다른 선행 기술로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806호의 "무거푸집 양단열 항토패널벽체"는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단열보드가 내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내측와이어패널과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단열보드가 외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에 대칭되게 접합되는 외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제 1단열보드와 상기 제 2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되는 벽체충전재와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의 제 1단열보드에 타설되는 내부마감재와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제 2단열보드에 타설되는 외부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나, 오히려 내부에 접합되는 단열보드로 인해 단열보드 사이에 있는 벽체충전재의 효과가 차단되어 흙벽으로서의 장점을 부각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As another prior art, as shown in Fig. 9 (b),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4806 entitled "Non-shaped heat insulating panel panel wall" is formed by a metal wire as a three dimensional lattice structure, The heat insulating board is formed as a three dimensional lattice structure by an inner wire panel and a metal wire integrally formed by being eccentrically inwardly inward,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board is integrally formed eccentrically outwardly in the inside, and an outer side which is symmetrically joined to the inner side wire panel A wall filler disposed between the wire panel and the first heat insulating board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ard, an inner finishing material disposed on the first heat insulating board of the inner wire panel, and an outer covering material disposed 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ard of the outer wire panel But rather the effect of the wall filler between the heat insulating boards due to the insulative boards bonded to the interio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not highlight the advantage as an earthen wall.
본 고안은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고안에 따르면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는 흙벽을 축조하는데에 있어 작업 시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arthen wall structure without a form is intended to provide an earthen wall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formwork in construction of an earthen wal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거푸집 대용으로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진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을 사용함으로서 작업비용 절감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공사 시 경제적인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중간지지철망의 결합과 거적물의 소재를 달리할 수 있어 단열효과 및 외관의 미려함을 제고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and easy to install structure and a vegetable mat made of eco-friendly material or a foot-shaped float to reduce the work cost and the work tim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construction And it is also intended to improve the adiabatic effect and the appearance of the exterior because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joining of the intermediate support wire and the material of the bristles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o be solved,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에 있어서,In an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a mold,
가로선과 세로선이 일정 간격으로 교차하여 연결된 망 형태의 철망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A wire mesh frame forming a framework of an earthen wall structur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wire mesh networks connected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tersecting a horizontal line and a vertical line at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each location;
상기 철망골조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 및A vegetation mat or foot-shaped fence joined to the wire mesh frame; And
상기 철망골조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earth mats filled between spaces formed in the wire net framework are organically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n earth wall.
이때, 철망은 흙벽 구조체의 전, 후면에 해당되는 철망의 상, 하부 또는 좌, 우측부가 일정 길이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철망골조를 형성하는 철망의 수를 감축할 수 있으며, 철망골조 내에는 흙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 또는 흙벽의 내구성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중간지지철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wire mesh can b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wire mesh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earthe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wire mesh forming the wire mesh frame, A plurality of auxiliary wire meshes for enhancing durability; Or an intermediate support wire net to enhance the durability and adiabatic effect of the earthen wall.
또한, 거적물은 식생매트,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와 같은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고, 흙반죽은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흙반죽과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과 같은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rsh water is composed of one or more of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vegetation mat, reed, rice straw, bamboo, sorghum and cedar, and the soil dough is composed of only yellow soil or soil dough and pearlite, Ash, bottom ash, or lightweight aggregate such as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or elvan.
그리고,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외면에는 흙반죽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gh is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g-wall structure without the dies or finely finished.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n the meantime,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all designate the term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concept can be defined properl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는 흙벽을 축조하는데에 있어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없어 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흙벽을 축조하는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 절감으로 공사 시의 전체적인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dug-wall structure without dies does not require a separate dies in the construction of the dug walls,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stallation work and disassembly of the dies, so that the overall economic cost .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철망의 형상 특성 상 흙벽을 구성하는데에 있어 결합작업을 해야 하는 결합면적이 감소됨으로서 작업효율을 증가시킨다.Also, since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wire net, the joining area required for the joining work is reduced in constructing the earth wall,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더하여서,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진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을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적물의 소재를 달리할 수 있어 외관의 미려함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중간지지철망을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으므로 흙벽의 내구성과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vegetative mat made of an eco-friendly material or coarse material in the form of a foot, the material of the coarse material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reby maximizing the appearance of the coarse material.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and insulation effect of the earth wall.
