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83248Y1 -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 Google Patents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48Y1
KR200483248Y1 KR2020160005550U KR20160005550U KR200483248Y1 KR 200483248 Y1 KR200483248 Y1 KR 200483248Y1 KR 2020160005550 U KR2020160005550 U KR 2020160005550U KR 20160005550 U KR20160005550 U KR 20160005550U KR 200483248 Y1 KR200483248 Y1 KR 200483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hammer
finger
grooves
grip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민섭
Original Assignee
우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민섭 filed Critical 우민섭
Priority to KR2020160005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48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41D13/087Hand protectors especially f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3/00Portable devices for holding and guiding nails; Nail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7/00Accessories for nailing or stapling tool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치질 중 못을 파지함에 있어 손가락 보호구를 이용하여 못의 파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손가락 부분에 타격이 가해지거나 타격 진동 등을 통한 심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손가락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는 등 망치질 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또한, 손가락 보호구를 이용하여 못을 파지시 그 못의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게 하여 타격중 못이 이탈되거나 비틀어지는 등을 방지하여 항시 안정된 파지 및 정확한 타격으로 못을 박을수 있게 하기 위한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Finger protection for hammer works}
본 고안은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치질 작업중 못을 파지하고 있는 손가락을 타격하여 부상 당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박고하 하는 못의 다양한 각도로의 파지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치는, 타격용의 공구로 직종,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세차게 두드리며 쇠를 연마하거나, 못을 박는 공구로,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자루와, 그 자루의 단부에 형성되어 못의 타격이 가능한 헤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망치는, 목제로는 작은 것에 나무망치, 큰 것으로는 말뚝박기 등에 사용하는 메 등이 있으며, 철제로는 목공용 망치, 세공용 망치, 철공용의 한손 해머, 판금용 해머 등이 있다. 또 각종 공사용 해머, 직종에 따른 망치류(구둣방용·유리점용 등)도 있다. 한국의 가정에서 많이 쓰는 장도리는 망치의 일종으로, 다른 한쪽은 못을 박고, 한쪽은 못을 뽑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망치를 사용하여 나무 등에 못을 박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한 손으로 망치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의 손가락으로는 못을 파지 및 박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게 되며, 이에 망치의 헤드를 이용하여 못의 머리를 타격 및 박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망치질 방법은 자칫 사용자가 못의 머리를 타격 중 빗맞게 되거나 타격후 미끄러짐을 통해 못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타격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타격중 못에 전해지는 타격 진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어 통증을 일으키 등 이에 따른 부상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격중 못이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비틀어져 제대로된 타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7227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망치질 중 못을 파지함에 있어 손가락 보호구를 이용하여 못의 파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손가락 부분에 타격이 가해지거나 타격 진동 등을 통한 심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손가락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는 등 망치질 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손가락 보호구를 이용하여 못을 파지시 그 못의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게 하여 타격중 못이 이탈되거나 비틀어지는 등을 방지하여 항시 안정된 파지 및 정확한 타격으로 못을 박을수 있게 하기 위한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강질의 PVC 재질로 구성되고 양측 한 쌍을 이루며,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은 개구되어 내측에 손가락 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로 구성하되,
양측 몸체의 대항면에는 양측 몸체를 면접시 하나의 원을 이루는 반원 형태의 적어도 2열 이상을 이루며,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통되는 못 파지홈이 각각 형성되게 구성하며,
어느 하나의 못 파지홈은 수직을 이루게 구성하고, 나머지 못 파지홈은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는, 양측 한 쌍의 몸체를 이용하여 못을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씌워 보호함으로, 망치질 중 손가락 부분에 헤드의 타격이 가해지거나 타격 진동 등으로 인한 심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손가락의 보호가 가능하게 되는 등 망치질 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체의 대항면에 형성된 못 파지홈을 통해 못의 안정된 파지 고정이 가능하여 타격중 못이 이탈되거나 비틀어지는 등을 방지하여 항시 안정된 파지 및 정확한 타격으로 못을 박을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못 파지홈이 다양한 각도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못의 파지 각도의 조절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못 파지홈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못 파지홈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1)는, 양측 한 쌍의 몸체(100)(100')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몸체(100)(100')는 망치의 헤드가 타격시 그 충격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질로 된 PVC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 방향의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몸체(100)(100')에는 그 일측이 개구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삽입 및 수용이 가능하도록 손가락 수용홈(110)(110')이 구성된다.
