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3351Y1 - 스노클링 마스크 - Google Patents

스노클링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51Y1
KR200483351Y1 KR2020160006201U KR20160006201U KR200483351Y1 KR 200483351 Y1 KR200483351 Y1 KR 200483351Y1 KR 2020160006201 U KR2020160006201 U KR 2020160006201U KR 20160006201 U KR20160006201 U KR 20160006201U KR 200483351 Y1 KR200483351 Y1 KR 200483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reathing
balloon
mask
breathing tu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군
Original Assignee
박효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군 filed Critical 박효군
Priority to KR2020160006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51Y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6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20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 B63C11/205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11/207Air supply from water surface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with hoses connected to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2011/128Straps, or the like for fastening diving masks; Accessories therefor, e.g.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면 밀착성이 좋고 호흡관을 통해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상 안전성이 향상된 스노클링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안면 전체를 덮을 수 있으며 전면에는 투명한 창이 설치되는 마스크본체; 일단은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에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마스크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길게 연결되는 호흡관; 상기 호흡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흡관의 말단이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노클링 마스크{Snorkeling Mask}
본 고안은 스노클링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안면 밀착성이 좋고 호흡관을 통해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상 안전성이 향상된 스노클링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스노클링(Snorkeling)은 수경(Mask)과 스노클(Snorkel)을 착용한 채 수심이 그리 깊지 않은 곳에서 잠영을 즐기거나 수면에서 머리를 들지 않고 얼굴을 물속에 담근 상태로 호흡하면서 수영과 동시에 수중의 경관을 즐기기 위한 레저스포츠이다.
종래의 스노클링 장비 중 호흡관이 있는데, 이는 물안경과 별도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호흡관을 입에 물고 호흡을 하도록 되어 있다. 호흡관이 짧은 경우에는 물이 들어가기 쉽고 행동의 제한이 많아서 불편하고, 너무 긴 경우에는 호흡이 어려워 불편하다. 개인적 차이가 있겠지만 호흡관을 입에 장시간 물고 있는 것도 불편한 일이다. 때에 따라서 관광지와 같은 곳에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것을 이어받아 사용하는 경우라면 불결한 느낌이 드는 것은 당연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32290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8-0007448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안면 전체에 착용함으로써 입으로 호흡관을 물고 있지 않아도 되며, 파도나 심한 움직임 때문에 물이 호흡관을 통해 유입되는 문제가 거의 없는 스노클링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타 목적은 이후의 설명을 통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안면 전체를 덮을 수 있으며 전면에는 투명한 창이 설치되는 마스크본체; 일단은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에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마스크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길게 연결되는 호흡관; 상기 호흡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흡관의 말단이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하는 부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클링 마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부력체는 구형으로 된 볼풍선과, 상기 볼풍선의 주변에 설치되며 상기 볼풍선에 연결되어 있는 링형상으로 된 링풍선과, 상기 호흡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풍선 상부에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차수대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관의 타단은 상기 볼풍선 상부 및 상기 차수대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스크본체는 안면 전체를 감싸는 넓이를 가지는 투명한 창이 고정 설치되는 마스크프레임; 눈코입 주변을 에워싼 상태로 수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프레임 배면에 고정되는 주패킹; 사용자의 눈과 코 사이를 구획하여 공간적으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패킹의 중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보조패킹;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관은 상기 마스크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패킹에 의해 구획되는 호흡공간까지 연장되되;
상기 호흡관은 들숨과 날숨을 구분하여 소통시키기 위하여 각각 체크밸브기구를 갖는 2개의 단위호흡관으로 구성되며;
들숨을 위한 단위호흡관은 사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수경공간까지 연장되며; 들숨을 코와 입이 위치하는 호흡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조패킹에는 연결관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마스크프레임과 호흡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호흡관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꺾임방지관이 상기 호흡관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호흡관 중간에는 체크밸브기구가 설치되되;
상기 체크밸브기구는 상기 호흡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밸브관체와, 일단은 상기 밸브관체의 일측 내벽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은 타측 내벽에 경사지게 지지되는 셔터와, 일단은 상기 셔터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관체의 타측 내벽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셔터의 타단이 상기 밸브관체의 타측 내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면 전체에 착용함으로써 입으로 호흡관을 물고 있지 않아도 되어 위생적으로 좋으며 입이 자유로워 편안한 스노클링 마스크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파도나 심한 움직임 때문에 물이 호흡관을 통해 유입되는 문제가 거의 없으며 벌레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으며,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수중경관을 더욱 만끽할 수 있으며, 호흡이 편안한 스노클링 마스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노클링 마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노클링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노클링 마스크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노클링 마스크의 호흡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스노클링 마스크의 호흡관 단부의 단면 구성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노클링 마스크는 마스크본체(10), 호흡관(30) 및 부력체(20)를 포함한다.