그리고, 화재 시 인체에 해로운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으므로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라 하겠다.And, it is a very effective design because there is no toxic gas harmful to human body in case of fi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구성요소 중 철망골조에 대한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구성요소 중 철망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구성요소인 중간지지철망이 결합된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구성요소인 중간지지철망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마감작업 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를 이용하여 완성된 건축물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에 대한 선행 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a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mesh frame among constituent elements of an unshaped earthenwa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n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a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 wire net among constituent elements of a dirt-fre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a mold coupled with an intermediate support wire net, which is a component of a dirt-free di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n embodiment of an intermediate support wire net, which is a component of a dirt wall structure without a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mold after finish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n embodiment of a completed building using the dirt-fre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representative view of a prior art for an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a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dirt-walled structure without dies, which 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 중 철망골조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unshrunk earthenwar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mesh frame among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1)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가로선(111)과 세로선(112)이 일정 간격으로 교차하여 연결된 망 형태의 철망(110)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100);와A
상기 철망골조(100)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200); 및A vegetation mat or foot-
상기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B);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한다.(B) filled between spaces formed in the wire mesh frame (1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constitute an earth wall.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골조(100) 내부에는 흙벽으로서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120)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철망(120)은 철망골조(100) 내에 등 간격으로 결합되어 격벽을 형성하는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보조철망(120)을 도시하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철망(120)의 수를 증가시켜 더욱 촘촘한 격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or FIG. 4, the
또한, 상기 철망(110)은 도 4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벽 구조체의 전, 후면에 해당되는 철망(110)의 상, 하부 또는 좌, 우측부가 일정 길이 절곡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철망골조(100)를 형성할 때 철망(110)의 수를 감축할 수 있다.4 (a) and 4 (b),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110)은 각각 상, 하, 좌, 우, 전, 후면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흙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결합되는 보조철망(120)으로 총 8[개]의 철망(110)이 필요하다면, 도 4의 실시 예를 통해 (a)는 전, 후, 좌, 우면, 보조철망(120) 또는 (b)는 전, 후, 상, 하면, 보조철망(120)으로 각각 총 6[개]의 철망(110)만을 결합하여 흙벽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or FIG. 2, the
일반적으로, 철망(110)은 상, 하, 좌, 우, 전, 후면 각각의 모서리를 서로 용접, 호그링 및 결속선 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으로 철망골조(100)를 형성하고, 일정 길이 절곡된 철망(110)에 대해서는 도 4의 (a)는 절곡된 상, 하부의 끝단을 각각 서로 마주 대어 결합함으로서 상면과 바닥면을 형성하게 하고 좌, 우면이 될 철망(110)을 각각 모서리에 결합하여 철망골조(100)를 형성한다.Generally, the
이와 마찬가지로, 도 4의 (b)는 절곡된 좌, 우측부의 끝단을 각각 서로 마주 대어 결합함으로서 좌면과 우면을 형성하게 하고, 상면과 바닥면이 될 철망(110)을 각각 모서리에 결합하여 철망골조(100)를 형성하게 한다.4 (b),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olded left and right sides are opposed to each other to form a seating surface and a right side, and a
또한, 철망골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벽으로서의 내구성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중간지지철망(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되어 질 수 있다.5, the
예를 들어, 도 6의 (a)의 중간지지철망(130)은 단순한 철망의 형상을 지니므로 흙벽으로서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실시 예이며, (b)는 중간지지철망(130) 일부에 거적물(200) 또는 단열재를 결합하여 삽입함으로서 흙벽의 내구성과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실시 예이며, (c)는 중간지지철망(130)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거적물(200) 또는 단열재를 결합함으로서 흙벽의 내구성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시 예이다.6 (a) is an embodiment for enhancing durability as an earth wall since the intermediate supporting
이때, 도 6의 (a), (b)는 철망골조(100) 내부에 결합되는 중간지지철망(130)으로 인해 형성된 격벽을 중심으로 충진되는 흙반죽(B)의 유동이 비교적 자유로워 각각의 공간 사이에 흙반죽(B)을 따로 충진할 필요가 없으나, 도 6의 (c)는 흙반죽(B)의 유동이 격벽에 의해 제한되므로 각각의 공간 사이에 흙반죽(B)을 따로 충진해야 한다.6 (a) and 6 (b) show the flow of the soil dough B filled around the partition walls formed by the intermediate support wire net 13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wire
철망(110)의 특성은 본 출원인이 가지고 있는 권리로서 등록된 선행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0404호의 "월패널 및 아트펜스용 개비온 및 그 제조방법"에 공시되어 있는 구성 및 방법과 일정부분 동일하나, 철망(110)이 필요에 따라 일정 길이 절곡되는 특성에 한한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이는, 흙벽을 구성하는데에 있어 흙벽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촉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때, 접촉면을 확보하여 흙벽으로서의 안정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arth wall by securing the contact surface when the bottom wall of the earth wal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s vertically erected in constructing the earth wall.