즉, 몸체(100)(100')는, 사용자가 통상 못의 파지시 사용되는 엄지와 검지를 각각 손가락 수용홈(110)(110')에 삽입 수용 후 못의 파지시와 같이 손가락을 맞대어 몸체(100)(100')의 대항면이 맞대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양측 몸체(100)(100')의 대항면에는, 각각 서로 대항되는 위치에 다수 즉, 적어도 2열 이상의 못 파지홈(120)(120')을 각각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못 파지홈(120)(120')은 대항되는 몸체(100)(100') 방향으로 개방되는 반원 형태로 구성되고 그 몸체(100)(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양측 몸체(100)(100')는, 각각에 형성된 대항되는 못 파지홈(120)(120')에 못의 몸통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양측 몸체(100)(100')를 맞대게 되면 못 파지홈(120)(120')에 못이 고정 파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몸체(100)(100')를 구성함에 있어, 일예로 다양한 동물의 얼굴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의 몸체(100)를 동물의 얼굴 상부에 해당하는 외형을 이루게 하고, 타측의 몸체(100')를 동물의 얼굴 하부에 해당하는 외형을 이루게 구성하여 서로간에 맞대어질 시 온전한 동물 얼굴 형상을 이루게 구성되며, 이때 못 파지홈(120)(120')은 동물의 이빨에 해당하게 디자인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각각의 몸체(100)(100')에 형성된 다수의 못 파지홈(120)(120')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 일예로 선단에 형성된 못 파지홈(120)은 몸체(100)(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하게 수직을 이루게 구성하고, 나머지 못 파지홈(120')은 서로 다른 경사도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못 파지홈(120)(120')을 구성함에 있어, 다른 각도로 구성함은 나무 등에 못을 박을시에는 항시 수직으로 박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사로 박을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이에 각기 다른 각도의 못 파지홈(120)(120')을 선택 사용하여 못의 파지는 물론 방향성의 확보 또한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1)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못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도록 대항되는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는 다수조의 어댑터(200)(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각각의 몸체(100)(100')의 대항면에는 나사공(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각각의 몸체(100)(100') 대항면에는 각조의 어댑터(200)(200')가 착탈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조의 어댑터(200)(200')에는 상기 나사공(130)과 대항되는 볼트삽입공(230)이 형성되어 볼트(240)를 이용하여 어댑터(200)(200')를 각각의 몸체(100)(100') 대항면에 착탈 결합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조의 어댑터(200)(200')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는 못 파지홈(120a)(120b)이 형성된 것으로, 사용되는 못의 직경에 따라 어댑터(200)(200')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1)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맞대어지는 양측 몸체(100)(100')의 고정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어느 한 측의 몸체(100) 상부에는 각각 반대측 몸체(100') 측으로 힌지(도면중 미도시함) 회동되는 철재로 된 고정핀(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한 측의 몸체(100) 상부에는 상기 고정핀(160)과 부착 가능한 자석(170)이 형성된다.