마스크본체(10)는 안면 전체를 덮을 수 있으며 그의 전면에는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된 창(12)이 설치된다. 호흡관(30)은 일단(31b)이 마스크본체(10) 내부 공간까지 연장되고 타단(31a)은 마스크본체(10)를 관통하여 외부로 길게 연장된다. 부력체(20)는 호흡관의 타단(31a)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호흡관(30)의 말단이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부력체(20)는 구형으로 된 볼풍선(21)과, 볼풍선(21)의 주변에 설치되며 볼풍선(21)에 연결되어 있는 링형상으로 된 링풍선(22)과, 호흡관(30)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수대(23)를 포함한다. 차수대(23)는 볼풍선(21)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붕처럼 호흡관의 타단(31a)를 가릴 수 있는 원판 형태로 되어 있다. 차수대(23) 역시 풍선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볼풍선(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호흡관의 타단(31a)은 볼풍선(21) 상부 및 차수대(23) 저부에 위치될 수 있다.
링풍선(22)은 부력체(20)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부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링풍선(22)과 볼풍선(21)은 연결부(2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부력체(20)에는 하나의 공기주입구를 통해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호흡관(30)의 연장길이(L)는 선택적인 사항이며, 위험하지 않으며 호흡에 지장이 없는 정도에서 충분히 길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흡관(30)의 연장길이(L)는 예를 들어 30 ~ 100cm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종래의 것보다 훨씬 자유롭고 편하게 수중 경관을 만끽할 수 있다.
호흡관(30)은 볼풍선(2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볼풍선(21)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호흡관(30)은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호흡관(30)은 좌우 대칭 형태로 2개의 단위호흡관(31)으로 구성되고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들숨을 위한 단위호흡관(31')은 사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수경공간(S1)까지 연장되며, 나아가 들숨을 코와 입이 위치하는 호흡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연결관(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호흡관의 타단(31a)은 "∩" 형태로 절곡되어 위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호흡관의 타단(31a)에는 벌레와 같은 작은 이물질이 호흡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물질유입방지캡(34)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물질유입방지캡(34)은 호흡관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36)를 가진다. 이물질유입방지캡(34)의 공기유입구에는 메쉬망(35)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호흡관(30) 중간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체크밸브기구(40)가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기구(40)는 호흡관(30)의 중간에 설치되는 밸브관체(41)와, 일단은 밸브관체의 일측 내벽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은 타측 내벽에 경사지게 지지되는 셔터(42)와, 일단은 셔터(42)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밸브관체(41)의 타측 내벽에 지지됨으로써 셔터(42)의 타단이 밸브관체(41)의 타측 내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화살표(W1) 방향으로부터 유입될 때에는 셔터(42)가 강하게 밸브관체(41)에 더 강하게 지지됨으로써 공기가 좌측으로 통과되지 못한다. 그러나 공기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W2) 방향으로부터 유입될 때에는 스프링(4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셔터(42)를 회전 개방함으로써 공기가 우측으로 통과될 수 있게 된다. 셔터(42)는 힌지핀(43)에 의해 회동될 수 있게끔 설치되며, 셔터(42)의 끝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소프트하고 유연한 고무나 실리콘 소재의 실링부재(44)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스크본체(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주로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마스크본체(10)는 안면 전체를 감싸는 넓이를 가지는 투명한 창(12)이 고정 설치되는 마스크프레임(11)을 포함한다. 주패킹(1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코입 주변을 에워싼 상태로 수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프레임(11) 배면에 고정된다. 주패킹(14)의 형상을 유지시켜주기 위하여 마스크프레임(11)의 테두리과 주패킹(14) 사이에는 패킹지지구(16)가 주패킹(14)을 따라 곳곳에 개입 설치된다. 주패킹(14)은 인체와의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로 되어 있다.