거적물(200)은 식생매트,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와 같은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는데, 종래 기술에 반드시 필요했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아도 거푸집 대용으로 흙벽을 구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거적물(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110)을 기준으로 철망(110)의 안쪽면에 고정되어 철망골조(100) 내의 공간 사이에 충진된 흙반죽(B)이 철망골조(100)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형상 그대로 벽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3, the
즉, 친환경소재로 구성된 거적물(200)은 흙벽을 구성할 때 흙반죽(B)과 일체가 되어 별도의 해체작업이 필요없이 본 고안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1)의 구성이 되며, 친환경소재이므로 상술한 흙벽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또한, 거적물(200)은 철망(110)을 기준으로 철망(110)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좀 더 흙벽으로서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와 선택에 따라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흙반죽(B)은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흙반죽(B)과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과 같은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하여 구성된다.The soil dough (B) consists of only yellow soil or a mixture of soil dough (B) and lightweight aggregates such as pearlite, fly ash, bottom ash or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or elvan.
이는,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흙벽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황토흙 또는 맥반석 및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을 첨가하는 것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흙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술한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와 같은 경량골재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it may be constituted only by adding yellow clay or quartz and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clay wall is installed.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lay wall, the pearlite, fly ash, And the same lightweight aggregate may be mixed together.
또한, 흙반죽(B)은 황토흙과 잘게 썰은 볏집, 소금, 기타 황토의 강도증진과 경량화를 강화하기 위한 보조재와 혼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흙반죽(B)의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해초의 끓인 물을 사용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soil dough (B) may be mixed with auxiliary materials for enhancing the strength and lightness of the yellow soil and the finely chopped rice straw, salt and other yellow clay. In order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soil dough (B)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흙벽이 구성된 후에는, 최종적으로 흙벽의 외면에 흙반죽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마무리한다.After the earth wall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earth dough is finally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th wall or finely finished to finish the appearance more beautifully.
즉, 본 고안은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흙반죽(B)을 충진하여 흙벽을 이루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ill the soil paste B between the spaces formed in the wire
따라서, 본 고안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1)는 철망골조(100)를 형성하는 각 철망(110)의 결합면적을 감소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 대용으로 식생매트 및 발 형태의 거적물(200)을 사용함으로서 종래 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흙벽이 완성된 후의 거푸집 해체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이로 인한 작업비용 절감 및 거푸집의 설치/해체작업에 필요했던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더하여서, 도면에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실시 예로서 철망(110)에 열선장치를 결합하여 동절기에는 보온이 되는 흙벽 구조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a wall structure that is kept warm in the winter season by connecting a hot wire apparatus to the wire net 110 as an embodiment.
일반적인 건축물에 설치되는 내, 외장재 및 단열재 등은 화학적인 물질로 이루어진 석면, 스티로폼, 암면, 유리솜 따위로 구성되는 이러한 화학적인 물질은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어 새집 증후군 등을 유발한다.These chemical substances, which consist of asbestos, styrofoam, rock wool, glass wool, etc. made of chemical materials such as inner, outer and insulation materials installed in general buildings, release environmental hormones and cause sick house syndrome.