즉, 양측 몸체(100)(100')를 이용하여 못을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핀(160)을 회동 및 자석(170)에 부착하여 그 안정된 파지력이 유지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핀(160)과 자석(170)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몸체(100)(10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홈을 두어 형성함으로 못의 타격시 간섭받지 않게 구성함이 바락직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1)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양측 몸체(100)(100')를 파지함에 있어 그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양측 몸체(100)(100')의 손가락 수용홈(110)(110')의 못 파지홈(120)(120') 측에는 실리콘 재질로 된 미끄럼 방지패드(111)(111')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1)는 그 몸체(100)(100')를 구성함에 있어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내충격성이 강하고, 특히 인체에 해가 적은 PVC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함에 있어 저 비용으로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1)를 사용시에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을 각각의 몸체(100)(100')에 형성된 손가락 수용홈(110)(110')에 수용 장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못(10)을 파지함에 있어 직접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것이 아니고 손가락 보호구(1)를 이용하여 간접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못(10)을 파지시에는 각각의 몸체(100)(100') 대항면에 형성된 못 파지홈(120)(120')에 못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양측 몸체(100)(100')를 오므려 못을 파지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파지된 못(10)은 못 파지홈(120)(120')에 구속되어 고정력이 부여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몸체(100)(100')를 이용하여 못을 파지한 상태에서 망치질을 수행하되, 망치질시 자칫 잘못으로 하여 못(10)이 빗맞더라도 망치(20)의 헤드(21)가 사용자의 손가락을 타격하는 것이 아니고 각가의 몸체(100)(100')를 타격하게 되는 것인바, 사용자의 손가락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망치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못(10)의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이 손가락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등 항시 안전한 망치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통상의 망치질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항시 수직 상태로만 못을 박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경사로 못을 박는 경우도 있는 것인데, 이때 본 고안 손가락 보호구(1)는, 도 3을 참조하여 각각의 몸체(100)(100')에 형성되는 못 파지홈(120)(120')이 수직 방향은 물론 다양한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 위치의 못 파지홈(120)(120')을 선택 사용함으로 경사에 따라서도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손가락 보호구(1)를 사용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4를 참조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다수조의 어댑터(200)(200')를 사용시에는 못(10)의 직경에 따라 적절한 못 파지홈(120a)(120b)을 갖는 어댑터(200)(200')를 선택 사용함으로 다양한 직경의 못(10)을 사용하더라도 항시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손가락 보호구(1)를 사용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몸체(100)(100')의 상부에 각각 고정핀(160)과 자석(170)을 형성시에는 못을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핀(160)을 자석(170)과 부착 사용함으로 몸체(100)(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안정된 못(10)의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손가락 보호구(1)를 사용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6을 참조하여 각각의 몸체(100)(100')에 형성되는 손가락 수용홈(110)(110')의 내주면에 미끄럼 방지패드(111)(111')를 형성하에 되면, 못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그 그립감의 증대에 따른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항싱 안정된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는, 망치질을 수행함에 있어 타격의 오류시 충격이 발생시 망치의 헤드로부터 손가락의 보호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고정되어지는 못의 고정으로 안정적인 망치질 및 망치질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100,100' : 몸체 110,110' : 손가락 수용홈
111,111' : 미끄럼 방지패드 120,120' : 못 파지홈
120a,120b : 못 파지홈 130 : 나사공
160 : 고정핀 170 : 자석
200,200' : 어댑터 230 : 볼트삽입공
240 : 볼트

Claims (5)

  1. 강질의 PVC 재질로 구성되고 양측 한 쌍을 이루며, 각각의 길이방향 일측은 개구되어 내측에 손가락 수용홈(110)(110')이 형성된 몸체(100)(100')로 구성하되,
    양측 몸체(100)(100')의 대항면에는 양측 몸체(100)(100')를 면접시 하나의 원을 이루는 반원 형태의 적어도 2열 이상을 이루며, 몸체(100)(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통되는 못 파지홈(120)(120')이 각각 형성되며,