또한 보조패킹(15)이 사용자의 눈과 코 사이를 구획하여 공간적으로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패킹(14)의 중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보조패킹(15)은 주패킹(14)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마스크본체(10)의 내부공간을 수경공간(S1)과 호흡공간(S2)으로 구획한다. 보조패킹(15)은 호흡에 의해 창(12) 내벽에 습기가 차서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고정밴드(13)는 마스크프레임(11)을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프레임(11)의 상하에 연결된다. 고정밴드(13)는 마스크프레임(11)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밴드연결링(11a,11b)에 연결된다. 고정밴드(13)는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탄성소재로 되어 있다. 날숨을 위한 단위호흡관(31)의 일단(31b)은 마스크프레임(11)을 관통하여 보조패킹(15)에 의해 구획되는 호흡공간(S2)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들숨을 위한 단위호흡관(31')의 단부는 수경공간(S1)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31")이 수경공간(S1)과 호흡공간(S2)이 소통되도록 보조패킹(15)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관의 일단(31"a)은 수경공간을 향해 개방되고, 타단(31"b)은 호흡공간(S2)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연결관(31")은 들숨이 수경공간(S1)을 거치면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신선한 공기가 수경공간(S1)에 유입되어 습기가 차서 창(12)이 뿌옇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체크밸브기구(40)는 이 연결관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로써 들숨은 화살표(A1)을 따라 호흡공간(S2)으로 유입되며, 날숨은 화살표(A2)를 따라 수경공간(S1)을 거치지 않고 마스크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프레임(11)과 호흡관(30)의 연결부위 및 부력체(20)와 호흡관(30)의 연결부위에는 호흡관(30)이 심하게 꺾이어 호흡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꺾임방지관(32,33)이 설치될 수 있다. 꺽임방지관(32,33)은 단위호흡관(31)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주름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마스크본체 11 : 마스크프레임
12 : 창 14 : 주패킹
15 : 보조패킹 16 : 패킹지지구
20 : 부력체 21 : 볼풍선
22 : 링풍선 23 : 차수대
24 : 연결대 30 : 호흡관
31 : 단위호흡관 31" : 연결관
32,33 : 꺾임방지관 34 : 이물질유입방지캡
40 : 체크밸브기구 41 : 밸브관체
42 : 셔터 43 : 힌지핀
44 : 실링부재 46 : 스프링

Claims (5)

  1. 안면 전체를 덮을 수 있으며 전면에는 투명한 창이 설치되는 마스크본체;
    일단은 상기 마스크본체 내부에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마스크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길게 연결되며, 타단이 볼풍선 상부 및 차수대 저부에 위치되는 호흡관;
    상기 호흡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호흡관의 말단이 수면 위에 부상하도록 하되, 구형으로 된 볼풍선과, 상기 볼풍선의 주변에 설치되며 상기 볼풍선에 연결되어 있는 링형상으로 된 링풍선과, 상기 호흡관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풍선 상부에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차수대를 포함하는 부력체;
    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본체는,
    안면 전체를 감싸는 넓이를 가지는 투명한 창이 고정 설치되는 마스크프레임;
    눈코입 주변을 에워싼 상태로 수밀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프레임 배면에 고정되는 주패킹;
    상기 주패킹과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주패킹의 중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마스크본체의 내부공간을 수경공간과 호흡공간으로 구획하고, 사용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된 습기로 인해 시야가 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패킹;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스크프레임에 연결되는 고정밴드;
    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관은 상기 마스크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패킹에 의해 구획되는 호흡공간까지 연장되되,
    상기 호흡관은 들숨과 날숨을 구분하여 소통시키기 위하여 각각 체크밸브기구를 갖는 2개의 단위호흡관으로 구성되며,
    들숨을 위한 단위호흡관은 사용자의 눈이 위치하는 수경공간까지 연장되며, 들숨을 코와 입이 위치하는 호흡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조패킹에는 연결관이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호흡관의 타단(31a)은 "∩" 형태로 절곡되어 위에서 떨어지는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호흡관의 타단에는 이물질이 호흡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유입방지캡이 끼워져 고정되고, 이물질유입방지캡은 호흡관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를 가지고, 이물질유입방지캡의 공기유입구에는 메쉬망이 고정되며,
    상기 호흡관 중간에는 체크밸브기구가 설치되되,
    상기 체크밸브기구는,
    상기 호흡관의 중간에 설치되는 밸브관체;
    일단은 상기 밸브관체의 일측 내벽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은 타측 내벽에 경사지게 지지되는 셔터;
    일단은 상기 셔터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관체의 타측 내벽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셔터의 타단이 상기 밸브관체의 타측 내벽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클링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프레임과 호흡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호흡관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꺾임방지관이 설치되며, 상기 꺽임방지관은 주름관 형태를 이루어 상기 호흡관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클링 마스크.