또한, 이들은 화재 발생 시 자가연소가 이루어져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며, 대부분 재활용이 불가능하다.In addition, they are self-ignited when a fire occurs, producing a toxic gas, which has a fatal effect on the human body, and most of them are not recyclable.
이에 따라, 폐기 시 소각이나 매립을 하게 되는데, 매립 시 이들은 신속히 분해되지 않고, 소각 시에는 유독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생성되므로 화학적인 물질로 만들어진 건축물의 내, 외장재 및 단열재 등은 인체, 재산, 환경 등에 커다란 피해를 준다.Accordingly, incineration or landfilling is carried out at the time of disposal. When they are incinerated, they are not decomposed promptly and harmful substances such as poisonous gases are generated at the time of incineration. Therefore, inside, exterior and insulation materials of buildings made of chemical materials, It causes great damage to the environment.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1)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인체와 환경에 이로운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8,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의 마감작업 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thenware structure without mold after finishing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so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오늘날 건축자재로 널리 쓰이는 콘크리트와 같은 가공재는 제조과정에서 부터 자연을 파괴하고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므로 공해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해체 시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폐기물은 토양을 오염시키므로 자연 생태계를 훼손하는 문제가 있다.Concrete such as concrete, which is widely used today as construction material, destroys nature and consumes a lot of energy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the concrete waste generated during dismantling pollutes the soil. There is a problem to damage.
반면, 흙은 건축물의 수명을 다하여 해체되더라도 자연상태 그대로 고스란히 환원되므로 자연생태계를 오염시키거나 훼손할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단연 친환경적인 재료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oil is a kind of eco - friendly material in that it does not cause pollution or destruction of a natural ecosystem because it is restored to its natural condition even if it is dismantled through the lifetime of the building.
따라서, 본 고안인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는 흙벽을 제조하는 제조업 및 건축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manufacturing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in which an earthen wall is manufactured.
1 :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
100 : 철망골조 110 : 철망
111 : 가로선 112 : 세로선
120 : 보조철망 130 : 중간지지철망
200 : 거적물 B : 흙반죽1: Elliptical structure without mold
100: wire mesh frame 110: wire mesh
111: horizontal line 112: vertical line
120: auxiliary wire net 130: intermediate support wire net
200: Big water B: Earth dough
Claims (7)
가로선(111)과 세로선(112)이 일정 간격으로 교차하여 연결된 망 형태의 철망(110)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되, 흙벽 구조체의 전, 후면에 해당되는 철망(110)은 상, 하부 또는 좌, 우측부가 일정 길이 절곡되고 흙벽으로서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120)이 구성된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100);
상기 철망골조(100) 내의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B)이 철망골조(100)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형상 그대로 벽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철망골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의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된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200); 및
상기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황토흙과 잘게 썰은 볏집, 소금, 황토의 강도증진과 경량화를 강화하기 위한 보조재가 혼합된 혼합물에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의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되어 구성되는 흙반죽(B);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하되,
철망골조(100) 내에는 흙벽으로서의 내구성 및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일부 면적 또는 전체 면적이 거적물(200) 또는 단열재로 결합된 중간지지철망(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와 같이 철망골조(100), 거적물(200), 흙반죽(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흙벽의 외면에 최종으로 흙반죽(B)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마감함으로서 친환경적인 흙벽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 없는 흙벽 구조체.In an earthen structure 1 without a form
A plurality of mesh-type wire meshes 110 connected with the horizontal lines 111 and the vertical lines 112 at regular interv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and the wire meshes 110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wall- A wire net framework (100) for forming a framework of an earthen structu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uxiliary wire meshes (120)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as an earthen wall by bending a certain length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portions;
The reeds (B) fix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wire net framework (100) so that the soil binder (B) filled in spaces between the wire net frameworks (100) (200) consisting of a mixture of one or more of eco-friendly materials of rice straw, bamboo, cypress, and cedar; And