    양측 몸체(100)(100')의 대항면에는,
    대항되는 한 쌍이 한 조를 이루며, 다수조로 된 어댑터(200)(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각각의 몸체(100)(100')에는, 나사공(130)을 더 형성하고,
    각조의 어댑터(200)(200')에는,
    상기 나사공(130)과 연통되는 볼트삽입공(230)이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는 못 파지홈(120a)(120b)이 형성되게 구성하여,
    사용되는 못의 직경에 따라 어댑터(200)(200')의 볼트(240) 체결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못 파지홈(120)(120')은,
    어느 하나의 못 파지홈(120)은 수직을 이루게 구성하고, 나머지 못 파지홈(120')은 서로 다른 각도로 경사를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어느 한 측의 몸체(100) 상부에는 각각 반대측 몸체(100') 측으로 힌지 회동되는 철재로 된 고정핀(160)을 더 형성하고,
    다른 한 측의 몸체(100) 상부에는 상기 고정핀(160)과 부착 가능한 자석(17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양측 몸체(100)(100')를 이용하여 못을 파지한 상태에서 고정핀(160)을 자석(170)에 부착하여 파지력이 유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5. 제 1항에 있어서,
    양측 몸체(100)(100')의 손가락 수용홈(110)(110')의 못 파지홈(120)(120') 측에는 실리콘 재질로 된 미끄럼 방지패드(111)(111')가 더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KR2020160005550U 2016-09-25 2016-09-25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Active KR200483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50U KR200483248Y1 (ko) 2016-09-25 2016-09-25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50U KR200483248Y1 (ko) 2016-09-25 2016-09-25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248Y1 true KR200483248Y1 (ko) 2017-04-20

Family

ID=5866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50U Active KR200483248Y1 (ko) 2016-09-25 2016-09-25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48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815U (ko) * 1990-02-28 1991-11-12
KR200309827Y1 (ko) * 2003-01-09 2003-04-11 (주)강산이앤씨 손가락 보호대
KR20040072272A (ko) 2003-02-10 2004-08-18 (주)알파플러스 상용교류전원을 이용한 진공 증발원 도가니의 가열방법
JP3109815U (ja) * 2005-01-05 2005-06-02 徹 石橋 釘打ち案内具
KR20110010692A (ko) * 2008-03-17 2011-02-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폐섬유증 치료제
KR20120007611U (ko) * 2011-04-27 2012-11-06 조풍연 목박을때 안전장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815U (ko) * 1990-02-28 1991-11-12
KR200309827Y1 (ko) * 2003-01-09 2003-04-11 (주)강산이앤씨 손가락 보호대
KR20040072272A (ko) 2003-02-10 2004-08-18 (주)알파플러스 상용교류전원을 이용한 진공 증발원 도가니의 가열방법
JP3109815U (ja) * 2005-01-05 2005-06-02 徹 石橋 釘打ち案内具
KR20110010692A (ko) * 2008-03-17 2011-02-0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폐섬유증 치료제
KR20120007611U (ko) * 2011-04-27 2012-11-06 조풍연 목박을때 안전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277B1 (ko) 파지용 골무 및 장갑
AU2016202264B2 (en) Climbing tool
WO2000009296A1 (en) Vibration damped hammer
US11247324B2 (en) Pry bar handle
US20170050307A1 (en) Tool handle
US10773371B2 (en) Tool handle
EP0676167A1 (en) Spring clip fastener
KR200483248Y1 (ko) 망치 작업용 손가락 보호구
US20110119853A1 (en) Scraper
US4277892A (en) Golf tee awl and awl retaining sheath
US2706423A (en) Tool holder
CN101652227A (zh) 具有可滑动手柄的冲击工具
US20070101547A1 (en) Tool handle with finger positioning guide
US4379475A (en) Wedging apparatus useful for log splitting
US11583993B2 (en) Anti-kickback axe
US7252669B1 (en) Fixator pin cap
US5996443A (en) Fastener holding device
CN205219037U (zh) 安全凿子
US11268333B2 (en) Safety handle apparatus
US1189998A (en) Nail-holding tool.
KR20190013241A (ko) 손관절 맞춤형 골프 안전그립
KR101720650B1 (ko) 골프 퍼터용 그립
KR20160097088A (ko) 손가락 보호용 안전 캡이 포함된 가정용 망치
JP3109815U (ja) 釘打ち案内具
KR20140005608U (ko) 분리형 손잡이가 구비된 선체 마킹용 펀칭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9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2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611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704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21121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121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