  5. 삭제
KR2020160006201U 2016-10-25 2016-10-25 스노클링 마스크 Expired - Fee Related KR200483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01U KR200483351Y1 (ko) 2016-10-25 2016-10-25 스노클링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201U KR200483351Y1 (ko) 2016-10-25 2016-10-25 스노클링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51Y1 true KR200483351Y1 (ko) 2017-05-02

Family

ID=5871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20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83351Y1 (ko) 2016-10-25 2016-10-25 스노클링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5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70B1 (ko) * 2017-09-06 2018-12-17 박충현 구명 조끼
KR20190066454A (ko) 2017-12-05 2019-06-13 정승일 실린더를 포함하는 풀 페이스 마스크
CN115056945A (zh) * 2022-07-04 2022-09-16 东莞市仁通泳潜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救生潜水两用呼吸管
KR20230135749A (ko) * 2022-03-17 2023-09-26 원린수 수중관광용 자전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321A (ko) * 1986-12-08 1988-08-26 이인승 오뚜기 호흡 수중 마스크
KR200186287Y1 (ko) * 1999-12-20 2000-06-15 모영환 콤바인의 탈곡장치
KR200265786Y1 (ko) * 2001-12-07 2002-02-25 정완훈 수중 호흡장치
KR200408098Y1 (ko) 2005-11-15 2006-02-07 김창범 스노클링용 물안경
KR200446286Y1 (ko) * 2007-09-28 2009-10-14 조용출 스노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7321A (ko) * 1986-12-08 1988-08-26 이인승 오뚜기 호흡 수중 마스크
KR200186287Y1 (ko) * 1999-12-20 2000-06-15 모영환 콤바인의 탈곡장치
KR200265786Y1 (ko) * 2001-12-07 2002-02-25 정완훈 수중 호흡장치
KR200408098Y1 (ko) 2005-11-15 2006-02-07 김창범 스노클링용 물안경
KR200446286Y1 (ko) * 2007-09-28 2009-10-14 조용출 스노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170B1 (ko) * 2017-09-06 2018-12-17 박충현 구명 조끼
KR20190066454A (ko) 2017-12-05 2019-06-13 정승일 실린더를 포함하는 풀 페이스 마스크
KR20230135749A (ko) * 2022-03-17 2023-09-26 원린수 수중관광용 자전거 장치
KR102684728B1 (ko) 2022-03-17 2024-07-12 원린수 수중관광용 자전거 장치
CN115056945A (zh) * 2022-07-04 2022-09-16 东莞市仁通泳潜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救生潜水两用呼吸管
CN115056945B (zh) * 2022-07-04 2023-08-22 东莞市仁通泳潜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救生潜水两用呼吸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556A (en) Snorkel with a laterally extended downward opening for airflow entry and a universally adjustable mouthpiece
ES2748344T3 (es) Máscara de buceo con esnórquel integrado
KR200483351Y1 (ko) 스노클링 마스크
ES2231686T3 (es) Mascara de cara completa con junta estanca para la cara y adaptadores desmontables que permiten acceso total a espacios separados.
ES2320173T3 (es) Unidad de observacion subacuatica para un colchon neumatico.
CN107380371A (zh) 一种单进单出浮潜面罩
US3345984A (en) Diving mask with snorkel
JP7640128B2 (ja) ダイビングマスク
WO2013167769A1 (es) Gafas de natación con alimentación de aire mediante la respiración
JP3215517U (ja) シュノーケリングマスク
CN205872407U (zh) 一种具有一体式结构浮潜全面罩
ES1150358U (es) Máscara facial para buceo deportivo
CN109110089B (zh) 浮潜呼吸器
US11655011B2 (en) Snorkel with buoyant support
US20230277792A1 (en) Non-rebreather face mask with low dead space
US20230100067A1 (en) Underwater sports equipment, and a bridge connecting a mask and a breathing tube
US11794076B2 (en) Floatable breathing device
US7793657B1 (en) Facemask snorkel
US859786A (en) Swimming-mask.
KR200408098Y1 (ko) 스노클링용 물안경
US20210331039A1 (en) Floatable Breathing Device
EP4247704B1 (en) A swim mask
CN2378080Y (zh) 可呼吸防溺水游、潜两用镜
US20230270964A1 (en) Non-rebreather face mask with directed airflow
KR200199702Y1 (ko) 수직위치 복원력이 있는 부유물을 이용한 수영인의 깊은수중 호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10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1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4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02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