A mixture of clay, sand, loess, and auxiliary material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and lightness of the clay, salt, and loess, which are composed only of the clay soil filled between the spaces formed in the wire net framework 100, (B) composed of an ash, a functional mineral powder, or lightweight aggregate of a quartz st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n order to enhance the durability and the heat insulation effect as the earth wall, the wire net framework 100 further includes an intermediate support wire net 130 in which a part or an entire area is combined with the water 200 o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B) is finally sprayed or finely finish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th wall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e dirt paste (100), the dross (200) and the dough (B), thereby completing an eco-friendly earth wall Earthed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960U KR200483455Y1 (en) | 2015-09-07 | 2015-09-07 | Soil wall without mou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5960U KR200483455Y1 (en) | 2015-09-07 | 2015-09-07 | Soil wall without moul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978U KR20170000978U (en) | 2017-03-15 |
KR200483455Y1 true KR200483455Y1 (en) | 2017-05-18 |
Family
ID=5841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5960U Active KR200483455Y1 (en) | 2015-09-07 | 2015-09-07 | Soil wall without moul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3455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4614A (en) * | 2017-07-04 | 2019-01-14 | 최광훈 | Strawbale block using gabion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2208729B1 (en) * | 2020-05-06 | 2021-01-28 | 한국도시재생기술(주) | Foamed pearlite pane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7281A (en) | 2022-11-24 | 2024-05-31 |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 Double-insulated Wall Panel using Reinforced Wire Mesh Structur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547B1 (en) * | 2010-08-12 | 2012-07-05 | 성지산업 주식회사 | Reinforcement mattress gabion for afforestation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120021834A (en) * | 2010-08-19 | 2012-03-09 | 화천군 | Wall structure of korean style house and construction work method thereof |
KR101374806B1 (en) | 2011-04-11 | 2014-03-17 | 박은태 | Form-free both insulation wall |
KR101454276B1 (en) | 2012-01-17 | 2014-10-23 | 정문형 | method for constructing soil structure |
-
2015
- 2015-09-07 KR KR2020150005960U patent/KR200483455Y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4614A (en) * | 2017-07-04 | 2019-01-14 | 최광훈 | Strawbale block using gabion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2103555B1 (en) * | 2017-07-04 | 2020-04-22 | 최광훈 |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using strawbale block |
KR102208729B1 (en) * | 2020-05-06 | 2021-01-28 | 한국도시재생기술(주) | Foamed pearlite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0978U (en) | 2017-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3455Y1 (en) | Soil wall without mould | |
KR101003371B1 (en) | Soil wall frame module, Soil wall frame and soil frame, and soil wall construction method | |
KR20170003836U (en) | Wall structure using a gabion | |
EP3404160B1 (en) | Building element made of a fibrous material and building construction utilizing same | |
KR101736917B1 (en) | Soil wall without mould | |
KR101205008B1 (en) | Eco-friendly housing construction for ocher walls panels | |
CN202202475U (en) | Wood-plastic perlite composite wallboard | |
KR101596384B1 (en) | Edo-friendly insulation structure | |
KR100638273B1 (en) | Earthed building walls | |
US20060096222A1 (en) | Multi-use walls comprising tongue-and-groove tiles and a metal structure which is intended for, for example, floors, walls fences and steps | |
KR100751234B1 (en) | Ocher panel structure | |
RU71682U1 (en) | FIXED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MONOLITHIC WALLS WITH SIMULTANEOUS FACADE OF THE FACADE | |
SK6047Y1 (en) | Panel with cellular structure | |
KR970007699B1 (en) | How to build a wall collection based on ocher soil | |
KR20090126660A (en) | Honeycomb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loess mortar using same | |
KR101695634B1 (en) |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retaining wall | |
KR200402113Y1 (en) | A panel for an inner wall of a building | |
KR102410243B1 (en) | Concrete slab with reinforcing member | |
WO2014077576A1 (en) | Wall body frame module allowing brick wall to be made without bricks | |
KR200182656Y1 (en) | Structure of panel for constructing loess house | |
KR20050096285A (en) | The construction method for a loess structure that use c-type steel, h beam and material wood | |
KR100799091B1 (en) | Ocher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
KR200370258Y1 (en) | A panel for an outer wall of a building | |
KR100605149B1 (en) | Ocher / wooden houses and their construction methods | |
KR20140062721A (en) | Brick frame wall pannel module without bli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090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705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5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